KR101833304B1 - 안경의 코받침 - Google Patents

안경의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304B1
KR101833304B1 KR1020150184309A KR20150184309A KR101833304B1 KR 101833304 B1 KR101833304 B1 KR 101833304B1 KR 1020150184309 A KR1020150184309 A KR 1020150184309A KR 20150184309 A KR20150184309 A KR 20150184309A KR 101833304 B1 KR101833304 B1 KR 10183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ir
nose
air poc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709A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5018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3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질의 코받침 커버 내부에 에어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포켓 내의 공기압이 빠져나가기 위한 압력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배출구에 압력조절 캡이 결합되어 배출되는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개시된 구성을 통해 안경의 흘러내림을 실리콘고무의 마찰력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별도 구비된 에어포켓의 완충력과 실리콘재질의 탄성력을 동시에 갖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시 안경무게에 의한 눌림 자국을 남기지 않는 효과가 있고, 코받침 커버의 에어포켓과 연결된 압력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안경 착용시 압력에 의해 에어포켓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면서 커버의 외형이 코 모양에 맞춰 자연스럽게 변형되도록 하되, 압력 배출구에 별도의 압력조절캡을 결합함으로써, 에어포켓 내의 공기양이 착용압력에 맞춰 미세 조절되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안경의 코받침{GLASSES NOSE PAD}
본 발명은 안경 착용시 안경무게에 의해 미끄러짐과 하중에 의한 자국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경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의 흘러내림을 실리콘고무의 마찰력으로 방지하는 한편, 별도 구비된 에어포켓의 완충과 실리콘재질의 탄성력을 겸해 하중에 의한 자국을 남기지 않고, 코받침의 에어포켓 배출구에 별도의 캡을 구비하여 에어포켓 내의 공기양이 착용압력에 맞춰 조절되도록 하며, 에어포켓 안으로 이물질의 혼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안경의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1909호(2012.03.14. 공개)의 "공기 주머니가 형성된 안경의 코받침"이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경 코받침을 구성하는 코받침 지지구에 형성된 삽입부는 타원형으로 가운데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과, 삽입부는 내부에 공기를 더 많이 체류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요홈부가 형성된 것과, 삽입부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형을 가지는 코받침 지지구에 형성된 삽입부에 결합되어 안경 코받침을 완성시키는 코받침 커버는 연질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코받침 커버는 코받침 지지구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삽입부에 결합되도록 안쪽이 넓게 형성된 안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부의 일측면, 즉 인체와 닿는 쪽에 공기가 많이 체류할 수 있도록 공기 주머니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자체적으로 탄성이 있는 실리콘 재질과 공기 주머니로 인한 우수한 탄성으로 인하여 안경 코받침이 사용자의 콧등 곡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안경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의 콧등에 가해지는 압박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안경 코받침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되며, 코받침 지지구를 안경 코받침 커버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안경 코받침의 제조 원가가 저하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코받침 커버의 안착공간부 내에 판상의 삽입부가 결합되기 때문에 코받침 커버의 자유로운 변형이 제한되는 구조여서, 사용자 저마다의 코 형태에 따른 착용감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착용시마다의 잦은 압력이 코받침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공기 주머니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배기구가 확보되지 않아 내부의 공기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코받침 커버의 변형성을 제한하여 착용감을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압축공기에 의한 내압이 피로하중으로 누적되어 코받침 커버의 취약부를 뚫고 압력이 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1909호(2012.03.14.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의 흘러내림을 실리콘고무의 마찰력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별도 구비된 에어포켓의 완충력과 실리콘재질의 탄성력을 동시에 갖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받침 커버의 에어포켓과 연결된 압력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안경 착용시 압력에 의해 에어포켓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면서 커버의 외형이 코 모양에 맞춰 자연스럽게 변형되도록 하되, 압력 배출구에 별도의 압력조절캡을 결합함으로써, 에어포켓 내의 공기양이 착용압력에 맞춰 미세 조절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조절캡을 결합함으로써, 에어포켓 안으로 이물질의 혼입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조절캡의 결합을 통해 커버의 전체적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포켓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압력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공기 압력에 의한 커버의 피로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코받침 커버의 취약부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질의 코받침 커버 내부에 에어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포켓 내의 공기압이 빠져나가기 위한 압력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배출구에 압력조절 캡이 결합되어 배출되는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받침 커버는 실리콘재질로 제작되며, 에어포켓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압력배출구는 하부에 형성되며, 에어포켓의 측면에 노즈프레임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배출구의 직경을 에어포켓 최대직경 대비 40~70%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 캡은 몸체 외경을 압력배출구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몸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1확장부와 제2확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 캡은 몸체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즐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를 직선형 유로, 절곡형 유로, 굴곡형 유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안경의 흘러내림을 실리콘고무의 마찰력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별도 구비된 에어포켓의 완충력과 실리콘재질의 탄성력을 동시에 갖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시 안경무게에 의한 눌림 자국을 남기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받침 커버의 에어포켓과 연결된 압력 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안경 착용시 압력에 의해 에어포켓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면서 커버의 외형이 코 모양에 맞춰 자연스럽게 변형되도록 하되, 압력 배출구에 별도의 압력조절캡을 결합함으로써, 에어포켓 내의 공기양이 착용압력에 맞춰 미세 조절되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조절캡을 결합함으로써, 에어포켓 안으로 이물질의 혼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조절캡의 결합을 통해 커버의 전체적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물감을 최소화 하면서 보다 플랙시블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저마다의 코 형태에 따른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포켓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압력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공기 압력에 의한 커버의 피로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코받침 커버의 취약부 발생에 따른 수명단축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받침이 결합된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받침이 결합된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경프레임(10)의 코걸이부 양측에 노즈프레임(20)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노즈프레임(20)에는 각각 조인트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부(30)에 각각 한 쌍의 코받침(1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코받침(100)은 조인트부(30)에 나사(40) 결합시켜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연질의 코받침 커버(110) 내부에 에어포켓(111)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포켓(111) 내의 공기압이 빠져나가기 위한 압력배출구(113)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배출구(113)에 압력조절 캡(120)이 결합되어 배출되는 공기압을 조절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이때, 상기 코받침 커버(110)는 실리콘재질로 제작된다. 실리콘재질은 특유의 신축성과 촉감이 부드럽기 때문에 착용감이 뛰어나며 인체 친화적이며, 실리콘고무의 마찰력으로 인해 안경의 흘러내림 및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포켓(111)은 코받침 커버(110) 내부에 완충공간을 마련하여 실리콘재료를 최소화하면서도 풍부한 탄력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포켓(111)의 형태는 유선형이나 구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포켓(111)은 완충력과 실리콘재질의 탄성력을 배가시킴으로써, 안경 착용시 안경무게에 의한 눌림 자국을 남지 않도록 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배출구(113)는 코받침 커버(110)의 에어포켓(111)과 연결된 하부 위치에 형성하며, 안경 착용시 압력에 의해 에어포켓(11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면서 커버(110)의 외형이 코 모양에 맞춰 자연스럽게 변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에어포켓(111)의 하부라 함은 안경 착용상태에서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처럼, 압력배출구(113)를 에어포켓(111)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은 외관상의 미려함을 유지하기 위함은 물론,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에어포켓(111)의 측면에 프레임 연결부(115)가 형성되는데, 상기 프레임 연결부(115)는 코받침 커버(110)와 일체 성형이 가능하고, 안경프레임(10) 측의 노즈프레임(20)과 나사(40)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캡(120)은 압력 배출구(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써, 에어포켓(111) 내의 공기양이 착용압력에 맞춰 미세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코받침 커버(110)의 형상을 유지시켜는 형상 고정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 캡(120)은 몸체 외경을 압력배출구(113)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몸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1확장부(121)와 제2확장부(123)를 형성한다.
이때, 제1확장부(121)의 테두리를 라운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121)는 압력 배출구(113)를 관통하여 결합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테두리를 라운드 처리하게 되면 결합시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켜 결합을 부드럽게 유도할 수도 있고, 코받침 커버(110)에 외압이 가해졌을 때, 내부 공기가 제1확장부(121)의 테두리부와 압력배출구(113) 사이를 비집고 새어나오도록 유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테두리부의 특정부위를 변형시켜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도록 할 경우 에어포켓(111) 내벽과 압력조절캡(120) 사이에 일정한 공기압 배출이 가능한 노즐형태의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받침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 캡(120)은 몸체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즐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125)는 직경을 최소화 함으로써, 공기 배출량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착용 압력에 맞게 에어포켓(111) 내의 완충력이 미세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노즐부(125)를 직선형 유로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노즐부(125)를 절곡형 유로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노즐부(125)를 굴곡형 유로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도 4의 경우 유체흐름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조이며, 도 6의 경우 유체흐름이 가장 지연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노즐부(125)의 유로를 최대한 복잡하고 길게 형성할수록 배출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이 느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변경에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이는 모두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의도와 목적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압력조절캡(120)은 착용압력을 조절하는 역할 외에도 에어포켓(111) 안으로 이물질의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조절캡(120)은 코받침 커버(1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물감을 최소화 하면서 보다 플랙시블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저마다의 코 형태에 따른 착용감이 우수한 이점을 갖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포켓(11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압력배출구(113)를 형성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공기 압력에 의한 커버의 피로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코받침 커버의 취약부 발생에 따른 수명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코받침 110: 코받침 커버
111: 에어포켓 113: 압력배출구
115: 프레임연결부 120: 압력조절캡
121: 제1확장부 123: 제2확장부
125: 노즐부

Claims (6)

  1. 연질의 코받침 커버(110) 내부에 에어포켓(111)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포켓(111) 내의 공기압이 빠져나가기 위한 압력배출구(113)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배출구(113)에는 몸체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즐부(125)를 형성하는 압력조절 캡(120)이 결합되어 배출되는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 커버(110)는 실리콘재질로 제작되며, 에어포켓(111)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압력배출구(113)는 하부에 형성되며, 에어포켓(111)의 측면에 프레임 연결부(1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구(113)의 직경을 에어포켓(111) 최대직경 대비 40~7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캡(120)은 몸체 외경을 압력배출구(113)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몸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1확장부(121)와 제2확장부(1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125)를 직선형 유로, 절곡형 유로, 굴곡형 유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
KR1020150184309A 2015-12-22 2015-12-22 안경의 코받침 KR101833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09A KR101833304B1 (ko) 2015-12-22 2015-12-22 안경의 코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309A KR101833304B1 (ko) 2015-12-22 2015-12-22 안경의 코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709A KR20170074709A (ko) 2017-06-30
KR101833304B1 true KR101833304B1 (ko) 2018-02-28

Family

ID=5927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309A KR101833304B1 (ko) 2015-12-22 2015-12-22 안경의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3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22A (ko) 2018-04-06 2019-10-16 (주)월드트렌드 안경테용 코받침대
KR20230112373A (ko) 2022-01-20 2023-07-27 (주)월드트렌드 안경용 코패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82U (ko) 2019-12-20 2021-06-30 김현국 안경 코받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22A (ko) 2018-04-06 2019-10-16 (주)월드트렌드 안경테용 코받침대
KR20230112373A (ko) 2022-01-20 2023-07-27 (주)월드트렌드 안경용 코패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709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124B2 (en) Eyewear with ventilation
US5894606A (en) Swimming goggle
US8650667B2 (en) Swimming goggles
KR101833304B1 (ko) 안경의 코받침
CN102726897B (zh) 具有舒适垫的表带
US20170252609A1 (en) Swimming goggle cushion pad
US10206819B2 (en) Swimming goggle cushion pad
TW201823082A (zh) 自行車座墊
WO2017157207A1 (zh) 眼镜鼻托及眼镜
JP7445755B2 (ja) 可変圧縮クッションを有し水分管理が改善されたアイウェア
KR20120001909U (ko) 공기 주머니가 형성된 안경 코받침
KR20110116555A (ko) 안경팁
KR20190071117A (ko) 안경용 논슬립 노우즈 패드
US20180107019A1 (en) Nose pad for eyeglass
KR101761520B1 (ko) 안경테의 코받침
US20180148146A1 (en) Waterproof mask used for swimming, diving and snorkeling
KR200486922Y1 (ko) 수경 보호 패드
KR20090030019A (ko) 안경 코받침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KR102597293B1 (ko) 무게분산 안경테
JP2004505295A (ja) 眼鏡の弦
CN213210625U (zh) 眼镜框结构
KR20190101931A (ko) 안경용 노우즈 패드
JP2018194643A (ja) 眼鏡の支持具
AU2016202483A1 (en) Swimming Goggle Cushion Pad
CN209746289U (zh) 一种透气鼻托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