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293B1 - 무게분산 안경테 - Google Patents

무게분산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293B1
KR102597293B1 KR1020210131268A KR20210131268A KR102597293B1 KR 102597293 B1 KR102597293 B1 KR 102597293B1 KR 1020210131268 A KR1020210131268 A KR 1020210131268A KR 20210131268 A KR20210131268 A KR 20210131268A KR 102597293 B1 KR102597293 B1 KR 10259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plate
nose
weight distribu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8231A (ko
Inventor
조원대
Original Assignee
조원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대 filed Critical 조원대
Priority to KR102021013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2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종래 안경은 안경다리에 비하여, 안경알이 결합되는 코걸이가 포함된 전방영역에 하중이 쏠려, 예민한 착용자의 경우 콧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일반적으로 콧등을 비롯한 안면의 변형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안경을 착용하다보면 하중에 의해 안경이 내려가는 현상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분산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의 안경다리에 무게 분산용 조절구를 장착하여 안경의 무게가 코걸이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분산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게분산 안경테{Glasses frame of weight divider}
종래 안경은 안경다리에 비하여, 안경알이 결합되는 코걸이가 포함된 전방영역에 하중이 쏠려, 예민한 착용자의 경우 콧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일반적으로 콧등을 비롯한 안면의 변형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안경을 착용하다보면 하중에 의해 안경이 내려가는 현상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분산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의 안경다리에 무게 분산용 조절구를 장착하여 안경의 무게가 코걸이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분산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처음엔 시력보정을 목적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근래에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시력보정은 물론 난시 또는 근시와 같이 시력장애를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사시 등의 안구장애를 보정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국내 시력보정용 안경 착용률에 관한 연구에서는, 2019년 기준 성인의 연도별 착용률은 ‘안경만 사용’ 46.3%, ‘둘 다 사용’ 8.2%, ‘콘택트렌즈만 사용’ 0.9%, ‘총 사용률’은 55.4%로 나타났고,
특성별로 성별에서 ‘안경만 사용’이 높았으며 남성이 49.3%, 여성이 43.3%로 나타났으며,
세대별에서 20대는 ‘둘 다 사용’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27.5%로 나타났고, 30대, 40대, 50대는 ‘안경만 사용’이 높게 나타났고,
소득별에서 월 소득과 무관하게 ‘안경만 사용’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19년 기준 청소년의 연도별 착용률은 ‘안경만 사용’ 33.7%, ‘둘 다 사용’ 5.3%, ‘콘택트렌즈만 사용’ 1.9%, ‘총 사용률’은 40.9%로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전 학년에서 ‘안경만 사용’이 높았게 나타날 정도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연구결과에 더불어, 안경이 패션용도로도 활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안경은 현대사회에서 거의 모든 인구에게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안경은 안경다리에 비하여, 안경알이 결합되는 코걸이가 포함된 전방영역에 하중이 쏠려, 예민한 착용자의 경우 콧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일반적으로 콧등을 비롯한 안면의 변형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안경을 착용하다보면 하중에 의해 안경이 내려가는 현상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경테의 안경다리에 무게 분산용 조절구를 장착하여 안경의 무게가 코걸이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분산 안경테를 제안한다.
한편, 관련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2037339호에는 무중력 스마트 안경테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렌즈가 체결되는 안경테 본체와, 안경테 본체의 양단에 체결되고, 귀걸이가 배치된 다리부와, 다리부에 체결되는 귀걸이와, 안경테 본체에 배치되는 코걸이를 포함하고,
이러한 무중력 스마트 안경테는 다리부에 이동가능한 무게추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코와 귀의 높이를 고려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코에 안경이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경우 안경 착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1172호에는 무게중심의 이동이 가능한 안경다리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무게중심의 이동이 가능한 안경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에 걸착되는 귀걸이부의 단부에 중량체를 내장하여 안경의 하중이 전방으로 쏠리지 않게 하고, 귀걸이부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무게중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착용감을 향상할 수 있는 안경다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268349호에는 중량의 균형을 위해 무게조절 및 위치조절 기능이 부여된 안경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중량의 균형을 위해 무게조절 및 위치조절 기능이 부여된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면적이 넓은 코받침에 비해 면적과 하중이 작은 지지부를 코받침 자리에 대체 구비하여 코받침에 의한 눌림, 흔적 등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안경다리의 전방측 연장부와 후방측 귀걸이부의 중량을 거의 동일하게, 정확하게는 전방측 연장부와 후방측 귀걸이부의 중량비를 전방측 연장부쪽이 조금 무겁도록 1.1 : 1 정도로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안경의 후방 중량부재 무게로 인해 뒤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중량의 균형을 위해 무게조절 및 위치조절 기능이 부여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렌즈(40), 안경테(10) 및 안경다리(20)로 구성되고, 상기 안경다리(20)는 안경테(10)의 후방측으로 연결되어 귓바퀴(6)측으로 직선 연장되는 연장부(21)와, 상기 연장부(21)의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귓바퀴(6)의 내측에 안착지지되는 귀걸이부(2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귀걸이부(22)의 끝단부에 중량부재(30)를 결합하여, 상기 연장부(21)와 귀걸이부(22)의 경계선(B)을 기준으로 한 양측의 중량(G1,G2)비를 1.1 : 1 로 유지하여 전방측 연장부(21)에 구비되는 안경테(10)가 들려 올라가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중량부재(30)는 비중이 높은 텅스텐, 탄티늄, 납, 몰리브덴, 비스마스, 청동, 구리, 니켈, 카드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분말을 혼합 소결하되, 초경분말을 더 포함하여 제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귀걸이부(22)의 끝단부에 결합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1)와 귀걸이부(22)를 포함한 안경다리(20)와 중량부재(30)의 외면을 연질의 인체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코팅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안경테(10)의 마주하는 양측 내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코(50)의 양측면에 각각 닿도록 연질의 지지부(12)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12)에 의해 안경테(1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12)는 연질의 인체 무해한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게 하여 지지부(12)에 의한 눌림 또는 흔적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의 균형을 이용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30) 상에 다수개의 결합공(6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61)에 선택적으로 무게추(62)를 결합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안경테(10)와 안경착용자의 귓바퀴(6) 거리에 따라 연장부(21)와 귀걸이부(22)의 경계선(B)을 기준으로 한 양측의 중량(G1,G2)비를 1.1 : 1 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의 균형을 위해 무게조절 및 위치조절 기능이 부여된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9409호에는 안경에 끼움결합되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제조된 유동방지고정수단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안경 착용시 안경다리에 실리콘 소재의 유동방지고정수단을 끼움결합하여 사용자의 귀 영역에 위치하여 안경의 흘림을 방지하고, 안경 착용시 불편감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 형상으로 우측면으로 보았을 때 안경다리를 삽입하는 안경다리 삽입공과 상기 안경다리 삽입공의 측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빈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안경에 끼움결합되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제조된 유동방지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9409호에서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안경 착용시 유동방지고정수단의 이질감이 저감되고, 공간부 또는 에어존에 의해서 안경다리 및 유동방지고정수단이 머리를 가압되는 것이 완충되며, 재질이 의료용 실리콘 내지 무해한 조성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피부에 무해하고, 형태 및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으나,
본 출원인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달성할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37339호(2019.10.29.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1172호(2020.06.05.) 등록특허공보 제10-2268349호(2021.06.22.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9409호(2020.02.04.)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다리에 비하여 안경알이 결합되는 코걸이가 포함된 전방영역이 무거운 특성에 따라, 예민한 착용자의 경우 콧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일반적으로 콧등을 비롯한 안면의 변형을 유발하기도 하며, 통상적으로 안경을 착용하다보면 하중에 의해 안경이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종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경테의 안경다리에 무게 분산용 조절구를 장착하여 안경의 무게가 코걸이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고, 일면에 이모티콘(emotion)을 부착할 수 있는, 무게분산 안경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게분산 안경테는, 안경테(10)의 안경다리(11)에 결합되는 조절구(20)를 포함하는 무게분산 안경테에로서, 상기 조절구(2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서 금속 등의 재질을 가짐에 따라 일정 하중을 가지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안경다리(11)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홀(22);을 포함하여, 안경 착용시 하중이 안경의 전방영역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21)는, 금속테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볼트로 고정하고 합성수지테에는 성형한 실리콘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구(20)는, 일측에 안결줄 결합을 위한 고리(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구(20)는, 절곡판(25, 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판(25)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판(24)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판(24)은, 상기 몸체(2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보조판(26)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절곡판(27)은, 상기 몸체(21)에 대하여, 2개가 대칭되는 형태로서 몸체(21)에서 멀어질수록 2개의 절곡판(27)이 상호 멀어지도록 경사된 방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판(27)은, 2개가 상호 멀어지도록 경사된 방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21)의 다른 일면에는 판부(28)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21)는, 상기 보조판(26)이 형성된 영역의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홀(22)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홀(22) 및 홀(22)에 연통된 개방된 영역을 이용하여 판부(28)를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안경은 안경다리에 비하여, 안경알이 결합되는 코걸이가 포함된 전방영역에 하중이 쏠려, 예민한 착용자의 경우 콧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일반적으로 콧등을 비롯한 안면의 변형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안경을 착용하다보면 하중에 의해 안경이 내려가는 현상도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게분산 안경테에 의하면, 상술된 종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분산 안경테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분산 안경테에 결합되는 조절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종래 안경은 안경다리에 비하여, 안경알이 결합되는 코걸이가 포함된 전방영역에 하중이 쏠려, 예민한 착용자의 경우 콧등의 통증을 유발하고, 일반적으로 콧등을 비롯한 안면의 변형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안경을 착용하다보면 하중에 의해 안경이 내려가는 현상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분산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의 안경다리에 무게 분산용 조절구를 장착하여 안경의 무게가 코걸이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분산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분산 안경테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무게분산 안경테는, 안경테(10)의 안경다리(11)에 결합되는 조절구(20)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구(20)는,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분산 안경테에 결합되는 조절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절구(2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서 금속 등의 재질을 가짐에 따라 일정 하중을 가지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안경다리(11)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홀(22);을 주요하게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21)의 일측으로는 고리(23)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경줄 등을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구(20)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1개의 안경다리(11)에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2개의 안경다리(11) 모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술된 조절구(20)는, 착용감의 증진을 위하여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른 조절구(20)는,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덧대어 결합되되 상기 몸체(21)보다 높게 형성된 결합판(24)과; 상기 결합판(24)의 상측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판(25);을 포함한다.
이때, 절곡판(25) 또는 절곡판 및 결합판(24)은 금속 판재 혹은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일 수 있으며, 금속 판재에 실리콘을 코팅한 재질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절곡판(25)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착용자의 신체에 직접 맞닿아 착용감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의 상면 일측으로는 보조판(26)이 더 돌출되도록 하되, 상기 보조판(26)과 결합판(24)은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보조판(26)에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이용하여 안경줄 등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리(23)를 대신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조절구(20)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절곡판만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절곡판은 제2 절곡판(27)으로 지칭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 절곡판(27)은,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이거나 금속에 실리콘을 코팅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절곡판(27)은 2개가 대칭되는 형태로서 몸체(21)에서 멀어질수록 2개의 제2 절곡판(27)이 상호 멀어지도록 경사된 방향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에 닿았을 때 편리한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조절구(20)는 가이드홈(22a)과 가이드판(22b)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표 1]을 참조하도록 한다.
[표 1]에 다른 가이드홈(22a)은 홈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凸'의 2단의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는 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어느 한 단부는 가이드홈(22a)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가이드홈(22a)이 개방되지 않고 막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2b)은 'ㄴ'자의 형상을 가지되, 실리콘의 재질 혹은 금속판에 실리콘을 코팅한 재질로 구성되고, 이러한 가이드판(22b)에는 가이드홈(2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돌기(22c)가 가이드판(22b)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판(22b)은 돌기(22c)가 가이드홈(22a)에 내삽되어 홀(2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홈(22a)은 타단이 막힘에 의해 타단 방향으로는 가이드판(22b)이 홀(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22b)에 구비된 돌기(22c)는 [표 1]의 하측과 같이 가이드판(22b)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판(22b)이 홀(22)로부x터 타단에서 노출되는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도록 한다.
[표 1]에서는 도 2의 조절구(20) 형상을 기반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 3 및 도 4의 형태에 따른 조절구(20)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착용자의 얼굴형태나, 편리함을 목적으로 조절구(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착용한 상태에서, 주로 안경을 내려서 착용하는 경우에 안경의 움직임을 편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조절구(20)는 얼굴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가이드판(22b)이 홀(22)로부터 움직일 수 있어서, 가능한 것이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도 5 내지 도 7의 조절구(20)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 1]에 도시된 구성을 반영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며, 특히 도 5의 형상에서 판부(28)가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도 2에 따른 조절구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은 도 4에 따른 형상에서 제2 절곡판(27)의 절곡된 영역을 제거하고 수평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에 더하여, 도 7과 같이 고정구(20)의 몸체(21) 다른 일면에 판부(28)를 결합할 수 있는데, 이때 결합은 접착, 볼팅 체결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판부(28)는 도 5의 경우, 상기 몸체(21)의 보조판(26)이 몸체(21)에 일체로 형성되되 보조판(26)이 돌출된 몸체(21)의 일측을 절개하여 보조판(26) 부근의 몸체(21)가 개방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되, 개방된 영역은 몸체(21) 내부의 홀(22)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판부(28)는 2개의 판부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단부가 만곡되어 일체로 결합된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판부(28)에는 글자, 글귀, 도형, 캐릭터 등을 도시하여 광고 혹은 이니셜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안경테
11 : 안경다리
20 : 조절구
21 : 몸체
22 : 홀
23 : 고리
24 : 결합판
25 : 절곡판
26 : 보조판
27 : 제2 절곡판
28 : 판부

Claims (8)

  1. 안경테(10)의 안경다리(11)에 결합되는 조절구(20)를 포함하는 무게분산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2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 하중을 가지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안경다리(11)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홀(22);을 포함하여,
    안경 착용시 하중이 안경의 전방영역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조절구(20)는,
    절곡판(25, 27)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곡판(25)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판(24)의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판(24)은,
    상기 몸체(2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보조판(26)과 결합되고,
    상기 몸체(21)는,
    상기 보조판(26)이 형성된 영역의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홀(22)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홀(22) 및 홀(22)에 연통된 개방된 영역을 이용하여 판부(28)를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분산 안경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20)는, 일측에 안결줄 결합을 위한 고리(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분산 안경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31268A 2021-10-02 2021-10-02 무게분산 안경테 KR10259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68A KR102597293B1 (ko) 2021-10-02 2021-10-02 무게분산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68A KR102597293B1 (ko) 2021-10-02 2021-10-02 무게분산 안경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31A KR20230048231A (ko) 2023-04-11
KR102597293B1 true KR102597293B1 (ko) 2023-11-01

Family

ID=8597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268A KR102597293B1 (ko) 2021-10-02 2021-10-02 무게분산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2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69Y1 (ko) * 2010-10-19 2011-07-25 김명열 안경 다리 지지대
JP2017111265A (ja) * 2015-12-16 2017-06-22 由紀美 星野 メガネの弦に装着する脱着可能なアタッチメン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67Y1 (ko) * 1992-08-10 1995-03-25 이민수 코걸이가 없는 안경테의 지지대
KR940011982A (ko) * 1992-11-05 1994-06-22 김태원 코 받침이 없는 안경
KR20100117431A (ko) * 2009-04-24 2010-11-03 김정택 안경용 고정구
KR20170011451A (ko) * 2015-07-23 2017-02-02 오중수 안면 눌림 방지를 위한 무게 분산형 안경 악세사리
KR102037339B1 (ko) 2016-02-02 2019-10-29 임헌성 무중력 스마트 안경테
KR20170140797A (ko) * 2017-12-03 2017-12-21 박용필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KR20200001172U (ko) 2018-11-28 2020-06-05 안명희 무게중심의 이동이 가능한 안경다리
KR102348857B1 (ko) 2020-02-04 2022-01-17 권기업 안경에 끼움결합되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제조된 유동방지고정수단
KR102268349B1 (ko) 2020-04-09 2021-06-22 방성미 중량의 균형을 위해 무게조절 및 위치조절 기능이 부여된 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69Y1 (ko) * 2010-10-19 2011-07-25 김명열 안경 다리 지지대
JP2017111265A (ja) * 2015-12-16 2017-06-22 由紀美 星野 メガネの弦に装着する脱着可能なアタッチ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31A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892B2 (en) Contact lenses
US11281021B2 (en) Eyeglasses
JPH0933865A (ja) 磁石付眼鏡フレーム
KR102597293B1 (ko) 무게분산 안경테
CN103246079A (zh) 一种眼镜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CN113391462B (zh) 为了重量的均衡而赋予重量调节及位置调节功能的眼镜
KR102573422B1 (ko) 안경용 코받침 구조체
KR102049200B1 (ko) 중량의 균형을 이용한 안경
JP4804736B2 (ja) ノーズパッド
CN218866239U (zh) 一种眼镜框
CN212694188U (zh) 一种防摔防滑的眼镜镜架和眼镜
US8556415B2 (en) Adjustable nose pad for eyewear
CN211718635U (zh) 一种可调佩戴高度的眼镜
KR20170092019A (ko) 무중력 스마트 안경테
KR200403686Y1 (ko) 실리콘 쿠션판 안경코받침
CN221056774U (zh) 眼镜镜脚结构
US20170219844A1 (en) Cushioned eyeglass frame nose support
CN208172403U (zh) 一种增高防滑鼻托垫
JP3242259U (ja) メガネのずれ防止具
KR20190071117A (ko) 안경용 논슬립 노우즈 패드
KR102132368B1 (ko) 코 자극을 최소화하는 안경
CN209784668U (zh) 一种新型鼻托及应用该鼻托的眼镜
CN209728348U (zh) 一种液态硅胶眼镜
KR20230112373A (ko) 안경용 코패드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