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797A -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 Google Patents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797A
KR20170140797A KR1020170164750A KR20170164750A KR20170140797A KR 20170140797 A KR20170140797 A KR 20170140797A KR 1020170164750 A KR1020170164750 A KR 1020170164750A KR 20170164750 A KR20170164750 A KR 20170164750A KR 20170140797 A KR20170140797 A KR 2017014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weight
nose
us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필
Original Assignee
박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필 filed Critical 박용필
Priority to KR102017016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797A/ko
Publication of KR2017014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97A/ko
Priority to KR1020180072419A priority patent/KR20180080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에 결합 가능한 무게 추에 관한 것으로 안경 무게로 인한 코의 부담을 줄이는 무게 추에 관한 것이다.
안경에는 사용자의 코에 접촉되는 부분에 코 받침대가 있다. 안경의 코 받침대는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불편함을 줄인다.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이 사용자의 코와 귀에 접촉하게 된다. 안경을 오래 착용할 경우에
안경과 코가 접촉한 부분에서 안경을 착용한 표시가 나게 된다. 이러한 미용 상 좋지 않은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의 무게에 의해서 코가 눌리는 불편함이 있다.
안경의 도수가 높고 안경의 무게가 클 경우에는 코 부분에 불편함이 클 수 있다.
상기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서 안경다리의 끝 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하도록 한다. 안경다리
끝 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하여,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경의 무게 중심이 안경의 렌즈 부분에서 안경다리의 귀의 접촉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안경다리 끝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하거나 무게 추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게 추의
위치와 무게 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안경 착용이 적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Detachable weight for glasses}
본 발명은 안경에 결합 가능한 무게 추에 관한 것으로 안경 무게로 인한 코의 부담을 줄이는 무게 추에 관한 것이다.
안경에는 사용자의 코에 접촉되는 부분에 코 받침대가 있다. 안경의 코 받침대는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불편함을 줄인다.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이 사용자의 코와 귀에 접촉하게 된다. 안경을 오래 착용할 경우에
안경과 코가 접촉한 부분에서 안경을 착용한 표시가 나게 된다. 이러한 미용 상 좋지 않은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안경을 착용할 때 안경의 무게에 의해서 코가 눌리는 불편함이 있다.
안경의 도수가 높고 안경의 무게가 클 경우에는 코 부분에 불편함이 클 수 있다.
상기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서 안경다리의 끝 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하도록 한다. 안경다리
끝 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하여, 안경을 착용했을 때 안경의 무게 중심이 안경의 렌즈 부분에서 안경다리의 귀의 접촉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안경다리 끝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하거나 무게 추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게 추의
위치와 무게 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안경 착용이 적합하도록 한다.
안경에 무게 추를 결합하기 때문에 안경의 전체 무게는 커진다. 그러나 무게 중심이 안경다리의 귀의 접촉 부분에 있기 때문에 체감으로 안경의 무게를 덜 느낄 수 있다.
무게 추의 무게를 크게 할 경우에 안경 사용자의 코에 안경이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안경의 코 받침대 부품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무게 추의 무게를 적게 할 경우에 안경 사용자의 코와 안경이 접촉하는 부분에 불편함이 줄어든다.
도1은 안경 다리의 끝부분에 무게 추가 결합된 안경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2는 안경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나타낸다.
도3은 양쪽 안경다리의 끝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4는 안경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나타낸다.
도5는 안경 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나타낸다. 길이가 짧고 여러 개의 무게 추를 안경다리에 결합할 수 있다.
도6은 안경 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나타낸다. 길이가 짧고 여러 개의 무게 추를 안경다리에 결합할 수 있다.
도7은 안경 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나타낸다. 안경다리에 결합했을 때, 무게 추가 안경 다리의 위쪽에 위치한다.
도8은 안경 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무게 추가 안경 다리 위쪽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9는 안경 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나타낸다. 안경 다리와 결합하는 부분에 끈이 결합되어 있고 무게 추가 끈에 결합되어 있다.
도10은 안경 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11은 안경 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의 옆에 안경 다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장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안경 다리의 끝부분에 무게 추가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안경에 무게 추가 결합되어 전체 안경의 무게는 증가한다.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했을 때, 무게 중심이 귀 접촉 부분으로 이동한다. 안경의 무게 중심이 귀 접촉 부분으로 이동하여 코에 부담이 줄어든다. 무게 추의 무게를 크게 하여 안경의 코 받침대 부품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2는 안경 다리의 끝 부분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의 모습을 나타낸다. 안경을 착용하는 환경에 따라서 사용자는 무게 추를 안경에서 제거 할 수 있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3은 안경 다리의 끝 부분에 무게 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4는 안경 다리의 끝 부분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의 모습을 나타낸다.
안경을 착용하는 환경에 따라서 사용자는 무게 추를 안경에서 제거 할 수 있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5는 안경 다리의 끝 부분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의 모습을 나타낸다. 무게 추의 길이가 짧아서 여러 개의 무개 추를 안경 다리 끝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무개 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에 적합하도록 한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6은 안경 다리의 끝 부분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의 모습을 나타낸다. 무게 추의 길이가 짧아서 여러 개의 무개 추를 안경 다리 끝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무개 추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에 적합하도록 한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7은 안경 다리의 끝 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했을 때, 무게 추가 안경 다리의 윗 부분에 위치하는 무게 추이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8은 안경 다리의 끝 부분에 무게 추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9는 결합 고리에 무게 추가 끈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무게 추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10은 무게 추가 안경다리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11은 무게 추의 옆 부분에 안경 다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무게 추의 위치를 이동하여 안경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1: 안경 렌즈
2, 3: 안경 코 받침대
4, 6: 안경 다리
5, 7: 안경다리 끝부분에 위치한 무게 추
13: 안경에 코 받침대 부품이 없는 모습
21, 31, 41, 51, 62, 84: 안경다리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11, 12, 72, 73, 104, 105: 안경 다리 끝 부분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가 결합된 모습
23, 24, 33, 34, 42, 44, 52, 54, 61, 81: 무게 추를 안경 다리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
83: 안경 다리와 결합하는 부분과 무게 추를 이어주는 끈

Claims (2)

  1. 안경에 있어서,
    안경 다리 끝 부분에 무게 추가 고정되어 있고;
    안경의 무게 중심이 안경의 렌즈와 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에 있어서,
    안경 다리 끝 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장치가 있고;
    안경의 무게 중심이 안경의 렌즈와 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KR1020170164750A 2017-12-03 2017-12-03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KR20170140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750A KR20170140797A (ko) 2017-12-03 2017-12-03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KR1020180072419A KR20180080161A (ko) 2017-12-03 2018-06-23 무게 추가 부착된 안경 및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750A KR20170140797A (ko) 2017-12-03 2017-12-03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97A true KR20170140797A (ko) 2017-12-21

Family

ID=60936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750A KR20170140797A (ko) 2017-12-03 2017-12-03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KR1020180072419A KR20180080161A (ko) 2017-12-03 2018-06-23 무게 추가 부착된 안경 및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419A KR20180080161A (ko) 2017-12-03 2018-06-23 무게 추가 부착된 안경 및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407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9942A (zh) * 2021-08-24 2021-12-21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眼镜用人机工学数据测量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72U (ko) 2018-11-28 2020-06-05 안명희 무게중심의 이동이 가능한 안경다리
KR102597293B1 (ko) * 2021-10-02 2023-11-01 조원대 무게분산 안경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9942A (zh) * 2021-08-24 2021-12-21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眼镜用人机工学数据测量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61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0797A (ko)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무게 추
CN209460496U (zh) 一种带有辅助支撑的vr眼镜
CN208399810U (zh) 一体式双眼ar眼镜
CN208013585U (zh) 一种舒适的可伸缩镜腿
KR20140060125A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CN204405959U (zh) 简易型眼镜辅助佩戴头套
CN213069374U (zh) 一种防护眼镜
KR20160121428A (ko) 착용감을 높여 안정감을 주는 안경
KR101508871B1 (ko) 코받침 없는 안경
CN207281407U (zh) 一种具有蓝牙耳机的眼镜
CN204832696U (zh) 利用软胶摩擦力固定眼镜架的支架
JP3242595U (ja) スポーツ用と普段用が兼用できるメガネ
CN211014888U (zh) 一种带耳机且具有蓝牙功能的眼镜
KR20130044109A (ko) 먼지 등이 눈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막이 형성된 보안경
CN221056775U (zh) 一种佩戴稳定型眼镜
CN220752433U (zh) 一种防滑脱的眼镜架
JP3242259U (ja) メガネのずれ防止具
CN210109480U (zh) 一种眼镜支撑脚尾
KR20130133363A (ko) 코받침 없는 안경
CN211318899U (zh) 一种眼镜
CN207235063U (zh) 一种镜架式防丢蓝牙耳机
JP2012008436A (ja) 鼻あてを軽くするメガネフレームに関する。
KR20240048787A (ko) 탈부착식 안경
CN203084331U (zh) 多功能眼镜
AU2016101475A4 (en) Cantilever Hover Specs. During manufacturing weight is added to the section of a spectacle frames temple (arm) along the length that sits to the rear of the wearers ear. Also the traditional nose pads and nose pad arms are not added to the frame.This process is designed to create a cantilever seesaw effect to the spectacle/sunglass to enable lightness of the frame at the point of usual contact with the wearers n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