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864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864A
KR20090029864A KR1020070095010A KR20070095010A KR20090029864A KR 20090029864 A KR20090029864 A KR 20090029864A KR 1020070095010 A KR1020070095010 A KR 1020070095010A KR 20070095010 A KR20070095010 A KR 20070095010A KR 20090029864 A KR20090029864 A KR 20090029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oling
unit
drying furnace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265B1 (ko
Inventor
배삼준
Original Assignee
배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삼준 filed Critical 배삼준
Priority to KR102007009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2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2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having means for operating 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F26B5/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the process involving free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되도록 하면 교반부(20)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가열 및 파쇄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게 되고, 교반부(20)에서 가열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는 냉각부(30)에서 강제 순환에 의해 열교환되게 하면서 순환 중이던 수증기를 냉각시켜 결로 현상에 의하여 물방울이 생기도록 하며, 이들 물방울은 봉수함(314)에서 모아져 악취와 분리시켜 물만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손쉽게 폐처리되게 하고, 교반부(20)에서 가열 건조되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수부(40)로 자동 배출되게 함으로써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다 자유롭게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동시에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여 더욱 청결한 사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 수증기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food's waste matter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과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에 의해 결로시켜 악취를 제거시킨 상태의 배수와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거를 통해 매립지에 매장하여 처리하거나, 이를 가공처리하여 가축의 사료나 퇴비 등으로 이용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시키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악취와 흘러내리는 오수로 인해 극심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고, 이를 수거하여 매립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도 악취와 오수로 인한 처리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축의 사료나 퇴비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수 거하여 가공처리 하여야 하나, 이를 수거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운송과정에서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료로 이용할 때는 위생과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관리가 매우 힘들어 사료로서의 이용에는 매우 신중한 선별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처리하여 소멸시키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악취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같은 발효처리 외에도 간단히 가열 건조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도 하나 이때에도 악취 제거가 가장 큰 문제로서 남게 된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소형의 업소에서 발생되는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즉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면서 발생되는 오수 처리 문제 때문에 설치 장소가 하수구에 연결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어 반드시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켜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키면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순환시켜 열교환에 의해 강제 냉각되게 함으로써 악취가 포함된 물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포집하여 청결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설치가 용이토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도록 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부에 채워지게 한 상태에서 가열시키면서 커팅에 의해 파쇄되면서 교반이 이루어지게 한다.
교반부에서 가열에 의해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는 수증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냉각부에서의 강제 송풍에 의해 냉각 통로를 순환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열교환에 의해 순환 중이던 수증기의 일부는 냉각되어 결로된다.
결로된 수증기는 물방울이 되어 냉각부의 하단부에 포집되고, 이렇게 포집되는 물방울을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내부에서 일정량이 될 때까지 모이도록 한다.
수증기는 교반부와 냉각부를 순환하면서 지속적으로 열교환되며, 이때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는 냉각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봉수함에 채워지는 물에 의해서 냉각 통로를 외부와 차단되게 함으로써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한다.
교반부에서 가열 건조되고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수부로 자동 배출되어 회수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가열 건조 및 분쇄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결로 현상에 의해 물방울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때 생성되는 물방울은 별도의 용기에 포집되도록 하여 일정량 이상의 수위가 되면 용기를 분리시켜 포집된 물을 간단히 버릴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취출수와 악취의 제거를 위하여 반드시 하수관 근처 또는 하수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 설치 장소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최대한 건조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대폭적으로 저감되도록 하고, 외부로의 악취 배출이 방지되도록 하여 환경 친화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예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투입부(10)와 교반부(20)와 냉각부(30) 및 회수부(40)로서 이루어진다.
투입부(10)는 본 발명의 상단에 위치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 록 하는 부위이다. 투입부(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하향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11)를 형성하며, 상부로부터 내경이 점차 하향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호퍼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교반부(20)는 투입부(10)의 하부에서 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모여지고, 모여진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면서 교반과 가열을 동시에 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교반부(20)는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모여지도록 일정량의 수용 공간을 갖는 건조로(21)와, 이 건조로(2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 블레이드(22)와, 교반 블레이드(22)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동 모터(23)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건조로(21)는 상향 개방되면서 투입부(10)에 연통되며, 내부는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 통형상의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구성을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교반 블레이드(22)는 건조로(2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이격시켜 회전하면서 건조로(21)의 내부에 채워지는 음식물 쓰레기들을 엉키지 않도록 교반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교반 블레이드(22)는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로(21)의 바닥면에서 거의 건조로(21)의 내경에 근사한 길이를 갖는 봉형으로 형성하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로(21)의 내측면으로 음식물 쓰레기들이 흡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봉형상의 적어도 일단은 수직으로 절곡시킨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건조로(21)의 바닥면에는 교반 블레이드(22)와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커터(24)가 형성되도록 한다. 커터(24)는 건조로(2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시킨 구성이며, 교반 블레이드(22)와의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컷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커터(24)는 건조로(21)의 바닥면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동 모터(23)는 건조로(21)의 저부에서 건조로(21)의 내부에 축지지되게 구비되는 교반 블레이드(22)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 모터(23)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로(21)의 일측면에는 건조로(21)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히터(25)가 구비되도록 하며, 이 히터(25)에 의해서 건조로(21) 내부에 채워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시키게 된다.
냉각부(30)는 건조로(21)에서 가열 증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건조로(21)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시키도록 하므로 이러한 가열 건조 과정에 음식물 쓰레기로부터는 다량의 수증기가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증기를 강제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로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냉각부(30)는 쿨링 블록(31)과 덕트(32)와 송풍부(33)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쿨링 블록(31)은 외주면에 다수의 방열핀(3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측으로는 내부에 수증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 통로(311)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냉각부(30)의 쿨링 블록(31)에는 일측으로부터 교반부(20)의 구동 모터(23)가 삽입되면서 구동 모터(23)가 축고정되도록 한 건조로(21)의 하단부가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건조로(21)는 구동 모터(23)를 구동시켜 교반 블레이드(22)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가 교반될 때 대단히 심하게 진동하게 되므로 건조로(21)와 쿨링 블록(31)의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방진용 체결구(26)를 사용하여 상호 진동력 전달이 저감되게 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쿨링 블록(31)의 일측은 냉각 통로(311)를 이루며, 쿨링 블록(31)의 냉각 통로(311)는 중앙의 격벽(312)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지되 하단부는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특히 양측의 냉각 통로(311)에는 수증기의 유동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차단판(313)들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도면에서는 외측벽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하면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복수층으로 차단판(313)을 형성시킨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차단판(313)은 특히 열교환 단면적을 더욱 확장시키도록 하는 기능도 함께 하면서 냉각 효율을 보다 높이도록 한다.
냉각 통로(311)의 하단부에는 냉각 통로(311)에서 결로되어 맺히게 되는 물방울들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봉수함(314)이 구비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블록에서의 물 배출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봉수함(314)은 냉각 통로(311)에서 발생되는 물방울들이 모여지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봉수함(314)에는 상부로부터 공간을 양분시키도록 하는 트랩(316)이 형성되도록 하고, 트랩(316)은 하단부가 일정한 높이만큼 개방되도록 하여 양분되는 공간이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트랩(316)의 양측 공간을 연통되게 한 높이 이상으로 물을 채우게 되면 양측 공간은 물에 의해서 양측으로 완전 분리되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냉각 통로(311)에서 수증기와 함께 순환하게 되는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봉수함(314)에서는 일정 수위 이상으로 수량이 포집되면 배수관(317)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물을 별도의 용기(미도시)를 받쳐 포집한다.
쿨링 블록(31)의 냉각 통로(311)는 방열 커버(315)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며, 이 방열 커버(315)의 외측면에도 쿨링 블록(31)에서와 같이 복수의 방열핀(3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쿨링 블록(31)은 덕트(32)를 이용해서 건조로(21)와 연결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덕트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덕트(32)는 쿨링 블록(31)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쿨링 블록(31)의 일측의 냉각 통로(311)로 유도하고,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수분이 제거된 증기는 다시 쿨링 블록(31)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따라서 덕트(32)에는 쿨링 블록(31)의 양측 냉각 통로(311)와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320)가 형성되도록 한다.
덕트(32)는 쿨링 블록(31)과는 하단부가 연결되고, 그와 대응되는 상단부는 교반부(20)의 건조로(21)에 연결되며, 이러한 덕트(32)의 건조로(21)와 연결되는 상단부에는 송풍부(33)가 구비되도록 한다.
송풍부(33)는 일측의 팬모터(330)를 이용하여 송풍팬(331)과 쿨링팬(332)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덕트(32)의 일측의 통로(320) 내부에는 송풍팬(331)이 내장되도록 하고, 덕트(32)의 송풍팬(331)과 동일 수평선상의 서로 대응되는 양측단부에는 각각 팬모터(330)와 쿨링팬(332)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송풍팬(331)에는 통로(320)를 통하여 수증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팬 가이드(333)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송풍부(33)는 덕트(32)의 건조로(21)와 연결되는 선단에 구비되며, 다만 송풍팬(331)만이 덕트(32)의 일측 내부에서 통로(320)에 구비되고, 팬모터(330)와 쿨링팬(332)은 덕트(32)의 양측에서 외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송풍팬(331)과 쿨링팬(332)은 일측의 팬모터(330)와 동일 축선상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팬모터(330)에 의해서 동시에 구동하도록 하며, 이중 쿨링팬(332)은 쿨링 블록(31)의 냉각 통로(311)를 향해 송풍하도록 하여 냉각 통로(311)에서의 열교환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건조로(21)의 상단부에 투입부(10)와 함께 송풍부(33)가 구비되는 덕트(32)의 일단이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나, 투입부(10)의 투입구(11)는 직경이 건조로(21)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투입부(10)에 의해서 건조로(21)의 상부를 완전 커버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덕트(32)는 건조로(21)의 측방으로부터 연결되어야만 하므로 건조로(21)의 상단부에서 투입부(10)와 덕트(32)를 동시에 연결되게 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은 매우 난해하다.
따라서 투입부(10)와 건조로(21) 및 덕트(32)의 사이에는 이들과 견고하고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가이드(34)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34)는 상단부가 투입부(10)와, 하단부는 건조로(21)의 상단부와, 일측으로는 덕트(32)와 체결이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회수부(40)는 교반부(20)의 건조로(21)에서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회수부(40)는 도 3에서와 같이 건조로(21)의 하단부측 주면을 일부 절개시켜 형성한 배출구(210)의 외측에서 배출구(210)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41)와, 도어 어셈블리(41)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거되도록 구비되는 수거함(4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회수부(40)의 도어 어셈블리(41)는 건조로(21)의 배출구(210)를 개폐하는 도어(410)와 이 도어(4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모터(411)로서 이루어진다.
도어(410)는 건조로(21)의 외주면 일측을 개방한 배출구(210)를 따라서 수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배출구(210)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며, 이 도어(410)에 는 모터(420)가 결합되고, 모터(420)에는 볼 스크류(412)가 연결된다.
또한 도어(410)에는 회수부(40)의 배출구(210)측 하단부에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배출구(210)로 돌출되도록 복수 개의 돌기(413)가 구비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수부에서의 도어 승강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하단부가 모터(411)에 연결되도록 한 볼 스크류(412)는 상단부가 건조로(21)의 외주면 또는 상단부로부터 연장한 지지부(211)에 스크류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건조로(21)의 외주면 또는 상단부에는 도어 어셈블리(41)의 모터(420)에 연결된 볼 스크류(41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외측으로 지지부(211)가 돌출되도록 하고, 이 지지부(211)에는 볼 스크류(412)와 동일 수직선상에 너트(21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볼 스크류(412)가 스크류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도어 어셈블리(41)는 배출구(210)에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배출구(210)에는 도어(410)로부터 복수 개의 돌기(413)가 돌출되도록 하여 건조로(21)의 내부에서 교반되면서 배출구(210)에 쌓이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들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 도어(410)의 상승과 동시에 이들 돌기(413)가 배출구(210)측 음식물 쓰레기들을 허물면서 도어(410)의 하부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을 케이스부에 의해 커버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입부(10)와 교반부(20)와 냉각부(30)와 회수부(40)는 외부를 케이스부(50)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한다.
다만 케이스부(50)에 의해서는 봉수함(314)과 수거함(42)은 개폐가 용이하도 록 개방시키고, 투입부(10)에는 일단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덮개(51)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면 어느 정도의 물기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투입부(10)를 통해 건조로(21)에 일정량이 채워지도록 한 후 투입부(10)의 덮개(51)를 닫는다. 전원을 온시키게 되면 구동 모터(24)의 구동에 의해서 건조로(21) 내부의 교반 블레이드(22)가 회전을 하게 되고, 교반 블레이드(22)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교반 블레이드(22)에 의한 교반 시 건조로(21)의 바닥면에 형성한 복수의 커터(25)와의 작용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한다.
이때 건조로(21)의 일측에서는 히터(24)의 구동에 의해서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시킨다. 분쇄와 가열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는 건조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만들어 내며, 수증기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도 동시에 포함되어 증발된다.
교반 블레이드(22)의 작동과 함께 냉각부(30)의 송풍부(33)에서 팬모터(330)가 동시에 구동하도록 한다.
즉 송풍부(33)의 팬모터(330)가 교반부(20)의 구동 모터(24)와 함께 구동하기 시작하면 송풍부(33)의 건조로(21)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악취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되고, 건조로(21) 내에서 상승되는 수증기는 냉각부(30)의 덕트(32)에 구비시킨 팬모터(330)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331)에 의해서 덕트(32)의 일측 통로(320)로 강제 흡입되어 쿨링 블록(31)으로 공급한다.
쿨링 블록(31)에서 수증기는 격벽(312)에 의해 양분된 냉각 통로(311) 중 일측의 냉각 통로(311)를 통해 유입되고, 하단부의 상호 연통시킨 부위를 통하여 타측의 냉각 통로(311)로 전달된다.
수증기는 냉각 통로(311)를 통과하면서 냉각 통로(311)에 일정 간격을 이격시키면서 복층으로 형성한 차단판(313)들에 부딪치게 되고, 냉각 통로(311)를 따라 아래로 내려왔다 다시 위로 오르면서 내부의 차단판(313)들에 의해 이동 속도를 지연시키도록 한다.
쿨링 블록(31)의 일측면은 쿨링팬(332)의 구동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냉각을 시키도록 하며, 냉각 통로(311)를 지나는 수증기는 차단판(313)에 의해 이동 속도가 대폭적으로 지연되면서 차단판(313)에서의 결로 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쿨링 블록(31)에서의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은 냉각 통로(31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봉수함(314)에 모이게 되며, 일정 높이 이상 채워진 물에 의해 쿨링 블록(31)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되도록 한 봉수함(314)에 의해 쿨링 블록(31)을 순환하게 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의 외부 유출 또한 방지시키게 된다.
쿨링 블록(31)의 냉각 통로(311)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의 양이 많아지면서 봉수함(314)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여 일정 이상의 수위가 되면 도 9에서와 같이 배수관(317)을 통해 오버 플로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며, 이때 외부에서 배수관(317)의 하부로 일정 높이의 용기를 받쳐두고 있으면 용기에 모여지게 되므로 작업이 종료되면 간단히 용기를 비우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 건조 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에 의해 결로시켜 이때 발생되는 물방울을 간단히 별도로 모아지도록 한 후 수시로 버리기만 하면 외부로의 악취 유출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손쉽게 폐수 처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일정한 시간동안 건조로(21)에서 가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일련의 처리 공정이 완료되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회수부(40)를 통해 회수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는 건조로(21) 일측의 모터(411) 구동에 의해서 도어(41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건조로(21) 하단부 일측면에 형성한 배출구(210)의 개방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어(410)가 개방되면서 배출구(210)를 개방시키게 되면 건조로(21)의 내부에서는 교반 블레이드(22)가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으므로 이 교반 블레이드(22)에 의해 배출구(210)를 통하여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210)는 건조로(21)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시 점성을 갖는 전분 성분에 의해 뭉쳐진 음식물 쓰레기들에 의해 막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210)의 개방 시 도어(410)가 상승하면서 도어(410)의 하단부에 형성한 복수 개의 돌기(413)들이 배출구(210)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들을 허물어뜨리면서 결국 배출구(210)를 개방시키게 된다.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도어(410)의 하부측 회수 가이드(412)를 통해서 그 하부에 수납된 통형의 수거함(42)으로 자유 낙하도록 하여 수거되도록 한다.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로(21)로부터 배출되어 수거함(42)에 수거되면 교반 블레이드(22)를 회전시키던 구동 모터(23)와 수증기의 강제 순환 및 냉각용 송풍을 위해 구동시키던 팬모터(33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한다.
또한 회수부(40)측 모터(411)를 역회전시키므로써 도어(410)가 다시 건조로(21)의 배출구(21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는 손쉽게 건조되어 부피를 최소화하는 할 수가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 양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악취가 건조와 수증기 냉각에 의해 외부로의 유출이 방지되면서 제거되도록 하여 보다 청결한 환경 유지를 가능토록 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오수 처리가 매우 용이하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특정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나 설치가 가능하게 하므로 주방에서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예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의 구성을 도시한 반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블록에서의 물 배출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덕트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수부에서의 도어 승강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을 케이스부에 의해 커버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봉수함에서의 오버 플로되는 오수의 처리 모습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회수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투입부 20 : 교반부
21 : 건조로 22 : 교반 블레이드
23 : 구동 모터 24 : 커터
30 : 냉각부 31 : 쿨링 블록
32 : 덕트 33 : 송풍부
311 : 냉각 통로 313 : 차단판
320 : 통로 330 : 팬모터
331 : 송풍팬 332 : 쿨링팬
40 : 회수부 41 : 도어 어셈블리
42 : 수거함

Claims (17)

  1.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켜 건조시키면서 분쇄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에서 건조 중 발생되는 수증기를 강제 순환시키면서 냉각에 의해 결로되어 생성되는 물방울은 하단부측 봉수함에 모아지도록 하고, 결로되지 않은 일부의 증기는 교반부에 재공급되도록 하는 냉각부와;
    상기 교반부에서 분쇄 및 가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회수하는 회수부;
    로서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건조로와, 상기 건조로의 하부에서 상기 건조로 내의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건조로를 가열시키는 히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의 바닥면에는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커터가 복수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교반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터와 상기 교반 블레이드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커팅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건조로의 바닥면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각도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외주면에 복수의 방열핀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측의 내부에는 냉각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냉각 통로는 격벽에 의해 양분되되 하단부는 상호 연통되도록 하고, 양측의 상기 냉각 통로에는 복수의 차단판이 형성되도록 하는 쿨링 블록과; 상기 쿨링 블록의 상기 냉각 통로에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쿨링 블록에 연결되는 하단부와 대응되는 상단부는 상기 교반부의 건조로에 연결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측의 통로 내부에는 송풍팬이 내장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팬과 동일 수평선상의 서로 대응되는 양측의 상기 덕트 외부에는 각각 팬모터와 쿨링팬을 구비하는 송풍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블록은 상기 교반부의 구동 모터를 수용하면서 상기 건조로의 하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블록의 하단부에는 상기 냉각 통로에서 결로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이 모아지도록 하는 봉수함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함에는 악취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트랩을 형성하여 상기 냉각 통로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통로는 방열 커버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방열 커버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방열핀을 형성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팬은 상기 쿨링 블록의 냉각 통로 형성 부위를 향해 송풍되도록 하여 상기 냉각 통로를 순환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교반부의 건조로 하단부측 주면을 일부 절개시켜 형성한 배출구의 외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어셈블리를 통해 배출되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모여지도록 하는 수거함으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건조로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모터로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모터에는 볼 스크류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볼 스크류의 상부는 건조로의 외주면 또는 상단부로터 연장한 지지부에 스크류 결합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에는 상기 건조로측 배출구 하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 어셈블리의 상승작용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 상기 건조로 내부에서 배출구에 채워져 있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허물어뜨리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와 냉각부 및 회수부는 외부가 케이스부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냉각부에서의 물방울이 모아지도록 하는 봉수함과 상기 회수부의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모아지도록 하는 수거함을 외부로부터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일단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70095010A 2007-09-19 2007-09-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2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10A KR100925265B1 (ko) 2007-09-19 2007-09-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10A KR100925265B1 (ko) 2007-09-19 2007-09-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864A true KR20090029864A (ko) 2009-03-24
KR100925265B1 KR100925265B1 (ko) 2009-11-05

Family

ID=4069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010A KR100925265B1 (ko) 2007-09-19 2007-09-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2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89Y1 (ko) * 2009-06-29 201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101456076B1 (ko) * 2013-03-29 2014-11-04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KR20150059255A (ko) * 2013-11-22 2015-06-01 김혜온 응축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15174A (ko) *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851A (ko) * 1997-01-03 1997-04-28 김동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발효방법 및 그 건조발효장치
JP2001340829A (ja) 2000-06-01 2001-12-11 Shikoku Sobi Kk 含水廃棄物乾燥装置
KR20040087542A (ko) * 2003-04-08 2004-10-14 양재학 자동 고추 분쇄기의 분쇄로울러 구조
KR20060000841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전량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이를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89Y1 (ko) * 2009-06-29 201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용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101456076B1 (ko) * 2013-03-29 2014-11-04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KR20150059255A (ko) * 2013-11-22 2015-06-01 김혜온 응축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15174A (ko) *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265B1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252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282592A (zh) 一种厨房垃圾中食物残渣回收设备
KR20130016902A (ko) 자연순환방식 음식폐기물 수집 및 처리장치
KR1013516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3195010U (zh) 家用立式垃圾处理多功能集成柜
KR101868479B1 (ko)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83875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10110263A (ko) 음식물쓰레기 이송 건조시스템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1789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73892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07456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건조 장치
KR20041048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10041273A (ko) 음식 폐기물의 처리기
KR1999008639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133431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배출 구조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TW201221238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CN220496547U (zh) 一种厨余垃圾处理机
CN213195011U (zh) 家用卧式垃圾处理多功能集成柜
JP2003275712A (ja) 生ゴミ処理装置
CN217249456U (zh) 一种厨余垃圾处理用粉碎装置
KR200410478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