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478Y1 -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478Y1
KR200410478Y1 KR2020050036149U KR20050036149U KR200410478Y1 KR 200410478 Y1 KR200410478 Y1 KR 200410478Y1 KR 2020050036149 U KR2020050036149 U KR 2020050036149U KR 20050036149 U KR20050036149 U KR 20050036149U KR 200410478 Y1 KR200410478 Y1 KR 200410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dor
chamber
drying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일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이영석
신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석, 신종일 filed Critical 이영석
Priority to KR2020050036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4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과정과 건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수증기를 수집하는 악취제거실을 설치하고, 상기 악취제거실은 냉각수가 담겨지는 저장통과 활성탄이 충진된 내실을 별도로 구성하며 2회에 걸쳐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시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안한다.
음식물 쓰레기, 방열판, 악취제거실, 활성탄, 냉각수.

Description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파쇄부(12)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타공망(20)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배출수단(35)의 상세구성 및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장실 12: 파쇄부
14: 링기어 20: 타공망
22: 건조실 24: 교반기
26: 히터 34: 구동기어
35: 배출수단 36: 회전기어
40: 개폐도어 44: 센서
46: 방열판 52: 악취제거실
58: 냉각수 60: 활성탄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감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가압장치로 가압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줄여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완전히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분이 일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수거하여 처리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는 음식물의 분쇄 및 압착시에 흘러나오는 오수에 대한 별도의 정화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그대로 하수관으로 배출되어 하수관 내벽 및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 분쇄되고 압착된 음식물 찌꺼기 중 일부는 사료 또는 비료로 재활용되기는 하나, 대부분이 매립에 의존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키는 방법이나 지렁이를 사육하여 지렁이의 먹이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처리량에 있어 매우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전술한 점들을 참조할 때, 별도의 가압장치를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고 건조시키는 처리장치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방법 등은 더이상 처리 능률면에서 적합하지 못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완벽하게 쓰레기를 처리하면서 악취까지도 해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본 고안은 파쇄 및 건조 과정중에 발생하는 악취(즉, 악취를 함유하는 수증기)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악취 발생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견지에 있어,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과정과 건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수증기를 수집하는 악취제거실을 설치하고, 상기 악취제거실은 냉각수가 담겨지는 저장통과 활성탄이 충진된 내실을 별도로 구성하여 2회에 걸쳐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시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 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기는 저장실과 상기 쓰레기를 파쇄하기 위한 링기어를 수직(자유 낙하 방식)으로 설치하여 파쇄 효율(즉, 쓰레기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잘게 파쇄된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완벽하게 건조시키고 또한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를 말끔히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저장실과 링기어가 설치되어 파쇄과정을 수행하는 저장실의 구성과 파쇄된 쓰레기를 교반하고 건조시키는 건조실의 구성 및 건조시에 발생하는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한 악취제거실 등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기술적 구성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처리장치는 저장실(10), 파쇄부(12), 건조실(22), 악취제거실(52), 배출수단(35) 및 마이크로 웨이브(7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실(10)은 링기어(14)와 타공망(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실(22)은 교반기(24)와 히터(26)로 구성되고, 상기 악취제거실(52)은 냉각수(58)와 활성탄(6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35)은 파쇄되고 건조된 후의 음식물 쓰레기 찌꺼기를 배출시키는 것으로써, 구동기어(34)와 회전기어(36) 및 개폐도어(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장치(70)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열원으 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말하며, 이는 본 고안자가 2005. 8. 21.자로 특허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2005-76569호(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저장실(10)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곳이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저장실(1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시키는 파쇄부(12)가 설치된다. 상기 저장실(10)과 파쇄부(12)는 수직(바람직하게는, 자유낙하방식)으로 설치되며, 이는 별도의 가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하기 위함이다.
상기 파쇄부(12)는 모터(32)와 감속기(30)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링기어(14)와 파쇄된 쓰레기를 건조실(22)로 배출시키기 위한 타공망(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32)에는 소정의 구동력을 일정한 속도로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20)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30)에는 샤프트(28)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28)에는 저장실(1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시키는 링기어(14)가 조립된다.
상기 링기어(1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28)가 끼워져 구동력을 전달받는 선기어(18) 및 상기 선기어(18)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16)로 구성되며, 상기 선기어(18)와 유성기어(16)의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자연스럽게 파쇄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14)의 아래쪽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20a)들이 규칙적으로 형성된 타공망(20)이 설치되며, 상기 타공망(20)은 링기어 (14)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실(22) 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저장실(10)과 링기어(14) 및 건조실(22)이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별도의 가압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자유낙하 방식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아래쪽으로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파쇄되면서 건조실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기술적 구성은 구조의 단순화를 구현할 수 있고,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시켜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건조실(22)에는 교반기(24)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24)는 샤프트(28)에 조립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파쇄된 쓰레기를 교반시킨다. 또한 상기 건조실(22)의 바닥면에는 히터(26)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26)는 소정의 열을 발산하여 상기 건조실(22)에 저장된 음실물 쓰레기(즉, 잘게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저장실(1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가 링기어(14)에 의해 잘게 파쇄된 다음, 타공망(20)을 통해 건조실(22)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건조실(22)에 설치된 교반기(24)는 회전력으로 파쇄된 쓰레기를 골고루 섞게 되고 이와 동시에 히터(26)는 고열을 발산하여 파쇄된 쓰레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잘게 파쇄되고 완전히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2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구(22a)는 별도의 배출수단(35)에 의해 열고, 닫히게 되는데, 이러한 배출수단(35)의 기술적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하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상기 배출수단(35)은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34)와 회전기어(36) 및 개폐도어(40)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도어(40)는 둘레면을 따라 오링(42)을 부착하여 건조 중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40)에는 축(3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38)에는 회전기어(36)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기어(36)는 소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34)와 맞물려 있다.
한편,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수증기(이하 "수증기"라 함)는 악취제거실(52)에 모이게 되며, 상기 악취제거실(52)은 저장실(10)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저장실(10)과 악취제거실(52)은 파이프(48)로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48)에는 센서(44)가 부착된 방열판(4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열판(46)은 파이프(48)를 통해 유입되는 수증기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센서(44)는 저장실(10)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가 파이프(48)를 통해 악취제거실(52)로 이동할 때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술한 히터(26)를 온/오프시킨다. 즉, 상기 센서(44)는 저장실(10)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의 온도가 설치된 온도보다 떨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히터(26)를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구동기어(34)를 작동시켜 개폐도어(40)를 오픈시킨다.
한편 전술한 악취제거실(52)은 플레이트(54)에 의해 2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아래쪽에는 냉각수(58)가 담겨져 있고 위쪽에는 활성탄(60)이 충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58)가 담겨진 곳에는 파이프(48)의 끝부분에 설치된 노즐(50)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노즐(50)을 통해 악취를 포함하는 수증기가 분출된 다. 또한 상기 활성탄(60)은 1차 희석되어진 악취를 한번더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저장실(10)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게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자유 낙하되어 파쇄부(12) 쪽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어서 상기 파쇄부(12)의 링기어(14)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한다. 즉, 모터(32)의 구동력은 감속기(30)에 의해 일정 속도로 감속되며, 감속된 구동력은 도 2에 도시한 선기어(18)를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선기어(18)와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16)들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하게 된다.
이후, 잘게 파쇄된 쓰레기는 타공망(20)을 통해 건조실(22)로 유입되고, 상기 건조실(22)에 설치된 히터(26)는 고열을 발생시키고 이와 동시에 샤프트(28)에 연결된 교반기(24)는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건조실(22)에 담겨진 파쇄된 쓰레기는 교반기(24)에 의해 골고루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히터(26)에 의해 서서히 건조되어진다. 즉, 건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즉, 악취를 포함하는 수증기)는 저장실(10) 쪽으로 상승한 다음, 파이프(48)를 통해 악취제거실(5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진행되는 중에 수증기의 온도가 설치된 온도보다 떨어지게 되면, 예를 들어 파이프(48)를 통해 이동하는 수증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100℃) 이하가 되면 상기 센서(44)는 이를 감지하여 히터(26)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34)를 작동시킨다.
이후, 상기 구동기어(34)의 작동에 따라 회전기어(36)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36)와 축(38)로 연결된 개폐도어(40)는 아래쪽으로 열리게 되고, 결국 건조실(22)에 있던 음식물 쓰레기(즉, 잘게 파쇄되고 건조되며 악취가 말끔히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2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한편, 파이프(48)를 통해 악취제거실(52)로 유입된 수증기는 노즐(50)을 통해 배출되어 냉각수(58)에 의해 1차 희석되고 이어서 나머지 잔여분의 악취는 활성탄에 의해 말끔히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저장실과 파쇄부 및 건조실을 수직 배열함으로써, 별도의 가압장치가 필요 없으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자유낙하 방식으로 파쇄하고 건조하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건조실을 별도로 구성하고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건조실 내의 온도를 임의대로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 과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음식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실(10)과, 상기 저장실(1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하는 파쇄부(12)와, 상기 파쇄부(12)에 의해 잘게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실(22)로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10)과 연결되며, 파쇄 및 건조 과정중에 발생하는 악취를 함유하는 수증기를 수집하는 악취제거실(52)과;
    상기 악취제거실(52)은 구멍(56)이 형성된 플레이트(54)에 의해 구획되며, 아래쪽에는 냉각수(58)가 담겨지고, 윗쪽에는 활성탄(60)이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10)과 악취제거실(52)은 파이프(48)로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48)에는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한 방열판(46)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50036149U 2005-12-21 2005-12-21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49U KR200410478Y1 (ko) 2005-12-21 2005-12-21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149U KR200410478Y1 (ko) 2005-12-21 2005-12-21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478Y1 true KR200410478Y1 (ko) 2006-03-07

Family

ID=4176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149U KR200410478Y1 (ko) 2005-12-21 2005-12-21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4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562B1 (ko) 2012-05-03 2012-09-20 이동거 슬러리 폐기물 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562B1 (ko) 2012-05-03 2012-09-20 이동거 슬러리 폐기물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61134A1 (en)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0159338Y1 (ko) 주방쓰레기처리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041048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0410478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4249279A (ja) 台所用食べ物屑処理装置
KR100626880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처리장치
KR10149113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47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건조실의 구조
KR1003584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7246383A (ja) 生ゴミ減量処理装置
KR20140047379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7456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실
KR1010204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070332B2 (ja) 厨芥処理機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56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건조 장치
KR102642031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건조장치
KR100663702B1 (ko)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