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398A -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398A
KR20090029398A KR1020070094596A KR20070094596A KR20090029398A KR 20090029398 A KR20090029398 A KR 20090029398A KR 1020070094596 A KR1020070094596 A KR 1020070094596A KR 20070094596 A KR20070094596 A KR 20070094596A KR 20090029398 A KR20090029398 A KR 2009002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all screw
ball
hous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398A/ko
Publication of KR2009002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내부로 랙 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 스크루가 형성되는 하우징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볼 스크루에는 동력 전달 및 공급하기 위한 스프라인 또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풀리가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풀리 사이에는 중공형 형상으로 일측 끝단에는 돌기부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풀리가 장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나사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볼 너트가 개재되고, 상기 볼 너트에 형성되는 나사부에는 상기 풀리를 돌기부와 함께 고정하면서 볼 너트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 너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 스크루와 풀리를 연결해주는 고정구조를 볼 너트와 락 너트만을 이용함으로써 조립 공정의 복잡함 및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볼 스크루, 풀리, 볼 너트, 돌기부, 결합부, 나사부, 락 너트.

Description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 고정구조{Ball screw and pulley which are affixed in the gear box fix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 스크류와 결합되는 풀리를 락 너트 체결방식으로 구성하여 조립 공정의 단순화 및 압입시 볼 너트 수축에 의한 내부 치수 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은 타이어(tire)의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장치로,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의 회전을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 타입(type)에 따라 리서큘레이팅 볼(recirculating ball), 랙/피니언(rack and pinion), 웜 섹터(worm sector), 웜 섹터 롤러(roller) 방식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상기 리서큘레이팅 볼과 랙/피니언 스티어링을 이용하는 차량이 많고, 웜 섹터와 이를 개량한 웜 섹터 롤러 방식은 거의 쓰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시스템의 주요 구성부품으로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샤프트, 스티어링 칼럼과 스티어링 기어박스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내부에는 랙 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 스크루가 형성되는 하우징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볼 스크루에는 동력 전달 및 공급을 위한 스프라인 또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풀리가 고정장착된다.
그러나 기존의 볼 스크루와 풀리의 고정구조는 조립 공정이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복잡하고 그에 따른 생산라인의 변경시 많은 비용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볼 스크루의 작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시 이를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볼 스크류와 결합되는 풀리를 락 너트 체결방식으로 구성하여 조립 공정의 단순화 및 압입시 볼 너트 수축에 의한 내부 치수 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내부로 랙 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 스크루가 형성되는 하우징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볼 스크루에는 동력 전달 및 공급하기 위한 스프라인 또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풀리가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풀리 사이에는 중공형 형상으로 일측 끝단에는 돌기부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풀리가 장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나사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볼 너트가 개재되고, 상기 볼 너트에 형성되는 나사부에는 상기 풀리를 돌기부와 함께 고정하면서 볼 너트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 너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 스크루와 풀리를 연결해주는 고정구조를 볼 너트와 락 너트만을 이용함으로써 조립 공정의 복잡함 및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볼 스크루와 볼 너트가 풀리 및 락 너트를 통해서 밀착되므로 소음 방지뿐만 아니라 볼 너트가 수축되거나 치수가 변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 및 풀리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 및 풀리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와 풀리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볼 스크루와 풀리의 고정구조는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내부에만 장착되는 것임을 밝힌다.
본 발명의 볼 스크루와 풀리의 고정구조(10)는 랙 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 스크루가 형성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풀리(30)와, 상기 하우징(20)과 풀리(30) 사이에 장착되는 볼 너트(40)로 대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소정구간 랙 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소정구간 볼 스크루(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30)는 중공형으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중앙부근에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스플라인 또는 기어가 택일하여 형성되는 결합장착부(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과 풀리(30) 사이에 장착되는 볼 너트(40)는 일체형으로 중공형 형상으로 일측 끝단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돌기부(42)와, 상기 볼 너트(4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풀리(30)가 장착되는 결합부(44)와, 상기 돌기부(42)가 형성되는 타측 끝단에 소정구간 형성되는 나사부(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볼 너트(40)에 형성되는 돌기부(42)에는 상기 풀리(3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홈(422)이 형성되고 그와 대응하는 풀리(30)의 전면부(36)에 는 결합돌기(3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36)에는 다각형의 락 너트(50)가 결합되는데 상기 락 너트(40)는 상기 풀리(30)를 돌기부(32)와 함께 양측에서 고정하면서 더불어 상기 볼 너트(3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볼 너트(40)의 나사부(46)가 락 너트(40)에 형성되는 나사와 결합되어 볼 너트(3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와 풀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내부로 랙 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 스크루가 형성되는 하우징(2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되는 볼 스크루(22)에는 중공형 형상으로 일측 끝단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돌기부(42)와, 상기 볼 너트(4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풀리(30)가 장착되는 결합부(44)와, 상기 돌기부(42)가 형성되는 타측 끝단에 소정구간 형성되는 나사부(46)가 일체로 구성되는 볼 너트(4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볼 너트(40)의 결합부(44)로 중공형으로 수평부(32)와 상기 수평부(32)의 중앙부근에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결합장착부(34)가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볼 너트(40)의 나사부(46)에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락 너트(50)를 장착하면 조립은 완료되면 도시된 도 4와 같이 전동식 조향장치의 기어박스에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 및 풀리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 및 풀리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와 풀리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 스크루와 풀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 스크루와 풀리의 고정구조 20 : 하우징,
22 : 볼 스크루, 30 : 풀리,
40 : 볼 너트, 42 : 돌기부,
44 : 결합부, 46 : 나사부,
50 : 락 너트.

Claims (2)

  1.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내부로 랙 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 스크루(22)가 형성되는 하우징(20)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되는 볼 스크루(22)에는 동력 전달 및 공급하기 위한 스프라인 또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풀리(30)가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과 풀리(30) 사이에는 중공형 형상으로 일측 끝단에는 돌기부(42)가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풀리(30)가 장착되는 결합부(44)가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나사부(46)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볼 너트(40)가 개재되고,
    상기 볼 너트(40)에 형성되는 나사부(46)에는 상기 풀리(30)를 돌기부(42)와 함께 고정하면서 볼 너트(4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락 너트(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너트(40)에 형성되는 돌기부(42)에는 결합홈(422)이 형성되고 그와 대응하는 풀리(30)의 전면부(36)에는 결합돌기(3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 고정구조.
KR1020070094596A 2007-09-18 2007-09-18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KR20090029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596A KR20090029398A (ko) 2007-09-18 2007-09-18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596A KR20090029398A (ko) 2007-09-18 2007-09-18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398A true KR20090029398A (ko) 2009-03-23

Family

ID=4069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596A KR20090029398A (ko) 2007-09-18 2007-09-18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3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394A (zh) * 2014-01-07 2014-04-23 南通环球转向器制造有限公司 动力转向器的装配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394A (zh) * 2014-01-07 2014-04-23 南通环球转向器制造有限公司 动力转向器的装配方法
CN103738394B (zh) * 2014-01-07 2016-05-11 南通环球转向器制造有限公司 动力转向器的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093B1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A2857799C (en) Ball screw and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130112493A1 (en) Rack-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70091224A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20120160595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vehicle steering system
KR10109597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448797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EP2810851A1 (en) Steering system
US20120097474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20030081806A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랙바 지지장치
JP201110507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561953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틸팅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WO2012146153A1 (en) Coupling device
KR20090029398A (ko)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JP200620600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70899B1 (ko) 댐핑 커플러 및 이를 구비한 감속기
JP2020044854A (ja) 操舵装置
JP2009250321A (ja) 歯車減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059365B2 (en) Tilt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070062873A (ko) 랙바를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를 구비한 조향장치
KR20160102742A (ko)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KR20130071257A (ko) 소음저감형 전동식 조향장치
CN113335369B (zh) 连接件、包括其的汽车转向机及汽车
CN215590828U (zh) 方向机和全地形车
KR20170079881A (ko)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