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742A -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 Google Patents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742A
KR20160102742A KR1020150025202A KR20150025202A KR20160102742A KR 20160102742 A KR20160102742 A KR 20160102742A KR 1020150025202 A KR1020150025202 A KR 1020150025202A KR 20150025202 A KR20150025202 A KR 20150025202A KR 20160102742 A KR20160102742 A KR 2016010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crew
ball nut
protrusion
screw body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2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2742A/ko
Publication of KR2016010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62D5/0424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45Screw drives
    • B62D5/0448Ball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는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 상기 볼 너트가 감속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의 안착홈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된 단위 락 스크류 바디; 및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의 분리된 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를 서로 간에 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Lock screw assembly of rack-powered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랙 구동식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락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 너트의 직경에 상관 없이 설치가 용이한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의 운전방향을 조정하는 장치로, 최근에는 차속센서 및 조향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에서 전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식 조향장치 중 랙 구동식은 전동모터의 구동 토크를 벨트와 풀리로 전달하고 볼 너트(2)를 회전시켜 랙바(R)가 볼 너트(2)와 상대 회전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어부(ECU)는 조향컬럼(C)의 상단에 장착된 센서(S)를 통해 조향휠(W)의 조향 정도를 판단하여 전동모터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면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랙바(R)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륜에 연결된 타이로드(T)를 이동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볼 너트(2)는 랙 하우징(120)에 내장되어 베어링(130)에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종동풀리(115)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랙바(R)를 축 방향 이동되고, 상기 베어링(130)은 락스크류(1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락스크류(140)는 랙하우징(120)의 내측벽에 나사 결합되어 베어링(130)을 랙바(R)의 축방향을 따라 지지하며 고정시킨다. 상기 볼너트(2)가 회전하면서 랙바(R)를 이동시킬 때 랙바(R)와 볼너트(2), 베어링(130), 랙하우징(120) 등을 통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데, 특히 상기 락스크류(140)는 랙하우징(120)에 나사결합되므로 외력에 의해 나사 결합 상태가 해제될 경우 소음과 진동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소음과 진동은 이웃한 주변 부품들에 전달되어 부품들의 체결력을 약화시키고, 다른 부품들의 진동 및 소음과 함께 조향컬럼(C)을 경유하여 조향휠(W)로 전달되고, 상기 조향휠(W)을 통해 차량을 조작하는 동안 지속적인 떨림을 유발시켜 운전자의 조향감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락스크류(140)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베어링(130)의 양쪽에는 댐핑부재(171,172)가 구비되고, 상기 댐핑부재(171,172)는 스프링 와셔나 웨이브 와셔(wave washer)와 같은 탄성부재가 사용되며 상기 베어링(130)을 랙하우징(120) 쪽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베어링(130)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락스크류(140)의 체결토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락스크류를 해체한 후 재조립하거나 락스크류와 하우징을 다시 설계해야 하고 차종에 따른 락스크류의 체결토크 변화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락스크류(140)는 감속기에 설치할 때 볼 너트 풀리에 삽입된 상태로 축 방향을 따라 삽입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락 스크류(140)는 내경이 상기 볼너트 풀리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있어야 조립이 가능한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상기 볼너트 풀리의 경우 양산되는 외경 치수가 특정 치수로 정해져 있고 상기 락스크류(140) 보다 작은 직경으로 축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어 상기 락스크류(140)의 외경을 변화시켜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1579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에 구비된 락 스크류 바디의 조립 방식을 분리형태로 변경하여 볼 너트의 직경에 상관 없이 작업자가 손쉽게 감속기에 설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는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 상기 볼 너트가 감속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의 안착홈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된 단위 락 스크류 바디; 및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의 분리된 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를 서로 간에 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핀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는 반원의 링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홈은 상기 결합 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핀이 상기 삽입 홈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가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핀은 외주면 길이 방향에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는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 상기 볼 너트가 감속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의 안착홈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되는 제1,2 락 스크류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락 스크류 바디는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된 상기 제2 락 스크류 바디의 양단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락 스크류 바디는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양 단부 내측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속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의 내측 길이 방향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 유지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단턱에 걸림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은 상기 돌출부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 홈을 향해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된 복수개의 단위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는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 상기 볼 너트가 감속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의 안착홈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된 제1,2 락 스크류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락 스크류 바디는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된 상기 제2 락 스크류 바디의 양단부를 향해 돌출되고 제1 마그넷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락 스크류 바디는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양 단부 내측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마그넷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마그넷이 구비된 삽입 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마그넷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삽입 홈의 내측 하단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볼 너트의 직경에 상관 없이 락 스크류 바디에 대한 장착을 작업자가 손쉽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볼 너트의 직경이 주변 레이아웃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경우에도 설치가 용이해 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볼 너트로 전달된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한 순간적인 충격에 상관 없이 안정적으로 락 스크류 조립체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므로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랙 구동식 전동 스티어링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랙 구동식 전동 조향장치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가 감속기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일 실시 예에 따른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의 단위 락 스크류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도 4의 종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일 실시 예에 따른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가 감속기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2 락 스크류 바디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도시된 돌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가 감속기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전 종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1)는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R)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2)와, 상기 볼 너트(2)가 감속기(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3)의 안착홈(3a)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2)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된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 및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의 분리된 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20)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를 서로 간에 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핀(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는 상하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조립되며, 상기 볼 너트(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는 상기 볼 너트(2)를 경유하여 안착홈(3a)에 삽입되지 않고 볼 너트 풀리의 외측에서 상하로 마주보는 상태로 후술할 결합 핀(30)을 통해 링 형태로 조립되어 안착홈(3a)에 삽입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볼 너트(2)의 직경에 상관없이 장착이 용이해지며, 상기 볼 너트(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경우에도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의 직경만 조절하여 안착홈(3a)에 설치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는 반원의 링 형태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에서 서로 마주 보는 상태로 위치되며 결합 핀(30)이 삽입 홈(20)에 삽입되어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가 서로 간에 조립된 상태가 유지된다.
삽입 홈(20)은 상기 결합 핀(3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핀(30)이 상기 삽입 홈(20)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가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된다.
결합 핀(30)은 도면에 도시된 길이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상기 삽입 홈(20)에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되어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가 조립된 이후에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결합 핀(30)은 외주면 길이 방향에 돌출된 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20)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32)가 삽입되는 홈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 핀(30)이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의 삽입 홈(20)에 삽입될 경우 돌기(32)가 홈부(2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가 결합 핀(30)을 매개로 서로 간에 조립된 이후에 분리되지 않고 안착홈(3a)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외력 또는 진동이 지속적으로 볼 너트(2)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10, 11)의 안정적인 조립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1a)는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R)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2)와, 상기 볼 너트(2)가 감속기(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3)의 안착홈(3a)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2)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되는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를 포함하되, 상기 제1락 스크류 바디(102)는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된 상기 제2 락 스크류 바디(104)의 양단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0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락 스크류 바디(104)는 상기 돌출부(102a)와 마주보는 양 단부 내측에 상기 돌출부(102a)가 삽입되는 삽입 홈(10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다르게 결합 핀(30)을 사용하지 않고 제1 락 스크류 바디(102)에 돌출부(102a)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제2 락 스크류 바디(104)와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를 링 형태로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를 최소화시켜 조립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결합 핀(30)의 분실 또는 공차로 인한 오조립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락 스크류 조립체에 대한 조립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는 상하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조립되며, 상기 볼 너트(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는 상기 볼 너트(2)를 경유하여 안착홈(3a)에 삽입되지 않고 볼 너트 풀리의 외측에서 상하로 마주보는 상태로 조립되어 안착홈(3a)에 삽입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볼 너트(2)의 직경에 상관없이 장착이 용이해진다.
돌출부(102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락 스크류 바디(102)의 좌우측 양단부에 형성되거나, 제2 락 스크류 바디(104)의 좌우측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돌출부는 제1 락 스크류 바디(102)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돌출부는 제2 락 스크류 바디(104)에 형성되어 돌출부가 삽입홈에 서로 간에 조립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102a)는 삽입 홈(20)에 삽입된 이후에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속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02b)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104a)의 내측 길이 방향에는 상기 걸림 돌기(102b)가 걸림 유지되는 단턱(104b)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102b)가 단턱(104b)에 걸림 유지된다.
상기 걸림 돌기(102b)는 경사면을 갖는 삼각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턱(104b)의 형상 또한 상기 걸림 돌기(102b)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02a)는 삽입 홈(104a)에 삽입될 경우 삽입 방향으로는 상기 걸림 돌기(102b)의 경사면이 단턱(104b)의 경사면을 따라 상대 이동되면서 손쉽게 삽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102a)가 삽입 홈(104a)에 모두 삽입된 이후에는 상기 단턱(104b)에서 걸림 돌기(102b)가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가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장기간 유지된다.
따라서 볼 너트(2)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기 조립된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의 결합 상태가 불안정해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어 결합 안정성이 향상된다.
돌출부(102a)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2a)가 삽입되는 삽입 홈(104a)은 상기 돌출부(102a)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02a)와 삽입 홈(20)의 면적을 고려하여 최적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돌출부(102a)는 상기 삽입 홈(104a)을 향해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된 복수개의 단위 돌출부(102a)를 포함하는데, 상기 단위 돌출부(102a) 중 어느 하나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고 다른 하나는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2 락 스크류 바디(102, 104)의 결합 안전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1b)는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R)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2)와, 상기 볼 너트(2)가 감속기(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3)의 안착홈(3a)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2)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된 제1,2 락 스크류 바디(1002, 1004)를 포함하되, 상기 제1락 스크류 바디(1002, 1004)는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된 상기 제2 락 스크류 바디(1004)의 양단부를 향해 돌출되고 제1 마그넷(1002b)이 형성된 돌출부(1002a)가 구비되고, 상기 제2락 스크류 바디(1004)는 상기 돌출부(102a)와 마주보는 양 단부 내측에 상기 돌출부(102a)가 삽입되고 상기 제1마그넷(1002b)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마그넷(1004b)이 구비된 삽입 홈(1004a)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와 다르게 돌출부와 마그넷의 자력을 이용하여 보다 제1,2 락 스크류 바디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 홈에서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제1,2 락 스크류 바디가 서로 간에 밀착되어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어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한 결합 안전성 저하가 최소화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락 스크류 바디(1002, 1004)는 상하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조립되며, 상기 볼 너트(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제1,2 락 스크류 바디(1002, 1004)는 상기 볼 너트(2)를 경유하여 안착홈(3a)에 삽입되지 않고 볼 너트 풀리의 외측에서 상하로 마주보는 상태로 조립되어 안착홈(3a)에 삽입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볼 너트(2)의 직경에 상관없이 장착이 용이해진다.
돌출부(1002a)는 전술한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마그넷(1002b)은 상기 돌출부(1002a)의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마그넷(1004b)은 상기 삽입 홈(1004a)의 내측 하단에 위치되므로 상기 돌출부(1002a)가 삽입 홈(1004a)에 2/3이상 삽입될 경우 제1 마그넷(1002b)과 제2 마그넷(1004b)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제1,2 락 스크류 바디(1002, 1004)의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돌출부(1002a)를 삽입 홈(1004a)에 삽입할 경우 제1 마그넷(1002b)과 제2 마그넷(1004b)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볼 너트
3 : 감속기
3a : 안착홈
10, 11 : 단위 락 스크류 바디
102, 104, 1002, 1004 : 제1,2 락 스크류 바디
20, 104a, 1004a : 삽입 홈
30 : 결합 핀
32 : 돌기
22 : 홈부
102a : 돌출부
102b : 걸림 돌기
104b : 단턱
1002b : 제1 마그넷
1004b : 제2 마그넷

Claims (11)

  1.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
    상기 볼 너트가 감속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의 안착홈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된 단위 락 스크류 바디; 및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의 분리된 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를 서로 간에 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합 핀을 포함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는,
    반원의 링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은,
    상기 결합 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핀이 상기 삽입 홈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단위 락 스크류 바디가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핀은,
    외주면 길이 방향에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5.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
    상기 볼 너트가 감속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의 안착홈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되는 제1,2 락 스크류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락 스크류 바디는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된 상기 제2 락 스크류 바디의 양단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락 스크류 바디는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양 단부 내측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속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홈의 내측 길이 방향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걸림 유지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단턱에 걸림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은 상기 돌출부의 개수와 동일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 홈을 향해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된 복수개의 단위 돌출부를 포함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9. 구동모터에 의해 축 회전하면서 랙바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볼 너트;
    상기 볼 너트가 감속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의 안착홈에 삽입 되기 위해 상기 볼 너트의 외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분리된 제1,2 락 스크류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락 스크류 바디는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된 상기 제2 락 스크류 바디의 양단부를 향해 돌출되고 제1 마그넷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락 스크류 바디는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양 단부 내측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마그넷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마그넷이 구비된 삽입 홈을 포함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삽입 홈의 내측 하단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KR1020150025202A 2015-02-23 2015-02-23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KR20160102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202A KR20160102742A (ko) 2015-02-23 2015-02-23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202A KR20160102742A (ko) 2015-02-23 2015-02-23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742A true KR20160102742A (ko) 2016-08-31

Family

ID=5687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202A KR20160102742A (ko) 2015-02-23 2015-02-23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27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918B1 (ko) 2023-03-06 2023-06-23 대진단조(주) 차량의 조향장치용 락스크류의 단조가공방법
KR102562536B1 (ko) 2023-03-06 2023-08-02 대진단조(주) 차량의 조향장치용 락너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793A (ko)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793A (ko)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만도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918B1 (ko) 2023-03-06 2023-06-23 대진단조(주) 차량의 조향장치용 락스크류의 단조가공방법
KR102562536B1 (ko) 2023-03-06 2023-08-02 대진단조(주) 차량의 조향장치용 락너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093B1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381047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10400861B2 (en) Speed reducer for vehicle
KR100794956B1 (ko) 고리형 서포트 요크를 구비하는 조향장치
KR101989919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댐핑 커플러
KR101560980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동력전달 장치
KR10109597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9802641B2 (en) Steering system
US10196083B2 (en) Bearing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and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60137069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20160102742A (ko) 랙 구동식 조향장치의 락 스크류 조립체
JP200602757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6060393A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KR20140083683A (ko) 차량용 인너샤프트의 조립장치
JP2020044854A (ja) 操舵装置
JP2009113787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アセンブリ
US10059365B2 (en) Tilt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110104647A (ko)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댐핑장치
JP200006250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90035045A (ko) 후륜 조향장치
KR102145200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2321098B1 (ko) 전동식 스티어링 장치의 힌지장치
KR20170130811A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베어링
KR20090029398A (ko) 전동식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장착되는 볼 스크루 및 풀리고정구조
KR20170079881A (ko)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