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045A - 후륜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후륜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045A
KR20190035045A KR1020170123815A KR20170123815A KR20190035045A KR 20190035045 A KR20190035045 A KR 20190035045A KR 1020170123815 A KR1020170123815 A KR 1020170123815A KR 20170123815 A KR20170123815 A KR 20170123815A KR 20190035045 A KR20190035045 A KR 20190035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nut
housing
gear portion
unit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045A/ko
Publication of KR2019003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18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 B62D7/154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omprising a mechanical interconnecting system between the steering control means of the different axles provided with electrical as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후륜 조향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후륜 조향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너트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크류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스크류부가 형성되고,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스플라인부가 형성되는 리드 스크류바;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부; 모터부에 축결합되는 구동 기어부; 및 구동 기어부에 맞물리고, 스크류 너트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스크류 너트부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륜 조향장치{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후륜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액슬 등에 의해 차륜에 전달된다. 차륜은 조향장치에 의해 조향된다. 후륜 조향장치는 리드 스크류바가 스크류 너트부에 결합된다.
리드 스크류바에는 스크류부가 형성되고, 스크류부에는 스크류 너트부가 나사결합된다. 리드 스크류바에는 리드 스크류바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플라인부가 형성된다. 스크류 너트부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 리드 스크류바가 리드 스크류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스크류 너트부는 벨트와 풀리에 의해 구동모터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모터의 페일시(구동 정지)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스크류 너트부가 백드라이브(back drive)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솔레노이드가 설치된다. 백드라이브 현상은 스크류 너트부가 외력에 의해 역회전되면서 미세하게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크류 너트부가 벨트와 풀리에 의해 구동모터에 연결되므로, 후륜 조향장치의 조립시 벨트의 장력을 세팅함에 따라 조립 시간이 증가되고 조립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벨트의 축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부품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의 페일시 스크류 너트부의 백드라이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솔레노이드가 설치되므로, 부품수 및 제조단가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25377호(2015. 03. 10 공개, 발명의 명칭: 후륜조향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위치제어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륜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너트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스크류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스플라인부가 형성되는 리드 스크류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축결합되는 구동 기어부; 및 상기 구동 기어부에 맞물리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동 기어부는 상기 리드 스크류바와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동 기어부의 직경은 상기 구동 기어부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부와 상기 종동 기어부는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모터부의 샤프트에 상기 샤프트와 동축을 이루도록 축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상기 구동기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홀이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륜 조향장치는 상기 리드 스크류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바에 체결되고, 복수의 구속리브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구속리브에 후크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복수의 상기 구속리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후크부에 걸려 구속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부의 구동력이 구동 기어부와 종동 기어부를 통해 스크류 너트부에 전달되므로,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리드 스크류바의 이동 거리가 정확하게 조절됨에 따라 차량의 조향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동 기어부의 직경이 구동 기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종동 기어부가 감속됨에 따라 스크류 너트부에 전달되는 구동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스크류 너트부의 구동 토크가 증가되므로, 리드 스크류바의 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부에 마그네트가 삽입됨에 따라 구속되므로, 마그네트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하우징의 안착부와 모터부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구동 기어부와 종동 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구동 기어부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센서부와 마그네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마그네트부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후륜 조향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하우징의 안착부와 모터부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구동 기어부와 종동 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구동 기어부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센서부와 마그네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에서 마그네트부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는 하우징(110), 스크류 너트부(120), 리드 스크류바(130), 모터부(140), 구동 기어부(150) 및 종동 기어부(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차체 양측의 후륜(미도시)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110)은 차량의 폭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길게 배치된다.
스크류 너트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크류 너트부(1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스크류 너트부(120)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에는 베어링부(123)가 설치된다.
리드 스크류바(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크류 너트부(120)에 나사결합되도록 스크류부(131)가 형성되고, 스크류 너트부(120)의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스플라인부(133)가 형성된다. 스크류부(131)는 모터부(140)를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되고, 스플라인부(133)는 스크류부(131)의 타측에 형성된다. 스크류부(131)와 스플라인부(133)는 리드 스크류바(13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스크류부(131)에는 스크류 너트부(120)가 나사결합되고, 스플라인부(133)에는 스플라인 브라켓(113)이 스플라인 결합되며, 스플라인 브라켓(113)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리드 스크류바(130)에는 리드 스크류바(1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115)가 설치된다. 리드 스크류바(130)의 이동시 스토퍼(115)가 하우징(110)의 단부에 걸리면 리드 스크류바(130)의 좌우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하우징(110)에는 모터부(140)가 설치된다. 이때, 하우징(110)에는 모터부(140)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안착부(111)가 형성된다. 모터부(140)는 전자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제어된다.
하우징(110)의 안착부(111)의 내경은 모터부(14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안착부(111)에 모터부(140)가 조립되면, 안착부(111)의 내경과 모터부(140)의 외경 사이에 모터부(140)가 유격될 수 있도록 틈새(G)가 발생된다. 따라서, 모터부(140)가 하우징(110)의 안착부(111)에 조립될 때에 모터부(140)를 움직여 샤프트(141)와 종동 기어부(160)의 축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의 유격이 설계치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의 유격이 적절하게 조절되므로,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의 기어가 밀착되는 치형끼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모터부(140)로는 3상의 BLDC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모터부(140)에는 모터부(140)의 페일시(구동 정지시) 스크류 너트부(120)가 외력에 의해 역회전(back drive)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쇼트릴레이(short relay)가 설치된다. 쇼트릴레이는 전자제어부의 회로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쇼트릴레이는 모터부(140)의 전선을 쇼트시킴에 따라 모터부(140)의 회전 토크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모터부(140)에 연결된 스크류 너트부(120)가 백드라이브되거나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모터부(140)의 페일시 스크류 너트부(120)의 백드라이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부(140)에 별도의 솔레노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수와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 기어부(150)는 모터부(140)에 축결합된다. 구동 기어부(150)는 모터부(140)의 샤프트(141)와 동축을 이루도록 샤프트(141)에 설치된다.
구동 기어부(150)는 모터부(140)의 샤프트(141)에 샤프트(141)와 동축을 이루도록 축결합되는 구동기어(151)와, 구동기어(151)의 일측에 구동기어(15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홀(154)이 형성되는 연장부(153)와, 고정홀(154)을 관통하여 샤프트(141)에 체결되는 볼트부(155)를 포함한다. 연장부(153)의 직경은 구동기어(15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고정홀(154)의 내주면에는 볼트부(155)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다. 볼트부(155) 전체가 고정홀(154)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헤드부가 없는 무두볼트가 적용된다. 샤프트(141)에는 고정홀(154)에 대응되도록 샤프트홀(142)이 형성된다. 볼트부(155)는 고정홀(154)과 샤프트홀(142)에 체결된다.
볼트부(155)를 이용하여 구동 기어부(150)를 샤프트(141)에 고정시키므로, 구동 기어부(150)가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부(150)를 샤프트(141)에 압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동 기어부(150)의 조립 및 분해시 샤프트(141)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동 기어부(160)는 구동 기어부(150)에 맞물리고, 스크류 너트부(120)와 함께 회전되도록 스크류 너트부(120)에 결합된다. 스크류 너트부(120)와 종동 기어부(160)는 고정볼트(미도시)에 의해 구동 기어부(150)에 고정된다. 또한, 스크류 너트부(120)와 종동 기어부(16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종동 기어부(16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므로, 모터부(140)의 구동시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가 맞물려 회전되며, 종동 기어부(160)가 회전됨에 따라 스크류 너트부(120)가 회전된다. 따라서, 모터부(140)의 구동력이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를 통해 스크류 너트부(120)에 전달되므로, 스크류 너트부(12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부(120)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리드 스크류바(130)의 이동 거리가 정확하게 조절됨에 따라 차량의 조향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종동 기어부(160)는 리드 스크류바(130)와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종동 기어부(160)가 리드 스크류바(130)와 동심을 이루므로,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의 기어비에 의해 리드 스크류바(13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종동 기어부(160)의 직경은 구동 기어부(15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구동 기어부(1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종동 기어부(160)의 직경이 구동 기어부(1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종동 기어부(160)가 감속됨에 따라 스크류 너트부(120)에 전달되는 구동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스크류 너트부(120)의 구동 토크가 증가되므로, 리드 스크류바(130)의 축력이 증가될 수 있다.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로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가 적용된다. 헬리컬 기어가 적용됨에 따라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의 회전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구동 기어부(150)와 종동 기어부(160)로는 스퍼 기어(spur gear) 등 다양한 기어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후륜 조향장치는 마그네트부(170)와 센서부(180)를 더 포함한다.
마그네트부(170)는 리드 스크류바(130)에 설치된다. 센서부(18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마그네트부(170)의 위치를 감지한다. 센서부(180)가 마그네트부(170)의 위치를 감지하고, 마그네트부(170)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전자제어부에 전달한다. 전자제어부에서는 리드 스크류바(130)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마그네트부(170)는 홀더부(171)와 마그네트(175)를 포함한다.
홀더부(171)는 체결부재(171a)에 의해 리드 스크류바(130)에 체결되고, 복수의 구속리브(172)가 형성되며, 복수의 구속리브(172)에 후크부(173)가 형성된다. 복수의 구속리브(172) 사이에는 구속홈부(174)가 형성된다. 후크부(173)는 구속리브(172)의 단부에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마그네트(175)는 복수의 구속리브(172) 사이에 삽입되고, 후크부(173)에 걸려 구속된다. 마그네트(175)가 복수의 구속리브(172) 사이에 삽입될 때에 복수의 구속리브(172)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마그네트(175)가 구속홈부(174)에 완전히 삽입되면 구속리브(172)가 원위치로 오무라든다. 구속리브(172)가 오므라들면, 후크부(173)가 마그네트(175)를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트(175)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3: 스플라인 브라켓
115: 스토퍼 120: 스크류 너트부
123: 베어링부 130: 리드 스크류바
131: 스크류부 133: 스플라인부
140: 모터부 141: 샤프트
142: 샤프트홀 150: 구동 기어부
151: 구동기어 153: 연장부
154: 고정홀 155: 볼트부
160: 종동 기어부 170: 마그네트부
171: 홀더부 171a: 체결부재
172: 구속리브 173: 후크부
174: 구속홈부 175: 마그네트
180: 센서부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너트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스크류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의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스플라인부가 형성되는 리드 스크류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축결합되는 구동 기어부; 및
    상기 구동 기어부에 맞물리고, 상기 스크류 너트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 너트부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부는 상기 리드 스크류바와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기어부의 직경은 상기 구동 기어부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상기 구동 기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부와 상기 종동 기어부는 헬리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모터부의 샤프트에 상기 샤프트와 동축을 이루도록 축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상기 구동기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홀이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부;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리드 스크류바에 체결되고, 복수의 구속리브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구속리브에 후크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복수의 상기 구속리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후크부에 걸려 구속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KR1020170123815A 2017-09-26 2017-09-26 후륜 조향장치 KR20190035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15A KR20190035045A (ko) 2017-09-26 2017-09-26 후륜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15A KR20190035045A (ko) 2017-09-26 2017-09-26 후륜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45A true KR20190035045A (ko) 2019-04-03

Family

ID=6616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815A KR20190035045A (ko) 2017-09-26 2017-09-26 후륜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0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060A (zh) * 2020-06-10 2020-10-09 重庆市机电设计研究院 一种利用高精度丝杆实现精密圆弧转动的机构和工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060A (zh) * 2020-06-10 2020-10-09 重庆市机电设计研究院 一种利用高精度丝杆实现精密圆弧转动的机构和工作方法
CN111750060B (zh) * 2020-06-10 2021-05-28 重庆市机电设计研究院 一种利用高精度丝杆实现精密圆弧转动的机构和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278B2 (en) Apparatus for limiting rotation of steering wheel
CN107010101B (zh) 电动助力转向装置
KR101381047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324558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アセンブリ
KR101568953B1 (ko) 차량 조향 시스템 트랜스미션
US8294311B2 (e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070129192A1 (en) Motor-driven steering system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ension thereof
JP2000043739A (ja) 電動式舵取装置
US20140353070A1 (en) Steering system
US20120097474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9664273B2 (en) Steering column assist system
KR20170040493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EP3318467A1 (en) Steering system
JP2017124715A (ja) 操舵装置
US20180186398A1 (en) Steering device
EP2946986A1 (en) Steering system with tilted motor axis
KR20190035045A (ko) 후륜 조향장치
KR101944338B1 (ko)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KR101940980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20080245600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140047857A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4589147B2 (ja) 電動舵取装置
JP5883693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減速装置
EP3072785B1 (en) Steering column assist system
KR101405382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회전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