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338B1 -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338B1
KR101944338B1 KR1020170095551A KR20170095551A KR101944338B1 KR 101944338 B1 KR101944338 B1 KR 101944338B1 KR 1020170095551 A KR1020170095551 A KR 1020170095551A KR 20170095551 A KR20170095551 A KR 20170095551A KR 101944338 B1 KR101944338 B1 KR 10194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teering
rotation
nut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섭
안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9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휠 회전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할 수 있으며,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장치의 기계적인 작동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조향휠 회전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By-Wire) 시스템에 설치된 조향휠의 회전제한장치에 있어서, 조향축이 설치된 칼럼하우징; 상기 칼럼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향휠 회전제한장치{LIMITING APPARATUS OF STEERING WHEEL ROTATION}
본 발명은 조향휠 회전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할 수 있으며,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의 기계적인 작동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조향휠 회전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동력조향시스템은 엔진의 동력을 벨트 등으로 구동되는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소정의 오일압을 형성하고, 이 오일압을 구동 동력으로 작용하는 유압회로를 구성하여 운전자의 조향력에 대하여 증력된 힘으로서 차륜을 조향하도록 구성하는 유압작동회로가 일반적인 구성이다.
즉, 이와 같이 유압작동에 의한 동력조향시스템은 오일펌프 및 다수의 오일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오일 관로, 로터리 밸브 등과 같은 작동부재가 요구되어 상당히 복잡한 구성을 가지게 되고 많은 수량의 부품이 소요됨으로써 조향시스템의 경량화와 원가저감에 대한 부담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By-Wire) 시스템(이하, “SBW 시스템”이라 함.)은 크게 조향반력장치와 전륜조향장치로 구성되며, 평상 시 조향휠과 전륜이 기계적으로 연결이 끊어진 상태로 전자제어장치가 조향각을 전기신호로 입력받아 전륜조향장치를 구동하여 전륜을 조향한다.
SBW 시스템은 전술된 동력조향시스템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 외에, 차속 등 주행상황에 따라 조향비를 가변하는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운전자 편의성 및 차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SBW 시스템은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멈춤장치인 스토퍼(End-stopper)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스토퍼의 기계적인 작동 시, 스토퍼와 주변 구성간 접촉으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666호(2009.12.14.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할 수 있으며,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의 기계적인 작동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조향휠 회전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By-Wire) 시스템에 설치된 조향휠의 회전제한장치에 있어서, 조향축이 설치된 칼럼하우징; 상기 칼럼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향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 상기 조향축에 관통되고, 상기 조향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선부를 따라 상기 공간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어 밀착 또는 분리되는 멈춤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멈춤너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멈춤너트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핀; 상기 조향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칼럼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장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멈춤너트는 상기 조향축이 관통된 중공부;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댐핑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멈춤너트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돌출되도록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휠 회전제한장치는 스토퍼를 통해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댐핑부재를 통해 멈춤너트와 공간부 내부에 배치된 구성간 접촉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는 SBW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향반력장치(11)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조향반력장치(1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향축(1110)과 멈춤너트(113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멈춤너트(1132)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멈춤너트(1132)에 댐핑부재(1134)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멈춤너트(113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향휠 회전제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SBW 시스템(10)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향반력장치(11)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조향반력장치(11)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향축(1110)과 멈춤너트(113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SBW 시스템(10)은 조향반력장치(11)와 전륜조향장치(12)로 구성되며, 상기 조향반력장치(11)는 토크앵글센서(1121), 조향축(1110), 조향휠(1111), 조향휠 회전제한장치(이하 “회전제한장치”라 함)(1100), 반력모터(1150), 전자제어장치(ECU, 17)로 구성된다.
상기 토크앵글센서(1121)는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을 감지한 후 감지된 값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와, 상기 조향축(1110)에서 발생하는 조향토크의 크기를 감지한 후 상기 전자제어장치(17)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반력모터(1150)는 상기 전자제어장치(17)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조향축(1110)의 회전에 반력을 제공하므로 운전자로 하여금 실제에 가까운 조향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상기 전륜조향장치(12)는 상기 전자제어장치(17)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13)에 의해 피니언축(14)에 연결된 피니언(15) 및 랙바(16)가 운동하여 차륜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제한장치(1100)는 차량의 일반 주행을 비롯한 주차, 정차 시,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회전제한장치(1100)는 상기 조향축(1110)이 설치된 칼럼하우징(1120)과, 상기 칼럼하우징(1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22), 상기 조향휠(1110)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1130)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1122)의 일측에는 상기 조향축(1110)에 관통되고 베어링(1123)을 지지하는 락스크류(1124)가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조향축(1110)과 상기 반력모터(1150)의 모터축에 연결된 댐핑커플러(112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122)의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1130)가 배치되어 후술되는 멈춤너트(1132)가 이동된다.
상기 스토퍼(1130)는 나선부(1131), 멈춤너트(1132)로 구성된다.
상기 나선부(1131)는 상기 조향축(1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조향축(1110)에 관통되어 상기 나선부(113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이 0도인 상태를 기준하여 상기 공간부(1122)의 내부 중심,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부(1122)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선부(1131)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 이동되어 상기 공간부(1122)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락스크류(1124)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공간부(1122)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댐핑커플러(1125)에 밀착된다.
즉,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조향축(1110)을 따라 상기 공간부(1122)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선형이동되어 상기 락스크류(1124)와 상기 댐핑커플러(1125)에 밀착 또는 분리된다.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 시, 상기 멈춤너트(1132)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조향축(1110)과 같이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멈춤너트(1132)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상기 회전제한장치(1100)는 상기 멈춤너트(1132)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회전방지부(114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1140)는 상기 멈춤너트(1132)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핀(1141)과, 상기 가이드핀(1141)이 삽입되도록 상기 조향축(1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칼럼하우징(1120)의 측면에 장공(114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 시, 상기 장공(1142)에 삽입된 가이드핀(1141)에 의하여 상기 멈춤너트(1132)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상기 나선부(1131)를 따라 선형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핀(1141) 또한 상기 장공(1142)을 따라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 스토퍼(1130)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이 0도인 상태를 기준하여 상기 공간부(122)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이 0도인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향휠(1111)의 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나선부(1131)를 따라 상기 공간부(1122)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락스크류(1124)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멈춤너트(1132)가 상기 락스크류(1124)에 밀착되어 일측방향 이동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이 정지되어 상기 조향휠(1111)의 시계방향 회전각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이 0도인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향휠(1111)의 반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멈춤너트(1132)는 상기 나선부(1131)를 따라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댐핑커플러(1125)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멈춤너트(1132)가 상기 댐핑커플러(112)에 밀착되어 타측방향 이동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이 정지되어 상기 조향휠(1111)의 반시계방향 회전각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조향휠(1111)의 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멈춤너트(1132)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나선부(1131)가 형성될 경우, 상기 조향휠(1111)의 반시계방향 회전 시, 상기 멈춤너트(1132)는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1130)의 기계적 작동을 통해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댐핌커플러(1125)는 둘레에 댐핑소재가 감싸져 있어 예외가 될 수 있지만, 상기 스토퍼(1130)의 구성인 멈춤너트(1132)가 상기 락스크류(1124)에 밀착 시, 상기 멈춤너트(1132)와 상기 락스크류(1124)간 충돌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130)의 기계적 작동으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멈춤너트(1132)에 댐핑부재(1134)가 설치되어 있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멈춤너트(1132)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상기 멈춤너트(1132)에 상기 댐핑부재(1134)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상기 멈춤너트(1134)의 정면도이다.
도 4,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멈춤너트(1134)는 중공부(1135), 홈부(1133), 댐핑부재(1134)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부(1135)는 상기 멈춤너트(1132)의 일측면에서부터 타측면까지 연장되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1135)에 상기 조향축(1110)이 설치된다.
상기 홈부(1133)는 상기 멈춤너트(1132)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중공부(1135)의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댐핑부재(1134)는 상기 홈부(113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부(1133)에 삽입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여기서 상기 댐핑부재(1134)는 상기 멈춤너트(1132)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d) 돌출되도록 상기 홈부(1133)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멈춤너트(1132)가 상기 락스크류(1124)에 밀착 시, 상기 조향축(1110)에서 발생하는 조향토크에 의해 상기 댐핑부재(1134)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멈춤너트(1132)와 상기 락스크류(1124)간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부재(1134)의 탄성변형을 감안하여, 상기 멈춤너트(113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댐핑부재(1134)의 간격(d)은 최소 1mm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상기 댐핑부재(1134)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가이드핀(1141)의 외주면 또는 상기 장공(1142)의 내주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핀(1141)과 상기 장공(1142)간 충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제한장치(1100)는 상기 스토퍼(1130)를 통해 상기 조향휠(1111)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부재(1134)를 통해 상기 멈춤너트(1132)와 상기 락스크류(1124)간 접촉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d : 간격 10 : SBW 시스템
11 : 조향반력장치 12 : 전륜조향장치
1100 :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1110 : 조향축
1111 : 조향휠 1120 : 칼럼하우징
1121 : 토크앵글센서 1122 : 공간부
1130 : 스토퍼 1131 : 나선부
1132 : 멈춤너트 1133 : 홈부
1134 : 댐핑부재 1135 : 중공부
1140 : 회전방지부 1141 : 가이드핀
1142 : 장공

Claims (6)

  1.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By-Wire) 시스템에 설치된 조향휠의 회전제한장치에 있어서,
    조향축이 설치된 칼럼하우징;
    상기 칼럼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향휠의 회전각을 일정한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향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 및
    상기 조향축에 관통되고, 상기 조향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선부를 따라 상기 공간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어 밀착 또는 분리되는 멈춤너트;
    를 포함하며,
    상기 멈춤너트는
    상기 조향축이 관통된 중공부;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중공부의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된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댐핑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댐핑부재는
    상기 멈춤너트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돌출되도록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너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멈춤너트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핀; 및
    상기 조향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칼럼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장공;
    을 포함하는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095551A 2017-07-27 2017-07-27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KR10194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51A KR101944338B1 (ko) 2017-07-27 2017-07-27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51A KR101944338B1 (ko) 2017-07-27 2017-07-27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338B1 true KR101944338B1 (ko) 2019-01-31

Family

ID=6532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551A KR101944338B1 (ko) 2017-07-27 2017-07-27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97B1 (ko) * 2019-06-20 2020-11-0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12776879A (zh) * 2019-11-04 2021-05-11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车辆的线控系统的手力促动器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715A (ko) * 2005-12-20 2007-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바이와이어 시스템의 록투록회전수 조절장치
KR20090127666A (ko) 2008-06-09 2009-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스티어링 휠의 턴 수가변장치
JP5825519B2 (ja) * 2011-12-26 2015-12-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715A (ko) * 2005-12-20 2007-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바이와이어 시스템의 록투록회전수 조절장치
KR20090127666A (ko) 2008-06-09 2009-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스티어링 휠의 턴 수가변장치
JP5825519B2 (ja) * 2011-12-26 2015-12-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操舵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97B1 (ko) * 2019-06-20 2020-11-0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WO2020256426A1 (ko) * 2019-06-20 2020-12-24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14007924A (zh) * 2019-06-20 2022-02-01 株式会社万都 线控转向型转向装置
CN112776879A (zh) * 2019-11-04 2021-05-11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车辆的线控系统的手力促动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5278B2 (en) Apparatus for limiting rotation of steering wheel
EP3620350B1 (en) Vehicle steering wheel assembly and vehicle
US11945519B2 (en) Reaction force generating device and steering device
KR101381047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858352B1 (ko)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KR101783100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944338B1 (ko)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US20180009464A1 (en)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459429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턴스토퍼
KR20180095335A (ko) 스토퍼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 시스템
KR101085336B1 (ko) 세레이션이 형성된 댐핑 커플러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기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56633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US20220379949A1 (en) Steer by wire type steering apparatus
US20220281515A1 (en) Steer by wire type steering apparatus
KR20190047883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1405382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회전수 조절장치
KR100619225B1 (ko) 조향 휠의 회전수 조절장치
KR20220081772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20210054774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20190035045A (ko) 후륜 조향장치
KR102660337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조향 장치
KR20200023936A (ko) 조향휠 회전제한장치
KR20130141914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230073718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20240024000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