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007A -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007A
KR20090029007A KR1020070094210A KR20070094210A KR20090029007A KR 20090029007 A KR20090029007 A KR 20090029007A KR 1020070094210 A KR1020070094210 A KR 1020070094210A KR 20070094210 A KR20070094210 A KR 20070094210A KR 20090029007 A KR20090029007 A KR 20090029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d
emitting device
gree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579B1 (ko
Inventor
김무겸
김상열
이성훈
송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기발광소자는, 동일 평면 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적색, 녹색 및 적색 픽셀들을 구비하고, 각 색상의 픽셀들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동일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애노드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홀(hole)과 캐소드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electron)가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며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이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보다 나은 발광특성을 얻기 위하여 애노드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및 정공수송층(HTL; Hole Tranporting Layer)이 형성되고, 캐소드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는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및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이 형성되는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구동전압이 대략 5V 정도로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고휘도의 면 발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며, 얇은 두께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색 재현성이 우수하고, 넓은 시야각을 가지며, 또한 형광물질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발광색상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소자는 풀 컬러(full color) 표시장치, 액정 디스플레이(LCD)용 백라이트 유닛, 정보 표시기기, 차량 표시기기, 조명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발광소자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p형 및 n형 도판트(dopant)를 이용하여 전하주입을 향상시키는 방법, 적색 발광층과 청색 발광층 사이에 전자들을 차단(blocking)할 수 있는 버퍼층을 삽입하는 방법, 동일한 소자를 직렬로 연결하여 탠덤(tandem) 구조로 만드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p형 및 n형 도판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판트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버퍼층을 삽입하는 방법은 각 발광층들 마다 수명이 달라서 시간에 따라 색변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탠텀 구조로 제작하는 방법은 구동 전압 및 전압 변화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유기발광소자도 수명이 증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유기발광소자를 구성하는 물질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현재 유기발광소자에 사용되고 있는 물질은 이러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게 되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동일 평면 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적색, 녹색 및 적색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각 색상의 픽셀들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동일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가 개시된다.
상기 발광소자들을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투명전극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소자들 각각은, 소정 색상의 발광층; 상기 발광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정공주입층; 및 상기 발광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층과 정공주입층 사이에는 정공수송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층과 전자주입층 사이에는 전자수송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의 광투과도는 70%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은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은(Al-Ag)합금 또는 알루미늄-마그네슘(Al-Mg)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는 30Å ~ 200Å 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단계;
(b) 소정 시간 경과 후 다른 하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반복하여 마지막 남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의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선택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는 화상에 요구되는 소정 휘도를 만족할 때까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는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의하면, 각 색상의 픽셀이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종래 유기발광소자보다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수명이 증대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동일 평면 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100R, 100G, 100B)을 구비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 픽셀들(100R, 100G, 100B)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100R, 100G, 100B)은 각각 복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적색 픽셀(100R)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01,104)과, 상기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4)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제2 및 제3 적색 발광소자(110R,120R,130R)와, 상기 적색 발광소자 들(110R,120R,130R)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투명전극(102,1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101)은 애노드전극이 될 수 있다.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상기 제1 전극(10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01)은 대략 30Å ~ 200Å 정도 두께의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은(Al-Ag)합금 또는 알루미늄-마그네슘(Al-Mg)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101)의 광투과도는 대략 70% 이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상기 제1 전극(101)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104)은 캐소드전극이 될 수 있다.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상기 제2 전극(104)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상기 제2 전극(104)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나 대략 30Å ~ 200Å 정도 두께의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은(Al-Ag)합금 또는 알루미늄-마그네슘(Al-Mg)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4) 사이에는 제1, 제2 및 제3 적색 발광소자(110R,120R,130R)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적색 발광소자(110R)와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사이에는 제1 투명전극(10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적색 발광소자(120R)와 제3 적색 발광소자(130R) 사이에는 제2 투명전 극(10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적색 발광소자(110R)는 상기 제1 전극(10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113), 제1 적색 발광층(115R) 및 제1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117)을 포함한다. 애노드전극인 상기 제1 전극(101) 상에 형성된 제1 정공주입층(113)은 정공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MTDATA(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phene, polystyrene sulf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상기 제1 정공주입층(113)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정공주입층(113) 상에는 제1 적색 발광층(115R)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적색 발광층(115R)은 제1 전극(10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들과 제1 투명전극(102)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이 결합하여 적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층이다. 이러한 제1 적색 발광층(115R)은 호스트 물질에 적색 도판트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적색발광층(115R) 상에는 제1 전자주입층(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층(117)은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LIF 또는 LiQ(lithium quino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상기 제1 전자주입층(117)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정공주입층(113)과 제1 적색 발광층(115R) 사이에는 정공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 정공수송층(HIL; hole transporting laye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공수송층은 예를 들면,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자주입층(117)과 제1 적색 발광층(115R) 사이에는 전자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수송층은 예를 들면,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쓰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또는 벤즈티아졸(benzthiazole) 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주입층(117) 상에는 제1 투명전극(10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은 캐소드전극으로서, 대략 70% 이상의 광투과도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은 대략 30Å ~ 200Å 정도 두께의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은(Al-Ag)합금 또는 알루미늄-마그네슘(Al-Mg)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전극(102) 상에는 제2 적색 발광소자(120R)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적색 발광소자(120R)를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적색 발광소자(110R)를 구성하는 물질층들과 대칭으로 형성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적색 발광소자(120R)는 상기 제1 투명전극(102)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전자주입층(127), 제2 적색 발광층(125R) 및 제2 정공주입층(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자주입층(127), 제2 적색 발광층(125R) 및 제2 정공주입층(123)은 각각 제1 전자주입층(117), 제1 적색 발광층(115R) 및 제1 정공주입층(113)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자주입층(127)과 제2 적색 발광층(125R) 사이에는 제2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공주입층(123)과 제2 적색 발광층(125R) 사이에는 제2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공주입층(123) 상에는 제2 투명전극(10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은 애노드전극으로서, 대략 70% 이상의 광투과도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은 대략 30Å ~ 200Å 정도 두께의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은(Al-Ag)합금 또는 알루미늄-마그네슘(Al-Mg)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투명전극(103) 상에는 제3 적색 발광소자(130R)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적색 발광소자(130R)를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적색 발광소자(120R)를 구성하는 물질층들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적색 발광소자(130R)는 상기 제2 투명전극(103) 상에 순차 적으로 적층된 제3 정공주입층(133), 제3 적색 발광층(135R) 및 제3 전자주입층(1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정공주입층(133), 제3 적색 발광층(135R) 및 제3 전자주입층(137)은 각각 제1 정공주입층(113), 제1 적색 발광층(115R) 및 제1 전자주입층(117)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정공주입층(133)과 제3 적색 발광층(135R) 사이에는 제3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전자주입층(137)과 제3 적색 발광층(135R) 사이에는 제3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색 픽셀(100R)의 일측에는 녹색 픽셀(100G)이 상기 적색 픽셀(100R)과 동일 평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녹색 픽셀(100G)은 전술한 적색 픽셀(100R)과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녹색 픽셀(100G)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01,104)과, 상기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4)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제2 및 제3 녹색 발광소자(110G,120G,130G)와, 상기 녹색 발광소자들(110G,120G,130G)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투명전극(102,1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02,103)은 각각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극(102,103)과 마찬가지로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102,103)은 각각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극(102,103)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02,103)은 전술한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극(102,103)과 동일한 전극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녹색 발 광소자(110G,120G,130G)는 각각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적색 발광소자(110R,120R,130R)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녹색 발광소자(110G)는 제1 전극(10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정공주입층(113), 제1 녹색 발광층(115R) 및 제1 전자주입층(11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정공주입층(113) 및 제1 전자주입층(117)은 각각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1 정공주입층(113) 및 제1 전자주입층(117)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녹색 발광층(115G)은 제1 전극(10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들과 제1 투명전극(102)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이 결합하여 녹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층으로, 호스트 물질에 녹색 도판트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정공주입층(113)과 제1 녹색 발광층(115G) 사이에는 제1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자주입층(117)과 제1 녹색 발광층(115G) 사이에는 제1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주입층(117) 상에는 제1 투명전극(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은 캐소드전극으로서,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1 투명전극(102)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은 전술한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1 투명전극(102)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투명전극(102) 상에는 제2 녹색 발광소자(120G)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녹색 발광소자(120G)를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녹색 발광소자(110G)를 구성하는 물질층들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녹색 발광소자(120G)는 상기 제1 투명전극(102) 상에 순차적 으로 적층된 제2 전자주입층(127), 제2 녹색 발광층(125G) 및 제2 정공주입층(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자주입층(127), 제2 녹색 발광층(125G) 및 제2 정공주입층(123)은 각각 제1 전자주입층(117), 제1 녹색 발광층(115G) 및 제1 정공주입층(113)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자주입층(127)과 제2 녹색 발광층(125G) 사이에는 제2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공주입층(123)과 제2 녹색 발광층(125G) 사이에는 제2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공주입층(123) 상에는 제2 투명전극(10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은 애노드전극으로서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2 투명전극(103)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은 전술한 적색 픽셀(100R)을 구성하는 제2 투명전극(103)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투명전극(103) 상에는 제3 녹색 발광소자(130G)가 형성되며, 상기 제3 녹색 발광소자(130G)를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녹색 발광소자(120G)를 구성하는 물질층들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녹색 발광소자(130G)는 상기 제2 투명전극(103)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3 정공주입층(133), 제3 녹색 발광층(135G) 및 제3 전자주입층(1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정공주입층(133), 제3 녹색 발광층(135G) 및 제3 전자주입층(137)은 각각 제1 정공주입층(113), 제1 녹색 발광층(115G) 및 제1 전자주입층(117)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정공주입층(133)과 제3 녹색 발광층(135G) 사이에는 제3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전자주입층(137)과 제3 녹색 발광층(135G) 사이에는 제3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녹색 픽셀(100G)의 일측에는 청색 픽셀(100B)이 상기 적색 및 녹색 픽셀(100R,100G)과 동일 평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청색 픽셀(100B)은 전술한 적색 및 녹색 픽셀(100R,100G)과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청색 픽셀(100B)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01,104)과, 상기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4)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제2 및 제3 청색 발광소자(110B,120B,130B)와, 상기 청색 발광소자들(110B,120B,130B)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투명전극(102,1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02,1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101,104)은 각각 적색 픽셀(100R)이나 녹색 픽셀(100G)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전극(101,104)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청색 발광소자(110B)는 제1 전극(10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정공주입층(113), 제1 청색 발광층(115B) 및 제1 전자주입층(11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청색 발광소자(110B)는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및 제1 녹색 발광소자(110G)와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공주입층(113) 및 제1 전자주입층(117)은 각각 적색 픽셀(100R)이나 녹색 픽셀(100G)을 구성하는 제1 정공주입층(113) 및 제1 전자주입층(117)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청색 발광층(115B)은 제1 전극(10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들과 제1 투명전극(102)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이 결합하여 청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물질층으로, 호스트 물질에 청색 도판트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정공주입층(113)과 제1 청색 발광층(115B) 사이에는 제1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자주입층(117)과 제1 청색 발광층(115B) 사이에는 제1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주입층(117) 상에는 제1 투명전극(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은 캐소드전극으로서, 적색 픽셀(100R)이나 녹색 픽셀(100G)을 구성하는 제1 투명전극(102)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투명전극(102) 상에는 제2 청색 발광소자(120B)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를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제1 투명전극(10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청색 발광소자(110B)를 구성하는 물질층들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는 상기 제1 투명전극(102)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전자주입층(127), 제2 청색 발광층(125B) 및 제2 정공주입층(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자주입층(127), 제2 청색 발광층(125B) 및 제2 정공주입층(123)은 각각 제1 전자주입층(117), 제1 청색 발광층(115B) 및 제1 정공주입층(113)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자주입층(127)과 제2 청색 발광층(125B) 사이에는 제2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공주입층(123)과 제2 청색 발광층(125B) 사이에는 제2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공주입층(123) 상에는 제2 투명전극(10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은 애노드전극으로서 적색 픽셀(100R) 또는 녹색 픽셀(100G)을 구성하는 제2 투명전극(103)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투명전극(103) 상에 는 제3 청색 발광소자(130B)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청색 발광소자(130B)를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제2 투명전극(103)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를 구성하는 물질층들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청색 발광소자(130B)는 상기 제2 투명전극(103)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3 정공주입층(133), 제3 청색 발광층(135B) 및 제3 전자주입층(1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정공주입층(133), 제3 청색 발광층(135B) 및 제3 전자주입층(137)은 각각 제1 정공주입층(113), 제1 녹색 발광층(115B) 및 제1 전자주입층(117)과 동일한 물질층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정공주입층(133)과 제3 청색 발광층(135B) 사이에는 제3 정공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전자주입층(137)과 제3 청색 발광층(135B) 사이에는 제3 전자수송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에는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소자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100R,100G,100B)을 각각 구성하는 세 개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들(110R,120R,130R,110G,120G,130G,110B,120B,120B) 중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를 먼저 선택하여 구동한다. 이러한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의 구동은 애노드전극인 제1 전극(101)과 캐소드전극인 제1 투명전극(102) 사이에 소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101)과 제1 투명전극(10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1 전극(101) 및 제1 투명전극(102)으로부터 각각 정공들 및 전자들이 제1 적색 발광층(115R), 제1 녹색 발광층(115G) 및 제1 청색 발광층(115B) 내로 주입되고, 이에 따라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방출된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은 제1 전극(101)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는 각 발광소자들(110R,110G,110B)로부터 발생되는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화상에 요구되는 휘도를 만족할 때까지 계속 구동되어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로부터 방출되는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화상에 요구되는 휘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의 구동은 종료된다. 이에 따라,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은 그 수명을 다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제1 청색 발광소자(110B)의 구동이 종료된 다음에는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를 선택하여 구동한다. 이러한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의 구동은 캐소드전극인 제1 투명전극(102)과 애노드전극인 제2 투명 전극(103) 사이에 소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제1 투명전극(102)과 제2 투명전극(103)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1 투명전극(102) 및 제2 투명전극(103)으로부터 각각 전자들 및 정공들이 제2 적색 발광층(125R), 제2 녹색 발광층(125G) 및 제2 청색 발광층(125B) 내로 주입됨에 따라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방출된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은 제1 투명전극(102) 및 제1 전극(101)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는 각 발광소자들(120R,120G,120B)로부터 발생되는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화상에 요구되는 휘도를 만족할 때 까지 계속 구동되어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로부터 방출되는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화상에 요구되는 휘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의 구동은 종료된다. 이에 따라,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는 그 수명을 다하게 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제2 청색 발광소자(120B)의 구동이 종료된 다음에는 제3 적색 발광소자(130R), 제3 녹색 발광소자(130G) 및 제3 청색 발광소자(130B)를 마지막으로 선택하여 구동한다. 이러한 제3 적색 발광소자(130R), 제3 녹색 발광소자(130G) 및 제3 청색 발광소자(130B)의 구동은 애노드전극인 제2 투명전극(103)과 캐소드전극인 제2 전극(104) 사이에 소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제2 투명전극(103)과 제2 전극(10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제2 투명전극(103) 및 제2 전극(104)으로부터 각각 정공들 및 전자들이 제3 적색 발광층(135R), 제3 녹색 발광층(135G) 및 제3 청색 발광층(135B) 내로 주입되고, 이에 따라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방출된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은 제2 및 제1 투명전극(103,102), 그리고 제1 전극(101)을 통하여 외부로 출사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100R,100G,100B)이 동일 평면 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100R,100G,100B)은 각각 세 개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110R,120R,130R,110G,120G,130G,110B,120B,12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의 유기발광소자에서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를 먼저 선택하여 구동하게 되고, 이렇게 선택된 제1 적색 발광소자(110R), 제1 녹색 발광소자(110G) 및 제1 청색 발광소자(110B)의 수명이 다하게 되면 다음으로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를 선택하여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적색 발광소자(120R), 제2 녹색 발광소자(120G) 및 제2 청색 발광소자(120B)의 수명이 다하게 되면, 제3 적색 발광소자(130R), 제3 녹색 발광소자(130G) 및 제3 청색 발광소자(130B)를 선택하여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 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이 각각 하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종래 유기발광소자보다 그 수명을 3배 만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전극(101,104)이 각각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인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상기 제1 및 제2 전극(101,104)이 각각 캐소드전극 및 애노드전극인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투명전극(102,103)은 각각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이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 색상의 픽셀(100R,100G,100B)이 3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색상의 픽셀(100R,100G,100B)이 2개 또는 4개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광소자들 사이에는 투명전극이 형성되며, 또한 투명전극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발광소자들은 그 구성 물질층들이 상기 투명전극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 색상의 픽셀(100R,100G,100B)이 짝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101,104)은 모두 애노드전극이 되거나 또는 모두 캐소드전극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R... 적색 픽셀 100G... 녹색 픽셀
100B... 청색 픽셀 101... 제1 전극
102... 제1 투명전극 103... 제2 투명전극
104... 제2 전극 110R... 제1 적색 발광소자
110G... 제1 녹색 발광소자 110B... 제1 청색 발광소자
113... 제1 정공주입층 115R... 제1 적색 발광층
115G... 제1 녹색 발광층 115B... 제1 청색 발광층
117... 제1 전자주입층 120R... 제2 적색 발광소자
120G... 제2 녹색 발광소자 120B... 제2 청색 발광소자
123... 제2 정공주입층 125R... 제2 적색 발광층
125G... 제2 녹색 발광층 125B... 제2 청색 발광층
127... 제2 전자주입층 130R... 제3 적색 발광소자
130G... 제2 녹색 발광소자 130B... 제3 청색 발광소자
133... 제3 정공주입층 135R... 제3 적색 발광층
135G... 제3 녹색 발광층 135B... 제3 청색 발광층
137... 제3 전자주입층

Claims (11)

  1. 동일 평면 상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적색, 녹색 및 적색 픽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각 색상의 픽셀들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동일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들을 구성하는 물질층들은 상기 투명전극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들 각각은, 소정 색상의 발광층; 상기 발광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정공주입층; 및 상기 발광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과 정공주입층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수송층; 및 상기 발광층과 전자주입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의 광투과도는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은(Al-Ag)합금 또는 알루미늄-마그네슘(Al-Mg)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의 두께는 30Å ~ 200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9. 제 1 항에 기재된 유기발광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단계;
    (b) 소정 시간 경과 후 다른 하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반복하여 마지막 남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는 화상에 요구되는 소정 휘도를 만족할 때까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구동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소자는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구동방법.
KR1020070094210A 2007-09-17 2007-09-17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140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10A KR101407579B1 (ko) 2007-09-17 2007-09-17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10A KR101407579B1 (ko) 2007-09-17 2007-09-17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007A true KR20090029007A (ko) 2009-03-20
KR101407579B1 KR101407579B1 (ko) 2014-06-13

Family

ID=4069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210A KR101407579B1 (ko) 2007-09-17 2007-09-17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462A (ko) * 2013-06-04 2014-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2759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20160050905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220099519A (ko) * 2020-12-21 202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383A (ja) * 1993-04-16 1994-10-28 Sharp Corp El素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013493B2 (ja) * 2001-03-27 2007-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560862B2 (en) * 2004-10-22 2009-07-14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LEDs with a color-compensated electroluminescent unit
CN101371619B (zh) * 2006-01-18 2013-11-13 Lg化学株式会社 具有堆叠式有机发光单元的ole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462A (ko) * 2013-06-04 2014-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2759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20160050905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220099519A (ko) * 2020-12-21 202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579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6900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249838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emission area control layer separating emission areas of at least two emission layers
US93687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multiple hole injection layers
US907697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93435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52978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909941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201300931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029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5008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having the hole transport units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devices of two different colors have different mobility
JP2005531899A (ja) 透明な陰極を備える電場発光装置
KR101407579B1 (ko) 유기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310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2260858A (ja)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05112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US1070013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O2015190550A1 (ja) 有機素子
JP3743005B2 (ja) 有機elパネル
CN107507917B (zh) 一种oled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4752457B2 (ja) 有機el素子
JP2012204037A (ja) 有機elパネル
JP5260905B2 (ja) 有機el表示装置
JP2007335590A (ja) 有機el素子
JP2010225975A (ja) 有機el素子
JP2006107790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