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533A -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533A
KR20090027533A KR1020070092818A KR20070092818A KR20090027533A KR 20090027533 A KR20090027533 A KR 20090027533A KR 1020070092818 A KR1020070092818 A KR 1020070092818A KR 20070092818 A KR20070092818 A KR 20070092818A KR 20090027533 A KR20090027533 A KR 2009002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focus error
light
spherical aberration
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태
김태경
배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7533A/ko
Priority to US12/037,365 priority patent/US20090067315A1/en
Publication of KR2009002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by astigmatic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4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specially adapted to record on, or to reproduce from, more than one track simultaneous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11B7/1369Active plates, e.g. liquid crystal panels or electrostrictive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8Separate aberration correction lenses; Cylindrical lenses to generate astigmatism; Beam expan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2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 G11B7/13925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 G11B7/13927Means for controlling the beam wavefront, e.g. for correction of aberration active, e.g. controlled by electrical or mechanical means during transducing, e.g. to correct for variation of the spherical aberration due to disc tilt or irregularities in the cover layer thickn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9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11B2007/001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for carriers having data stored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for carriers having multiple discrete lay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정보저장매체의 복수 트랙에 복수의 광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하도록 된 광픽업과;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광원간 파장 차이나 광축 상 거리 차이 또는 광원 간의 간격으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Multi channel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광원을 사용하고 각 광원이 서로 다른 트랙에서 신호의 기록 재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DTR)을 향상시키도록 된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기록기기 분야에서는, 용량 증대 차원에서 블루레이 디스크(BD)의 멀티레이어(ML)의 층수를 더해 가는 추세에 있으며, 용량 증대에 발맞추어 데이터 전송 속도(DTR)의 향상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DTR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여러 개의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트랙에 있는 신호를 재생할 수도 있고 또한 동시에 여러 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멀티 채널(multi channel) 픽업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는 방식에는 LD 어레이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고 다수의 LD를 조립하여 여러 광원을 만드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수의 광원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각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 차이와 다수의 광원을 조립할 때 광축 상에서의 거리 오차 또는 광원 간의 간격으로 인해 여러 개의 광 빔이 대물렌즈를 통과하여 디스크에 초점이 맺힐 때 서로 다른 파면 수차량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파면 수차량은 멀티 채널 신호의 기록 재생 성능 편차를 크게 한다.
따라서, DTR 향상을 위해 멀티 채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멀티 채널 광픽업의 채널 간 광 스폿의 수차 차이로 인한 성능 차이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광원 간 광축 거리 차나 광원 간 파장 차 또는 광원 간의 간격으로 인해서 생길 수 있는 수차를 평준화함으로써 멀티 채널 광픽업의 채널 간 광 스폿의 수차 차이로 인한 기록 재생 성능 차이를 완화 할 뿐만 아니라 광축 조정 공차를 늘일 수 있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정보저장매체의 복수 트랙에 복수의 광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하도록 된 광픽업과;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광원간 파장 차이나 광축 상 거리 차이 또는 광원 간의 간격으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 신호를 검출하는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시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광 중 포커스 에러신호가 가장 먼저 발생하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고, 이 기준광이 만드는 포커스 에러신호 크기의 제로 점과 다른 광들이 만들어 내는 포커스 에러신호들 중 가장 큰 레벨 차이를 보이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시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픽업은 상기 복수의 광을 집속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구동하는 제1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포커싱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픽업은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와, 이 보상 렌즈를 구동하는 제2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제1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합신호 검출부와; 상기 제1구면수차 보상부의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 키는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합신호 중 가장 먼저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로 입력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는 상기 기준광에 대해 검출되는 합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광픽업은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와, 이 보상 렌즈를 구동하는 제2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제1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합신호 검출부와; 상기 제1구면수차 보상부의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합신호 중 가장 먼저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로 입력시키는 비교/판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 및 제2광을 각각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이며, 상기 광픽업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를 결합시키는 광로 결합기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가 결합되기 전에 제1 또는 제2광의 경로 상에 제2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은 서로 직교하는 편광의 제1 및 제2광을 각각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이며, 상기 광픽업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를 결합시키는 편광빔스프리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픽업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가 결합된 광로 상에 제2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구면수차 보상부는, 편광소자로서 동작하도록 된 액정 렌즈와; 상기 액정 렌즈를 구동하는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복수의 광을 정보저장매체의 복수 트랙에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원간 파장 차이가 광축 상 거리 차이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대물렌즈를 구동하여 포커싱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중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와 나머지 포커스 에러신호들 중 가장 큰 레벨 차이를 보이는 포커 스 에러신호의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중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고, 이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이용하여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복수의 광을 정보저장매체의 복수 트랙에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원간 파장 차이가 광축 상 거리 차이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상 렌즈를 구동하여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중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고, 이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이용하여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는 멀티 채널 광픽업에 의해 형성되는 광스폿들의 수차를 평준화하여 기록 재생 성능을 안정시킴으로써 고속의 DTR을 갖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BD용 광픽업 광학계에서 디포커스(defocus) 증가에 따른 파면 수차 증가와 그에 따른 지터(jitter) 열화를 계산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포커스가 커질 때 파면수차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지터의 경우는 디포커스량이 일정량 예컨대, 200nm 이상일 때에는 디포커스 증가 속도보다 빠르게 열화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광원을 사용해야 하는 멀티 채널 광픽업의 경우 광디스크에 맺히는 광 스폿(spot) 간에 파면 수차량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광원의 조립과 조정에 세심한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도 2는 광원 간의 거리 차가 발생할 때 디스크에 맺히는 광 스폿의 수차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비교해 보면, 파면 수차가 40mλ 정도 발생하는 지점은 디포커스가 200nm 발생할 때이며 광 원 간 거리차가 20μm 발생할 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디포커스와 광원 간 거리 차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 다.
도 2에서는 구면 수차 보상 수단으로서의 콜리메이팅렌즈(CL)의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콜리메이팅렌즈(CL)의 위치를 조정하면 기준이 되는 광원의 수차는 증가되는 반면, 다른 광원의 수차는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콜리메이팅렌즈(CL)의 위치가 20μm 조정된 경우에 대한 그래프와 콜리메이팅렌즈(CL) 위치 조정이 없는 경우에 대한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콜리메이팅렌즈(CL)를 20μm 이동시킴으로써 10mλ 이하였던 기준 광의 수차는 40mλ 정도까지 증가되었고, 40μm 광축거리 차이에서 80mλ였던 수차를 40mλ 정도까지 낮춤으로써 두 광의 수차를 평준화시키는 동시에 두 광원 모두 40mλ 정도의 수차를 유지할 수 있는 광축 거리 차를 20μm에서 40μm로 두 배 가량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광원 간 광축 거리 차나 광원 간 파장 차 또는 광원 간의 간격으로 인해서 생길 수 있는 수차를 평준화함으로써 멀티 채널 광픽업의 채널간 광 스폿의 수차 차이로 인한 성능 차이를 완화 할 뿐만 아니라 광축 조정 공차를 늘이는 효과를 내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정보저장매체인 광디스크(1)의 복수 트랙에 광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도록 된 광픽업(10)과, 상기 반사된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광원 간 파장 차이나 광축 상 거리 차이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10)은, 서로 파장 차이가 예컨대, 10nm 미만인 제1 및 제2광(11a)(13a)을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11)(13)과, 제1 및 제2광원(11)(13)으로부터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을 광디스크(1)에 집광하는 대물렌즈(31)와, 상기 대물렌즈(31)를 광축을 따라 상하로 스위핑(sweeping)하는 대물렌즈 드라이버(OL driver: 35)와, 대물렌즈(31)에 의해 포커싱된 광빔이 광디스크(1)의 기록층에서 재생 또는 기록을 수행할 때 구면 수차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구면수차 보상부(20)와, 상기 제1 및 제2광원(11)(13)에서 출사되고 광디스크(1)에 조사된 후 반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을 수광하는 광검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픽업(10)은, 제1 및 제2광원(11)(13)으로부터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은 광디스크(1)쪽으로 향하도록 하며, 광디스크(1)에서 반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은 상기 광검출부(40)로 향하도록 광의 진행 경로를 변환하는 광로변환기(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광원(11)(13)으로부터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의 광경로를 결합하기 위한 광로 결합기(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11)(13)은 동일 파장 대역의 제1 및 제2광(11a)(13a)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구비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반도체 레이저 제조 과정에서 완전 동일한 파장의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며, 반도체 레이저 들 사이에는 미미한 파장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광원(11)(13)을 동일 파장 대역을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를 구비한다 해도, 제1 및 제2광(11a)(13a) 사이에는 미소한 파장 차이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광원(11)(13)은 그 파장 차이가 10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0nm 이상의 파장 차이를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가 상기 제1 및 제2광원(11)(13)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대물렌즈(31)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를 적용하는 광디스크(1) 포맷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가 단층(SL: single layer) 또는 다층(ML: multi-layer) 블루레이 디스크(BD)를 기록/재생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대물렌즈(31)는 약 0.85의 개구수를 가지며, 약 0.1mm의 보호층 두께를 가지는 BD에 최적화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광원(11)(13)은 대략적으로 405nm 또는 그에 근접된 파장의 제1 및 제2광(11a)(13a)을 출사하는 청색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면수차 보상부(20)는, 보상 렌즈(21)와, 이 보상 렌즈(21)를 광축을 따라 상하로 스위핑하는 드라이버(25)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 렌즈(21)는, 제1 및 제2광원(11)(13)으로부터 입사되는 발산빔 형태의 제1 및 제2광(11a)(13a)을 평행 빔으로 콜리메이팅하는 콜리메이팅렌즈일 수 있다.
상기 구면수차 보상부(20)의 드라이버는 대물렌즈(31)에 의해 포커스된 광스폿에 의해 광디스크(1) 기록층에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할 때, 구면 수차가 최소가 되도록 광축 상에서 보상 렌즈(21)의 위치를 앞,뒤로 변화시켜, 구면 수차를 보상한다.
상기 광로변환기(17)로는 입사광을 소정 비율로 투과 및 반사시키는 빔스프리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로변환기(17)로는 입사광을 편광에 따라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편광빔스프리터를 구비하고, 이 광로변환기(17)와 대물렌즈(31) 사이의 광로 상에 입사광의 편광을 바꾸어주는 1/4 파장판(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편광빔스프리터 및 1/4파장판을 구비하는 구조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광로 결합기(15)로는 예를 들어, 빔스프리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검출부(40)는 광디스크(1)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해당 반사광의 광량을 나타내는 합신호와 포커스 에러신호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검출부(40)는, 광디스크(1)의 기록층에서 반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을 각각 수광하는 제1수광부(41) 및 제2수광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수광부(41)(45)는 각각 예컨대, 비점수차법에 의한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이 가능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4분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41)(45)의 분할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광로변환기(17)와 광검출부(40) 사이의 광로 상에는 비점수차법에 의 한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이 가능하도록 비점수차렌즈(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픽업(10)에서 제1 및 제2광원(11)(13)을 조립할 때, 광축 상에서의 거리 오차는 제1광원(11)과 광로 결합기(15) 사이의 거리 d1과 제2광원(13)과 광로 결합기(15) 사이의 거리 d2의 차이에 해당한다. 제1 및 제2광원(11)(13)이 광축 상에서의 거리 오차 없이 조립된다면, d1=d2가 된다.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광원(11)(13)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3a) 사이에는 파장 차이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제1광(11a)을 기준광으로 고려한다면, 제2광(13a)에 의해 형성되는 광스폿에는 구면수차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구면수차 보상부(20)는, 제2광(13a)에 대한 구면수차를 보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반대로, 제2광(13a)을 기준광으로 고려한다면, 제1광(11a)에 의해 형성되는 광스폿에 구면수차가 존재하게 되고, 구면수차 보상부(20)는, 제1광(11a)에 대한 구면수차를 보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50)는, 광디스크(1)에서 반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광원 간 광축 상 거리차나 파장 차이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55)(53)와,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 신호 발생기(6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50)는 구면수차 보상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합신호 검출부와(51)(52), 비교/판단부(57)와,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55)(53)는, 광디스크(1)에서 반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을 각각 수광한 제1 및 제2수광부(41)(45)의 검출신호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를 생성한다. 상기 제1합신호 검출부(51)는 제1수광부(41)의 검출신호들을 모두 합산한 제1합신호(RF1)를 생성한다. 상기 제2합신호 검출부(52)는 제2수광부(45)의 검출신호들을 모두 합산한 제2합신호(RF2)를 생성한다.
상기 비교/판단부(57)는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를 비교하여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합신호(RF1)(RF2) 중 가장 먼저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에 대한 합신호가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5)로 입력되도록 한다. 제1 및 제2광(11a)(13a) 중 포커스 에러신호를 가장 먼저 발생시키는 광이 기준광이 된다.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1)는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시킨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픽업(10)은 동시에 세 트랙 이상을 기록 재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는 세 개 이상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합신호 검출부도 세 개 이상의 합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비교/판단부(57)는 광디스크(1)에 조사되는 세 개 이상의 광 중 포커스 에러신호가 가장 먼저 발생하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고, 이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가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5)로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 기(61)는 상기 기준광이 만드는 포커스 에러신호 크기의 제로 점과 다른 광들이 만들어 내는 포커스 에러신호들 중 가장 큰 레벨 차이를 보이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크기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시킨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광에 의해 형성되는 광디스크 상에서의 광스폿들의 수차량을 평준화하여 모든 채널이 비슷한 성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세 개 이상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상기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보다 자세한 설명 및 그때의 광픽업 및 제어신호 생성부의 변형예의 도시는 생략한다.
여기서는,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가 비교/판단부(57)를 거쳐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1)로 입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가 비교/판단부(57)를 거치지 않고,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로부터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1)로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와 가장 큰 레벨 차이를 보이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크기 평균을 구하는 것은 예를 들어,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1)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1)에서 얻어진 제어신호는 대물렌즈 드라이버(35)에 인가되어, 대물렌즈(31)의 포커싱 제어를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5)는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로부터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5)에서 얻어진 제어신호는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25)에 인가된다.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65)는 제1 및 제2광 중 포커스 에러신호가 가장 먼저 발생하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을 때, 이 기준광에 대해 검출되는 합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구면수차 보상부(20)의 보상 렌즈(21)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는, 다음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원 간의 광축 거리 차나 광원간 파장 차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멀티 채널 광픽업(10)의 채널 간 광 스폿의 수차 차이로 인한 기록 재생 성능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광축 조정 공차를 늘릴 수 있다.
도 4는 2개의 광원 간 광축 거리 차이가 40μm 일 때의 포커스 에러 신호(FES)를 계산한 결과를 보여준다.
광원 간 광축 거리 차가 발생함으로 인해 광디스크(1) 상에 맺히는 두 광스폿이 이 생성하는 포커스 에러신호 예컨대, 도 3의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55)(53)에서 얻어지는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동시에 발생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생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포커스 에러신호(FES1)의 제로 지점에서 포커스 서보를 걸게 되면,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2)를 만드는 광스폿은 수백 nm의 디포커스된 상태에서 신호를 기록/재생하게 되어, 기록/재생 성능이 열화 되게 된다. 반대로 제2 포커스 에러신호(FES2)의 제로 지점에서 포커스 서보를 걸게 되면 제1포커스 에러신호(FES1)을 만드는 광스폿은 같은 방식으로 수백 nm의 디포커스가 발생하게 되어, 성능 열화를 겪게 된다.
따라서, 광원 간에 광축 거리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한쪽 광원을 기준으로 포커스 서보를 걸게 되면 다른 쪽 광원을 이용한 기록/재생 성능은 필연적으로 열화를 겪게 된다.
비록 한쪽 광스폿의 수차가 최소화되어 좋은 성능을 보인다 하더라도 반대 쪽 광스폿의 성능이 열화 되면 멀티 채널 광픽업(10)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는, 수차가 최소화된 광스폿의 수차와 기록/재생 성능에 열화가 발생하는 광스폿의 수차를 평준화하여 모든 광스폿이 비슷한 기록/재생 성능을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는, 포커스 서보 동작을 한쪽 광스폿에 대한 포커스 에러신호 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 광스폿 모두에 대한 포커스 에러신호를 이용한다.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제1포커스 에러신호(FES1)의 제로(zero) 지점을 A라고 하고, 그 지점에서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2)의 크기를 B라고 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는 포커스 서보를 A와 B의 평균 지점인 (A+B)/2 지점에 거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광원의 광스폿이 광디스크(1) 상에서 비슷한 디포커스 양과 그에 따른 비슷한 수차량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광디스크(1)에 맺히는 광스폿의 수차가 비슷해지면 멀티 채널의 기록/재생 성능도 비슷해지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의 구면 수차 보상부(20)는 그 보상 렌즈(21)를 포커스 서보가 걸린 상태에서 광축 방향으로 앞뒤로 그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광디스크(1) 상의 광스폿의 구면 수차량을 조금씩 변화시킴으로써 최적의 정보 재생 신호(RF) 출력과 지터(jitter)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단일 채널(single channel)의 경우 포커스 서보가 걸린 상태에서 정보 재생신호(RF 신호)가 최적화되도록 구면 수차 보상 기구를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멀티 채널 광픽업(10)의 경우에도 포커스 서보가 걸린 상태에서 구면 수차 보상용 보상 렌즈(21)를 움직여서 RF 신호가 최적이 되도록 만드는 동작을 한다. 이 경우에도, 포커스 서보는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의 평균 지점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광축 거리 차나 파장 차에 의해 생기는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의 어긋남은 구면수차 보상용 보상 렌즈(21)를 움직인다 하더라도 그 간격은 줄어들지 않고 시간 축 상에서 동반 시프트(shift) 되기 때문에, 두 광스폿의 수차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포커스 서보가 두 포커스 에러신호의 평균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광픽업(10)에 2개의 광원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서보 개념은 광원이 2개 이상인 경우에서도 광원 수와 그 개수를 같이 하는 수광부를 구비한 광픽업으로도 확대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여러 광원에서 출사되어 광디스크(1)에 조사되는 광에 대해 발생하는 여러 개의 포커스 에러신호 중 시간 축 상에서 서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두 개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여 두 포커스 에러신호의 평균점에서 포커스 서보를 걸면 된다.
한편, 도 3에서 제1 및 제2광원(11)(13)은 각각 하나의 발광점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광원(11)(13) 각각이 여러 발광점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일 수도 있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를 쓸 경우 발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당 제한된 발광점을 갖도록 하여야 하는데, 요구되는 채널 수가 발광점 수 보다 많아질 경우 2개 이상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로 나누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는 이러한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도 3과 비교할 때, 제1 및 제2광원(11)(13)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의 광경로가 합쳐지기 전 단계에서 구면수차 보상부(70)를 더 배치시키고, 이 구면수차 보상부(70) 구동에 사용되는 구면 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 신호 발생기(80)를 더 구비한 점에 그 차이가 있다. 상기 구면수차 보상부(70)도 구면수차 보상 렌즈(71)와 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75)를 구비한다.
도 5에서와 같은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에 따르면, 도 3에서의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 설명된 동작을 거치기 전에, 추가적인 구면수차 보상부(70)의 보상 렌즈(71)를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제1 및 제2광원(11)(13)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에 대해 생성되는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를 일치시킬 수 있다.
구면수차 보상부(70)를 조정하여 제1 및 제2광원(11)(13)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1b)이 만드는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를 일치시킨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제1 및 제2광원(11)(13)으로부터 출사된 제1 및 제2광(11a)(13a)에 대한 수차를 보다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에서의 제1 및 제2광원(11)(13)도 각각 하나의 발광점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이거나, 여러 발광점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광원(11)(13)은 서로 직교하는 편광의 제1 및 제2광(11a)(13a)을 출사하도록 마련되고, 광로 결합기(15)로 제1광(11a)은 반사시키고 제2광(13a)은 투과시키도록 된 편광빔스프리터를 구비한다. 또한, 추가적인 구면 수차 보상부(90)를 제1 및 제2광(11a)(11b)이 결합된 후 즉, 광로 결합기(15)와 광로변환기(17)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액정 렌즈(91)와 이를 구동하는 전원(95)으로 구성한다. 상기 액정 렌즈(91)는 편광소자로서 작용하 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제1광(11a)에 대해 반응할 때는 제2광(13a)에 대해 반응하지 않고, 반대로 제2광(13a)에 대해 반응할 때는 제1광(11a)에 대해 반응하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은 액정 렌즈(91)에 입사된 광빔이 배율을 갖지 않고 일반 유리판을 통과하듯이 수렴이나 발산 동작을 하지 않고 투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액정 렌즈(91)는 고정된 입력 전압 V에서 일정한 배율을 가지도록 설계되며, 입력 전압이 바뀌면서 액정 렌즈(91) 내의 굴절률이 변환됨으로써 배율이 바뀌는 특징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광(11a)(13a)에 대한 포커스 에러신호를 일치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광(11a)(13a)의 광경로를 합치기에 앞서 구면수차 보상부(70)를 사용했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면수차 보상부(70) 역할을 액정 렌즈(91)가 입력전압 V를 변화시킴에 따라 하게 된다. 액정 렌즈(91)의 전압을 적절히 조정하여 제1 및 제2광(11a)(13a)에 대한 제1 및 제2포커스 에러신호(FES1)(FES2)를 일치시킨 후 도 5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제1 및 제2광(11a)(13a)에 대한 수차를 더욱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광원(11)(13)은 각각 하나의 발광점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일 수 있고, 각각 여러 개의 광원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에 따르면, 광디스크(1)에 형성되는 여러 개의 초점이 최적 또는 비슷한 수차 성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각 채널의 지터 성능 차이가 2%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면수차 보상부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대물렌즈의 작동 거리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BD용 광픽업 광학계에서 디포커스(defocus) 증가에 따른 파면 수차 증가와 그에 따른 지터(jitter) 열화를 계산한 것이다.
도 2는 광원 간의 거리 차가 발생할 때 디스크에 맺히는 광 스폿의 수차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4는 2개의 광원 간 광축 거리 차이가 40μm 일 때의 포커스 에러 신호(FES)를 계산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Claims (20)

  1.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정보저장매체의 복수 트랙에 복수의 광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하도록 된 광픽업과;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광원간 파장 차이나 광축 상 거리 차이 또는 광원 간의 간격으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시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광 중 포커스 에러신호가 가장 먼저 발생하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고, 이 기준광이 만드는 포커스 에러신호 크기의 제로 점과 다른 광들이 만들어 내는 포커스 에러신호들 중 가장 큰 레벨 차이를 보이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시킨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상기 복수의 광을 집속하여 상기 광디스크에 조사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구동하는 제1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물렌즈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포커싱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와, 이 보상 렌즈를 구동하는 제2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제1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합신호 검출부와;
    상기 제1구면수차 보상부의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합신호 중 가장 먼저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로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는 상기 기준광에 대해 검출되는 합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와, 이 보상 렌즈를 구동하는 제2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제1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포커스 에러신호 검출부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합신호 검출부와;
    상기 제1구면수차 보상부의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합신호 중 가장 먼저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드라이버 제어신호 발생기로 입력시키는 비교/판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는 상기 기준광에 대해 검출되는 합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 및 제2광을 각각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이며,
    상기 광픽업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를 결합시키는 광로 결합기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가 결합되기 전에 제1 또는 제2광의 경로 상에 제2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서로 직교하는 편광의 제1 및 제2광을 각각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이며,
    상기 광픽업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를 결합시키는 편광빔스프리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제1 및 제2광원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광의 경로가 결합된 광로 상에 제2구면수차 보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구면수차 보상부는, 편광소자로서 동작하도록 된 액정 렌즈와;
    상기 액정 렌즈를 구동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 장치.
  13.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복수의 광을 정보저장매체의 복수 트랙에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원간 파장 차이가 광축 상 거리 차이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대물렌즈를 구동하여 포커싱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중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와 나머지 포커스 에러신호들 중 가장 큰 레벨 차이를 보이는 포커스 에러신호의 크기의 평균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디포커스를 포커스 서보 신호에 인가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중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고, 이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이용하여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 키는 단계와;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는 상기 기준광에 대해 검출되는 합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18.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복수의 광을 정보저장매체의 복수 트랙에 조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을 검출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원간 파장 차이가 광축 상 거리 차이로 인해 생기는 수차를 평준화하여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보상 렌즈를 구동하여 구면수차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된 복수의 광에 대한 복수의 합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포커스 에러신호 중 가장 먼저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신호를 발 생시키는 광을 기준광으로 삼고, 이 기준광에 대한 합신호를 이용하여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면수차 보상용 제어 신호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렌즈의 위치는 상기 기준광에 대해 검출되는 합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장치 제어 방법.
KR1020070092818A 2007-09-12 2007-09-12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27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18A KR20090027533A (ko) 2007-09-12 2007-09-12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037,365 US20090067315A1 (en) 2007-09-12 2008-02-26 Multi-channel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18A KR20090027533A (ko) 2007-09-12 2007-09-12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33A true KR20090027533A (ko) 2009-03-17

Family

ID=4043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818A KR20090027533A (ko) 2007-09-12 2007-09-12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67315A1 (ko)
KR (1) KR200900275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7552B2 (ja) * 2011-03-17 2013-12-25 株式会社東芝 フォーカスサーボ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581A (en) * 1990-08-09 1993-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disks with various disk substrate thicknesses
JP2004014039A (ja) * 2002-06-07 2004-01-15 Toshiba Corp 光ヘッド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7480217B2 (en) * 2003-10-06 2009-0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cking error balance in an optical disk reproducing apparatus
TWI287222B (en) * 2004-11-12 2007-09-2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pickup device
JP2006323907A (ja) * 2005-05-18 2006-11-30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7315A1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870B2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drive
US20110080817A1 (en) Compatible optical pickup an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090274020A1 (en) Optical head unit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7729226B2 (en) Wavefront aberration compensation element,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k apparatus
US20060002276A1 (en) Optical disc apparatus
KR100803592B1 (ko) 호환형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JP4785861B2 (ja) 光ヘッド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70097811A1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apparatus
US20070013984A1 (en) Active compensation device, and compatible optical pickup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active compensation device
KR20090027533A (ko) 멀티 채널 광 기록/재생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80198707A1 (en) Optical pick-up and dis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330201B1 (ko) 광 픽업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7782734B2 (en) Optical pickup which is compatible with multiple types of media
US7760606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047195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10211842A (ja) 光ピックアップ、光学的情報再生装置および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US8004953B2 (en) Optical pick-up and dis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644120B2 (en)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racking control method thereof for use with grooveless multilayer optical disc
KR100717024B1 (ko) 호환형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KR100712896B1 (ko) 구면수차 보상을 위한 광픽업 장치 및 상기 광픽업 장치를이용한 광기록/재생 장치
JP4329566B2 (ja) 収差補償装置及び収差補償方法
US20080285427A1 (en) Optical pick-up and dis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984543B2 (en) Beam controlling method and optical pickup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080031118A1 (en) Combined hologram optical element, compatible optical pickup an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050247855A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