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949A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949A
KR20090026949A KR1020070092056A KR20070092056A KR20090026949A KR 20090026949 A KR20090026949 A KR 20090026949A KR 1020070092056 A KR1020070092056 A KR 1020070092056A KR 20070092056 A KR20070092056 A KR 20070092056A KR 20090026949 A KR20090026949 A KR 2009002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creen
display
screen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609B1 (ko
Inventor
이상현
최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609B1/ko
Priority to US12/207,361 priority patent/US8260373B2/en
Priority to EP08015846A priority patent/EP2040144A1/en
Publication of KR2009002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 상에 별도의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때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예를 들면, 밝기)가 변화되는 시점을 단말기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디스플레이가 행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최근에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일회 충전으로 얼마나 오랫 동안 사용될 수 있는가(즉, 최대사용시간)가 단말기 사용자에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상기 최대 사용 시간은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 자체의 소비전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상기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 을 때 일정 시간 이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더욱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가 고려되어 소비전력 감소를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 조절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대한 가장 나중의 조작 시점(이후 "최후 조작 시점")부터, 상기 조작부에 대한 무조작으로 인해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태 유지가 종료되는 시점(이하 "화면 상태 유지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이하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상기 조작부를 통한 소정 명령 입력에 의해 일회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소정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명령에 의해 일시적으로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가장 나중의 조작이 행해지는 단계, 및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 상에 별도의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때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예를 들면, 밝기)가 변화되는 시점을 단말기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가 변화되는 시점을 일시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터치 잠금 상태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가 변화되는 시점을 일시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방송수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폰, PMP(Portable Multimedial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본 발명이 모바일통신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생략되거나,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 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 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단자, USB(Universial Serial Bus) 연결단자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각종 신호(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포함)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종 신호(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영상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사전 설정될 수 있는 일정 밝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휴대단말기 상에서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이벤트(예를 들면,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조작부 조작 등)이 없는 경우에는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 상기 일정 밝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나중에 설명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의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조작 잠금 기능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기 터치패치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 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작부(130)에서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60)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내장 또는 외장의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어부(180)과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 1 바디(100A)와, 제 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100A)가 제 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 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 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 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조작부(130-1)는 본 발명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 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조작부(130-1, 130-2, 130-3)는 도 1의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고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제 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제 3 조작부(130-3)는 사이드키의 형태로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 2 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모듈(121-2)은 제 1 카메라모듈(121-1, 도 2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 2 카메라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 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 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 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 1 음향출력부(152-1,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 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 1 바디(100A)와 제 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 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 1 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 및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대해 실시예 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상기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한정되어 구현될 수 있는 아니고, 예컨대 키패드와 같은 조작부에서의 키 조작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제 1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5의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을 통해 임의의 기능을 수행 중에 있다고 가정하자. 도 5의 (5-1)에서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 중에 있는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본 발명이 수신된 메시지 확인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일정 밝기로 온(ON)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S41].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충분히 숙지하고 있으리라 판단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메시지 확인 기능을 위한 상기 조작부(130)를 통한 일련의 조작 행위 중 가장 나중의 조작 행위(이하 "최후 조작") 의 시점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 상의 이벤트 발생(이하, 상기 이벤트 발생이 조작부의 조작 행위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함) 없이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지거나 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최대한 절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그런데, 상기 소비 전력 절감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변화는 별도의 사전 고지 없이 순간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차마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다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조작해야 하는데, 이는 단말기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그렇다고 해서, 상기 최후 조작의 시점으로부터 너무 긴 시간이 지나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변하도록 사전설정된다면,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은 상기 사전 설정 이후의 모든 경우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이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소비 전력의 감소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조작부(130)를 통한 최후 조작의 시점으로부터 제 1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면 15초가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하 상기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을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도 5의 (5-1)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최후 조작의 시점 이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가 변하는 시점까지 남은 시간(이하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제 2 사전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 이내가 되면, 도 5의 (5-2) 및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한다[S42(예), S43]. 이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제 2 사전 설정된 시간 이내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가 변함을 미리 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 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은 제 1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복귀된다.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제로가 될 때까지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 5의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진다[S44(아니오), S45, S46].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진 다음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100) 상에 제 3 사전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초) 내에 별도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 5의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꺼져서 오프 상태로 된다[S47].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제로가 될 때까지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별도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도 5의 (5-4)의 화면이 어두워지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도 5의 (5-5)의 화면이 꺼지는 단계로 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제 3 사전 설정된 시간이 제로인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도 5의 (5-2) 또는 (5-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화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살펴본다.
단말기 사용자가 도 5의 (5-2) 또는 (5-3)의 디스플레이 화면(200)에서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표시되는 아이콘(210)을 터치한다. 그러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은 도 5의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30초로 증가된다[S44(예)]. 상기 아이콘(210)의 터치 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일정 시간만큼 증가(예를 들면 1회 터치 당 5초 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아이콘(210)의 터치 지속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일정 시간만큼 증가(예를 들면 0.5초 터치 지속 시간 당 5초 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콘(210)을 통한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은 도 5의 (5-1)의 상태로 돌아가거나, 도 5의 (5-6)의 화면 상태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감소되는 것을 계속 보여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상기 제 1 사전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면, 15초)보다 더 긴 시간인 30초 동안으로 증가된다. 그러나, 상기 증가된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은 일회성이다. 따라서, 상기 증가된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 변환이 행해지거나, 상기 증가된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 간이 계산되는 도중에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은 제 1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회귀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아이콘(210) 내에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아이콘(210)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과는 별도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아이콘(210) 대신에,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조작부(예를 들면 전술한 제 2 조작부 및 제 3 조작부) 상의 임의 키버튼이 사용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아이콘을 여러 번 또는 지속적으로 터치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도 6을 더욱 참조하면서 살펴본다.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에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 다음,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제 2 사전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면, 5초) 이내가 되면,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바 게이지(bar gauge)(22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바 게이지(220)의 일단을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로 터치하면,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소정 형상(225)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된 포인터를 일방향으로 드래그 하면,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래그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증가된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의 터치를 해제하면, 도 6의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도 6의 (6-5)의 도시된 바 게이지(220)은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상기 제 2 사전설정된 시간 내로 될 때까지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제 1, 제 2, 및 제 3 시간간격들은 서로 같은 값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일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면 상태의 유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라 화면 밝기가 꺼지지는 않더라도 어두워지기만 하면 상기 화면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상기 화면 상태의 유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화면 밝기가 어두워지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고 상기 화면이 꺼져서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 비로소 상기 화면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변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 2 실시예로서 살펴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먼저,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 중에 있다고 가정하자.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일정 밝기로 온(ON)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S71].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최후 조작 시점으로부터 제 4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진 시점으로부터 제 5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져서 오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제 4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 및 제 5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의 합으로 볼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8의 (8-1)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최후 조작의 시점 이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지는 시점까지 남은 시간(이하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제 6 사전 설정된 시간 이내가 되면, 도 8의 (8-3) 또는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도 8의 (8-1), (8-2), 및 (8-4)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 전환 구성은, 시간이 흘러서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진 다음에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표시되기 시작되는 경우에 따른 것이다. 즉, 제 6 사전 설정된 시간이 제 5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보다 짧은 경우를 나타낸다[S72(예), S73].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록 도 7의 순서도에는 나타나지 않 았지만 도 8의 (8-1), (8-3), 및 (8-4)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 전환 구성도 고려될 수 있다. 즉, 시간이 흘러서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지기 이전에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표시되기 시작되는 경우에 따른 것이다.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의 표시에 대해서는 이미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제로가 될 때까지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 8의 (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꺼져서 오프 상태로 된다[S75(아니오), S76, S77].
한편, 도 8의 (8-2) 또는 (8-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의 아이콘(210)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화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S75(예)]. 이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 3 실시예
전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일정 시간 간격 만큼으로 지정하여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단말기 사용자에게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별도의 시간 간격을 지정함 없이 별도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무제한적으로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필요가 오히려 편할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제 3 실시예로서 살펴본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먼저,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 중에 있다고 가정하자.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일정 밝기로 온(ON)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S91].
그 다음,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사전설정된 시간 이내가 되면,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한다[S92(예), S93].
이 때,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표시되는 아이콘(210)을 터치하면, 도 10의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210)에서 예컨대 "ON" 표시가 나타나면서, 별도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기(210)에 발생할 때까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가 유지된다[S94(예), S95].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 내에 상기 아이콘(210)을 터치하지 않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이 어두워지거나 꺼지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S94(아니오), S96].
제 4 실시예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먼저,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 중에 있다고 가정하자. 상기 수신된 메시지는, 일정 밝기로 온(ON)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S111].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었다고 가정하자[S112]. 그러면, 도 12의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상기 터치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30)가 표시된다.
상기 터치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터치가 행해지더라도 상기 터치는 유효한 터치로 인식되지 않는다.
그 다음,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사전설정된 시간 이내가 되면, 도 12의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아이콘(210)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한다[S113].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상기 아이콘(210)만은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114].
즉, 비록 상기 터치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도 12의 (12-3)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의 아이콘(210)을 터치함으로써, 도 12의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화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의 일시적 증가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는 상기 화상 상태 유지 시간 간격 조절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터치 패드 또는 키패드 상에서도 행해질 수 있도록 변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Claims (13)

  1.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대한 가장 나중의 조작 시점(이후 "최후 조작 시점")부터, 상기 조작부에 대한 무조작으로 인해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상태 유지가 종료되는 시점(이하 "화면 상태 유지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이하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상기 조작부를 통한 소정 명령 입력에 의해 일회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한 상기 소정 명령이 입력되는 횟수 및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례하여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소정 영역에 포인터가 터치된 후 상기 터치된 포인터가 드래그되는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의 종료 시점까지 남은 시간(이하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내일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종료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밝기가 좀더 어두운 밝기로 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종료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꺼져서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배치되는 터치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터치 패드가 일체로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소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입력 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조작 잠금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및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사전 설정된 시간 이내일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12.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소정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화면 상태 유지 시간 간격이 상기 소정 명령에 의해 일시적으로 조절되는 단 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가장 나중의 조작이 행해지는 단계; 및
    화면 상태 유지 잔여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70092056A 2007-09-11 2007-09-11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4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56A KR101414609B1 (ko) 2007-09-11 2007-09-11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207,361 US8260373B2 (en) 2007-09-11 2008-09-09 Mobile terminal with variable display control
EP08015846A EP2040144A1 (en) 2007-09-11 2008-09-09 Mobile terminal with variable display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56A KR101414609B1 (ko) 2007-09-11 2007-09-11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949A true KR20090026949A (ko) 2009-03-16
KR101414609B1 KR101414609B1 (ko) 2014-07-03

Family

ID=4004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056A KR101414609B1 (ko) 2007-09-11 2007-09-11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60373B2 (ko)
EP (1) EP2040144A1 (ko)
KR (1) KR1014146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85B1 (ko) * 2009-06-1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124202A (ko) * 2011-05-03 2012-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14462B2 (en) 2009-04-14 2014-12-1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04237B1 (ko) * 2013-11-15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6504A (ko) * 2015-03-02 2015-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1692A (ko) * 2014-01-06 2015-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22080636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01367A (en) * 2008-06-27 2010-01-01 E Ten Information Sys Co Lt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226787B1 (en) * 2009-03-03 2016-1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KR101620465B1 (ko) * 2009-08-14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조명 제어 방법
JP5355466B2 (ja) * 2010-03-25 2013-11-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1642725B1 (ko) *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493316B2 (en) * 2010-04-22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Adjusting backlight intensity based on a progress of a task
US20120001748A1 (en) * 2010-06-30 2012-01-05 Norman Ladouceur Methods and apparatus for visually sup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20050152A1 (en) * 2010-08-30 2012-03-0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daptiv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on a display
US9606677B2 (en) * 2010-12-27 2017-03-28 Nec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 backlight,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a backlight of a display device and program of same
KR101789625B1 (ko) *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86567B2 (en) * 2011-06-24 2018-02-06 Facebook, Inc. Display dynamic contents on locked screens
WO2013051259A1 (ja) 2011-10-07 2013-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KR101460179B1 (ko) * 2012-11-28 2014-11-1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임시 결제카드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JP5813030B2 (ja) * 2013-03-22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
US9817462B2 (en) * 2014-08-15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centralized architecture for dynamic resource management
US20170256031A1 (en) * 2014-09-16 2017-09-07 Nec Corporation Method of enlarging content in divided scre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102796B2 (en) * 2017-03-13 2018-10-16 Dell Products, L.P. Image sticking avoidance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CN112867119B (zh) * 2021-02-04 2024-03-1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终端的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1750A (ja) * 1996-03-26 1997-10-03 Aiwa Co Ltd 携帯用端末装置
KR100306275B1 (ko) * 1996-12-23 2001-11-02 윤종용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에서시계기능을이용한빽라이트제어방법
JPH10224289A (ja) * 1997-02-07 1998-08-2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無線装置
KR20010020016A (ko) * 1999-08-31 2001-03-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검출장치 및 방법
US6944480B2 (en) * 2001-04-27 2005-09-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display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media therefor
KR100438539B1 (ko) * 2001-08-02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보호기 구동 방법
US6816977B2 (en) * 2001-12-03 2004-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reduction in computing devices using micro-sleep intervals
JP2004251719A (ja) * 2003-02-19 2004-09-09 Seiko Instruments Inc 携帯型電子機器
JP4395614B2 (ja) 2003-03-28 2010-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53219B2 (en) * 2003-06-27 2008-11-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f a display in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221964B2 (en) * 2004-02-27 2007-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LCD backlight duration proportional to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LCD display screen
EP1569423A1 (en) * 2004-02-27 2005-08-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LCD backlight duration proportional to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LCD display screen
KR100678160B1 (ko) * 2004-10-0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06054B1 (ko) * 2005-01-04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소모 전류 감소 장치 및 방법
KR20060091969A (ko) * 2005-02-16 200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표시부 밝기 제어방법
US7223007B1 (en) * 2005-12-14 2007-05-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backlighting a plurality of displays with a common light sourc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3820B2 (en) 2009-04-14 2016-08-09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914462B2 (en) 2009-04-14 2014-12-1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792028B2 (en) 2009-04-14 2017-10-17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753629B2 (en) 2009-04-14 2017-09-0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56028B2 (en) 2009-04-14 2016-09-27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019485B1 (ko) * 2009-06-17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124202A (ko) * 2011-05-03 2012-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04237B1 (ko) * 2013-11-15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74741B2 (en) 2013-11-15 2016-03-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52217B2 (en) 2013-11-15 2018-12-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ndicating lapse of time associated with a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1692A (ko) * 2014-01-06 2015-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56504A (ko) * 2015-03-02 2015-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080636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609B1 (ko) 2014-07-03
US8260373B2 (en) 2012-09-04
US20090069056A1 (en) 2009-03-12
EP2040144A1 (en)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694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305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1014157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표시 방법
KR1013864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570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101388152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1048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34872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US871346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843854B2 (en)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793607B2 (en) Method for removing icon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581877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313158A1 (en) Method for editing data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2323358A1 (en) Method for outputting tts voice data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of
EP2284671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0074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526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20090034215A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3761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포인터 제어방법
KR10150468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6422A (ko)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송방법
EP2312814A2 (en) Method for attach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1414607B1 (ko) 휴대 단말기, 그 조작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1576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메뉴 위치 이동 방법
KR10150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