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465A -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465A
KR20090026465A KR1020070091455A KR20070091455A KR20090026465A KR 20090026465 A KR20090026465 A KR 20090026465A KR 1020070091455 A KR1020070091455 A KR 1020070091455A KR 20070091455 A KR20070091455 A KR 20070091455A KR 20090026465 A KR20090026465 A KR 2009002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levator
fixing device
poin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622B1 (ko
Inventor
강호봉
Original Assignee
신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6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에 대한 클램프 및 받침대의 파지접촉이 점접촉 및 선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지 승하강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이 받침대 및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레일의 충격 흡수능력을 증대시켜 승차감이 현저히 향상되며 소음을 줄이고 벽체의 진동발생 및 벽체균열을 방지토록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승강로 내벽 판체에 설정간격으로 취부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레일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일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레일의 베이스 상면에 점접촉하는 높낮이방향 압점이 형성되는 레일파지부와 상기 레일파지부로부터 절곡형성되며 레일의 폭방향 최외곽 선단에 점접촉하는 폭방향 압점이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레일파지부와 높낮이차를 두고 받침대에 볼트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레일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는 레일 베이스의 일측 상면과 폭방향 일측선단의 두 지점에서 레일을 점접촉 압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A RAIL MOUNT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레일에 대한 클램프 및 받침대의 파지접촉이 점접촉 및 선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지 승하강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이 받침대 및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레일의 충격 흡수능력을 증대시켜 승차감이 현저히 향상되며 소음을 줄이고 벽체의 진동발생 및 벽체균열을 방지토록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승강기는 케이지가 승강로 측벽에 수직 설치된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일은 레일 고정장치에 의하여 지지된다.
종래 기술에서의 레일 고정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공간 승강로에 내벽 판체에 취부되는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에 레일(2)의 베이스 양측을 고정하는 클램프(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120)는 레일(2)의 베이스 일측 상면을 압지하는 레일파지부(121)와 받침대(110)에 볼트(130) 고정되는 고정부(125)로 이루어지고, 레일파지부(121)와 고정부(125) 사이를 단차부(123) 가 연결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파지부(121)는 레일의 베이스 상면(2a)에 포개져 면접촉 압착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런데, 승강로를 이루는 건축물의 벽체 내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활도가 고르지 못한 실정인데, 이러한 벽면 및 판체를 따라 설치되는 받침대(110) 및 클램프(120)에 레일이 면접촉 압착되는 구조로 지지됨으로써 레일(2)에도 굴곡이 발생되어 승강기 운행시 충격이 많이 발생되고 승차감을 저하시킨다.
또한, 클램프(120)가 레일을 면접촉 압착하고 있으므로 굴곡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이 받침대(110) 및 승강로 벽체에 그대로 전달되어 소음이 크게 발생되며 벽체에 진동을 일으켜 균열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이 주조물이기 때문에 받침대와 접하는 바닥면의 평활도가 거칠게 되어 있는데 받침대(110)는 전체가 평탄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레일이 불균형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부분의 레일 바닥면을 연마처리하여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에 대한 클램프 및 받침대의 파지접촉이 점접촉 및 선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지 승하강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이 받침대 및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레일의 충격 흡수능력을 증대시켜 승차감이 현저히 향상되며 소음을 줄이고 벽체의 진동발생 및 벽체균열을 방지토록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승강로 내벽 판체에 설정간격으로 취부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레일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일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레일의 베이스 상면에 점접촉하는 높낮이방향 압점이 형성되는 레일파지부와 상기 레일파지부로부터 절곡형성되며 레일의 폭방향 최외곽 선단에 점접촉하는 폭방향 압점이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레일파지부와 높낮이차를 두고 받침대에 볼트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레일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는 레일 베이스의 일측 상면과 폭방향 일측선단의 두 지점에서 레일을 점접촉 압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는 레일에 대한 클램프 및 받침대의 파지접촉이 점접촉 및 선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지 승하강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이 받침대 및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레일의 충격 흡수능력을 증대시켜 승차감이 현저히 향상되며 소음을 줄이고 벽체의 진동발생 및 벽체균열을 방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1)는 건축물의 승강로 내벽 판체에 설정간격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 및 상기 받침대(10)에 레일(2)을 고정하기 위해 레일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클램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일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레일의 베이스 상면(2a)에 점접촉하는 높낮이방향 압점(21a)이 형성되는 레일파지부(21)와 상기 레일파지부(21)로부터 절곡형성되며 레일(2)의 폭방향 최외곽 선단(2b)에 점접촉하는 폭방향 압점(23a)이 형성되는 단차부(23)및 상기 단차부(23)에서 절곡형성되어 레일파지부(21)와 높낮이차를 두고 받침대(10)에 볼트(30) 고정되는 고정부(25)로 이루어져, 레일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는 레일 베이스(2a)의 일측 상면과 폭방향 일측선단의 두 지점에서 레일을 점접촉 압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파지부(21)는 선단부에 하향돌출단(212)이 절곡형성되며, 상기 하향돌출단(21)이 다시 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하향 만곡형성되어 상기 높낮이방향 압점(21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하향돌출단(212) 부분을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하향되고 양측이 올려지는 형태로 만곡형성됨으로써 하향돌출단의 정중앙 1점이 레일에 점접촉되는 높낮이방향 압점(21a)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높낮이방향 압점(21a) 및 폭방향 압점(23a)은 해당 일지점에 반구형 돌출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또한, 상기 단차부(23)에는 레일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단(232)이 절곡형성되며, 상기 측방돌출단(232)이 다시 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레일측으로 향하도록 만곡형성되어 상기 폭방향 압점(23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23)에서도 측방돌출단(232)이 만곡형성됨으로서 측방돌출단의 정중앙 1점이 폭방향 압점(23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20)는 고정부(25)에 볼트(30) 풀림방지를 위하여 볼트공(251) 양측으로 스토퍼(253)가 돌출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10)는 장공(13)이 형성된 클램프고정부(12)를 포함하여 평탄형성되고, 평탄면 중간에 레일접촉부(11)가 돌출형성되며 돌출형성된 레일접촉부는 레일 길이방향으로 볼록 만곡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와 벽체측 판체(3) 사이에 완충패드(50)가 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은 장공, '15'는 와셔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레일(2)을 받침대(10)에 고정하는 클램프(20)가 레일의 베이스 상면과 폭방향 최외곽을 점접촉으로 압지하고 이러한 클램프(20)가 대향 설치됨으로써 레일(2)은 베이스 상면(2a) 양측과 폭방향 양측 최외곽 선단(2b)의 일점이 각각 클램프(20)에 압지되는 한편, 받침대(10)의 레일접촉부(11)가 볼록형성되어 그 중앙선이 레일(2)에 대한 접선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는 레일(2)이 받침대(10)에 의하여 바닥면이 선접촉 지지되고, 양측의 클램프(20)에 의하여 베이스의 양측 상면(2a)과 폭방향 양측 선단(2b)이 점접촉으로 지지가 이루어지면서 레일(2)의 충격흡수능력을 현저히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일(2)에 대한 클램프(20) 및 받침대(10)의 파지접촉이 점접촉 및 선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케이지 승하강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 이 받침대 및 승강로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레일의 충격 흡수능력 증대로 인하여 충격파장이 획기적으로 감소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완충패드(50)가 구비됨으로써 벽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감축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로의 불균일한 벽면 및 이에 설치되는 판체(3)에 의하여 레일에 굴곡이 발생되는 환경에서도 승차감이 현저히 향상되며, 소음 및 벽체의 진동발생을 줄여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켜준다.
또한, 받침대(10)에 레일접촉부(11)가 평탄면 중간에 돌출 및 만곡형성되어 레일에 선접촉됨으로써 레일의 균형지지가 레일 바닥면의 평활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에 따라 레일 바닥면 연마공정이 불필요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종래기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10: 받침대 11: 레일접촉부 20: 클램프
21: 레일파지부 21a: 높낮이방향 압점 212: 하향돌출단
23: 단차부 23a: 폭방향 압점 232: 측방돌출단
25: 고정부 251: 볼트공 253: 스토퍼
30: 볼트 2: 레일

Claims (7)

  1. 건축물의 승강로 내벽 판체에 설정간격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 및 상기 받침대(10)에 레일(2)을 고정하기 위해 레일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클램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일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레일의 베이스 상면(2a)에 점접촉하는 높낮이방향 압점(21a)이 형성되는 레일파지부(21)와 상기 레일파지부(21)로부터 절곡형성되며 레일(2)의 폭방향 최외곽 선단(2b)에 점접촉하는 폭방향 압점(23a)이 형성되는 단차부(23)및 상기 단차부(23)에서 절곡형성되어 레일파지부(21)와 높낮이차를 두고 받침대(10)에 볼트(30) 고정되는 고정부(25)로 이루어져,
    레일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는 레일 베이스(2a)의 일측 상면과 폭방향 일측선단의 두 지점에서 레일을 점접촉 압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파지부(21)는 선단부에 하향돌출단(212)이 절곡형성되며, 상기 하향돌출단(21)이 다시 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하향 만곡형성되어 상기 높낮이방향 압점(21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방향 압점(21a) 및 폭방향 압점(23a)은 해당 일지점에 반구형 돌출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3)에는 레일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단(232)이 절곡형성되며, 상기 측방돌출단(232)이 다시 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레일측으로 향하도록 만곡형성되어 상기 폭방향 압점(23a)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고정부(25)에 볼트(30) 풀림방지를 위하여 볼트공(251) 양측으로 스토퍼(253)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는 장공(13)이 형성된 클램프고정부(12)를 포함하여 평탄형 성되고,
    평탄면 중간에 레일접촉부(11)가 돌출형성되며 돌출형성된 레일접촉부는 레일 길이방향으로 볼록 만곡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와 벽체측 판체(3) 사이에 완충패드(50)가 추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KR1020070091455A 2007-09-10 2007-09-10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KR10094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455A KR100947622B1 (ko) 2007-09-10 2007-09-10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455A KR100947622B1 (ko) 2007-09-10 2007-09-10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65A true KR20090026465A (ko) 2009-03-13
KR100947622B1 KR100947622B1 (ko) 2010-03-12

Family

ID=4069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455A KR100947622B1 (ko) 2007-09-10 2007-09-10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6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750A (zh) * 2015-02-24 2016-08-3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CN106553949A (zh) * 2015-09-29 2017-04-05 S.A.德贝拉(萨贝拉)公司 用于提升引导件的紧固系统
CN106564798A (zh) * 2016-11-11 2017-04-19 上海翔锐紧固件有限公司 一种高速电梯导轨压板
CN107428504A (zh) * 2015-03-26 2017-1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导轨支承装置
KR20230006272A (ko) * 2021-07-02 2023-0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선박의 클램프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6624B (zh) * 2012-03-26 2014-07-02 厦门嘉达环保建造工程有限公司 导轨隔振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692A (en) 1974-07-19 1976-09-28 R. Stahl Aufzuege Gmbh Clamping means for elevator guide rails and the like
KR910008439Y1 (ko) * 1986-04-25 1991-10-18 주식회사 금성사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고정구
KR100448847B1 (ko) * 2002-01-02 2004-09-18 (주)석탑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750A (zh) * 2015-02-24 2016-08-3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CN107428504A (zh) * 2015-03-26 2017-1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导轨支承装置
CN107428504B (zh) * 2015-03-26 2019-03-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导轨支承装置
CN106553949A (zh) * 2015-09-29 2017-04-05 S.A.德贝拉(萨贝拉)公司 用于提升引导件的紧固系统
CN106553949B (zh) * 2015-09-29 2019-08-23 S.A.德贝拉(萨贝拉)公司 用于提升引导件的紧固系统
CN106564798A (zh) * 2016-11-11 2017-04-19 上海翔锐紧固件有限公司 一种高速电梯导轨压板
CN106564798B (zh) * 2016-11-11 2024-02-02 上海翔锐紧固件有限公司 一种高速电梯导轨压板
KR20230006272A (ko) * 2021-07-02 2023-01-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선박의 클램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622B1 (ko) 201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622B1 (ko) 승강기용 레일 고정장치
US5692677A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a railway track rail
JP5554097B2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固定装置
CN108946385B (zh) 一种电梯导轨用轿厢导轨支架
JP6318217B1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及びレールクリップ
JP5934518B2 (ja) タイプレート式レール締結装置
CN200992329Y (zh) 光罩放置装置
CN208577311U (zh) 曳引机安装梁结构
CN213679405U (zh) 电梯对重块的压紧装置
CN109720974B (zh) 一种用于曳引电梯的对重装置
JPWO2018096645A1 (ja) エレベータ装置の釣合い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218465285U (zh) 一种安装于对重架直梁两侧的抗震防脱落装置
KR100860935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5070938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装置
JP200516237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KR100595374B1 (ko) 마루판 받침대
CN213738109U (zh) 一种电梯上梁
CN109826378A (zh) 一种用于护栏立柱玻璃可转角度的免开孔玻璃夹具
CN211998344U (zh) 电梯轿厢导轨支架
CN105645235B (zh) 一种电梯曳引机机架
CN211103635U (zh) 一种光电玻璃的倾斜靠板机构
CN217318553U (zh) 一种预制箱梁防开裂装置
CN211871145U (zh) 一种轻型型钢吊装装置
CN212559026U (zh) 一种电梯轿架结构
CN217478815U (zh) 一种具有减振功能的电梯曳引机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