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287A -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에 효과가 있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에 효과가 있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287A
KR20090026287A KR1020087030746A KR20087030746A KR20090026287A KR 20090026287 A KR20090026287 A KR 20090026287A KR 1020087030746 A KR1020087030746 A KR 1020087030746A KR 20087030746 A KR20087030746 A KR 20087030746A KR 20090026287 A KR20090026287 A KR 20090026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uayacum
disease
alcohol
leuk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209B1 (ko
Inventor
매티아스-하인리히 크레우테르
Original Assignee
막스 젤러 죈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스 젤러 죈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막스 젤러 죈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02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On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AIDS & HIV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야쿰 종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를 유도한다.

Description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에 효과가 있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USE OF EXTRACTS OR EXTRACTANTS OF THE GUAJACUM TYPES, SAID EXTRACTS OR EXTRACTANTS BRINGING ABOUT PHOSPHODIESTERASE-4 INHIB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 물질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phosphodiesterase)-4 억제에 효과가 있다.
구아야쿰 제제의 용도는 예를 들어, 하이델베르크의 Springer publishing company의 HagerROM 2002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서에는 통풍, 류마티즘, 매독 및 상세불명의 피부 질환의 치료와 같은 널리 알려진 응용이 언급되어 있다.
동종요법의 분야에서, 1985년 10월 10일자 독일연방법률공보 190호(Bundesanzeiger no. 190)의 커미션 디(commission D) 준비를 위한 연구보고서에는 동종약물 개념에 따른 적용 분야로서 편도염 및 인후염, 기관지 및 폐의 염증, 류마티즘 및 통풍이 언급되어 있다.
구아야쿰 오피키날레 엘.(Guajacum officinale L.) 및 구아야쿰 생텀 엘.(Guajacum sanctum L.)의 심재로부터 용융 제거(melt out)에 의해 얻어지는 수 지는 약물로서 이용된다. 상기 수지는 HAB 1에 따라 희석액 및 팅크제 원액(mother tincture)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를 제조하는 데 알맞다.
커미션 이(commission E) 대증요법 준비를 위한 연구보고서는 1987년 4월 23일자 독일연방법률공보 76호(Bundesanzeiger 76)에서 공개한 바와 같이 구아야쿰 목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류마티스 질병 상태의 보조 치료가 적용 분야로서 언급되어 있다.
독일출원 제101 31 036호에는 100 g당, 콘두란고 껍질(Condrango bark) 50 g, 구아야쿰 목재 0.60 g, 잎이 있는 민들레 뿌리 0.40 g 및 박하 잎 0.40 g으로 구성되는 알코올 마제레이트(mazerate) 제제(15 부피% 에탄올) 70 g을 포함하는 엘릭시르가 기재되어 있다. 발명자의 견해에 따르면, 이는 주로 HIV에서 바이러스 로드의 감소에 기여하는 콘두란고 껍질의 미확인 성분 및 구아야쿰 목재의 미확인 성분이어야 한다. HIV에서 바이러스 로드를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데이터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상기 출원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발명자들이 어떻게 그러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는지 확인할 길이 없다.
미국특허 제4,774,229호에서, 포유동물의 피부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이 청구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남가새과 군의 식물 추출물과 비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의 신규 혼합물을 사용하여 종양을 국소적으로 치료한다. 더 나아가, 컬럼 5의 2번째 줄 내지 10번째 줄에는 이 혼합물이 뇌 종양, 유방 종양 및 추가 유형의 종양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774,229호의 실시예 1 내지 6으로부터, 식물 재료로부터 페놀 추출물을 먼저 제조하고, 후속적으로 금속 할라이드와 접촉시켜 신규 화합물, 즉, 페놀 화합물과 금속 이온의 착화합물을 생성한다는 사실은 본원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목적하는 용도에 더 적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농도에 따라 매우 세포독성인 안티몬, 카드뮴, 구리 및 아연의 염을 페놀 화합물과의 착화합물로 전환시킨다는 이 발명의 기본 개념은 명백하다.
개발 프로젝트의 내용 중, 구아야쿰의 식물 일부의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는 커미션 E의 논문에 따라 류마티스 질환의 보조 치료에 적합한 것이었다. 이 목적을 위해, 다수의 유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유체 추출물의 제조는 어렵지 않다. 그러나, 얻은 유체 추출물은 표준 절차에 의해 스피섬(spissum) 추출물로 변환시킬 수 없는 데, 이는 농축 시 대량의 침전물 및 타르 유사 침착물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유체 추출물에 대해 말토덱스트린, 만니톨, 락토오스, 트라이칼슘 포스페이트, 카라야 검(gum Karaya) 및 아라비아 검(gum arabicum)과 같은 다양한 부형제의 첨가가 상기 대량의 침전물 및 타르 유사 침착물의 형성을 막지 않았다. 스피섬 추출물의 제조 또는 건조 추출물 중 어느 것도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GMP)에 따른 방식으로 구현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아야쿰 종, 특히 구아야쿰 생텀 엘., 구아야쿰 오피키날레 엘., 구아야쿰 쿨테리 그레이(Guajacum coulteri Gray) 및 구아야쿰 파비포륨 플란치(Guajacum parvifolium Plac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특징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종속항에서 정의된다.
놀랍게도, 얻어지는 알코올 또는 수성 알코올 유체 추출물을 제어(투여) 방식으로 아라비아 검의 수용액에 첨가하고, 진공 증발기에서 제어 방식으로 농축하는 경우, 앞서 말한 농축 동안 대량의 침전물 및 타르 유사 침착물의 형성이 완전하게 예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첨가 및 상기 농축은 이러한 공정 동안 알코올 및 물 농도가 유지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그 결과 아라비아 검 또는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 추출 물질이 침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혀 예상치 못한 효과는 이제 설명될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유체 추출물 내에 용해된 추출 물질에 비해 과량의 아라비아 검이 존재하여야만 하고, 주로 아라비아 검은 저 알코올 함량의 수성 매질 뿐만 아니라 수성 매질에서 준에멀젼(quasi-emulsion) 및 안정한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침착물 또는 상분리가 없으며 건조 추출물로 직접적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추가 농축 단계가 수반되어 전환될 수 있는, 균질한 스피섬 추출물이 얻어진다. 건조 추출물은 스피섬 추출물, 특히 추가의 농축된 스피섬 추출물을 종래의 분무 건조, 벨트 건조 또는 블레이드 건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로부터 제조되는 유체 추출물 및 건조 추출물은 다양한 약물활성 시험관 내 시험 시스템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험에서, 80 % m/m 에탄올로 제조되는 유체 추출물은 사이클로옥시지나아제 I의 적당한 억제제로서 입증되었다. COX1에 대한 IC50 수치는 30 ㎍/㎖이었다. 인간 백혈구 엘라스타아제 HLE는 60 ㎍/㎖에서 50%만큼 억제되었다. 인간 대식세포로부터의 인터루킨 1-β의 방출은 45 ㎍/㎖에서 50%만큼 억제되었다. 인터루킨 6의 방출은 7 ㎍/㎖에서 50%만큼 억제되었다. 종양 괴사 인자 α의 방출이 7 ㎍/㎖에서 50%만큼 억제되었다.
흥미롭게도, 이 유체 추출물 및 얻어지는 이의 건조 추출물 모두는 상기 테스트 시스템보다 현저히 더 낮은 농도에서 5-리폭시지나아제 테스트 시스템을 기초로 하는 과립구에서 류코트리엔 합성을 억제한다. 0.5 ㎍/㎖의 IC50 수치를 얻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은 약리학적 시험관 내 테스트 시스템에서 0.2 ㎍/㎖의 IC50 수치로 인간 포스포디에스터라제-4(약어 PDE4)를 억제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때문에, 포스포디에스터라제 중 하나에 대해 특이성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인간 포스포디에스터라제-5(약어 PDE5)의 약리학적 시험관 내 테스트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을 추가 분석하였다. 1.5 ㎍/㎖의 IC50 수치로 억제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추출물의 억제 효과에 있어서 이러한 현저한 강도 차이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4에 대한 추출물의 명백한 특이성의 결과를 이끌어 낸다.
따라서,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이 포스포디에스터라제-4를 억제하고, 명백하게 포스포디에스터라제-4를 억제하는 1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언급된 다른 약리학적 시험관 내 테스트 시스템과 비교할 때, 이러한 억제는 상당하게 낮은 IC50 수치에서 일어난다.
합성 PDE4 억제제, 예를 들어 롤리프람(Rolipram)을 사용하여 얻은 본 약리학적 및 임상적 보고서를 고려할 때, 포스포디에스터라제-4의 억제는 다수의 일부 심각한 질병의 치료와 중대한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 명백해진다. 이러한 점에서, 문헌 [M. D. Houslay, P. Schafer and K.Y.J Zhang, Drug Discovery Today, vol. 10, no. 22, November 2005, pages 1503-1509]의 해설 논문이 주목된다. 이 논문에는 1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활성 물질이 기재되어 있을 뿐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약 1 mm 내지 약 2 mm의 절단 크기의 구아야쿰 생텀 엘. 및 저 함량의 변재를 갖는 심재 6.5 ㎏을 에탄올 80 중량부와 물 20 중량부의 혼합물로 2시간에 걸쳐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약물 대 추출제 혼합물의 중량 비는 1:7 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된 약물은 층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다.
증발기에서, 아라비아 검 300 g을 3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물 1.7 ㎏에 용해시켜 15 % m/m의 아라비아 검 용액을 얻었다. 먼저 이 아라비아 검의 용액에 얻은 유체 추출물 1.2 ㎏을 첨가하였고, 진공(300 mbar 내지20 mbar) 및 고온에서 농축을 개시하였다. 증류 시작 후 바로 유체 추출물의 나머지 부분을 연속적으로 제어(투여) 방식으로 유체 추출물의 전량이 오그라들고, 농축될 때까지 증발기 내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농축 동안, 15 내지 35 % m/m의 에탄올의 농도는, 얻은 스피섬 추출물의 건조 물질 함량이 30 내지 40 % m/m이 될 때까지 유체 추출물 또는 필요한 경우, 물을 제어 첨가함으로써 유지하였다.
스피섬 추출물의 제조 동안 농축된 혼합물의 균질성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스피섬 추출물은 연한 갈색이었고, 자유 유동하였고, 균일한 밀도(consistency)를 가졌다.
이러한 스피섬 추출물은 건조 물질의 함량이 45 % 내지 55 %가 될 때까지, 고온(40℃ 내지 55℃) 및 진공(300 mbar to 20 mbar)에서 추가 농축하였다. 추가 농축된 스피섬 추출물(50%의 건조 물질 함량을 포함하는 2 ㎏)은 연한 갈색이고, 중 유동(thick-flowing) 하였고, 균일한 밀도를 가졌다. 이러한 추가 농축된 스피섬 추출물을 150 mbar 내지 10 mbar의 압력 및 40℃ 내지 55℃의 온도에서 건조기 내 진공 건조하였다. 아라비아 검 부형제 함량이 30 % m/m인 연한 갈색 건조 추출물 1 ㎏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얻은 건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인용된 문헌에 따라 PDE4 분석을 수행하였다:
- U937 세포로부터 PDE4를 단리하는 방법:
문헌 [Torphy T.J., Zhou H.L., Cieslinski L.B. (1992), "Stimulation of beta adrenoreceptors in a human monocye cell line (U937) up-regulates cyclic AMP-specific phosphodiesterase activity", J. Pharamcol. Exp. Ther. 263 (3), pages 1195-1205] 참조
- PDE를 확인하는 방법: PDE4의 경우 - 추적자로서 3H-cAMP
문헌 [Schilling R.J., Morgan D.R. and Kilpatrick B.F. (1994) "A high throughput assay for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Anal. Biochem. 216, pages 154-158] 참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을 90 % v/v의 에탄올에 용해시켰고, 테스트 시스템에서 1 % v/v의 에탄올 최대 농도가 얻어지도록 희석시켰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해된 추출물의 억제 활성은 부형제가 없는 추출물을 기준으로 계산된 하기 농도에서 분석하였다:
농도 [㎍/㎖] 억제 활성 [%]
0.1 39
0.3 58
1.0 78
3.0 90
10.0 ≥ 95
분석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의 경우, 0.2 ㎍/㎖의 IC50 수치를 얻었다.
대조 물질로서, 롤리프람, PDE4 특이 억제제의 억제 활성은 비교용으로 하기 농도에서 분석하였다.
농도 [㎍/㎖] 억제 활성 [%]
0.01 6
0.1 24
1.0 56
10.0 66
100.0 79
분석된 대조 물질 롤리프람의 경우, 0.8 ㎍/㎖의 IC50 수치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얻은 건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인용된 문헌에 따라 PDE5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E5를 단리하는 방법:
문헌 [Mullershausen F., Friebe A., Feil R., Thompson W.J., Hofmann F., Koesling D. (2003) "Direct activation of PDE5 by cGMP: long-term effects within NO/cGMP signalling", J. of Cell Biology 160: (5), pages 719-727] 참조
- PDE를 확인하는 방법: PDE5의 경우 - 추적자로서 3H-cGMP
문헌 [Schilling R.J., Morgan D.R. and Kilpatrick B.F. (1994) "A high throughput assay for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Anal. Biochem. 216, pages 154-158] 참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을 90 % v/v의 에탄올에 용해시켰고, 테 스트 시스템에서 1 % v/v의 에탄올 최대 농도가 얻어지도록 희석시켰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해된 추출물의 억제 활성은 부형제가 없는 추출물을 기준으로 계산된 하기 농도에서 분석하였다:
농도 [㎍/㎖] 억제 활성 [%]
0.1 5
0.3 26
1.0 48
3.0 69
10.0 86
분석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의 경우, 1.5 ㎍/㎖의 IC50 수치를 얻었다.
대조 물질로서, 실데나필, PDE5 특이적 억제제의 억제 활성은 비교용으로 하기 농도에서 분석하였다.
농도 [nM] 억제 활성 [%]
0.001 5
0.1 21
10.0 52
1000.0 74
분석된 대조 물질 실데나필의 경우, 8 nM의 IC50 수치를 얻었다.
실시예 2 및 3에 제시한 결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조 추출물 또는 그 속에 포함된 1 이상의 추출 물질은 질병 치료에 적합하고, 이 경우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가 요구되며, 또한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Claims (17)

  1. 구아야쿰 종, 특히 구아야쿰 생텀 엘.(Guajacum sanctum L.), 구아야쿰 오피키날레 엘.(Guajacum officinale L.), 구아야쿰 쿨테리 그레이(Guajacum coulteri Gray) 및 구아야쿰 파비포륨 플란치(Guajacum parvifolium Planc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식물부가 1 이상의 알코올 또는 1 이상의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로 추출되고, 얻은 유체 추출물은 제어 방식으로 아라비아 검(gum arabic)의 수용액에 첨가하여, 제어 방식으로 농축하고, 상기 첨가 및 상기 농축은, 이러한 공정 동안 알코올 및 물의 농도가 유지되고, 상기 아라비아 검과 상기 식물 추출 물질이 둘다 침전되지 않는 방식으로 실시하고, 이렇게 얻은 스피섬 추출물을 건조하거나 또는 이렇게 얻은 스피섬 추출물을 추가 농축한 다음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의 심재 또는 심재와 변재의 혼합물을 추출하고, 상기 목재는 분쇄 형태 또는 절단 형태, 특히 약 1 mm 내지 약 2 mm의 절단 크기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코올, 특히 에탄올이고, 1 이상의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은 30 내지 90 m/m%의 알코올과 70 내지 10 m/m%의 물,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m/m%의 알코올과 25 내지 15 m/m%의 물로 이루어지고, 에탄올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되는 식물의 중량부당 1 내지 20 중량부, 특히 6 내지 12 중량부의 용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30℃ 내지 50℃의 온도 및 2 내지 4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된 물질의 중량부당 0.2 내지 0.6 중량부, 특히 0.4 중량부의 아라비아 검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내지 30%, 특히 15%의 아라비아 검 수용액이 초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는 동안 15 내지 35 m/m%, 특히 25 m/m%의 농도의 알코올이 존재하고, 이러한 농도는 스피섬 추출물 중 건조 물질의 함량이 30 내지 40 m/m%이 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얻은 스피섬 추출물을 0 내지 10 m/m%, 특히 5 m/m%의 알코올 농도까지 추가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추출물은 스피섬 추출물, 특히 추가 농축된 스피섬 추출물의 분무 건조, 벨트 건조 또는 블레이드 건조에 의해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추출물은 노르디히드로구아야레트산(nordihydroguajaretic acid, 약어 NDGA)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구아야쿰 종, 특히 구아야쿰 생텀 엘., 구아야쿰 오피키날레 엘., 구아야쿰 쿨테리 그레이 및 구아야쿰 파비포륨 플란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 물질은 1 이상의 질환, 특히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기억 장애, 우울증, 유육종증, 점액성 점착증, 다발성 경화증,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T-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B-세포 백혈병, B-세포 림프종, 교모세포종, 별아교세포종 및 레트로바이러스성 감염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포스포디에스터라제-4(약어 PDE4)의 억제에 효과가 있는 용도.
  13. 1 이상의 질환, 특히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기억 장애, 우울증, 유육종증, 점액성 점착증, 다발성 경화증,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T-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B-세포 백혈병, B-세포 림프종, 교모세포종, 별아교세포종 및 레트로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은 건조 추출물의 용도.
  14. 1 이상의 질환, 특히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기억 장애, 우울증, 유육종증, 점액성 점착증, 다발성 경화증,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T-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B-세포 백혈병, B-세포 림프종, 교모세포종, 별아교세포종 및 레트로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구아야쿰 종, 특히 구아야쿰 생텀 엘., 구아야쿰 오피키날레 엘., 구아야쿰 쿨테리 그레이 및 구아야쿰 파비포륨 플란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 물질이 포스포디에스터라제-4(약어 PDE4)의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얻어지는 건조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6. 구아야쿰 종, 특히 구아야쿰 생텀 엘., 구아야쿰 오피키날레 엘., 구아야쿰 쿨테리 그레이 및 구아야쿰 파비포륨 플란치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 물질이 포스포디에스터라제-4,(약어 PDE4)의 억제에 효과가 있고, 1 이상의 질환, 특히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기억 장애, 우울증, 유육종증, 점액성 점착증, 다발성 경화증, 급성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T-세포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B-세포 백혈병, B-세포 림프종, 교모세포종, 별아교세포종 및 레트로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이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얻은 건조 추출물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087030746A 2006-07-05 2007-07-04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에 효과가 있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70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076/06 2006-07-05
CH10762006 2006-07-05
PCT/CH2007/000325 WO2008003185A1 (de) 2006-07-05 2007-07-04 Verwendung von extrakten oder extraktivstoffen aus guajacum arten, wobei diese extrakte oder diese extraktivstoffe eine phosphodiesterase- 4 -hemmung bewirken, und verfahren zu deren gewin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287A true KR20090026287A (ko) 2009-03-12
KR101170209B1 KR101170209B1 (ko) 2012-07-31

Family

ID=3784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746A KR101170209B1 (ko) 2006-07-05 2007-07-04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에 효과가 있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14827B2 (ko)
EP (1) EP2035025A1 (ko)
JP (1) JP2009541366A (ko)
KR (1) KR101170209B1 (ko)
WO (1) WO20080031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886A (ko) * 2009-08-26 2020-09-02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1601B (zh) * 2020-03-16 2021-10-12 南通大学 一种防紫外竹纤维面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4229A (en) * 1982-04-05 1988-09-27 Chemex Pharmaceuticals, Inc. Modification of plant extracts from zygophyllaceae and pharmaceutical use therefor
JPS6393722A (ja) * 1986-09-22 1988-04-25 ブラディミール・バッドマージュ 医薬の処方
JPH07165597A (ja) * 1993-12-07 1995-06-27 Souyaku Gijutsu Kenkyusho:Kk ハマビシ科植物の有機抽出物を含有する抗ウイルス剤
JPH09255551A (ja) * 1996-03-28 1997-09-30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DE10131036A1 (de) * 2001-06-29 2003-06-05 Johann Teubner Elexier gegen HIV
US20030055007A1 (en) * 2001-08-02 2003-03-20 Kazuo Sakuma Antimicrobial ag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886A (ko) * 2009-08-26 2020-09-02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KR20210066030A (ko) * 2009-08-26 2021-06-04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14827B2 (en) 2011-03-29
JP2009541366A (ja) 2009-11-26
US20090142423A1 (en) 2009-06-04
WO2008003185A1 (de) 2008-01-10
EP2035025A1 (de) 2009-03-18
KR101170209B1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utam et al. Rosmarinic acid attenuates inflammation in experimentally induced arthritis in Wistar rats, using Freund’s complete adjuvant
Jung et al. Brazilin isolated from Caesalpinia sappan L. inhibits rheumatoid arthritis activity in a type-II collagen induced arthritis mouse model
US8192768B2 (en) Synergistic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EP1645280B1 (en) Use of angelicae sinensis extracts in the treatment of cancers and method for inhibiting an activity of cancer cells
Kase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diarrhoeal effects of Hange‐Shashin‐To and its active components
Stolarczyk et al. Extracts from Epilobium sp. herbs induce apoptosis in human hormone-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s by activating the mitochondrial pathway
Khalili et al. Effect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Hypericum perforatum L. leaves on ethylene glycol-induced kidney calculi in rats
Mahapatra et al. Antiangiogenic effects and therapeutic targets of Azadirachta indica leaf extract in endothelial cells
Kandeda et al. Ziziphus jujuba (rhamnaceae) alleviates working memory impairment and restores neurochemical alterations in the prefrontal cortex of D-galactose-treated rats
US20170348369A1 (en) Plant Extract and Its Therapeutic Use
Michalska et al. Novel multitarget hybri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Saeedi et al. Evaluation of Asarum europaeum L. rhizome for the biological activities related to Alzheimer’s disease
KR101170209B1 (ko) 포스포디에스터라제-4 억제에 효과가 있는 구아야쿰 종으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추출 물질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3505325A (ja) レトロウイルス感染治療法
Lin et al. Extrac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by hydrodistillation of Boswellia species gum resins for anti-cancer therapy
Cui et al. Natural product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JP2002543125A (ja) リンパ増殖性および自己免疫症状の治療のための、ボスウェリアセラータ(Boswelliaserrata)ゴム樹脂由来ボスウェリン酸の組成物
Sathish et al. Hepatoprotective and Anti Pyretic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 of Butea Monosperma Lam Stem Bark In Wister Rats
CN110693893A (zh) 来自地黄的提取物作为多发性硬化症的治疗剂
DE102006053475A1 (de) Zubereitungen zur Hemmung der Prostaglandin E2 Synthese
Mudawi et al. Evaluation of Anticonvulsant Activity and HPLC–DAD Profiling of Achillea fragrantissima (Gaisoom) Extracts Growing in Saudi Arabia
Yu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af and twig of Tripterygium wilfordii on paw edema in mice
Bhuvaneswar et al. Sophora interrupta Bedd. root-derived flavonoids as prominent antiviral agents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Shine et al. Molecular interaction of naringin and its metabolite naringenin to human liver fibrosis proteins: An In Silico approach
KR20170022348A (ko)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