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426A - 3중 구들 난방구조 - Google Patents

3중 구들 난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426A
KR20090025426A KR1020070090280A KR20070090280A KR20090025426A KR 20090025426 A KR20090025426 A KR 20090025426A KR 1020070090280 A KR1020070090280 A KR 1020070090280A KR 20070090280 A KR20070090280 A KR 20070090280A KR 20090025426 A KR20090025426 A KR 2009002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dol
spheres
heating
triple
copp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083B1 (ko
Inventor
남상도
Original Assignee
남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도 filed Critical 남상도
Priority to KR102007009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며 구들에 의해 데워진 난방수가 동 파이프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방바닥 전체를 고르게 난방하는 한편 동 파이프를 연장 설치하여 별도의 구들을 설치함이 없이 인접 공간을 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 및 난방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3중 구들 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굄돌을 놓고 그 위에 구들을 놓아 난방로인 고래를 형성하고, 상기 구들 위에 동 파이프를 깔고 잡석을 채운 다음 제2구들을 놓고, 상기 제2구들 위에 잡석을 채워 제3구들을 놓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 파이프는 상기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인접 공간을 난방수 만으로 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 공간 측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3중 구들을 통해 축열된 온기가 서서히 방출되고 잡석에 의해 보온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온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들에 의해 데워진 난방수가 동 파이프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방바닥 전체를 고르게 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 파이프를 연장 설치하여 별도의 구들을 설치함이 없이 인접 공간을 난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 및 난방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3중 구들, 동 파이프, 찜질방, 보온 공기층

Description

3중 구들 난방구조{TRIPLE ONDOL HE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3중 구들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온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며 구들에 의해 데워진 난방수가 동 파이프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방바닥 전체를 고르게 난방하는 한편 동 파이프를 연장 설치하여 별도의 구들을 설치함이 없이 인접 공간을 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 및 난방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3중 구들 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축재료로서 황토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옛날 흙집의 개념을 현대 주택문화와 접목시킴으로써 흙집의 주요 기능인 습도조절, 단열보온, 항균방충효과, 공기정화, 각종 독성제거 등의 유익한 점들을 유지하고, 현대주택의 편리성, 견고함과 미적인 수려함을 더한 흙집이 새로운 건강주택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난방법으로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화기(火氣)가 방밑을 지나 방바닥을 난방하는 온돌이 시공되고 있다.
즉, 종래 온돌은 굄돌을 놓고 그 위에 구들을 올려 난방로인 고래를 형성하고, 구들에 황토를 발라 방바닥을 만들고 아궁이에 불을 때어 난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은 구들을 통한 축열에 한계가 있어 보온성이 떨어지고 장시간 난방하는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아궁이로부터 멀어질수록 구들의 전도성이 떨어져 방바닥 전체를 고르게 난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보온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며 구들에 의해 데워진 난방수가 동 파이프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방바닥 전체를 고르게 난방할 수 있도록 한 3중 구들 난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 파이프를 연장 설치하여 별도의 구들을 설치함이 없이 인접 공간을 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 및 난방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3중 구들 난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굄돌을 놓고 그 위에 구들을 놓아 난방로인 고래를 형성하고, 상기 구들 위에 동 파이프를 깔고 잡석을 채운 다음 제2구들을 놓고, 상기 제2구들 위에 잡석을 채워 제3구들을 놓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 파이프는 상기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인접 공간을 난방수만으로 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 공간 측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중 구들을 통해 축열된 온기가 서서히 방출되고 잡석에 의해 보온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온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들에 의해 데워진 난방수가 동 파이프를 따라 순환함으로 써 방바닥 전체를 고르게 난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 파이프를 연장 설치하여 별도의 구들을 설치함이 없이 인접 공간을 난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 및 난방 공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흙집 건축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구들 난방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구들 난방구조의 동 파이프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3중 구들 난방구조는 불을 때 난방하는 주택 또는 찜질방 등에 양호하게 적용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중 난방구조는 굄돌(10)을 놓고 그 위에 구들(11)을 놓아 난방로인 고래(15)를 형성하고, 구들(11) 위에 동 파이프(20)를 깔고 잡석(16)을 채운 다음 제2구들(12)을 놓고, 제2구들(12) 위에 잡석(16)을 채워 제3구들(13)을 놓아 완성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아궁이로부터 불을 때면 화기(火氣)가 고래(15)를 통해 구들(11), 제2구들(12), 제3구들(13)을 통해 축열되고, 온기가 방출됨으로써 난방하게 된다.
특히, 잡석(16)의 불규칙한 형태로 인하여 잡석(16)과 잡석 간에 공극이 형 성되고, 화기에 의해 공기가 가열됨으로써 잡석(16)이 채워진 구들(11)과 제2구들(12) 사이 및 제2구들(12)과 제3구들(13) 사이에 보온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온 공기층에 의해 구들에 축열된 온기가 서서히 방출됨으로써 보온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 파이프(20)에 충전된 물이 구들(11)에 의해 데워지고, 동 파이프(15)를 따라 난방공간을 순환함으로써 구들들(11~13)의 전도성이 떨어지더라도 방바닥 전체를 고르게 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 파이프(20)를 연장 설치할 경우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인접 공간을 난방할 수 있다.
예컨대, 3중 구들이 설치된 방은 화력을 높여 찜질방(방 1)으로 사용하고,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인접 방(방 2)은 동 파이프(20)를 방바닥에 설치하여 보다 낮은 온도로 난방함으로써 수면실이나 휴게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3중 구들이 난방수를 생성하기 위한 보일러 역할을 하며, 인접한 방은 난방수만으로 난방하게 된다.
여기서, 동 파이프(20)는 강제순환방식인 경우 순환펌프가 설치되고, 자연순환방식인 경우 난방수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방 1에서 방 2로 연장형성된 동 파이프의 유입구(A) 측이 유출구(B) 측보다 수 ㎝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중 구들 난방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구들 난방구조의 동 파이프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굄돌
11: 구들
12: 제2구들
13: 제3구들
15: 고래
16: 잡석
20: 동 파이프

Claims (2)

  1. 굄돌을 놓고 그 위에 구들을 놓아 난방로인 고래를 형성하고, 상기 구들 위에 동 파이프를 깔고 잡석을 채운 다음 제2구들을 놓고, 상기 제2구들 위에 잡석을 채워 제3구들을 놓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들 난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 파이프는 상기 구들이 설치되지 않은 인접 공간을 난방수만으로 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 공간 측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구들 난방.
KR1020070090280A 2007-09-06 2007-09-06 3중 구들 난방구조 KR100916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80A KR100916083B1 (ko) 2007-09-06 2007-09-06 3중 구들 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80A KR100916083B1 (ko) 2007-09-06 2007-09-06 3중 구들 난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26A true KR20090025426A (ko) 2009-03-11
KR100916083B1 KR100916083B1 (ko) 2009-09-08

Family

ID=4069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280A KR100916083B1 (ko) 2007-09-06 2007-09-06 3중 구들 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38B1 (ko) * 2011-10-11 2013-04-23 김명환 온돌의 축열 구들의 구조
KR102505786B1 (ko) * 2022-05-10 2023-03-07 (주)계림건축사사무소 온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825B1 (ko) * 1988-08-30 1991-10-02 최영택 전기축열식 전열겹구들 및 그 난방방법
KR200170479Y1 (ko) 1997-04-01 2000-02-01 강신규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이 복합된 이중 난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38B1 (ko) * 2011-10-11 2013-04-23 김명환 온돌의 축열 구들의 구조
KR102505786B1 (ko) * 2022-05-10 2023-03-07 (주)계림건축사사무소 온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083B1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90859A (ja) 一種の赤外線電熱架空発熱床板及び組合せ床板
KR20180106092A (ko) 양면 호환이 가능한 난방용 바닥단열패널 및 그 바닥단열패널을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JP3946634B2 (ja) 地熱利用構造物
US20160245552A1 (en) Building Designs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s
KR102409179B1 (ko) 다중 축열 구들
JP2011149690A (ja) 地中熱交換器埋設構造
KR100916083B1 (ko) 3중 구들 난방구조
JP2010151351A (ja) 地中熱交換器埋設構造
WO2011030241A3 (en) Covering system for heating/cooling rooms and thermo- acoustically insulating vertically enclosed immovable spaces
JP5094637B2 (ja) 建物の暖冷房を備えた給排気装置
KR100496523B1 (ko) 단열 및 방열구조를 가진 사우나실
KR20120019112A (ko) 난방이 필요한 건축물에서의 고른 난방과 지속 난방 시공법
KR20160004071U (ko) 온수 보일러용 조립식 난방 패널 구조체
CN204901928U (zh) 采用空气能的地脚线式供暖散热器
CN204494562U (zh) 超薄毛细管网栅采暖结构
JP4972431B2 (ja) 給湯装置
KR102333412B1 (ko) 친환경 저탄소 통합 배관 시스템
JPS60207841A (ja) 地下室を有する建物の結露防止と暖房の方法
JP5650412B2 (ja) 薪ストーブと蓄熱性基礎構造体による住宅用冷暖房
JP2007100419A (ja) 建築物の保温装置および保温方法
JP3132528U (ja) 建築物
KR200312993Y1 (ko) 사우나실의 단열 및 방열구조
KR20030006771A (ko) 다목적 소형 난방장치
KR200353343Y1 (ko) 히트파이프를 내장한 조립식 난방장치
KR20130009089A (ko) 건축물에 쌓여있는 지열을 이용한 냉방과 난방장치 및 그 설치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