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289A - 콤바인의 기립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289A
KR20090025289A KR1020087031795A KR20087031795A KR20090025289A KR 20090025289 A KR20090025289 A KR 20090025289A KR 1020087031795 A KR1020087031795 A KR 1020087031795A KR 20087031795 A KR20087031795 A KR 20087031795A KR 20090025289 A KR20090025289 A KR 2009002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case
gear
tine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로우 시마다
유우이치 심푸쿠
준지 하야시
쓰요시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694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97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694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97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6941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3302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718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000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718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00054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착탈이 용이하고 사용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는 기립 기어 케이스를 갖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주행기체(1)의 앞 부분에 마련한 예취(刈取) 장치(3)의 앞 부분에 기립 장치(13)를 구비하고, 기립 타인(21a·21b)을 구동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71a·71b)를 기립 케이스(22a·22b)의 상부 후면에 배치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71a·71b)를 전후로 이분된 케이스(71a(b)F·71a(b)B)로 구성하고, 그 전부 케이스(71aF·72bF)에 타인 구동축(46a·46b)을 지지하고, 후부 케이스에 예취 입력축(41)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44a·44b)을 지지하고, 타인 구동축(46a·46b)과 전동축(44a·44b)에 각각 베벨 기어를 고정해 서로 치합(齒合)시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의 기립 장치{COMBINE PULL-UP APPARATUS}
본 발명은 콤바인의 기립 장치의 기술, 보다 자세하게는 타인 구동축 및 전달축을 지지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를 분할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의 주행기체에는, 그 앞 부분에 설치된 예취(刈取) 전처리 장치에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가로폭 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가로 회전형 곡물 줄기(이하, "곡간(穀稈)"이라 함) 기립 케이스를 갖는 곡간 기립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곡간 기립 케이스에는, 그 작용부의 하부로부터 가로 일측 상부에 걸친 외주측부를 외부를 향한 돌출 자세로 회전하는 기립 타인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곡간 기립 장치는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곡간 기립 케이스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립 구동 파이프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와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를 갖는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3-07922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171)는 곡간 기립 케이스(122)의 타인 구동축(146)과, 기립 구동 파이프(139)의 기립 전동축(144)을 타인 구동축(146)에 연결시키는 한 쌍의 베벨 기어(183·182)를 내장하고, 타인 구동축(146) 및 베벨 기어(82·83) 등을 기립 기어 케이스(171)에 조립한 상태로 기립 기어 케이스(171)를 기립 구동 파이프(139)에 조립한 다음, 기립 케이스(172)에 고정한 베어링 보스(173)에 기립 기어 케이스(171)를 조립하였으므로, 베벨 기어(182·183)의 유지 보수나 교환 등의 작업을 행하려면, 기립 기어 케이스(171)와 기립 구동 파이프(139)를 분리할 필요가 있어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했다.
또한, 기립 기어 케이스(171)는 베어링 보스(173)에 대해 인로우 결합하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조립에 지장을 초래하여 조립이 어려웠다. 또한, 우천 작업시 등에서는 결합 틈새로부터 수분이 기어 케이스 내에 침투할 우려가 있다. 또한, 기립 기어 케이스(17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 형상으로 구성되고 각도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변경이 어렵고 베벨 기어도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착탈이 용이하고 사용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는 기립 기어 케이스를 갖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를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주행기체 앞 부분에 마련된 예취 장치의 앞 부분에 기립 장치를 구비하고, 기립 타인을 구동하는 기어를 내장하는 기립 기어 케이스를 기립 케이스 상부 후면에 배치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전후로 이분된 케이스로 구성하고, 그 전부 케이스에 타인 구동축을 지지하고, 후부 케이스에 예취 입력축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을 지지하고, 타인 구동축과 전동축에 각각 베벨 기어를 고정해 치합(齒合)시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주행기체 앞 부분에 마련된 예취 장치의 앞 부분에 기립 장치를 구비하고, 기립 타인을 구동하는 기어를 내장하는 기립 기어 케이스를 기립 케이스 상부 후면에 배치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 전부 내에 타인 구동축에 끼워 넣어지는 제1 베벨 기어를 제1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 후부 내에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치합하고, 예취 입력축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에 끼워 넣어지는 제2 베벨 기어를 제2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기립 기어 유니트를 구성하고, 상기 기립 기어 유니트를 상기 기립 케이스에 장착하여, 상기 기립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타인 구동축을 상기 제1 베벨 기어에 끼워 넣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의 분할면을 타인 구동축에 대해 직각으로 하고, 상기 타인 구동축에 고정 설치한 베벨 기어와 전동축에 고정 설치한 베벨 기어의 치합(齒合) 위치에 배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상기 전부 케이스와 후부 케이스의 주위에 복수의 구멍을 마련하고, 연결구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상기 전부 케이스에 베벨 기어를 고정한 타인 구동축을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기립측 유니트로 하고, 이 기립측 유니트를 기립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기립 각도가 상이한 예취 장치에 대해 후부 케이스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전부 케이스와 후부 케이스에 각각 지지하는 축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기립 케이스를 조립한 후에 기립 기어 유니트를 볼트 등으로 연결해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기립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유지 보수시, 무단체인을 느슨하게 하거나 분리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전부 케이스와 후부 케이스를 조립할 때에 다소의 오차는 베벨 기어의 치합부에서 흡수할 수 있으므로, 흡수를 위한 장공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두 베벨 기어의 교환이나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전부 케이스를 기립 케이스에 고정한 후에 후부 케이스를 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기립 기어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조립이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서는, 유니트화함으로써 제조 단계에서 유니트별로 제조한 다음에 유니트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니트화에 의해 불안정하던 축의 기울기 등이 케이스 내에 일체적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안정적이다. 또한, 유니트의 탈착이 종래의 인로우 결합에 비해 용이하게 되어, 물 등의 액체의 침투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6은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기립 기어 케이스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예취 장치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예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예취 장치의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낸 구조선도이다.
도 16은 우상부 반송 장치 및 좌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우상부 반송 장치 및 좌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우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곡간 기립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브라켓을 분리한 곡간 기립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곡간 기립 케이스 및 기립 구동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기립 구동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기립 기어 케이스의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24는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곡간 기립 장치의 하부와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서스펜션 프레임의 사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2 구동 파이프와 제3 구동 파이프의 접합부를 도시한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3 구동 파이프와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의 접합부를 도시한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29는 좌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좌상부 반송 장치의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주행기체
3 예취 장치
21 기립 타인
22 곡간 기립 케이스
44a, 44b 기립 전동축
46a, 46b 타인 구동축
71a, 71b 기립 기어 케이스
71aF, 71bF 전부 케이스
71aB, 71aB 후부 케이스
82 구동 베벨 기어
83 종동 베벨 기어
90 브라켓
201 기립 기어 유니트
271a, 271b 기립 기어 케이스
274 제1 베어링
276 제2 베어링
282 제2 베벨 기어
283 제1 베벨 기어
다음으로,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콤바인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단면 측면도이고, 도 6은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기립 기어 케이스의 단면 측면도이고,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콤바인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콤바인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예취 장치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14는 예취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예취 장치의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낸 구조선도이고, 도 16은 우상부 반송 장치 및 좌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우상부 반송 장치 및 좌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우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9는 곡간 기립 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20은 브라켓을 분리한 곡간 기립 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21은 곡간 기립 케이스 및 기립 구동 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기립 구동 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기립 기어 케이스의 측면 일부 단면도이고, 도 24는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곡간 기립 장치의 하부와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서스펜션 프레임의 사시 일부 단면도이고, 도 27은 제2 구동 파이프와 제3 구동 파이프의 접합부를 도시 한 측면 일부 단면도이고, 도 28은 제3 구동 파이프와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의 접합부를 도시한 측면 일부 단면도이고, 도 29는 좌상부 반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좌상부 반송 장치의 측면 일부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2조 예취용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2, 2)로 지지되는 주행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기체(1)의 앞 부분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둬들이는 예취 장치(3)가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이 부착된 탈곡 장치(5)와, 탈곡 후의 곡립을 저장하는 곡립 탱크(7)가 가로로 나란히 탑재된다. 본 실시 형태는, 탈곡 장치(5)가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좌측에, 곡립 탱크(7)가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에 배치된다. 곡립 탱크(7)는 주행기체(1)의 후부에 설치된 종축(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오거(8)의 세로 오거통(9), 도 1 및 도 2 참조) 둘레로 수평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취 장치(3)와 곡립 탱크(7)의 사이에는, 조향 레버나 운전 좌석 등을 갖는 운전부(10)가 설치된다. 운전부(10)의 하방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1)이 배치된다. 예취 장치(3)에서 예취된 예취 곡간은 피드 체인(6)에 건네져 반송되어, 탈곡 장치(5)에서 탈곡 처리된다.
탈곡 장치(5)의 급실에는 급동(17)을 수납하고, 그 하방에는 검불체(chaff sieve) 등에 의한 요동 선별을 행하기 위한 요동 선별 기구(미도시)와, 풍구팬에 의한 풍선별을 행하기 위한 풍선별 기구(미도시)가 배치된다. 이들 두 선별 기구에 서 선별되어 제1 받이통(미도시)에 모아진 곡립은, 제1 컨베이어 및 양곡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곡립 탱크(7)에 집적된다. 곡립 탱크(7)의 1차물은 배출 오거를 통해 기외로 반출된다.
한편, 피드 체인(6)의 후단으로부터 곡간 배출 체인(18)(도 1 참조)으로 건네진 배출 곡간은, 긴 상태로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배출 곡간 커터(미도시)에서 적절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후,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예취 장치(3)는 탈곡 장치(5)의 전방에 위치하는 예취 발판(미도시)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예취 장치(3)의 앞 부분에는 2조분의 곡간 기립 장치(13)가 경사지게 세로로 배치된다. 상기 곡간 기립 장치(13)의 하부에는 기체 전방을 향해 예취 프레임(38)이 연장 설치되고, 예취 프레임(38)의 선단에는 분초체(15)가 설치된다.
또한, 예취 프레임(38)의 하면에는 예취날(12)이 배치되어 있어, 분초체(15)에서 분초된 곡간을 곡간 기립 장치(13)에서 일으킨 다음, 예취날(12)에 의해 곡간의 밑동이 절단된다. 예취된 곡간은 예취 프레임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타 휠 및 하부 반송 체인을 거쳐 피드 체인(6)에 건네져 탈곡 장치(5)에 공급되고, 탈곡부에서 탈곡 선별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곡간 기립 장치(13)를 구성하는 곡간 기립 케이스(22)군의 배치 등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2조분의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예취 장치(3)의 앞 부분에 대해 주행기체(1)의 가로폭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각각이 후방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하는 경사상으로 배치된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로부터 가로 일측 상부에 걸친 외주측부를 외부로 향한 돌출 자세로 회전하여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는 기립 타인(21)이 구비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이른바 가로 회전형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3 내지 도 7에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에는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부터 차례로 부호 a, b를 덧붙였다.
상기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각각의 기립 타인(21a, 21b)이 돌출되는 작용측의 가로 일측부끼리를 서로 대향시킨다.
환언하면,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배치 관계는, 기립 타인(21a, 21b)이 돌출되는 방향이 좌우 대칭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작용측이란, 그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외주측부 중 기립 타인(21)이 외부를 향한 돌출 상태로 회전하는 영역을 말한다.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작용측은, 그 하부 가까이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좌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작용측은, 그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주행기체(1)의 가로폭 방향을 따라 병렬로 나란히 배치된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사이는, 서로의 기립 타인(21a, 21b)이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있다. 이 간격은 논, 밭에서의 미예취 곡간의 조 간격에 대응하여, 곡간 기립시에 우측 및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 22b)가 한 쌍으로 기능하기 쉬운(2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기 쉬운) 폭 치수가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좌우 대칭상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를 예로 들어 그 상세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주위에 둘레 벽(62)을 일체적으로 형성해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판제의 앞 뚜껑(61)과, 그 앞 뚜껑(61)의 이면측에 장착된 금속판제의 뒤판(63)에 의해, 양자를 전후에서 맞추어 얇은 상자 형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앞 뚜껑(61)의 둘레 벽(62) 중 하부 근처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는, 기립 타인(21b)을 밖을 향해 돌출시키기 위한 타인 홈 구멍(64)이 개구되어 있다(도 4에 일부만 도시함). 이 둘레 벽(62)에서의 타인 홈 구멍(64)의 부분이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작용측을 구성하게 된다.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상부측에 설치된 기립 스프로킷(47) 및 텐션 스프로킷(65)과, 하부측에 설치된 종동 스프로킷(66)에는, 무단 체인(67)이 감겨 있다. 무단 체인(67)에는, 복수 개의 기립 타인(21b)이 적절한 간격으로 기복 요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우측 및 좌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a, 39b) 내의 우측 및 좌측의 기립 전동축(44a, 44b)으로부터 우측 및 좌측의 타인 구동축(46a, 46b)으로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기립 스프로킷(47)에 의해, 무단 체인(67)에 장착된 복수 개의 기립 타인(21b)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종동 스프로킷의 상방 부분에는, 기립 타인(21b)이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에 도달했을 때(비작용측으로부터 작용측으로 이행할 때)에, 그 기립 타인(21b)의 회동 기단부에 맞닿는 돌출 안내 부재(68)가 설치된다.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기립 타인(21b)의 회동 기단부가 종동 스프로킷(66)에 형성된 돌출 안내 부재(68)에 맞닿음으로써 피벗 상태에서 기초부가 지지된 상태가 되어, 그 기립 타인(21b)은 둘레 벽(62)에 형성된 타인 홈 구멍(64)의 시작단 부분으로부터 밖을 향해 돌출되는 자세로 바뀌도록 구성된다.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작용측에 가까운 부분에는, 기립 타인(21b)을 외부를 향한 돌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타인 가이드(69)가, 무단 체인(6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작용측의 부분(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서는, 각 기립 타인(21b)이 타인 홈 구멍(64)을 따라 외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비작용측의 부분(우측 상부에서 상부를 거쳐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까지의 영역)에서는, 기립 타인(21b)의 선단부를 둘레 벽(62)의 내벽 등에 맞닿게 하는 등으로 기립 타인(21b)의 선단부를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 내에 넘어진 자세(무단 체인(67)에 달라붙은 자세)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텐션 스프로킷(65)은 뒤판(63)에 대해 무단 체인(67)이 긴장·이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곡간 기립 장치(13)의 2조분의 각 기립 타인(21a, 21b)의 구동 구조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71b)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측의 전부 케이스(71bF)와 좌측 기립 구동 파이프측의 후부 케이스(71bB)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 전부 케이스(71bF) 및 후부 케이스(71bB)는 그 외주측에 각각 플랜지부(72bF, 72bB)를 형성하고 있어, 맞댐면끼리가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부 케이스(71bF)에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타인 구동축(46b)에 끼워지는 종동 베벨 기어(83)가 내부에 마련된다. 종동 베벨 기어(83)에는 타인 구동축(46b)이 키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타인 구동축(46b)에 베어링(74)이 끼워지고, 베어링(74)은 전부 케이스(71bF)와 타인 구동축(46b)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타인 구동축(46b)은 전부 케이스(71bF)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전부 케이스(71bF), 종동 베벨 기어(83), 타인 구동축(46b), 베어링(74)까지가 유니트로서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타인 구동축(46b)은 일단에는 전술한 종동 베벨 기어(83)가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 내에 끼워져,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 내에서 종동 스프로킷(66)이 키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전부 케이스(71bF)의 곡간 기립 케이스(22b)측에는 상기 타인 구동축(46b)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 볼트공(75)이 타인 구동축(46b)의 상하 양측의 2 부분에 형성된다. 한편,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후면에는 브라켓(90)이 고정 설치되고, 그 브라켓(9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コ"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고정 설치되는 면이 되는 바닥부(291)와 그 바닥부에 대해 수직 후방으로 돌출된 측부(292·292)로 구성된다. 측부(292)는 상기 전부 케이스(71bF)를 고정하는 위치에 맞추어 설치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292)에는 상기 전부 케이스(71bF)에 마련된 볼트공(75)에 대응한 구멍(193)이 상하 2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전부 케이스(71bF)의 볼트공(75) 및 브라켓(90) 구멍(193)의 위치를 맞추어 볼트 등을 관통시켜 연결함으로써, 브라켓(90)과 전부 케이스(71bF)가 결합된다. 브라켓(90)을 상기 전부 케이스(71bF)와 결합시킨 상태로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함으로써, 곡간 기립 케이스(22b)와 전부 케이스(71bF)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후부 케이스(71bB)의 후방 하부에는 좌측 기립 구동 파이프(39)의 상단이 끼워지고, 좌측 기립 구동 파이프(39)에는 예취 입력 파이프(35)(도 1 참조)의 내부에 마련된 예취 입력축(41)(도 1 참조)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좌측 기립 전동축(44b)이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기립 전동축(44b)의 선단에 끼워진 구동 베 벨 기어(82)는 상기 후부 케이스(71bB)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좌측 기립 전동축(44b)에는 베어링(176)이 끼워지고, 베어링(176)에 의해 전동축(44b)은 후부 케이스(71b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후부 케이스(71bB), 구동 베벨 기어(82), 베어링(176)이 유니트로서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부 케이스(71aF·71bF)를 곡간 기립 케이스(22a, 22b)에 고정한 후에 후부 케이스(71aB·71bB)를 후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기립 기어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이 쉬워진다.
다음으로,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39a)와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와,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연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71b)와 거의 마찬가지로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는,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측의 전부 케이스(71aF)와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측의 후부 케이스(71aB)로 구성된다. 전부 케이스(71bF) 및 후부 케이스(71bB)는 그 일단측에 각각 플랜지부(72bF, 72bB)를 형성하고, 맞댐면끼리가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부 케이스(71aF)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전방에 배치된 전부 케이스(71aF)와 같은 구조가 된다. 즉, 전부 케이스(71aF)의 내부에는,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타인 구동축(46a)에 끼워지는 구동 베벨 기어(82)가 마련된다. 구동 베벨 기어(82)에는 기립 전동축(44a)이 키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기립 전동축(44a)에 베어링(74)이 끼워져 있어, 베어링(74)에 의해 기립 전동축(44a)은 전부 케이스(71aF) 내에서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전부 케이스(71aF), 구동 베벨 기어(82), 기립 전동축(44a), 베어링(74)까지가 유니트로서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상기 후부 케이스는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39a)가 돌입하는 각도가 좌측 기립 구동 파이프(39b)에 돌입하는 각도와 상이하기 때문에, 그 각도에 맞춘 경사를 부여한 구성이 된다. 즉,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39a)가 돌입하는 각도에 맞춘 축공을 마련하고, 후부 케이스(72aB)는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39a)의 각도와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플랜지부(72aF, 72aB)는 맞댐면끼리가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와 기립 구동 파이프(39)를 연결할 때에는, 우선 유니트로서 미리 조립해 둔 전부 케이스(71aF, 71bF)를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에 연결한다. 한편, 기립 구동 파이프(39)측에는 미리 후부 케이스(71aB, 71bB)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부 케이스(71aF, 71bF) 및 후부 케이스(71aB, 71bB)의 플랜지부(72aF, 72aB) 및 플랜지부(72bF, 72bB)의 맞댐면끼리를 맞추어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립 기어 케이스(71) 내의 두 베벨 기어(82, 83)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플랜지부(72aF, 72aB) 및 플랜지부(72bF, 72bB)의 볼트를 분리하여 각각의 유니트로 분해함으로써 간단하게 유지 보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인로우 결합에 비해 설치가 쉬워져 접합부로부터의 수분의 침투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71)의 플랜지부(72aF, 72aB) 및 플랜지 부(72bF, 72bB)의 맞댐면은 타인 구동축(46)에 대해 직각으로 구성하고, 상기 타인 구동축(46)에 고정 설치된 종동 베벨 기어(83)와 기립 전동축(44)에 고정 설치된 구동 베벨 기어(82)의 치합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서, 기립 기어 케이스의 변형예(기립 기어 케이스(271a, 271b))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271a)와 좌측 기립 기어 케이스(271b)는 대략 좌우 대칭의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271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 기어 케이스(271a)는 좌우 이분된 케이스(좌케이스(271aL), 우케이스(271aR))가 볼트 연결되어 구성된다. 기립 기어 케이스(271a)의 전부(도 9에 도시하는 케이스 상부) 내에는 상기 타인 구동축(46a)에 끼워 넣어지는 제1 베벨 기어(283)가 제1 베어링(274)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기립 기어 케이스(271a)의 후부(도 9에 도시하는 케이스 하부) 내에는 제1 베벨 기어(283)와 치합하고, 상기 예취 입력축(41)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전동축(44a)에 끼워 넣어지는 제2 베벨 기어(282)가 제2 베어링(276)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기립 기어 유니트(201)를 구성한다. 또한, 타인 구동축(46a)은 상기 기립 스프로킷(47)에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축 후단이 상기 기립 케이스(22a)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립 기어 유니트(201)를 상기 기립 구동 파이프(39)의 상단에 장착하고, 제2 베벨 기어(282)에 전동축(44a)을 끼워 넣음과 함께, 기립 기어 유니트(201)를 상기 기립 케이스(22)의 상부 후면에 브라켓 등을 개 재하여 장착하고, 기립 케이스(22a)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타인 구동축(46a)을 제1 베벨 기어(283)에 끼워 넣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주행기체(1)의 앞 부분에 마련된 예취 장치(3)의 앞 부분에 기립 장치(13)를 구비하고, 기립 타인(21a·21b)을 구동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71a·71b)를 기립 케이스(22a·22b)의 상부 후면에 배치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71a·71b)를 전후로 이분된 케이스(71a(b)F·71a(b)B)로 구성하고, 전부 케이스(71aF·72bF)에 타인 구동축(46a·46b)을 지지하고, 후부 케이스에 예취 입력축(41)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44a·44b)을 지지하고, 타인 구동축(46a·46b)과 전동축(44a·44b)에 각각 베벨 기어를 고정해 치합시켜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립의 각도가 상이한 예취 장치에 대해 후부 케이스(72B)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전부 케이스(71aF, 71bF)와 후부 케이스(71aB, 71bB)에 각각 지지하는 축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주행기체(1)의 앞 부분에 마련된 예취 장치(3)의 앞 부분에 기립 장치(13)를 구비하고, 기립 타인(21a·21b)을 구동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271a·271b)를 기립 케이스(22a·22b)의 상부 후면에 배치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271a·271b)의 전부 내에 타인 구동축(46a·46b)에 끼워 넣어지는 제1 베벨 기어(283)를 제1 베어링(274)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271a·271b)의 후부 내에 제1 베벨 기 어(283)와 치합하고, 예취 입력축(41)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44a·44b)에 끼워 넣어지는 제2 베벨 기어(282)를 제2 베어링(276)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기립 기어 유니트(201)를 구성하고, 상기 기립 기어 유니트(201)를 상기 기립 케이스(22a·22b)에 장착하여, 상기 기립 케이스(22a·22b)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타인 구동축(46a·46b)을 상기 제1 베벨 기어(283)에 끼워 넣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립 케이스(22a·22b)를 조립한 후에 기립 기어 유니트(201)를 볼트 등으로 연결해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기립 케이스(22a·22b)를 분해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유지 보수시, 무단 체인(67)을 느슨하게 하거나 분리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71a·71b)의 분할면은 타인 구동축에 대해 직각으로 하고, 상기 타인 구동축(46a·46b)에 고정 설치된 베벨 기어(83)와 전동축(44)에 고정 설치된 베벨 기어(82)의 치합 위치에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부 케이스(71aF·71bF)와 후부 케이스(71aB·71bB)를 조립할 때에 다소의 오차는 두 베벨 기어(82·83)의 치합부에서 흡수할 수 있어, 오차 흡수를 위한 장공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두 베벨 기어(82·83)의 교환이나 유지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부 케이스(71aF·71bF)와 후부 케이스(71aB·71bB)의 주위에 복수의 구멍(75·193)을 마련하여, 연결구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부 케이스(71aF·71bF)를 곡간 기립 케이스(22a, 22b)에 고정한 후에 후부 케이스(71aB·71bB)를 뒤쪽에서부터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기립 기어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조립이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전부 케이스(71aF·71bF)에 베벨 기어(83)를 고정한 타인 구동축(46a·46b)을 베어링(74)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기립측 유니트로 하고, 이 기립측 유니트를 기립 케이스(22a·22b)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니트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 단계에서 유니트별로 제조한 다음에 유니트를 조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니트화 함으로써 불안정하였던 축의 기울기 등이 케이스 내에서 일체적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안정적이다. 유니트의 탈착이 종래의 인로우 결합에 비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물 등의 액체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30에 도시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의 부재는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0 내지 도 12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3조 예취용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2, 2)로 지지된 주행기체(1)을 구비한다. 주행기체(1)의 앞 부분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둬들이는 예취 장치(3)가 단동식 유압 실린더(4)로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장 착된다. 주행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이 부착된 탈곡 장치(5)와 탈곡 후의 곡립을 저장하는 곡립 탱크(7)가 가로로 나란히 탑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장치(5)가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좌측에, 곡립 탱크(7)가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에 배치된다. 곡립 탱크(7)는 주행기체(1)의 후부에 설치된 종축(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오거(8)의 세로 오거통(9), 도 10 및 도 11 참조) 둘레로 수평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3)와 곡립 탱크(7)의 사이에는, 조향 레버나 운전 좌석 등을 갖는 운전부(10)가 설치된다. 운전부(10)의 하방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1)이 배치된다. 예취 장치(3)에서 예취된 예취 곡간은 피드 체인(6)에 건네져 반송되어, 탈곡 장치(5)에서 탈곡 처리된다.
탈곡 장치(5)에서 급실의 하방에는, 급동이나 검불체 등에 의한 요동 선별을 행하기 위한 요동 선별 기구(미도시)와, 풍구팬에 의한 풍선별을 행하기 위한 풍선별 기구(미도시)가 배치된다. 이들 두 선별 기구에서 선별되어 제1 받이통(미도시)에 모아진 곡립은 제1 컨베이어 및 양곡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곡립 탱크(7)에 집적된다. 곡립 탱크(7)의 1차물은 배출 오거를 통해 기외로 반출된다.
한편, 피드 체인(6)의 후단으로부터 곡간 배출 체인(18)(도 11 참조)으로 건네진 배출 곡간은, 긴 상태로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배출 곡간 커터(미도시)에서 적절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후, 주행기체(1)의 후방에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예취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예취 장치(3)는 탈곡 장치(5)의 전방에 위치하는 예취 발판(미도시)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로로 긴 예취 입력 파이프(35)(도 10, 도 13 및 도 14 참조) 둘레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취 입력 파이프(35)의 중간부에는, 전방으로 비스듬히 밑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 전동 파이프(36)가 설치된다. 이 세로 전동 파이프(36)의 중간부와 주행기체(1)의 전단부가 단동식 유압 실린더(4)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세로 전동 파이프(36)의 선단부(하단부)에는 가로로 긴 가로 전동 파이프(37)가 설치된다. 가로 전동 파이프(37)에는 앞을 향해 돌출되는 4개의 예취 프레임(38)이 가로 전동 파이프(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예취 프레임(38)군의 하방에는 이발기(bariquant)식의 예취날 장치(12)가 설치된다. 각 예취 프레임(38)의 선단부에는 분초체(15)가 돌출 설치된다.
또한, 가로 전동 파이프(37)에는, 예취조의 수에 맞추어 3개의 지지 파이프로서의 중·좌·우의 기립 구동 파이프(39a, 39b, 39c)가 전방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해 연장되도록 세로로 설치된다. 중·좌·우의 기립 구동 파이프(39a, 39b, 39c)군은, 가로 전동 파이프(37)의 길이 방향(주행기체(1)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나열된다. 중·좌·우의 기립 구동 파이프(39a, 39b, 39c)의 각 선단부에는, 논, 밭에 심은 미예취 곡간을 일으키기 위한 곡간 기립 장치(13)가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 장치(3)의 앞 부분에 3조분의 곡간 기립 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곡간 기립 장치(13)와 피드 체인(6) 전단부의 사이에는, 곡간 반송 장치(14)가 배치된다.
곡간 기립 장치(13)는 분초체(15)를 통해 거둬들인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는 기립 타인(21)을 갖는 가로 회전형 곡간 기립 케이스(22)를 구비하고, 이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후방 하부에는 스타 휠(23) 및 소입(搔入) 벨트(24)가 배치된다. 스타 휠(23) 및 소입 벨트(24)는, 이들 세트에 대응하는 기립 타인(21)으로 일으켜진 미예취 곡간의 밑동부를 후방으로 긁어 모으기 위한 것이다. 이들 스타 휠(23) 및 소입 벨트(24)로 긁어 모아진 미예취 곡간의 밑동부가 이발기식의 예취날 장치(12)로 절단된다.
곡간 반송 장치(14)는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을 좌측 기울기 후방으로 반송하는 우하부 반송 체인(25)과, 좌측 1조분의 예취 곡간을 우측 기울기 후방으로 반송하고 그 밑동부를 우하부 반송 체인(25)의 송출 종단 위치 근방에 합류시키는 좌하부 반송 체인(27)과,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부를 좌측 기울기 후방으로 반송하는 우상부 반송 타인(29a)(우상부 반송 장치(29))과, 좌측 1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부를 우측 기울기 후방으로 반송하여 우상부 반송 타인(29a)에 합류시키는 좌상부 반송 타인(28a)(좌상부 반송 장치(28))과, 우하부 반송 체인(25)의 송출 종단 위치 근방에서 합류한 3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부를 피드 체인(6)에 건네주어 반송하기 위한 세로 반송 체인(세로 반송 장치)(30)에 의해 구성된다. 세로 반송 체인(30)으로 보내진 3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부는, 그 후 피드 체인(6)으로 건네져 사이에 끼워져 반송된다. 그리고, 이 예취 곡간의 이삭끝부가 탈곡 장치(5)에서의 급실 내의 급동(17)에서 탈곡된다.
다음으로, 세로 반송 체인(30) 및 우상부 반송 타인(29a)의 구동 전달 기구에 대해 도 15 및 도 17을 이용해 설명한다.
엔진(11)으로부터 예취 장치(3)를 향한 동력은, 급동 입력축이나 예취 변속 기구(모두 미도시) 및 예취 입력 풀리(40) 등을 통해 우선 예취 입력 파이프(35)에 내장된 예취 입력축(41)으로 전달된다. 예취 입력축(41)에 전달된 동력은 세로 전동 파이프(36) 내의 세로 전동축(42)을 통해 가로 전동 파이프(37) 내의 가로 전동축(43)에 전달되고, 계속해서 가로 전동축(43)으로부터 우측·중간·좌측의 기립 구동 파이프(39a, 39b, 39c)에 내장된 우측·중간·좌측의 기립 전동축(44a, 44b, 44c)과 예인 구동축(45)으로 동력 전달된다. 우측·중간·좌측의 기립 전동축(44a, 44b, 44c)에 전달된 동력은, 우측·중간·좌측의 기립 입력축(46a, 46b, 46c) 및 이에 연결된 기립 스프로킷(47)을 개재하여 곡간 기립 장치(13)의 각 기립 타인(21)을 구동시킨다. 예인 구동축(45)에 전달된 동력은 예취날 장치(12)를 구동시킨다.
좌측 및 우측의 기립 전동축(44c, 44a)으로부터는, 인접하는 우측·중간·좌측의 기립 전동축(44a, 44b, 44c)의 사이에 배치된 좌우의 하부 반송 구동축(48)에도 동력이 분기해 전달된다. 좌측의 하부 반송 구동축(48)에 전달된 동력은, 이것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49)을 개재하여, 곡간 반송 장치(14)의 좌하부 반송 체인(27), 곡간 기립 장치(13)에서의 좌측의 스타 휠(23) 및 소입 벨트(24)를 구동시킨다. 우하부 반송 구동축(48)에 전달된 동력은, 이것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49)을 개재하여, 곡간 반송 장치(14)의 우하부 반송 체인(25), 곡간 기립 장치(13)에서의 우측과 중앙의 스타 휠(23) 및 소입 벨트(24)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전달된 동력은, 체인(또는 벨트)(33)을 개재하여 상기 예취 입력축(41)과 평행하게 설치된 세로 반송 구동축(50)에 관통된 입 력 스프로킷(34)으로 전달된다. 세로 반송 구동축(50)으로부터는 베벨 기어(51)를 개재하여 세로 반송 입력축(52)에 동력을 전달한다. 세로 반송 입력축(52)은 상기 베벨 기어(51)와 치합되는 베벨 기어(53)를 중간부에 관통 설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하방의 단부에는 세로 반송 체인(30)을 구동하기 위한 세로 반송 스프로킷(54)이 끼워진다. 또한, 상방의 단부에는 우상부 반송 타인(29a)을 구동하기 위한 우상부 반송 스프로킷(56)이 스플라인 결합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동이 불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우상부 반송 타인(29a)과 세로 반송 체인(30)은 동기해 구동된다.
상기 우상부 반송 스프로킷(56)으로부터 좌상부 반송 장치(28)로 동력을 전달한다. 즉,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상부 반송 스프로킷(56)의 중심에 중공(中空) 형상으로 형성된 보스부(56a)의 상부 축공(56b)에, 회동축(57)이 스플라인 결합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관통되고, 구동 스프로킷(58)은 상기 회동축(57)에 스플라인 결합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회동축(57)은 상부 체인 케이스(60)에 베어링 등을 개재하여 고정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58)과 입력 스프로킷(59)의 사이에는 체인(161)이 감겨 있고, 입력 스프로킷(59)의 중심에는 제1 구동축(371)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관통된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58), 입력 스프로킷(59), 및 체인(161)은 상부 체인 케이스(60)에 내장된다. 상부 체인 케이스(60)는 베어링(162)을 개재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킷(58)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회동축(57)은 상부 체인 케이스(60) 를 관통한다.
상부 체인 케이스(60)는 통상시에는 볼트(163)에 의해, 하방의 우상부 반송 장치(29)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우상부 반송 장치(29)의 우상부 반송 타인(29a)을 교환할 때에는, 볼트(163)를 제거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58)과 회동축(57)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플라인 결합된 회동축(57)을 보스부(56a)로부터 뽑을 수 있다. 즉, 우상부 반송 장치(29)로부터 상부 체인 케이스(60)를 분리할 수 있어, 후술하는 전동 파이프(371a·372a·373a) 및 좌상부 반송 장치(28)를 분리하고 우상부 반송 장치(29)의 유지 보수 등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상부 반송 장치(29)의 상방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커버를 분리한 후 쉽게 우상부 반송 타인(29a)이나 스프로킷 등을 유지 보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입력 스프로킷(59)의 중심에는 제1 구동축(371)이 스플라인 결합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제1 구동축(371)은 후술하는 제2 구동축(372), 제3 구동축(373) 등을 개재하여 좌상부 반송 장치(28)에 구동을 전달한다. 상기 제1 구동축(371), 제2 구동축(372), 제3 구동축(373)은 후술하는 제1 구동 파이프(371a), 제2 구동 파이프(372a), 제3 구동 파이프(373a), 제1 조인트(87), 제2 조인트(88) 등으로 이루어지는 서스펜션 프레임(474)의 내부에 마련된다.
여기에서, 상기 우상부 반송 타인(29a)과 좌상부 반송 타인(28a)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도 16,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우상부 반송 타인(29a)은 전부가 차량 진행 방향 우측에 위치하고 후부가 좌측에 위치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주행기체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또한 전부가 낮고 후부가 높아지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및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기울어져 있다. 한편, 좌상부 반송 타인(28a)은 전부가 차량 진행 방향 좌측에 위치하고 후부가 우측에 위치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주행기체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또한 전부가 낮고 후부가 높아지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및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기울어져 있다. 좌상부 반송 타인(28a)의 후단은 우상부 반송 타인(29a)에 곡간을 합류시키기 위해, 우상부 반송 타인(29a)의 중간부에 접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좌상부 반송 타인(28a)은 우상부 반송 타인(29a)보다 약간 하방에 배치한다. 즉,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류부에서 거리 h만큼 상하 방향으로 비켜 놓아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좌상부 반송 타인(28a)이 곡간의 보다 밑동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곡간의 이삭끝이 선행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반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 타인의 반송 속도가 상이해도 곡간의 합류부에서 좌우의 타인이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상부 반송 타인(29a)과 좌상부 반송 타인(28a)이 회동하는 속도, 즉 좌우 반송 장치의 반송 속도의 차이에 대해 도 16을 이용해 설명한다. 상기 우상부 반송 타인(29a)이 회동하는 속도 v1에 대해 상기 좌상부 반송 타인(28a)이 회동하는 속도 v2가 빨라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우상부 반송 타인(29a)의 시작단에서 우상부 반송 타인(29a)과 좌상부 반송 타인(28a)이 합류하는 지점까지의 거 리 L1과, 좌상부 반송 타인(28a)의 시작단에서 합류 지점까지의 거리 L2에서는, L1이 길기 때문에, 좌측 및 우측의 하부 반송 체인(25·27)의 속도가 같은 경우, 우상부 반송 타인(29a)과 좌상부 반송 타인(28a)의 속도가 같다면, 곡간의 기립 각도에 차이가 생긴다. 즉, 곡간의 이삭끝측을 기립 장치의 전단에서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동안에 곡간의 자세를 대략 직립상으로 할 때에, 우상부 반송 타인(29a)과 좌상부 반송 타인(28a)의 반송 속도가 같으면, 좌상부 반송 타인(28a)에서 반송된 곡간은 합류부에서 기립 각도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좌우의 반송 장치에서 반송된 곡간의 반송 자세가 상이하면, 막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삭끝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탈곡 효율도 저하된다.
따라서, 좌상부 반송 타인(28a)의 속도 v2를 우상부 반송 타인(29a)의 속도 v1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짧은 거리에서도 이삭끝측을 세울 수 있으므로, 합류부에서의 곡간의 각도를 같게 할 수 있다. 좌상부 반송 타인(28a)과 우상부 반송 타인(29a)의 속도비는 우상부 반송 타인의 합류부까지의 거리 L1과 좌상부 반송 타인의 거리 L2의 비와 동일하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의 하부 반송 체인(25·27)의 속도가 상이한 경우에는, 우측 하부 반송 체인(25)의 반송 속도 v3(도 15 참조)에 대한 상부 반송 타인(29a)의 반송 속도 v1의 속도비보다, 좌측의 하부 반송 체인(27)의 반송 속도 v4(도 15 참조)에 대한 상부 반송 타인(28a)의 반송 속도 v2의 속도비를 크게 함으로써, 전술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좌상부 반송 타인(28a)의 좌하부 반송 체인(27)에 대한 상대 속도와 우상부 반송 타인(29a)의 우하부 반송 체인(25)에 대한 상대 속도의 비가, 우상부 반송 타인(29a)의 합류부까지의 거리 L1과 좌상부 반송 타인의 거리 L2의 비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주행기체(1)의 전방에 배치되고, 앞 부분에서부터 기립 장치(13), 하부 반송 장치(25·27), 상부 반송 장치(28·29), 세로 반송 장치(30), 예취날(12) 등을 구비한 복수 조 예취 콤바인의 예취 장치에 있어서, 좌우의 하부 반송 장치(25·27)의 합류부를 예취 장치의 좌우 중앙보다 좌측에 마련하고 세로 반송 장치(30)에 건네주는 구성으로서, 좌측의 상부 반송 장치(28)(피드 체인측)의 반송 속도 v2를 우측의 상부 반송 장치(29)(조종석측)의 반송 속도 v1보다 빠르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립 후의 우측과 좌측 곡간의 이삭끝이 합류부에서 일치하여 같은 정도의 기립 각도가 되어, 곡간의 반송 자세가 좌우에서 상이하지 않게 되어 원활하게 반송된다. 또한, 합류부에서 곡간의 기립 각도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교차하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된다. 또한, 곡간의 자세가 정돈됨으로써 세로 반송 장치에서의 막힘이 감소하여, 급동에서의 훑기 잔재 곡립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반송 장치의 좌우의 반송체(28·29) 중 반송 거리가 짧은 좌측의 반송체(28)와 이 반송체(28)에 대응하는 하부 반송 장치(27)의 속도비를, 반송 거리가 긴 우측의 반송체(29)와 이 반송체(29)에 대응하는 하부 반송 장치(25)의 속도비보다 크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합류부에서 곡간의 기립 각도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교차하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반송 장치의 좌우의 반송체(28·29) 중 반송 거리가 짧은 좌측의 반송체(28)를 반송 거리가 긴 우측의 반송체(29)보다 하방에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우측 반송체(28)의 타인(28a)의 흐름에 좌측의 곡간을 보낼 때, 이삭끝을 선행시키지 않아 이삭보다 밑에 타인(28a)이 작용하기 때문에, 곡간을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좌우 상부 반송 장치(28·29)의 타인이 간섭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21를 참조하면서, 곡간 기립 장치를 구성하는 곡간 기립 케이스군의 배치 등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3조분의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예취 장치(3)의 앞 부분에 대해 주행기체(1)의 가로폭 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또한 각각이 후방 비스듬히 위를 향한 경사상에 배치된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에는, 그 작용측의 하부에서 가로 일측 상부에 걸친 외주측부를 외부를 향한 돌출 자세로 회전하여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는 기립 타인(21)이 구비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이른바 가로 회전형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13 내지 도 21에 있어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에는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부터 차례로 부호 a, b, c를 덧붙였다.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각각의 기립 타인(21a, 21b)이 돌출하는 작용측의 가로 일측부끼리를 서로 대향시키고 있다. 한편,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좌측에 위치하는 단독 곡간 기립 케이스로서의 좌측 곡간 기립 케이 스(22c)는, 그 작용측의 우측부를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비작용측인 좌측부에 대향시킨다.
환언하면,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배치 관계는, 기립 타인(21a, 21b)이 돌출하는 방향이 좌우 대칭상이 되도록 설정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를 사이에 두고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는, 그 기립 타인(21c)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기립 타인(21b)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작용측이란, 그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외주측부 중 기립 타인(21)이 외부를 향한 돌출 상태로 회전하는 영역을 말한다.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작용측은, 그 하부 가까이의 우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좌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작용측은, 그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또한,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작용측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와 마찬가지로, 그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이다.
한편,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좌측부에는,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기립 가이드판(도면 부호 없음)이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기립 가이드판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좌측부에서의 비작용측의 부분과 작용측의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좌측부에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를 향해 돌출된 기립 타인(21c)의 선단부는 상기 기립 가이드판의 후방에 숨게 된다.
우측 및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a, 22b)는 한 쌍으로 2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비해,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는 단독으로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예취시에는, 주행기체(1)의 전방에 있는 3조분의 미예취 곡간 중 우측 2조분은 우측 및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a, 22b)의 기립 타인(21a, 21b)의 쌍으로 일으켜, 우측 및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a, 22b)의 사이로 거둬 들여진다. 좌측 1조분의 미예취 곡간은,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기립 타인(21c)만으로 일으켜 중앙 및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b, 22c)의 사이로 거둬 들여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좌측 곡간 기립 케이스(22c)의 배치 위치는, 그 기립 타인(21c)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 근접하고, 또한 상기 기립 타인(21c)과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로부터 나타나는 돌출 초기의 기립 타인(21b)이 서로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보다 후방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3조분의 곡간 기립 케이스(22) 전부가 논, 밭에서의 미예취 곡간의 조 간격에 대응해 곡간 기립에 최적인 배치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예취시의 곡간 기립을 3조분 모든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기립 타인(21)으로 적절히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곡간 기립 케이스(22) 전체적으로 기립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서, 각 곡간 기립 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각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와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좌우 대칭상이고,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만에 상기 기립 가이드판이 설치되는 등의 작은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를 예로 들어 그 상세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는, 합성 수지판제의 앞 뚜껑(61)과, 그 앞 뚜껑(61)의 이면측에 장착된 금속판제의 뒤판(63)으로 이루어지고, 양자를 전후 맞추어 얇은 상자 형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앞 뚜껑(61)의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는, 기립 타인(21b)을 밖을 향해 돌출시키기 위한 타인 홈 구멍(64)이 개구된다. 타인 홈 구멍(64)의 부분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작용측을 구성하게 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상부측에 설치된 기립 스프로킷(47) 및 텐션 스프로킷(65)과, 하부측에 설치된 종동 스프로킷(66)에는, 무단 체인(67)이 감겨져 있다. 무단 체인(67)에는, 복수 개의 기립 타인(21b)이 적절한 간격으로 기복 요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립 구동 파이프(39b) 내의 기립 전동축(44b)으로부터 기립 입력축(46)에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기립 스프로킷(47)에 의해, 무단 체인(67)에 장착된 복수 개의 기립 타인(21b)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종동 스프로킷(66)의 상방 부분에는, 기립 타인(21b)이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에 도달했을 때(비작용측에서 작용측으로 이행할 때)에, 기립 타인(21b)의 회동 기단 부에 맞닿는 도시하지 않은 돌출 안내 부재가 설치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 기립 타인(21b)의 회동 기단부가 돌출 안내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피벗 상태에서 기초부가 지지된 상태가 되어, 기립 타인(21b)은 타인 홈 구멍(64)의 시작단 부분으로부터 밖을 향해 돌출하는 자세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의 내부 중 작용측 가까이의 부분에는, 기립 타인(21b)을 외부로 향한 돌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타인 가이드가 무단 체인(6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작용측의 부분(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로부터 하저부를 거쳐 우측 상부까지의 영역)에서는, 각 기립 타인(21b)이 타인 홈 구멍(64)을 따라 외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앙 곡간 기립 케이스(22b)에서의 비작용측의 부분(우측 상부에서 상부를 거쳐 하부 가까이의 좌측 단부까지의 영역)에서는, 기립 타인(21b)의 선단부를 내벽 등에 맞닿게 하는 등으로 기립 타인(21b)의 선단부를 기립 케이스(22) 내에 넘어진 자세(무단 체인(67)에 달라붙은 자세)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텐션 스프로킷(65)은 뒤판(63)에 대해 무단 체인(67)이 긴장·이완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곡간 기립 장치(13)의 3조분의 각 기립 타인(21a, 21b, 21c)의 구동 구조를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전동 파이프(37)에 세로로 설치 된 기립 구동 파이프(39a, 39b, 39c)의 상단측에는 기립 기어 케이스(71a, 71b, 71c)를 개재하여 곡간 기립 케이스(22a, 22b, 22c)의 상단측(기립 타인(21a, 21b, 21c)의 곡간 송출 종단측)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에서, 구동 전달 구조의 일례로서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39a),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구동 전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형의 원통 구조로 주조 가공으로 형성된다.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39a)의 일단(출력)측의 외주에는 플런지(72)가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고,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일단(입력)측에 형성한 플런지부(374)와 상기 플런지(72)를 맞댄 상태로 양쪽에 개구한 볼트공에 볼트(476·476…)를 설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타단부는 볼트 연결부(80)가 두께를 갖고 상하 두 부분에 형성되고, 볼트공(181)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된다. 볼트공(181)은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제2 축공(294)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천공된다. 한편,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측에는 브라켓(100)이 설치된다. 브라켓(100)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에 고정 설치되는 면이 되는 바닥부(301)와 이 바닥부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된 측부(302)로 구성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コ"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라켓(100)의 측부(302)에는 상기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볼트공(181)에 대응하는 볼트공(303· 303)이 마련되어, 볼트공(181) 및 볼트공(303)의 위치를 맞추어 볼트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는 브라켓(100)에 고정된다.
한편,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일단을 제1 축공(293)으로 하여, 우측 기립 구동 파이프(39a)의 우측 기립 전동축(44a) 끝에 끼워져 베어링(186)으로 지지되는 구동 베벨 기어(82)를 내부에 마련하고, 타단을 제2 축공(294)으로 하여, 상기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의 기립 입력축(46a)에 끼워져 베어링(190)으로 지지되는 종동 베벨 기어(83)가 내부에 마련된 기어 기구(184)가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186)은 구동 베벨 기어(82)의 보스부(185) 상에 끼워져 스냅링형의 멈춤링(187)에 의해 보스부(185)에 착탈 가능하게 걸린다. 또한, 상기 베어링(186)은 스냅링형의 멈춤링(188)을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 내면에 끼워 베어링(186)이 빠지는 것을 막는다. 이렇게 하여,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에 베어링(186)을 개재하여 구동 베벨 기어(82) 및 우측 기립 전동축(4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구동 베벨 기어(82)에 항상 치합되는 종동 베벨 기어(83)의 보스부(89)에는 베어링(190)이 끼워지고, 베어링(190)은 스냅링형의 멈춤링(191)에 의해 보스부(89)에 착탈 가능하게 걸린다. 또한, 스냅링형의 멈춤링(192)에 의해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내측에 상기 베어링(190)이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에 베어링(190)을 개재하여 종동 베벨 기어(83)와 기립 입력축(46a)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기립 전동축(44a)의 출력측단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구동 베벨 기어(82)의 축심측의 구멍 내에 형성된 스플라인 보스부에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제1 축공(293) 내에 베어링(186)을 끼운 구동 베벨 기어(82)를 삽입해 멈춤링(188)에 의해 걸어 고정한다. 이 상태로 기립 전동축(44a)을 구동 베벨 기어(82)에 스플라인 결합하고, 플런지부(374)와 플런지(72)를 볼트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종동 베벨 기어(83)에 베어링(190)을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와 반대측으로부터 제2 축공(294)에 삽입하고 멈춤링(192)에 의해 빠지지 않게 한다. 그리고, 종동 베벨 기어(83)의 내주와 기립 입력축(46a)의 단부상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기립 입력축(46a)에 종동 베벨 기어(83)를 스플라인 결합하고, 볼트 연결부(80)를 브라켓(100)에 볼트에 의해 고정한다.
한편, 상기 브라켓(100)의 바닥부 중앙부에서 기립 입력축(46a)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보스체(104)가 설치되고, 보스체(104)에 베어링(205)을 개재하여 기립 입력축(46a)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보스체(104)는 상기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의 제2 축공(294)에 인로우 결합함으로써 고정한다.
즉, 상기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를 우측 곡간 기립 케이스(22a)에 고정 설치하려면, 우선, 브라켓(100)의 보스체(104)에 전방에서부터 베어링(205)을 삽입하여 멈춤링에 의해 고정하고, 기립 입력축(46a)을 후방에서부터 베어링(205)에 삽입하고, 전방에서부터 칼라와 스프로킷(47)을 전방에서부터 기립 입력축(46a) 상에 끼워 멈춤링으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후방에서부터 우측 기립 기어 케이스(71a)를 보스체(104)에 인로우 결합시킴과 함께, 기립 입력축(46a)과 종동 베벨 기 어(83)를 스플라인 결합시킨다. 그리고, 볼트공(181) 및 볼트공(303)의 위치를 맞추어 볼트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5를 이용해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위치 조절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의 위치 조절 기구는 상기 브라켓(100)과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이면에 상하 설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나사공(106·107L·107R)으로 구성된다. 즉, 브라켓(100)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 부착부가 되는 보스체(104)의 아래쪽에 상하 높이가 같은 나사공(107L, 107R)이 좌우 두 부분에 마련된다. 한편, 상기 보스체(104)의 상방에는 장공(106)이 좌우 중앙부의 한 부분에 마련된다. 장공(106)은 상하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볼트 등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간 기립 케이스(22) 상부의 보스체(104)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08)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100)의 나사공(106·107L·107R)에 대응하는 볼트 및 나사공이 형성된다. 즉, 구멍(108)의 윗쪽에서 상기 장공(106)에 대응한 위치에는 볼트(110)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구멍(108)의 하방 양측에서 나사공(107L·107R)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나사공(111L·111R)이 형성된다. 단, 우측 나사공(111R)의 위치는 좌측 나사공(111L)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고, 이 높이의 차이는 상기 장공(106)의 길이에 상당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의 위치 조절 기구는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하부와 예취 프레임(38)의 사이에 구성된다. 즉,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하부 후면에서 후방으로 고정용의 복수 개의 볼트(112·112)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예취 프레임(38)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고정 부재(120)의 선단에는 상기 볼트(112·112)에 대응하는 장공(121·121)이 형성된다. 장공(121)은 상하 방향으로 긴 타원상으로 형성하여 볼트(112)의 상하 조절이 가능하다. 장공(121)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상기 장공(106)과 대략 같은 길이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상하 조절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는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위쪽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장공(106)의 상단에서 볼트(110)를 연결하고, 상기 나사공(107R)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우측 나사공(111R)의 위치와 일치하게 되므로, 우측 나사공(111R) 및 나사공(107R)에 볼트 등을 관통하고 너트 등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다른 쪽의 좌측 나사공(111L)은 나사공(107L)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볼트 등에 의한 고정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 하부의 볼트(112·112)는, 상기 고정 부재(120)에 형성된 나사공(121·121)의 상단에서 연결한다.
한편, 상기 곡간 기립 타인(21)을 통상적인 상태보다 하방으로 작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방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장공(106)의 하단에서 볼트(110)를 연결하고, 상기 나사공(107L)은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좌측 나사공(111L)의 위치와 일치하게 되므로, 좌측 나사공(111L) 및 나사공(107L)에 볼트 등을 관통하여 너트 등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다른 쪽의 우측 나사공(111R)은 나사공(107R)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볼트 등에 의한 고정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곡간 기립 케이스(22) 하부의 볼트(112·112)는, 상기 고정 부재(120)에 형성된 나사공(121·121)의 하단에서 연결한다.
즉, 통상적인 상태보다 하방에서 기립 타인(21)을 작용시키고자 하는 때에는, 곡간 기립 케이스(2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110·112·112)의 연결을 풀고 상기 나사공(107R·111R)에 관통된 볼트 등을 분리함으로써, 곡간 기립 케이스(22)를 기립 기어 케이스(71)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기립 스프로킷(47)도 이동하지만 텐션 스프로킷(65)에 의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장력이 변화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립 스프로킷(47) 하방의 나사공을 높이가 상이한 구멍으로 구성하였지만, 곡간 기립 케이스(22)측 혹은 브라켓(100)측의 나사공을 장공으로 구성함으로써 단계 없이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100)측의 나사공을 장공으로 하는 대신에 곡간 기립 케이스(22)측에 장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주행기체(1)의 앞 부분에 마련된 예취 장치(3)의 앞 부분에 곡간 기립 장치(13)를 구비하고, 곡간 기립 장치(13)의 기립 케이스(22)에 곡간을 일으키기 위한 타인(21)이 부착된 체인을 수납하고, 곡간 기립 케이스(22)의 상부에 타인(21)이 부착된 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 케이스(71)를 마련하고, 뒤쪽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전동축(44)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립 케이스(22)를 상하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한 콤바인의 예취 장치로서, 상기 기어 케이스(71)를 장착하는 브라켓(100)과 곡간 기립 케이스(22) 상부의 사이, 및 기립 케이스(22)의 하부와 예취 프레임(38)의 사이에 위치 조절 기구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나 예취 조건 등에 맞추어 기립 케이스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타인의 작용 높이를 변경해 기립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립 케이스의 상하 양측을 예취 프레임측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 또는 기립 케이스(22)의 어느 한 쪽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장공(106)과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상이한 나사공(111)을 복수 개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기립 케이스(22)와 브라켓(100)이 접촉하는 면적은 큰 채로 상하의 이동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볼트를 느슨하게 하여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기립 케이스(22)를 상하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에 의해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장공(106)과 나사공(111)을 기어 케이스(71) 부착부의 상하 양측에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기어 케이스(71)의 양측을 고정하여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474)은, 도 16, 도 18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U자 형상으로 상방을 우회하도록 배치되고, 제1 구동 파이프(371a), 제2 구동 파이프(372a), 및 제3 구동 파이프(373a)를 제1 조인트(87) 및 제2 조인트(88)에 의해 결합하여 각각을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 성한다. 서스펜션 프레임(474)의 내부에는 제1 구동축(371), 후술하는 제2 구동축(372), 제3 구동축(373), 베벨 기어(81·82·83·84·85·86) 등의 전동 기구를 수납한다.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474)을 구성하는 제1 구동 파이프(371a)의 기초부측의 단부는 상기 우상부 반송 장치(29)의 상부 체인 케이스(60)에 고정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동축(371)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돌출된 제1 구동 파이프(371a)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구동축(371)은 그 상단부에 제1 베벨 기어(81)가 관통되고, 제1 베벨 기어(81)로부터는 마찬가지로 제2 구동축(372)의 일단부를 관통한 제2 베벨 기어(82)와 치합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제1 베벨 기어(81) 및 제2 베벨 기어(82)는 제1 조인트(87) 내에 수용되고, 제1 조인트(87)는 베어링(91)을 개재하여 제1 구동축(371)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베어링(93)을 개재하여 제2 구동축(372)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제1 조인트(87)는 대략 "ヘ"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구동 파이프(371a)와 제2 구동 파이프(372a)를 두 파이프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축(372)은 진행 방향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로로 설치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우상부 반송 장치(29)를 걸치는 구성이 된다. 제2 구동축(372)은 좌우 방향으로 가설된 제2 구동 파이프(372a)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동축(372)의 타단부에는 제3 베벨 기어(83)가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지고, 제3 베벨 기어(83)는 마찬가지로 제3 구동축(373)의 일단부 위에 고정한 제4 베벨 기어(84)와 치합하여 제3 구동축(373)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제3 구동축(373)은 하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제3 구동 파이프(373a)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3 베벨 기어(83)와 제4 베벨 기어(84)는 제2 조인트(88) 내에 수용되고, 제2 조인트(88)는 베어링(94)을 개재하여 제2 구동축(372)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베어링(95)을 개재하여 제3 구동축(373)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조인트(88)는 대략 V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2 구동 파이프(372a)와 제3 구동 파이프(373a)의 접합부로서 두 파이프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구성하고, 절곡부 외측에는 상기 제2 구동축(372) 등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375)이 천공된다. 삽입공(375)에는 삽입 후에 구멍을 막기 위한 삽입공 뚜껑(375a)이 설치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구동축(373)의 타단부 상에는 제5 베벨 기어(85)가 끼워지고,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일단 내에 수납된다.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일단은 대략 "ヘ" 형상으로 굽혀 형성되어, 절곡부에서 베어링(96)을 개재하여 제3 구동축(373)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베어링(97)을 개재하여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의 일단부 상에 제6 베벨 기어(86)를 끼우고 상기 제5 베벨 기어(85)와 치합시켜 제3 구동축(373)으로부터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에 동력을 전달한다.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은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내부에 설치되고,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일단에는 플랜지부(가장자리)(76b)가 설치되고, 상기 제3 구동 파이프(373a)의 단부에 마찬가지로 플랜지부(373b)가 설치되어, 플랜지부(373b)와 플랜지부(76b)를 맞춘 상태에서 볼트 등에 의해 연결 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일측에는 상기 제5 베벨 기어(85) 및 제6 베벨 기어(86)를 수납하고,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타측에는 베어링(98)을 개재하여 상기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좌상부 반송 입력축(76) 및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는 좌상부 반송 장치(28)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구동축(371), 제2 구동축(372), 제3 구동축(373)의 제1 구동 파이프(371a), 제2 구동 파이프(372a), 제3 구동 파이프(373a)에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 구동 파이프(371a), 제2 구동 파이프(372a), 제3 구동 파이프(373a)는 제1 조인트(87) 및 제2 조인트(88)를 개재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1 구동축(371)은 상기 제1 베벨 기어(81) 및 베어링(91)을 끼운 상태에서 제1 구동 파이프(371a)의 개구측(삽입공(77))으로부터 삽입한다. 즉, 제1 베벨 기어(81)의 보스부에 베어링(91)을 끼우고, 제1 구동축(371)의 단부에 멈춤링(91a)을 끼워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1 구동 파이프(371a)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타단부에는 상기 베어링(91)과 역방향으로부터 상기 베어링(9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베어링(92)을 끼워 제1 구동 파이프(371a)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91)(제1 베벨 기어(81))은 상기 베어링(92)보다 직경을 작게 구성했기 때문에, 삽입시에 삽입공(77)에 접촉하지 않고 상방으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어링(92)이 삽입공(77)의 측벽에 접촉된 상태에서 멈춤링(92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 구동축(371)은 제1 구동 파이 프(371a)의 내부에 설치되게 된다.
제2 구동축(372)은 상기 제2 베벨 기어(82), 제3 베벨 기어(83), 및 베어링(93·94)을 끼운 상태로 삽입한다. 즉, 상기 제1 베벨 기어(81)와 치합하는 제2 베벨 기어(82)의 보스부에 베어링(93)을 끼우고 멈춤링(93a)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제2 구동축(372)의 단부에 베어링(94)을 멈춤링(94a)에 의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조인트에 형성된 삽입공(375)으로부터 삽입하여, 제1 베벨 기어(81)와 제2 베벨 기어(82)를 치합시킨다. 그리고, 제3 베벨 기어(83)를 제2 구동축(372)의 단부 위에 끼우고 멈춤링 등으로 고정한다. 한편, 베어링(93)의 외경은 베어링(94)의 외경보다 작게 한다. 또한, 삽입공(375)은 베어링(93·94)이나 제2 베벨 기어(82)나 제3 베벨 기어(83)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제3 구동축(373)의 일단에는, 상기 베어링(95)과 제4 베벨 기어(84)를 끼워 멈춤링 등에 의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3 구동 파이프(373a)의 하방에 위치하는 삽입공(78)으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95)의 직경은 삽입공(78)보다 작게 구성한다. 그리고, 제3 구동축(373)의 타단부에, 보스부 위에 베어링(96)을 끼운 제5 베벨 기어(85)가 끼워지고 멈춤링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제3 구동 파이프(373a)에 마련된 플랜지부(373b)와 상기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에 마련된 플랜지부(76b)는 볼트 등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6 베벨 기어(86)의 보스상에 베어링(97)을 고정하고,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하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제6 베벨 기어(86)와 제5 베벨 기 어(85)를 치합시킨다.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중간부에는 베어링(98)이 끼워져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단부에 멈춤링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좌상부 반송 장치(28)는 상기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에 볼트 등에 의해 연결된다.
도 28,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상부 반송 장치(28)는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에 끼우는 좌상부 반송 구동 스프로킷(101), 좌상부 반송 구동 스프로킷(101)에 대해 체인(102)을 개재하여 종동(從動)적으로 회동하는 종동 스프로킷(103), 상기 좌상부 반송 구동 스프로킷(101)과 종동 스프로킷(103)의 사이에 감긴 체인(102), 체인(102)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팔보 상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상부 반송 타인(28a)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이 상판(105)과 하판(206)으로 이루어지는 좌상부 반송 케이스(107)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이들 부품은 사전에 조립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한 유니트 구성으로 한다.
즉, 상기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의 좌상부 반송 장치(28)측의 단부에는 플랜지부(가장자리)(76c)가 설치되고, 플랜지부(76b)에는 복수의 볼트공(76d)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좌상부 반송 케이스(107)의 상판(105)에는, 상기 볼트공(76d)에 대응하여 복수의 볼트(105a)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볼트공(76d)에 상기 볼트(105a)를 끼워 넣어 너트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와 좌상부 반송 장치(28)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 반송 구동 스프로킷(101)은 중심부에 보스 형상의 구동축(211)에 끼워지고, 구동축(211)의 축심부에는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의 단부가 스플라인 결합 등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구동축(211)의 하단은 베어링(21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어링(212)은 하판(206)에 고정된다. 즉, 구동 스프로킷(101)은 좌상부 반송 케이스(107)의 바닥판(206)에 마련된 베어링(212)에 의해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너트를 제거함으로써 좌상부 반송 장치(28)는 좌상부 반송 입력 파이프(76a) 및 좌상부 반송 입력축(76)으로부터 하방으로 빼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주행기체(1)의 전방에 배치한 예취부(3)에 곡간 기립 장치(13)에 의해 일으킨 이삭끝측을 반송하고, 역U자 형상으로 구성한 서스펜션 프레임(474)에 의해 좌우의 상부 반송 장치(28·29)를 연결하고, 좌우의 상부 반송 장치(28·29)와 하부 반송 장치(25·27)로부터 피드 체인(6)으로 이어지는 세로 반송 장치(30)를 일체적으로 그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콤바인의 예취 장치로서, 좌상부 반송 장치(28)를 유니트로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논, 밭에서의 예취 작업시에 좌상부 반송 장치(28)에 작물의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좌상부 반송 장치(28)를 제거하고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교환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상부 반송 장치(28)는 상판(105) 및 하판(206)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07)와, 이 케이스(107) 내에 수납되는 구동 스프로킷(101)과, 종동 스프로킷(103)과, 두 스프로킷(101·103) 사이에 감기는 타인이 부착된 체인(102)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101)은 내부에 스플라인을 형성한 중공의 구동축(211) 상에 고정 설치되며, 그 구동축(211)은 하판(206)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니트화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101)의 기울기 등이 불안정했던 부분이 케이스(107) 내에서 일체적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안정적이다.
또한, 상기 구동축(211)에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474)으로부터 돌출된 전동축(76)을 스플라인 결합 가능하게 구성함과 함께,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474)의 선단에 가장자리(76c)를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76c)와 상기 상부 케이스(107)를 볼트(105a)에 의해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서스펜션 프레임(474)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스플라인 결합함으로써 확실히 행하고, 또한 볼트(105a)를 분리함으로써 유니트별로 서스펜션 프레임(474)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주행기체(1)의 전방에 배치한 예취부(3)에 하부 반송 장치(25·27)로부터 피드 체인(6)으로 이어지는 세로 반송 장치(30)와, 곡간 기립 장치(13)에 의해 일으킨 이삭끝측을 반송하는 좌우의 상부 반송 장치(28·29)를, 일체적으로 그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콤바인의 예취 장치로서, 우상부 반송 장치(29)(조종석측)와 좌상부 반송 장치(28)(피드 체인측)를 파이프로 역U자 형상으로 구성한 서스펜션 프레임(474)에 의해 연결하고, 파이프 형상 프레임 내에 우상부 반송 장치(29)로부터 좌상부 반송 장치(28)로 동력을 전 달하는 전동 기구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좌상부 반송 장치(28)가 세로 반송 장치(30) 및 우상부 반송 장치(29)와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의 곡간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우상부 반송 장치(29)와 좌상부 반송 장치(28)의 일체적인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474)은 우상부 반송 장치(29)로부터 세워지는 파이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향의 제1 파이프(371a)와, 제1 파이프(371a)의 상단에 접속된 대략 가로 방향의 제2 파이프(372a)와, 제2 파이프(372a)의 선단에 접속된 하향의 제3 파이프(373a)와, 이들 파이프를 접속하는 조인트(87, 88)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각 파이프의 내부에 구동축(371·372·373)을 통과시켜 좌상부 반송 장치(28)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서스펜션 프레임(474)의 내부에 구동 수단을 내장함으로써 구동 수단이 보호된다. 또한, 조인트 내부에 베벨 기어(81·82·83·84·85·86)를 배치하고 전동축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가요성 전동축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3개의 파이프(371a, 372a, 373a)를 2개의 조인트(87, 88)에 의해 연결하여 서스펜션 프레임(474)을 구성하고, 제1 조인트(87)를 둔각으로 파이프를 접속하는 대략 "ヘ" 형상으로 구성하고, 제2 조인트(88)를 예각으로 파이프를 접속하는 대략 "V"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제2 조인트(88)의 절곡부에 파이프(372a)에 전동축(372)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U 파이프 내에 구동축, 베벨 기어, 베어링을 삽입하는 것이 쉬워진다. 즉, 구동축, 베벨 기어, 베어링을 조립한 상태(구조)로 "ヘ" 형상의 제1 조인트에는 양측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하여, 기어들을 치합시킬 수 있다. 제2 조인트에는 하나의 축 구조를 삽입하고, 다른 한 쪽은 다른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베벨 기어를 치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474)의 기초부측단은 상기 우상부 반송 장치(29)의 상부 체인 케이스(6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우상부 반송 장치(29)와 좌상부 반송 장치(28)의 일체적인 회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스펜션 프레임 등을 일체적으로 분리하여 유지 보수 등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의 기립 장치의 기술, 보다 자세하게는 타인 구동축 및 전달축을 지지하기 위한 기립 기어 케이스를 분할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농업의 용도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주행기체 앞 부분에 마련된 예취 장치의 앞 부분에 기립 장치를 구비하고, 기립 타인을 구동하는 기어를 내장하는 기립 기어 케이스가 기립 케이스 상부 후면에 배치된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를 전후로 이분된 케이스로 구성하며, 전부 케이스에 타인 구동축을 지지하고, 후부 케이스에 예취 입력축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을 지지하고, 상기 타인 구동축과 전동축에 각각 베벨 기어를 고정하여 치합시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
  2. 주행기체 앞 부분에 마련된 예취 장치의 앞 부분에 기립 장치를 구비하고, 기립 타인을 구동하는 기어를 내장하는 기립 기어 케이스가 기립 케이스 상부 후면에 배치된 콤바인의 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의 전부 내에, 타인 구동축에 끼워 넣어지는 제1 베벨 기어를 제1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의 후부 내에,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치합하고, 예취 입력축으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에 끼워 넣어지는 제2 베벨 기어를 제2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기립 기어 유니트를 구성하고,
    상기 기립 기어 유니트를 상기 기립 케이스에 장착하고, 상기 기립 케이스로 부터 돌출되는 상기 타인 구동축을 상기 제1 베벨 기어에 끼워 넣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기어 케이스의 분할면은 타인 구동축에 대해 직각으로 하고, 상기 타인 구동축에 고정 설치된 베벨 기어와 전동축에 고정 설치된 베벨 기어의 치합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케이스와 후부 케이스의 주위에 복수 개의 구멍을 마련하고, 연결구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케이스에, 베벨 기어를 고정한 타인 구동축을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 기립측 유니트로 하고, 상기 기립측 유니트를 기립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기립 장치.
KR1020087031795A 2006-06-19 2007-06-19 콤바인의 기립 장치 KR20090025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9416A JP4809721B2 (ja) 2006-06-19 2006-06-19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JP-P-2006-169416 2006-06-19
JPJP-P-2006-169415 2006-06-19
JPJP-P-2006-169414 2006-06-19
JP2006169415A JP4809720B2 (ja) 2006-06-19 2006-06-19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006169414A JP2007330232A (ja) 2006-06-19 2006-06-19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JP-P-2006-171884 2006-06-21
JPJP-P-2006-171885 2006-06-21
JP2006171884A JP2008000053A (ja) 2006-06-21 2006-06-21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006171885A JP2008000054A (ja) 2006-06-21 2006-06-21 コンバインの引起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289A true KR20090025289A (ko) 2009-03-10

Family

ID=3883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795A KR20090025289A (ko) 2006-06-19 2007-06-19 콤바인의 기립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25289A (ko)
WO (1) WO20071486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591A (ko) * 2012-07-06 2014-01-16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0525B (zh) * 2018-08-20 2023-09-15 塔里木大学 一种绿肥粉碎翻压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676Y2 (ko) * 1980-05-29 1987-11-02
JP3383446B2 (ja) * 1994-12-08 2003-03-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H0994024A (ja) * 1995-09-29 1997-04-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
JPH10276542A (ja) * 1997-04-08 1998-10-20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取部伝動構造
JP2007075027A (ja) * 2005-09-15 2007-03-29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591A (ko) * 2012-07-06 2014-01-16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8687A1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770B2 (en) Draper platform with reconfigurable central roller baffle
EP3434096B1 (en) Draper platform with removable central roller baffle
CN107750576B (zh) 一种自走式大蒜联合收获机
KR20090025289A (ko) 콤바인의 기립 장치
CN101472462B (zh) 联合收割机的扶禾装置
JP3851250B2 (ja) コンバイン
JP4809721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CN113562089B (zh) 履带行驶装置、联合收割机、收割机
JP2006223261A (ja) コンバイン
JP2005040144A (ja) コンバイン
JP4809720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CN101999276B (zh) 收割装置
JP6624633B2 (ja) コンバイン
JP2002084862A (ja) コンバイン
JP3450740B2 (ja) 栽培作物用作業機
JP2011055744A (ja) コンバイン
JP4572491B2 (ja) コンバイン
JP4805902B2 (ja) コンバイン
JP3426929B2 (ja) 刈取機の分草装置
JP3380964B2 (ja) コンバイン
JP200704399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4528647B2 (ja) コンバイン
JP2008000054A (ja) コンバインの引起し装置
JP5643604B2 (ja) コンバイン
KR101322254B1 (ko) 콤바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