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026A - 직립형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직립형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026A
KR20090024026A KR1020070089201A KR20070089201A KR20090024026A KR 20090024026 A KR20090024026 A KR 20090024026A KR 1020070089201 A KR1020070089201 A KR 1020070089201A KR 20070089201 A KR20070089201 A KR 20070089201A KR 20090024026 A KR20090024026 A KR 2009002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round
upright
hexahedron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4026A/ko
Publication of KR2009002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the container body having a pyramid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직립형 포장박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직립형 포장박스는, 육면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내용물을 포장하는 직립형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중 바닥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과 상부로 연장된 좌우 측면은 하부의 폭은 넓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기 폭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육면체 중 상면은 상기 좌우 측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바깥을 향하며 돌출하는 라운드를 형성하여 중앙에서 가장 긴 폭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상기 라운드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육면체 중 정면과 배면은 라운드를 형성하며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기존과는 다른 형태 또는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직립성이 향상되고, 이와 더불어 미려함이 더욱 더 향상됨으로써 소비자로부터 구매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직립형 포장박스, 포장용기, 직립성

Description

직립형 포장박스{STANDING ERECT TYPE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직립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직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포장박스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직립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포장용기와 포장박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을 저장 및 포장하는 포장용기(10)는 음식물 내부로 이물질이 쉽게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비닐(vinyl) 또는 내면에 박막의 비닐을 코팅을 한 종이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포장용기(10)는 비닐 팩(vinyl pack)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직립성이 떨어져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진열대에 진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포장용기(10)로 된 상품의 경우에는 똑바로 세워 진열할 수 없기 때문에 포장용기(10) 외부면에 인쇄된 상품의 상표 도안이나 광고문구 등을 소비자에게 노출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용기(10)가 통상 한 겹(one layer)이면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져 포장용기(10) 내의 내용물이 물리적으로 변형되기 쉽다. 예컨대, 상기한 내용물이 과자인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본래의 형태가 쉽게 깨져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포장용기(10)를 그 내부에 담아 포장하는 포장박스(20)를 이용한다.
이러한 포장박스(20)는 통상 직사각형의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직립성이 뛰어나 진열대에 진열하기 쉬어 외부면에 표시된 상표 등을 소비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으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어 포장용기(10) 내의 내용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박스(20)는 특히, 좌우 측면(21)의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진열대에서 쉽게 넘어지게 된다. 즉, 직립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포장용기(10) 내의 내용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내용물 포장과 함께 포장용기(10) 내에 주입된 공기로 인해 포장용기(10)가 부풀어올라 간 상태에서 포장박스(20)에 포장을 하기 때문에 포장박스(20)가 변형된다. 이러한 이유로 포장박스(20)의 직립성을 떨어뜨리고, 포장용기의 내용물에 물리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박스(20)는 전형적인 박스 형태인 직사각형의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인해 포장박스(20)의 미감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즉, 상기 포장박스(20)의 전면/후면(22)의 외부면에 상표 등의 인쇄를 하더라도 포장박스(20)의 형태가 일정한 직사각형의 직육면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포장박스(20)의 미려함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되고, 결국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떨어뜨려 구매 의욕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포장박의 직립성을 향상시키고, 포장박스의 미려함을 향상시켜 상품의 가치가 향상되도록 하여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증대시키도록 한 직립형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립형 포장박스는, 육면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내용물을 포장하는 직립형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중 바닥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과 상부로 연장된 좌우 측면은 하부의 폭은 넓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기 폭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육면체 중 상면은 상기 좌우 측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바깥을 향하며 돌출하는 라운드를 형성하여 중앙에서 가장 긴 폭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상기 라운드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육면체 중 정면과 배면은 라운드를 형성하며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이 육면체의 좌우 측면, 정면과 배면, 및 상면이 기존과는 다른 형태 또는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포장을 안정되게 함은 물론 상품 진열시 안정된 진열이 가능해지고, 이와 더불어 미려함이 더욱 더 향상됨으로써 소비자로부터 구매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어 상품의 판매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육면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내용물을 포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육면체 중 바닥면(31)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면(31)과 상부로 연장된 좌우 측면(32,33)은 하부의 폭은 넓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즉, 바닥면(31)은 직사각형이 되고, 좌우 측면(32,33)은 밑면의 폭이 긴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닥면(31)은 포장박스(30)의 정면(34)과 배면(35)쪽의 길이에 비해 좌우 측면(32,33)의 폭이 작은 직사각형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육면체 중 상면(36)은 좌우 측면(32,33)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양 단부가 연결되 면서 바깥을 향하며 돌출하는 라운드(R)를 형성하여 중앙에서 가장 긴 폭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상기 라운드(R)는 바닥면(31)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의 육면체 중 정면(34)과 배면(35)은 라운드(R)를 형성하며 돌출된 돌출부(3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면(34)과 배면(35)으로 향해 돌출된 라운드(R)는 상단에서 하단부로 내려 갈수록 작아지며 형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31)과 상면(36)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포장박스(30)에 저장 또는 포장되는 내용물에 따라 상기 바닥면(31)과 상면(36)의 개폐가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한 내용물이 음식인 경우에는 상기 바닥면(31)과 상면(36)이 모두 페쇄될 것이고, 소비자가 구매 전 내용물의 확인이 필요한 물품인 경우에는 바닥면(31) 또는 상면(36) 어느 한 쪽은 개폐 가능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면(31)과 상면(36)의 개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면(36)은 하부 덮개판(36a)과, 이 하부 덮개판(36a)의 위에 얹히는 상부 덮개판(36b)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하부 덮개판(36a)의 일측에는 삽입공(36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덮개판(36b)에는 상기 삽입공(36c)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36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31)에는 다수개의 결합편(31a)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결 합편이 서로 결합되면서 바닥면(31)을 개폐한다.
이와 같은 바닥면(31) 및 상면(36)의 개폐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바닥면(31) 및 상면(36)의 폐쇄 방법은 테이핑(taping) 작업, 또는 접착제 도포 작업 등 다양한 작업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면(36)의 경우 하부 덮개판(36a)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상부 덮개판(36b)을 밀착시키면 상면(36)이 폐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포장박스(30)에 저장 또는 포장되는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정면(34) 및 배면(35), 좌우 측면(32,33), 그리고 바닥면(31)과 상면(36)을 형성한 육면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중 바닥면(31)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측면(32,33)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36)은 상기 좌우 측면(32,33)과 연결되고, 이와 함께 전후면이 라운드(R)를 형성하며, 이러한 라운드(R)는 중앙에서 폭이 가장 크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라운드(R)가 바닥면(31)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면 및 배면(35)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큰 라운드(R)로 된 돌출부(3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우 측면(32,33)의 바닥면(31)의 폭이 넓고 그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 들면서 형성되고, 전면 및 배면(35)의 상부가 라운드(R)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37)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안정된 직립이 가능하고, 포장박스(30)에 포장되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장용기(40)를 적정하게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좌우 측면(32,33)의 하부 쪽의 폭에 비해 상부 쪽의 폭이 좁으므로 안정되게 포장박스(30)의 직립이 가능하고, 상부 쪽의 폭의 줄어든 부분을 정면(34) 및 배면(35) 쪽의 돌출부(37)가 보상하여 줌으로써 포장박스(30) 전체적으로 안정된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면(34) 및 배면(35)으로 라운드(R) 형태의 돌출부(37)를 형성함으로써 포장박스(30) 내에 포장되는 포장용기(40)를 포장박스(30)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하여 무리 없이 포장이 가능하다. 특히, 포장용기(40)가 부풀어오르는 경우에도 포장박스(30)의 전면 및 배면(35)에 라운드(R) 형태의 돌출부(37)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박스(30)의 측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고, 전면 및 배면(35)에 라운드(R) 형태의 돌출부(37)를 형성하며, 또한 상면(36)에는 바닥면(31)을 향해 오목한 라운드(R)를 형성함으로 포장박스(30)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미려함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직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대에 안정되게 진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박스(30) 외부면에 인쇄된 상표를 소비자에게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30)는, 전체적인 형상이 기존과는 다른 미려함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더욱 더 고취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품의 판매 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포장용기 및 포장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포장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포장박스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포장박스에 포장되는 포장용기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직립형 포장박스
31. 바닥면
32,33. 좌우 측면
34. 정면
35. 배면
36. 상면
37. 돌출부

Claims (5)

  1. 육면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내용물을 포장하는 직립형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중 바닥면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과 상부로 연장된 좌우 측면은 하부의 폭은 넓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기 폭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육면체 중 상면은 상기 좌우 측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바깥을 향하며 돌출하는 라운드를 형성하여 중앙에서 가장 긴 폭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상기 라운드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육면체 중 정면과 배면은 라운드를 형성하며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면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포장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포장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라운드는 상단에서 하단부로 내려 갈수록 작아지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포장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하부 덮개판과, 상기 하부 덮개판의 위에 얹히는 상부 덮개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하부 덮개판의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덮개판에는 상기 삽입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포장박스.
KR1020070089201A 2007-09-03 2007-09-03 직립형 포장박스 KR20090024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01A KR20090024026A (ko) 2007-09-03 2007-09-03 직립형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01A KR20090024026A (ko) 2007-09-03 2007-09-03 직립형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026A true KR20090024026A (ko) 2009-03-06

Family

ID=4069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201A KR20090024026A (ko) 2007-09-03 2007-09-03 직립형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4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43Y1 (ko) * 2017-07-04 2018-10-17 (주)삼보에이팩 자동 스탠딩형 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43Y1 (ko) * 2017-07-04 2018-10-17 (주)삼보에이팩 자동 스탠딩형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015B2 (en) Clear window packaging assembly and method
BRPI0610192A2 (pt) embalagem moldada
US7472792B2 (en)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US7316311B2 (en) Resealable clear flexible package for shoes
US20020162771A1 (en) Interactive display packaging
JP2002326623A (ja) 包装箱
US3051305A (en) Cigarette carton
KR20090024026A (ko) 직립형 포장박스
US20090288981A1 (en) Package for Displaying a Product
KR200345356Y1 (ko) 포장용 박스 적층용 받침대
JP6009763B2 (ja) 包装箱
CN112591250A (zh) 集销售展示运输于一体的产品包装箱
CN110775394A (zh) 包装盒
US3563369A (en) Display carton for a clock
KR20080051951A (ko) 판매자 중심의 기능성 포장상자
KR101182946B1 (ko)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KR200438770Y1 (ko) 과일 포장용 박스
JP3179458U (ja) 包装容器カバー
CN220375232U (zh) 一种折叠式展示盒
CN212654689U (zh) 一种双开升起展示盒结构
CN210175342U (zh) 包装盒
JP3214470U (ja) 包装用中箱
KR20180022196A (ko) 포장용 박스
KR200307705Y1 (ko) 포장용 상자
KR200344057Y1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