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946B1 -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946B1
KR101182946B1 KR1020110089979A KR20110089979A KR101182946B1 KR 101182946 B1 KR101182946 B1 KR 101182946B1 KR 1020110089979 A KR1020110089979 A KR 1020110089979A KR 20110089979 A KR20110089979 A KR 20110089979A KR 101182946 B1 KR101182946 B1 KR 10118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ver
fixing
cylinder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093A (ko
Inventor
신윤미
Original Assignee
신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미 filed Critical 신윤미
Priority to KR102011008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9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13Internal elements supporting the contents and movable for displaying them, e.g. movable bottom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물을 감싸는 두 개의 덮개를 하부에서 좌우 회동가능하게 하여 내용물이 돋보이게 할 수 있으면서 덮개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때에 스프링 작용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포장용 상자는 내용물이 담기는 하부통과, 이 하부통을 양쪽에서 감싸듯 결합되어 좌우로 V자 형태로 벌어지는 한쌍의 덮개통과, 덮개통의 내측 상단부에서부터 하부통의 양측 상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덮개통의 내측 상단부에는 고정통이 각각 형성되고, 이 고정통의 마주보는 면 및 하부면에는 내용물의 상부측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통중 어느 한쪽에는 반대편 고정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쐐기 형태를 갖는 판 형상의 록킹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A packaging box}
본 발명은 진열 및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감싸는 덮개를 양 옆으로 "V"자 형태로 회동되게 하여 내용물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통 방식에 따르면,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포장상자에 수납되어 운송 및 보관되며, 이러한 제품들은 백화점 등의 소매점에서 포장상자로부터 꺼내어져 진열대에 별도로 진열된다. 즉, 종래의 포장상자의 기능은 제품들을 수납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운반하는 것이며, 상자 내 수납된 제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뿐이었다.
그런데, 최근 대형 할인유통판매점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저렴해지고 있으며, 제품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 별도의 진열을 생략하고 포장상자를 직접 진열하는 유통 형태가 보급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상자를 직접 진열하는 경우, 종래의 포장상자는 몇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종래의 포장상자는 운반 및 보관에는 용이하지만, 상품을 진열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종래의 포장상자는 4각형의 저면을 기초로 4개의 측판이 배치되어 측벽을 형성하고, 4개의 측판에 각각 연결된 상판들이 상면을 덮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종래의 포장상자는 상판 및 측판들이 상자의 내부를 가리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수납된 제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즉, 뚜껑(3)을 바닥에 놓고 하부상자(2)의 뒷부분이 뚜껑(3)의 뒷부분에 걸쳐지게 하여 내용물이 경사지게 됨으로써, 안의 내용물이 잘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방법으로는 궁극적인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며, 디스플레이 할때마다 뚜껑을 열어서 받치고 물건을 비스듬히 올려놓고, 다시 닫는 등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대한민국 특허 제1004997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개시된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용물을 감싸는 두 개의 덮개를 하부에서 좌우 회동가능하게 하여 디스플레이를 원할때에는 덮개를 벌려 내용물이 겉으로 보여지게 함으로써, 내용물이 돋보이게 할 수 있으면서 디스플레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조를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한쌍의 덮개박스(110)와, 상기 덮개박스(110)의 하부면을 연결하면서 내용물이 안치되는 바닥지(121)와, 상기 바닥지(121)의 전,후면으로 연장되어 직립되되, 틈새가 있도록 겹쳐지게 연장되면서 상단 양측에 절개홈(122a)이 형성되는 고정지(122)와, 상기 덮개박스(110)에서 돌출되어 상기 고정지(122)의 틈새로 삽입되면서 끝단 상측에 쐐기 형태의 걸림턱(125)이 형성된 걸림지(1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한쌍의 덮개박스(110)가 바닥지(121)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면서 걸림지(124)의 걸림턱(125)이 절개홈(122a)으로 삽입되어 받쳐주는 것으로, 단순히 열려서 브이자로 벌어지고 이를 단순히 걸리게 해주는 것에 불과하였다. 즉, 걸림턱(125)과 절개홈(122a)도 종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쉽게 유격이 발생되고, 덮개가 어떤 고정수단 없이 쉽게 흔들리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특허번호:1004997 B1, 2010.12.23.)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발명자:신윤미(대한민국)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을 감싸는 두 개의 덮개를 하부에서 좌우 회동가능하게 하여 내용물이 돋보이게 할 수 있으면서 덮개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때에 스프링 작용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기는 하부통과, 이 하부통을 양쪽에서 감싸듯 결합되어 좌우로 V자 형태로 벌어지는 한쌍의 덮개통을 갖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덮개통의 내측 상단부에서부터 하부통의 양측 상단까지 판스프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를 제공한다.
이때, 덮개통의 내측 상단부에는 고정통이 각각 형성되고, 이 고정통의 마주보는 면 및 하부면에는 내용물의 상부측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통중 어느 한쪽에는 반대편 고정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쐐기 형태를 갖는 판 형상의 록킹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는 내용물을 가운데로 하여 양쪽으로 덮개가 V자로 벌어지게 하여 내용물을 돋보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의 내부에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덮개가 닫혀있을때에나 또는 열려져 있을때에 제자리에 머무르려는 힘이 발생되어 덮개가 쉽게 열리지 않게 되고, 덮개가 뒤틀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나타낸 열린 상태 종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를 나타낸 닫힌 상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상자(200)는 함체 형상의 하부통(210)과, 이 하부통(210)의 측방향 양쪽에서 감싸지듯 결합되는 덮개통(220)과, 덮개통(220)의 내측 상부에서부터 하부통(210)의 상부면 양측으로 연결되는 판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통(210)은 내용물이 올려지는 곳으로, 하부통(210)의 상부면상에는 내용물이 담기도록 안착부(2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병 종류의 내용물을 담도록 구성하여 안착부(211)를 둥그런 통공으로 형성하였고, 이 안착부(211)의 내측면상에 수십개의 절개편(212)을 형성하여 절개편(212)들이 내용물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하였다. 안착부(211)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과 같이 할 수도 있으나, 단순히 통공만 형성할 수도 있고, 내용물의 형태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두 개의 덮개통(220)은 사각통을 종방향으로 이등분 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덮개통(220)의 하부에 하부통(21)이 삽입되듯이 서로 결합된다. 이때, 하부통(210)의 양쪽 하단부가 덮개통(220)에 접착되어 이 접착부(221)가 힌지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부(221)는 접착제 등으로 붙여질 수도 있으나 덮개통(220)이 회동되기 위해서는 수평한 선 형태로 접착되어야 하므로 쉽게 떨어질 수 있어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그리고 덮개통(220)이 회동되기 위해 덮개통(220)의 하부면은 개방된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230)은 덮개통(220)의 내측 상단부에서부터 하부통(210)의 양측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데, 덮개통(220)이 브이자로 벌어졌을때에 판스프링(230)이 일자로 펼쳐지는 크기를 갖는다. 즉, 판스프링(230)의 길이에 따라 덮개통(220)의 벌어지는 각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판스프링(230)은 도 6과 같이 덮개통(220)이 닫히게 되면 판스프링(230)의 상하부가 고정된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내용물 방향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지게 된다.
판스프링(230)은 덮개통(220)이 벌어져 있을때에 판스프링(230)의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덮개통(220)에 힘이 가해져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고정힘이 발생되고, 반대로 덮개통(220)이 닫혀졌을때에도 판스프링(230)이 펼쳐지려는 힘이 가해져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고정힘이 발생된다. 즉, 덮개통(220)이 브이자로 벌어졌을때에는 판스프링(230)의 반력이 사선방향으로 가해져 덮개통(22)이 더욱 힘차게 벌어지게 되고, 덮개통(220)이 닫혀져 있을때에는 판스프링(230)의 반력이 상측방향으로 가해져 덮개통(220)이 벌어지려는 힘을 억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용물(A)이 있는 경우에는 판스프링(230)의 가운데가 눌리기 때문에 판스프링(230)의 반력은 더욱 커져 덮개통(220)이 벌어지려는 힘을 더욱 세게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판스프링(230)은 종이로 제작되는게 기본이나, 반력을 높이기 위해 얇은 합성수지판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통(220)의 내측 상단부에는 각각 고정통(24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통(240)이란 내용물(병)(A)의 상부가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이 고정통(240)의 마주보는 면 및 하부면에 내용물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홀(241)이 형성된다. 즉, 병의 경우에는 병의 뚜껑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홀(241)을 형성하고, 다른 내용물의 경우에도 그 내용물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정통(240)의 상부에는 록킹부(250)가 더 형성된다. 록킹부(250)는 덮개통(220)이 닫혔을때에 이를 잠그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록킹부(250)를 쐐기 형태의 판으로 제작하였다. 즉, 쐐기 형태의 판으로 된 록킹부(250)는 그 반대쪽의 고정홀(241)로 들어가 양쪽으로 돌출된 록킹부(250)가 고정홀(241)에 걸리면서 덮개통(220)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록킹부(250)는 흔히 사용하는 자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200 : 포장용 상자
210 : 하부통 211 : 안착부
212 : 절개편 220 : 덮개통
221 : 접착부 230 : 판스프링
240 : 고정통 241 : 고정홀
250 : 록킹부

Claims (3)

  1. 내용물(A)이 담기는 하부통(210)과, 이 하부통(210)을 양쪽에서 감싸듯 결합되어 좌우로 V자 형태로 벌어지는 한쌍의 덮개통(220)을 갖는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덮개통(220) 내측 상단부에서부터 상기 하부통(210)의 양측 상단까지 판스프링(230)이 설치되되, 상기 덮개통(220)이 벌어졌을때에는 상기 판스프링(230)이 사선방향으로 일자가 되고 상기 덮개통(220)이 닫혔을때에는 상기 판스프링(230)이 상기 내용물(A)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상기 덮개통(220)이 닫혔을때에는 상기 판스프링(230)의 중심부가 상기 내용물(A)과 맞닿아 눌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통(220)의 내측 상단부에는 고정통(240)이 각각 형성되고, 이 고정통(240)의 마주보는 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내용물(A)의 상부측이 삽입되는 고정홀(24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240)중 어느 한쪽에는 반대편 고정홀(241)로 삽입될 수 있도록 쐐기 형태를 갖는 판 형상의 록킹부(25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KR1020110089979A 2011-09-06 2011-09-06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KR10118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979A KR101182946B1 (ko) 2011-09-06 2011-09-06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979A KR101182946B1 (ko) 2011-09-06 2011-09-06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093A KR20110116093A (ko) 2011-10-25
KR101182946B1 true KR101182946B1 (ko) 2012-09-13

Family

ID=4503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979A KR101182946B1 (ko) 2011-09-06 2011-09-06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5394A (zh) * 2019-10-14 2020-0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包装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76Y1 (ko) * 2005-08-17 2005-11-17 채동진 포장용 상자
KR200420783Y1 (ko) * 2006-03-30 2006-07-05 덕천판지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76Y1 (ko) * 2005-08-17 2005-11-17 채동진 포장용 상자
KR200420783Y1 (ko) * 2006-03-30 2006-07-05 덕천판지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093A (ko) 201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311B2 (en) Resealable clear flexible package for shoes
US8763887B2 (en) Octagonal container for food, especially tostadas
KR101182946B1 (ko)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KR200401476Y1 (ko) 포장용 상자
AU2011301775A1 (en) A tamper evident container
KR200468696Y1 (ko) 개폐 측면 폐쇄형 포장상자
KR100978460B1 (ko)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KR200441621Y1 (ko) 상품 케이스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KR101004997B1 (ko)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US6126068A (en) Garment display package
KR200411029Y1 (ko) 포장 상자
KR200438770Y1 (ko) 과일 포장용 박스
KR102312848B1 (ko) 테이프 없이 포장가능한 포장상자
KR200479488Y1 (ko) 진열장 기능을 갖는 화장품 포장 케이스
FR2673604A1 (fr) Emballage d'un ensemble bequilles-plaques de porte, notamment pour sa presentation a la vente en libre service.
JP6724456B2 (ja) シュリンクフィルム付き台紙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KR200441420Y1 (ko) 포장용 조립체
FR2883844A1 (fr)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emballages de transport et/ou de presentation dont le contenu peut etre oriente sur le lieu de vente
KR102018563B1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KR200474781Y1 (ko) 상품 수납 용기
JP6924842B2 (ja) 商品パッケージ
KR20080051951A (ko) 판매자 중심의 기능성 포장상자
KR200472476Y1 (ko) 상품 수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