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460B1 -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460B1
KR100978460B1 KR1020080078564A KR20080078564A KR100978460B1 KR 100978460 B1 KR100978460 B1 KR 100978460B1 KR 1020080078564 A KR1020080078564 A KR 1020080078564A KR 20080078564 A KR20080078564 A KR 20080078564A KR 100978460 B1 KR100978460 B1 KR 10097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right cover
packaging box
cover cylinders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832A (ko
Inventor
성시호
Original Assignee
성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시호 filed Critical 성시호
Priority to KR102008007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53Containers initially closed but folded about a central axis to display the contents in two or mor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8Devices, e.g. plates, presenting apertures through which the articles pro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좌우측 덮개를 잡아 당겨 중간에 놓인 병이 돋보이면서 디스플레이가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될 때에 쌍둥이 빌딩처럼 보여 신비스러움과 함께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는 병 포장상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는 병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상에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통과,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어 받침통과 병을 좌우측에서 수용하는 좌, 우 덮개통을 포함한다. 이때, 좌, 우 덮개통의 좌우 벌어짐 간격을 한정하도록 좌, 우 덮개통의 내면상에는 받침통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절첩판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 우 덮개통의 하부 개방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받침통의 양측면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는 걸림판이 형성되어 좌, 우 덮개통의 스토퍼 역할을 해준다. 또한, 좌, 우 덮개통의 서로 마주보는 개방면 내부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좌, 우 덮개통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좌, 우 덮개통의 내측 중간에는 병이 관통되는 연결판을 형성하여 병의 흔들림 방지 역할 뿐만 아니라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조형미를 연출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A packing box for bottle}
본 발명은 병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을 감싸는 덮개를 양 옆으로 잡아 당겨 덮개의 가운데에 병이 놓이도록 하여 병을 돋보이게 할 수 있으면서 디스플레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통 방식에 따르면,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들은 포장상자에 수납되어 운송 및 보관되며, 이러한 제품들은 백화점 등의 소매점에서 포장상자로부터 꺼내어져 진열대에 별도로 진열된다. 즉, 종래의 포장상자의 기능은 제품들을 수납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운반하는 것이며, 상자 내 수납된 제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뿐이었다.
그런데, 최근 대형 할인유통판매점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저렴해지고 있으며, 제품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 별도의 진열을 생략하고 포장상자를 직접 진열하는 유통 형태가 보급되고 있다.
이렇게 포장상자를 직접 진열하는 경우, 종래의 포장상자는 몇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종래의 포장상자는 운반 및 보관에는 용이하지만, 상품을 진열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종래의 포장상자는 4각형의 저면을 기초로 4개의 측판이 배치되어 측벽을 형성하고, 4개의 측판에 각각 연결된 상판들이 상면을 덮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종래의 포장상자는 상판 및 측판들이 상자의 내부를 가리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수납된 제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즉, 뚜껑(3)을 바닥에 놓고 하부상자(2)의 뒷부분이 뚜껑(3)의 뒷부분에 걸쳐지게 하여 내용물이 경사지게 됨으로써, 안의 내용물이 잘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방법으로는 궁극적인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며, 디스플레이 할 때마다 뚜껑을 열어서 받치고 물건을 비스듬히 올려놓고, 다시 닫는 등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인 병을 돋보이게 하면서 디스플레이가 용이하도록 병을 감싸는 좌우 덮개를 양 옆으로 잡아 당겨 내용물이 중간에 놓이도록 한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인 병이 안착되는 부분을 중앙 현관으로 하고, 병을 감싸는 좌우 덮개를 빌딩으로 하며, 병의 중간에 쌍둥이 빌딩을 연결하는 다리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가 될 때에는 쌍둥이 빌딩처럼 보이게 하는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병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상에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통;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어 받침통과 병을 좌우측에서 수용하는 좌, 우 덮개통;을 포함하며,
좌, 우 덮개통의 좌우 벌어짐 간격을 한정하도록 좌, 우 덮개통의 내면상에는 받침통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절첩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이때, 절첩판은 중간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꺽여지도록 절첩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착홈의 상단 둘레에는 다수의 절개판들이 형성됨이 좋다.
또한, 안착홈의 내부에는 완충재가 내장됨이 좋다.
그리고 좌, 우 덮개통의 하부 개방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받침통의 양측면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는 걸림판이 형성되어 좌, 우 덮개통의 스토퍼 역할을 해준다.
그리고 좌, 우 덮개통의 내측 상부에는 병의 목부분을 고정하도록 가운데에 홈을 갖는 흔들림 방지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 우 덮개통의 서로 마주보는 개방면 내부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좌, 우 덮개통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좌, 우 덮개통의 내측 중간에는 병이 관통되는 연결판을 형성하여 병의 흔들림 방지 역할 뿐만 아니라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조형미를 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는 좌우측 덮개를 잡아 당겨 중간에 놓인 병이 돋보이면서 디스플레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는 디스플레이 될 때에 쌍둥이 빌딩처럼 보여 신비스러움과 함께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의 종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에 다리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100)는 받침통(120)과, 좌, 우 덮개통(110)을 포함한다.
먼저, 받침통(120)은 내용물인 병(A)이 담기는 것으로, 받침통(120)의 상부면상 중앙에는 병(A)의 하부가 삽입되는 안착홈(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홈(121)의 상단에는 병(A)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 하도록 다수의 절개판(122)들이 안착홈(121)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홈(121)의 내부에는 병의 충격방지 및 단열을 위해 스티로폼과 같은 완충재(123)가 내장된다.
다음으로, 좌,우 덮개통(110)은 받침통(120)을 좌우에서 수용하도록 좌측 또는 우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받침통(120)보다 상측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내용물인 병의 길이보다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좌, 우 덮개통(110)은 받침통(120)을 가운데에 두고 좌우로 슬라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좌, 우 덮개통(110)을 양측으로 벌리면 덮개통(110)이 슬라이딩 되면서 중간의 받침통(120)이 중간에서 노출되고, 덮개통(110)을 가운데로 오므리면 덮개통(110)이 슬라이딩 되면서 중간의 받침통(120)이 감춰지게 된다.
이때, 좌, 우 덮개통(110)의 좌우 벌어짐 간격을 한정하기 위해 좌, 우 덮개통(110)의 내면상과 받침통(120)의 측면을 연결하는 절첩판(111)이 부착된다.
절첩판(111)은 그 중간에 상향 또는 하향으로 꺽이도록 절첩선(112)이 형성된 것으로, 어느 일측이 좌, 우 덮개통(110)의 내면상에 부착되고, 타측이 받침통(120)의 측면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절첩판(111)은 좌, 우 덮개통(110)의 겉지의 일부가 사용되는 것이다. 즉, 좌, 우 덮개통(110)은 골판지와 같이 딱딱한 재질로 된 속지와 부드럽고 질기며 디자인성 높은 겉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겉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첩판(111)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절첩판(111)은 좌, 우 덮개통(110)이 벌어질때에는 이완 되면서 좌, 우 덮개통(110)이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는 벗어나지 못하도록 억제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좌, 우 덮개통(110)이 오므라들때에는 절첩판(111)은 절첩선(112)에 의해 꺽여서 좌, 우 덮개통(110)이 받침통(120)과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절첩판(111)에 의해서만 좌, 우 덮개통(110)이 벌어지거나 한정되면 덮개통(110)의 하부가 절첩판(111)을 중심으로 돌아가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좌, 우 덮개통(110)의 하부 개방면상에는 걸림턱(114)을 형성하고, 받침통(120)의 하부 양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판(124)을 형성하여 좌, 우 덮개통(110)의 스토퍼 역할과 함께 좌, 우 덮개통(110)이 선회되는 것을 억제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100)는 병(A)이 수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병(A)의 목 부분을 잡아주는 흔들림 방지구(113)가 더 포함된다.
즉, 흔들림 방지구(113)는 좌, 우 덮개통(110)의 내측 상부에 병(A)의 목 부분이 들어갈 정도의 홈(113a)을 주고 나머지는 통으로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100)는 좌, 우 덮개통(110)의 바깥쪽에 손잡이(115)를 부착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100)는 좌, 우 덮개통(110)의 개방면 상단이나 하단 또는 좌우측단에 자석(130)을 내장하여 휴대할때에 자석(130)이 서로 끌어당겨 좌, 우 덮개통(110)이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1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 우 덮개통(110)의 중간부에 병(A)이 관통되는 연결판(140)을 구비하여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100)는 쌍둥이 빌딩을 본 떠서 제작한 것으로, 받침통(120)은 중앙 현관 건물을 의미하고, 좌, 우 덮개통(110)은 양쪽에 대칭되는 빌딩을 의미하며, 연결판(140)은 좌, 우 빌딩을 연결하는 다리를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100)는 손잡이(115)와 자석(130)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모두 종이로 제작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가죽, 합성피혁, 합성수지 등과 같이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포장상자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의 종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 포장상자에 다리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Claims (8)

  1. 병(A)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상에 안착홈(121)이 형성된 받침통(120);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받침통(120)과 병(A)을 좌우측에서 수용하는 좌, 우 덮개통(110);을 포함하며,
    상기 좌, 우 덮개통(110)의 좌우 벌어짐 간격을 한정하도록 상기 좌, 우 덮개통(110)의 내면상에는 상기 받침통(120)의 측면으로 연결되는 절첩판(1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판(111)은 중간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꺽여지도록 절첩선(1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21)의 상단 둘레에는 다수의 절개판(122)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21)의 내부에는 완충재(123)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덮개통(110)의 하부 개방면에는 걸림턱(114)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통(120)의 양측면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는 걸림판(1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덮개통(11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병(A)의 목부분을 고정하도록 가운데에 병(A)의 목부분이 삽입되는 홈(113a)을 갖는 흔들림 방지구(11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덮개통(110)의 서로 마주보는 개방면 내부에는 자석(130)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덮개통(110)의 내측 중간에는 상기 병(A)이 관통되는 연결판(1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 포장상자.
KR1020080078564A 2008-08-11 2008-08-11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KR10097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64A KR100978460B1 (ko) 2008-08-11 2008-08-11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64A KR100978460B1 (ko) 2008-08-11 2008-08-11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32A KR20100019832A (ko) 2010-02-19
KR100978460B1 true KR100978460B1 (ko) 2010-08-26

Family

ID=4209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564A KR100978460B1 (ko) 2008-08-11 2008-08-11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137B1 (ko) * 2016-12-08 2018-11-01 이이한 서랍식 포장상자
CN110775394A (zh) * 2019-10-14 2020-0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包装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1U (ja) * 1991-06-25 1993-01-19 大日本紙業株式会社 開閉型の展示包装箱
KR200257014Y1 (ko) 2001-09-06 2001-12-24 주식회사 태평양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1U (ja) * 1991-06-25 1993-01-19 大日本紙業株式会社 開閉型の展示包装箱
KR200257014Y1 (ko) 2001-09-06 2001-12-24 주식회사 태평양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32A (ko) 201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311B2 (en) Resealable clear flexible package for shoes
KR100978460B1 (ko) 좌우로 벌어지는 병 포장상자
KR200452126Y1 (ko) 쿠키 포장상자
KR101458976B1 (ko) 화장품 용기 포장 케이스
US20060131371A1 (en) Exhibiting package with minimum amount of material
JP4178324B2 (ja)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KR20190009922A (ko) 진열 기능을 구비한 포장용 상자
JP2006240709A5 (ko)
ES2535644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embalaje de presentación apilable y embalaje de presentación correspondiente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US20110100867A1 (en) Packaging and display device
KR20120117303A (ko) 다기능을 갖는 판지상자
KR101182946B1 (ko)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KR102018563B1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KR101004997B1 (ko)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101237236B1 (ko) 탈부착 덮개를 갖는 포장용 상자
JP2011042389A (ja) 商品パッケージ及び梱包資材
KR20090028888A (ko) 포장용 상자
JP3098004U (ja) 簡易包装用紙箱
KR200453159Y1 (ko) 병 케이스
JP3208323U (ja) 包装物品
KR20220000632A (ko) 묶음 포장 박스용 간지
KR101631824B1 (ko) 상품 포장박스
KR101469536B1 (ko) 절첩 전개형 포장박스
KR200474781Y1 (ko) 상품 수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