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76Y1 - 상품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상품 수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2476Y1 KR200472476Y1 KR2020120010507U KR20120010507U KR200472476Y1 KR 200472476 Y1 KR200472476 Y1 KR 200472476Y1 KR 2020120010507 U KR2020120010507 U KR 2020120010507U KR 20120010507 U KR20120010507 U KR 20120010507U KR 200472476 Y1 KR200472476 Y1 KR 2004724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ions
- surface portion
- opening
- storage container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상품 수납 용기는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와 대향하는 상면부, 상기 수납부의 측면을 폐쇄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각 측면부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내부 잠금부와, 상기 각 측면부의 상기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품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 수납 용기는 상품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운반이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품 수납 용기는 운송이나 보관 중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보관된 상품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종래에는 상품 수납 용기에 보관된 상품을 꺼내어 진열대에 별도로 진열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상품의 별도 진열을 생략하고 수납 용기를 직접 진열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이렇게 수납 용기를 직접 진열하는 경우, 종래의 수납 용기는 몇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종래의 수납 용기는 운반 및 보관에는 용이하지만, 상품을 진열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종래의 수납 용기는 4각형의 저면을 기초로 4개의 측판이 배치되어 측벽을 형성하고, 4개의 측판에 각각 연결된 상판들이 상면을 덮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종래의 수납 용기는 상판 및 측판들이 상자의 내부를 가리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수납된 제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진열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즉, 종래의 수납 용기(100)의 뚜껑(120)을 바닥에 놓고 하부상자(110)의 뒷부분이 뚜껑(120)의 뒷부분에 걸쳐지게 하여 내용물이 경사지게 됨으로써, 안의 내용물이 잘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열 방법으로는 궁극적인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며, 진열할 때마다 뚜껑을 열어서 받치고 물건을 비스듬히 올려놓고, 다시 닫는 등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쉽게 개방 가능하며, 상품 진열이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능적 또는 미관적 측면을 고려해 수납 용기의 구조가 복잡화되면 조립과 분해가 번거롭고 연결부위의 접착제 사용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문제도 함께 개선되는 것이 요구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개방 가능하며, 상품 진열이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상품 수납 용기는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와 대향하는 상면부, 상기 수납부의 측면을 폐쇄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각 측면부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내부 잠금부와, 상기 각 측면부의 상기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잠금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잠금부는, 상기 상면부의 내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로터 절곡되어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상면부의 내면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로터 각기 연장된 상기 내부 잠금부의 제1 삽입부 한 쌍이 상기 제1 개구부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잠금부는, 상기 하면부의 외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와, 상기 제1 날개부로터 절곡되어 상기 하면부의 외면에 형성된 제2 개구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하면부의 외면 양 사이드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로터 연장된 상기 외부 잠금부의 제2 삽입부가 상기 제2 개구부에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양 수납부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하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양 수납부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경사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양 수납부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개방 가능하며, 상품 진열이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폐쇄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잠금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잠금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폐쇄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잠금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잠금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폐쇄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3은 하면부(12, 22)와 경사면부(13, 23)가 잘 보이도록 상품 수납 용기(1)가 눕혀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1)는 한 쌍의 수납부(10, 20)를 포함한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수납부(10, 20)를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60, 도 4 참조)을 형성하여, 상품들이 상기 내부 공간(60)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수납 용기(1)를 구성하는 양 수납부(10, 20)는 친환경 펄프 소재 등을 비롯한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외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는 제1 수납부(10)의 하면을 이루는 제1 하면부(12), 제1 수납부(10)의 상면을 이루며 제1 하면부(12)와 대향하는 제1 상면부(15), 제1 하면부(12)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면부(13), 제1 수납부(10)의 전면을 이루며 제1 상면부(15)와 제1 경사면부(13)를 연결하는 제1 전면부(14) 및 제1 수납부(10)의 양 측면을 이루며 다른 면들(12, 13, 14, 15)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납부(10)의 제1 하면부(12), 제1 경사면부(13), 제1 전면부(14), 제1 상면부(15), 제1 측면부(16)는 제2 수납부(20) 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6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부(20)는 제1 수납부(10)와 동일하게 제2 수납부(20)의 하면을 이루는 제2 하면부(22), 제2 수납부(20)의 상면을 이루며 제2 하면부(22)와 대향하는 제2 상면부(25), 제2 하면부(22)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면부(23), 제2 수납부(20)의 전면을 이루며 제2 상면부(25)와 제2 경사면부(23)를 연결하는 제2 전면부(24) 및 제2 수납부(20)의 양 측면을 이루며 다른 면들(22, 23, 24, 25)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부(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납부(20)의 제2 하면부(22), 제2 경사면부(23), 제2 전면부(24), 제2 상면부(25), 제2 측면부(26)는 제1 수납부(10) 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6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12, 22)가 서로 연결된다.
즉, 제1 하면부(12)의 일단과 제2 하면부(22)의 일단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하면부(12)의 타단과 제2 하면부(22)의 타단에는 각각 제1 경사면부(13)와 제2 경사면부(23)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제1 하면부(12)와 제2 하면부(22) 사이에 형성되는 축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닫혀있는 상태, 즉 폐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1)는 양 수납부(10, 2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10, 20)의 하면부(12, 22)가 지면(5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하면부(12)와 제2 하면부(22)가 모두 지면(50)에 밀착하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수납 용기(1)는 폐쇄된 상태에서 기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열려있는 상태, 즉 개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1)는 양 수납부(10, 20)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10, 20)의 경사면부(13, 23)가 지면(5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경사면부(13)와 제2 경사면부(23)가 모두 지면(50)에 밀착하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수납 용기(1)는 개방된 상태에서도 기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각 수납부(10, 20)에 경사면부(13, 2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면, 각 수납부(10, 20)는 기립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전면부(14, 24)가 지면(50)에 닿도록 쓰러지게 된다.
이에 비해, 경사면부(13, 23)를 구비한 상품 수납 용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13, 23)가 지면(50)에 닿음으로써, 더 이상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기립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60)에 수납된 상품들이 보다 구매자들에게 잘 시인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무게에 의하여 양 수납부(10, 20)가 쉽게 열릴 수 있으므로, 수납부(10, 20)의 개방을 위하여 큰 힘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의 전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잠금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잠금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수납 용기(1)의 각 수납부(10, 20)는 한 쌍의 내부 잠금부(17)와 한 쌍의 외부 잠금부(18)를 포함한다.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서로 대칭되어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 제1 수납부(10)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면부(15)는 상품 수납 용기(1)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15a)과 외부를 향하는 외면(15b)으로 구성되며, 내면(15a)과 외면(15b)은 각각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상면부(15)를 형성한다.
측면부(16)는 상품 수납 용기(1)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16a)과 외부를 향하는 외면(16b)으로 구성되며, 내면(16a)과 외면(16b)은 각각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측면부(16)를 형성한다.
상기 상면부(15)와 측면부(16)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다면 영역이 조립에 의해 절곡되어 다면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잠금부(17)는 상면부(15)에 결합되며, 제1 커버부(17a)와 제1 삽입부(17b)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17a)는 측면부(16)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면부(15)의 내면(15b)의 일부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17a)는 측면부(16)의 외면(16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면부(15)의 내면(15a)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제1 삽입부(17b)는 제1 커버부(17a)로터 절곡되어 상면부(15)의 내면(15b)에 형성된 제1 개구부(OP1)로 삽입된다. 여기서, 제1 개구부(OP1)는 상면부(15)의 내면(15a)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잠금부(17)의 제1 삽입부(17b) 한 쌍이 상기 제1 개구부(OP1)에 함께 삽입된다.
제1 커버부(17a)는 상면부(15)의 내면(15a)의 절반 영역을 커버하면서 밀착되고, 제1 커버부(17a)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삽입부(17b)가 제1 개구부(OP1)에 삽입된다.
예들 들면, 한 쌍의 내부 잠금부(17)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잠금부(17_1)가 제1 개구부(OP1)에 삽입되고, 다음으로, 다른 하나의 내부 잠금부(17_2)가 제1 개구부(OP1)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부(16)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내부 잠금부(17)가 상면부(15)에 결합됨으로써, 측면부(16)와 상면부(15)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외부 잠금부(18)는 하면부(12)에 결합되며, 제2 커버부(18a)와 제2 삽입부(18b)를 포함한다.
제2 커버부(18a)는 측면부(16)의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하면부(12)의 외면의 일부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부(18a)는 측면부(16)의 외면(16b)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면부(12)의 외면 중 사이드 영역을 일부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제2 삽입부(18b)는 제2 커버부(18a)로터 절곡되어 하면부(12)에 형성된 제2 개구부(OP2)로 삽입된다. 여기서, 제2 개구부(OP2)는 하면부(12)의 양 사이드 영역에 하나씩 형성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상의 외부 잠금부(18)는 하면부(12)의 양 사이드 영역에 위치한 한 쌍의 제2 개구부(OP2)에 개별적으로 삽입된다.
제2 커버부(18a)는 하면부(12)의 사이드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면서 밀착되고, 제2 커버부(18a)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삽입부(18b)가 제2 개구부(OP2)에 삽입된다.
예들 들면, 한 쌍의 외부 잠금부(18) 중 좌측의 외부 잠금부(18_1)가 좌측의 제2 개구부(OP2)에 삽입되고, 우측의 외부 잠금부(18_2)는 우측의 제2 개구부(OP2)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부(16)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외부 잠금부(18)가 하면부(12)에 결합됨으로써, 측면부(16)와 하면부(12)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상품 수납 용기(1)는 편평하게 전개된 베이스 판재의 조립을 통해 제작되고, 특히,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하면부(12), 상면부(15) 및 측면부(16)의 결합이 중요한데, 본 고안의 상품 수납 용기(1)는 내부 잠금부(17)와 외부 잠금부(18)를 구비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상품 수납 용기
10: 제1 수납부 12: 제1 하면부
13: 제1 경사면부 14: 제1 전면부
15: 제1 상면부 16: 제1 측면부
17: 내부 잠금부 17a: 제1 커버부
17b: 제1 삽입부 18: 외부 잠금부
18a: 제2 커버부 18b: 제2 삽입부
OP1: 제1 개구부 OP2: 제2 개구부
20: 제2 수납부 22: 제2 하면부
23: 제2 경사면부 24: 제2 전면부
25: 제2 상면부 26: 제2 측면부
10: 제1 수납부 12: 제1 하면부
13: 제1 경사면부 14: 제1 전면부
15: 제1 상면부 16: 제1 측면부
17: 내부 잠금부 17a: 제1 커버부
17b: 제1 삽입부 18: 외부 잠금부
18a: 제2 커버부 18b: 제2 삽입부
OP1: 제1 개구부 OP2: 제2 개구부
20: 제2 수납부 22: 제2 하면부
23: 제2 경사면부 24: 제2 전면부
25: 제2 상면부 26: 제2 측면부
Claims (9)
-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와 대향하는 상면부,
상기 수납부의 측면을 폐쇄하고 상기 수납부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상기 내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외부를 향하는 외면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각 측면부의 외면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내부 잠금부와,
상기 각 측면부의 내면의 상기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면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외부 잠금부를 포함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잠금부는,
상기 상면부의 내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1 커버부로터 절곡되어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상면부의 내면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로터 각기 연장된 상기 내부 잠금부의 제1 삽입부 한 쌍이 상기 제1 개구부에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잠금부는,
상기 하면부의 외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로터 절곡되어 상기 하면부의 외면에 형성된 제2 개구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하면부의 외면 양 사이드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로터 연장된 상기 외부 잠금부의 제2 삽입부가 상기 제2 개구부에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하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경사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507U KR200472476Y1 (ko) | 2012-11-16 | 2012-11-16 | 상품 수납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507U KR200472476Y1 (ko) | 2012-11-16 | 2012-11-16 | 상품 수납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2476Y1 true KR200472476Y1 (ko) | 2014-04-30 |
Family
ID=5148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0507U KR200472476Y1 (ko) | 2012-11-16 | 2012-11-16 | 상품 수납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2476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38784U (ko) * | 1978-09-07 | 1980-03-12 | ||
JPS5873784U (ja) * | 1981-11-11 | 1983-05-18 |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複数個の環形螢光ランプ用包装容器 |
JPH053121U (ja) * | 1991-06-25 | 1993-01-19 | 大日本紙業株式会社 | 開閉型の展示包装箱 |
KR200462679Y1 (ko) * | 2010-11-11 | 2012-09-24 | 주식회사 신우 | 휴대폰 포장상자 |
-
2012
- 2012-11-16 KR KR2020120010507U patent/KR20047247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38784U (ko) * | 1978-09-07 | 1980-03-12 | ||
JPS5873784U (ja) * | 1981-11-11 | 1983-05-18 |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複数個の環形螢光ランプ用包装容器 |
JPH053121U (ja) * | 1991-06-25 | 1993-01-19 | 大日本紙業株式会社 | 開閉型の展示包装箱 |
KR200462679Y1 (ko) * | 2010-11-11 | 2012-09-24 | 주식회사 신우 | 휴대폰 포장상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14909B2 (en) | Storage container | |
CN110177743A (zh) | 展示箱和用于其的部件的套件 | |
KR101218035B1 (ko) |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 |
KR20100005819U (ko) | 접이형 상자 | |
KR200472476Y1 (ko) | 상품 수납 용기 | |
KR101994868B1 (ko) | 포장상자 | |
CN205150623U (zh) | 带上盖插扣包装盒 | |
TWI526370B (zh) | 人造指甲展示包裝結構 | |
KR101003527B1 (ko) | 서랍형 포장 박스 | |
CN110949831B (zh) | 一种下沉式展示包装盒结构 | |
KR200474781Y1 (ko) | 상품 수납 용기 | |
KR101572778B1 (ko) | 조립식 상자 | |
KR20120117303A (ko) | 다기능을 갖는 판지상자 | |
ITTO20100120A1 (it) | Cassetto per apparati di refrigerazione | |
JP3205205U (ja) | 包装用容器 | |
CN214397645U (zh) | 一种高强度瓦楞纸箱 | |
KR101182946B1 (ko) | 좌우로 벌어지는 진열 및 포장용 상자 | |
CN216333396U (zh) | 一种展示包装盒 | |
KR200491731Y1 (ko) | 포장 및 전시용 박스 | |
KR101465840B1 (ko) |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 |
JP3179593U (ja) | 包装体 | |
KR200359459Y1 (ko) |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 |
CN215362323U (zh) | 一种展示包装盒 | |
KR101004997B1 (ko) | 디스플레이가 용이한 포장용 상자 | |
CN216035689U (zh) | 一种双开展示包装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