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705Y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705Y1
KR200307705Y1 KR20-2002-0035930U KR20020035930U KR200307705Y1 KR 200307705 Y1 KR200307705 Y1 KR 200307705Y1 KR 20020035930 U KR20020035930 U KR 20020035930U KR 200307705 Y1 KR200307705 Y1 KR 200307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article
unit
packaging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배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이근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이근배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20-2002-0035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5Incised or pre-scored openings or windows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에 포장되어 포장용 상자에 포장되어진 단위물품을 포장상자로부터 낱개로 인출 판매할 수 있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10)의 몸체(11) 하부에 포장물품 인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12)를 통해 포장된 단위물품(20)을 인출 판매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A box for prcking}
본 고안은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에 포장되어 포장용 상자에 포장되어진 단위물품을 포장상자로부터 낱개로 인출 판매할 수 있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에 포장되는 물품은 포장지에 낱개로 포장되어서 출하되는 단위물품 다수를 세트화하여 포장하거나, 케이스에 포장하여서 출하되는 단위물품 다수를 세트화하여 포장하게 된다.
포장지에 포장된 단위물품과 케이스에 포장된 단위물품을 포장하는 종래의 포장상자는 육면체로 하부에 하부덮개를 가지고 있고, 열고 닫을수 있도록된 상부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덮개를 열고 몸체의 내부로 포장된 단위물품을 수납하여 포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장용 상자에 포장된 단위물품은 포장용 상자로부터 꺼내 낱개로 판매하거나 포장용 상자에 포장되어진 상태로 판매를 하게 된다.
상기의 포장용 상자에 포장된 단위물품을 낱개로 판매할 때에는 상부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단위물품을 꺼내 판매를 하게되고, 판매를 마친 후에는 상부덮개를 닫아 나머지 단위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덮개를 열어 포장된 단위물품을 판매할 경우, 상부덮개를 열고 닫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고, 기존의 포장용 상자는 단위물품을 단순 포장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포장용 상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케이스에 포장되어서 포장용 상자에 포장 출하되는 단위물품을 포장상자의 상부덮개를 열지 않고 낱개 판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용 상자에 의한 제품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포장용 상자에 단위물품이 포장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포장용 상자의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 : 포장용 상자 11 : 몸체
12 : 포장물품 인출구 13 : 일측벽
14 : 양측벽 15 : 타측벽
20 : 단위물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몸체의 하부로 하부덮개를 구비하고, 몸체 상부에 상부덮개(1)를 포하고 있는 포장용 상자(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측면 하부에 포장된 단위물품(20)을 인출해 판매할 수 있는 물품인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12)는 몸체(11)의 일측벽(13) 전폭에 대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일측벽(13) 양쪽으로 연장 절곡된 양측벽(14)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12)는 일측벽(13)과 대향하는 타측벽(15)으로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12)는 몸체(11)의 일측벽(13) 전폭에 대해서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포장용 상자에 포장물품이 포장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 예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측면도며, 도4는 본 고안의 포장용 상자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의 상부덮개(1)를 열고 몸체(11) 내부로 케이스에 담겨져 있는 단위물품(20) 다수개를 적층 포장하게 된다.
단위물품(20)이 포장용 상자(10)의 몸체(11)로 포장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상부덮개(1)를 덮어 마감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장용 상자(10)에 포장되어 판매점으로 공급된 단위물품(20)은 포장용 상자(10)의 몸체(11) 하부로 형성되어진 포장물품 인출구(12)를 통해 끄집어내어 판매하게 된다.
상기 포장용 상자(10)에 포장된 단위물품(20)을 판매점에서 판매하는 상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단위물품(20)이 포장되어진 포장용 상자(10)를 판매점의 판매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포장용 상자(10)에 포장된 단위물품(20)을 소비자가 원할경우, 몸체(11)의 일측벽(13) 내지 타측벽(15)으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물품 인출구(12)에 위치하여 있는 단위물품(20)을 인출 판매하게 된다.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12)를 통해 단위물품(20)을 인출할 때에는 양측벽(14)으로 연장 형성된 포장물품 인출구(12) 양단을 통해 단위물품(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인출해 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장물품 인출구(12)에 위치한 낱개의 단위물품(20)을 인출해 내면 적층되어 있는 상부의 단위물품(20)이 포장물품 인출구(12)로 재차 위치하게 되어 포장물품 인출구(12)를 통해 단위물품(20)을 지속적으로 인출 판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포장물품 인출구(12)는 몸체(11)의 측벽중 어느 한곳으로만 형성되어있고,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12)에 대하여 단위물품(20) 한쌍이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포장하여 도4에서와 같이 인출 판매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단위물품(20)을 포장용 상자(10)의 몸체(11) 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물품 인출구(12)를 통해 인출 판매할 수 있는 것이어서 포장용 상자(10)에 포장된 단위물품(20)을 판매하는데,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매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소하였고, 판매점의 판매진열대에 포장용 상자(10)을 진열해 놓은 상태에서 포장된 단위물품(20)을 판매 하기 때문에 포장용 상자 진열에 따른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포장용 상자와의 차별화로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몸체의 하부로 하부덮개를 구비하고, 몸체 상부에 상부덮개(1)를 포함하고 있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에 포장된 단위물품을 인출해 판매할 수 있는 물품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는 몸체의 일측벽 전폭에 대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일측벽 양쪽으로 연장 절곡된 양측벽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는 일측벽과 대향하는 타측벽으로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품 인출구는 몸체의 일측벽 전폭에 대해서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20-2002-0035930U 2002-12-02 2002-12-02 포장용 상자 KR200307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30U KR200307705Y1 (ko) 2002-12-02 2002-12-02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30U KR200307705Y1 (ko) 2002-12-02 2002-12-02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705Y1 true KR200307705Y1 (ko) 2003-03-26

Family

ID=4933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930U KR200307705Y1 (ko) 2002-12-02 2002-12-02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7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551A (en) Four pack display container
US4955469A (en) Convertible container
KR20200000188U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US9505523B2 (en) Food package
US3651928A (en) Display container
CA2356915A1 (en) Product packaging arrangement for shipping and display
US6554135B1 (en) Shelf ready inner package shipping container
KR200307705Y1 (ko) 포장용 상자
US20090288981A1 (en) Package for Displaying a Product
KR20190009922A (ko) 진열 기능을 구비한 포장용 상자
CN221069119U (zh) 一种悬挂式包装盒
KR200309108Y1 (ko) 신선도 유지용 포장박스
KR200330213Y1 (ko) 포장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종이상자
KR20080051951A (ko) 판매자 중심의 기능성 포장상자
TWI766689B (zh) 包裝套件及含有包裝套件之層架
WO2020234663A1 (en) Package for foodstuff products
JP6415733B2 (ja) 作り付けハンガーを有するストリップパックのための展示可能な外装容器
EP1528001B1 (en) A package for dried pasta
KR200185914Y1 (ko) 다목적 종이상자
US20230038262A1 (en) Premium ships in own container package for consumer-packaged goods
JP3214470U (ja) 包装用中箱
KR200252521Y1 (ko) 과일의 전시를 위한 받침대를 겸하는 포장용 상자
JPH0610121U (ja) 展示用箱
JPS593933Y2 (ja) 包装用箱
KR200320616Y1 (ko) 막대사탕용 진열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