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88U -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88U
KR20200000188U KR2020180003249U KR20180003249U KR20200000188U KR 20200000188 U KR20200000188 U KR 20200000188U KR 2020180003249 U KR2020180003249 U KR 2020180003249U KR 20180003249 U KR20180003249 U KR 20180003249U KR 20200000188 U KR20200000188 U KR 202000001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ne
opening
articl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642Y1 (ko
Inventor
송희재
박광수
차규환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80003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42Y1/ko
Priority to US16/979,803 priority patent/US20210039828A1/en
Priority to PCT/KR2019/003738 priority patent/WO2020017735A1/ko
Priority to TW108117240A priority patent/TWI693185B/zh
Publication of KR20200000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5Incised or pre-scored openings or windows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2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to the flaps or by sta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9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incisions in the container or blank forming straps used a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 포장상자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는 포장상자에 있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는 전면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전면절취선이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적어도 어느 1개로서,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개구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전면절취선에서 이어지는 측면절취선이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전면개구부와 상기 측면개구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걸쳐 형성된다.

Description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PACKAGE BOX AND GOODS DISPENSER}
본 고안은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의 포장 및 진열이 용이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물품 사용이 용이한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유통 및 진열 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번들 타입으로 판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최근에는 판매자나 소비자가 상품을 낱개단위로 판매하거나, 가정 내에서 사용하기 용이하게 포장상자에 절개 점선으로 상품 인출구를 설치하고 있다.
도 8에는 종래 포장상자(1)가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포장상자(1)는, 종이판재로 형성된 것으로 전면판(2)과 측판(3)과 상판(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면판(2)에는 절개에 의해, 상품(G)을 꺼낼 수 있는 상품 인출구(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포장상자의 상품인출구(5)는 정면판(2)에만 상품인출구(5)가 형성되기 때문에, 포장상자(1)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품인출구(5)의 좌우로 소정 크기(최소 5mm 이상)의 간격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인출되는 상품(G)보다 포장상자(1)의 전면판(5)의 폭이 커져야 하므로, 포장상자의 크기가 커지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파손 방지를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포장상자의 크기가 커질 필요가 없는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물품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는 포장상자에 있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는 전면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전면절취선이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적어도 어느 1개로서,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개구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전면절취선에서 이어지는 측면절취선이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전면개구부와 상기 측면개구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걸쳐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물품 디스펜서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는 물품 디스펜서에 있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는 전면개구부가 마련된 전면부와,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적어도 어느 1개로서,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개구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개구부가 마련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전면개구부와 상기 측면개구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를 이용하면, 측면부까지 개구부가 연장됨으로써, 전면부에만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에 비해, 물품을 꺼낼 때 본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의 파손 방지를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포장상자의 크기가 커질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측면개구부를 통해 물품을 파지할 수 있어서, 물품을 손쉽게 인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잔량확인구에 의해 물품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부에 의해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상자에서 개구부가 마련된 물품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포장상자에서 개구부가 마련된 물품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면절취선의 타공형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종래 포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100)는, 내부에 물품(G)을 수납하는 수납공간(102)을 갖는 본체(101)를 구비한다. 본체(101)의 재질은 골판지 등의 종이판재로 마련되어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으나, 본체(101)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물품(G)은, 수납공간(102)에 상하방향으로 수납될 수 있다. 본체(101)의 크기는 수납되는 물품(G)의 크기와 수납형태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물품(G)이 햇반과 같은 즉석밥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수납 및 포장하고, 소비자는 필요에 따라 하나씩 꺼내서 먹거나 구입할 수 있다.
또한, 물품(G)은 소정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을 적층하면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포장상자(100)의 흔들림에 의해 물품(G)이 수납공간(102)에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물품(G)이 햇반과 같은 즉석밥인 경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용기의 상면은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여 물품(G)을 적층 시에 비의도적인 흔들림에 의해 포장상자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G)에 구비된 용기는 하단부에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단에 리드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는 경사부와 리드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상하로 적층되는 물품(G) 간에 접촉면적과 마찰력을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G)을 인출할 때 적은 힘으로 물품(G)을 인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과 도면에서는 물품(G)이 햇반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나, 물품(G)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번들 형태로 판매되기 위해 포장되는 물품(G)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는, 전면부(200)와 측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본체(101)의 전면에 배치되고, 수납공간(102)을 개방하는 전면개구부(212)가 마련되도록 전면절취선(21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등이 전면절취선(211)을 따라 전면부(200)의 일부를 절취하면, 전면개구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3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적어도 어느 1개로서, 전면부(200)에 연결되게 본체(101)의 측면에 배치되며, 전면개구부(212)에서 본체(101)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개구부(313,323)가 마련되도록 전면절취선(211)에서 이어지는 측면절취선(311,32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등이 전면절취선(211)과 함께 측면절취선(311,321)을 따라 측면부(300)의 일부를 절취하면 전면개구부(212)에 연장된 측면개구부(313,32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절취선(211)과 측면절취선(311,321)은 포장 및 유통 시에는 절개나 파손되지 않고, 사용을 위해 절취 시에는 손쉽게 뜯어져서 절취면이 지저분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일례와 같이 햇반을 구입 후 사용하는 경우, 전면절취선(211)과 측면절취선(311,321)을 절취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후, 수납된 햇반을 필요에 따라 하나씩 사용할 수 있고, 보관 시에는 가정에서 본체(101)의 수납공간(102)에 적층된 상태로 잘 정돈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100)는,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물품(G)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전면개구부(212)와 측면개구부(313,323)에 의해, 전면부(200)와 측면부(30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개구부의 형태는 수납되는 물품(G)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물품(G)이 햇반인 경우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측면부(300)까지 개구부가 연장됨으로써, 전면부(200)에만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에 비해, 물품(G)을 꺼낼 때 본체(101)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1)의 파손 방지를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포장상자(100)(특히 전면부(200))의 크기가 커질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측면개구부(313,323)를 통해 물품(G)을 파지할 수 있어서, 물품(G)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의 전개도가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이라인을 따라 접고 중첩시켜서 고정함으로써, 도 1 및 2의 포장상자(100)를 만들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는, 상기한 전면부(200)와 측면부(300) 외에 상면부(400)와 배면부(500) 및 하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300)는 제1 측면판(310)과 제2 측면판(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판(310)은 전면부(200)의 일측에 접이라인(11)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2 측면판(320)은 전면부(200)의 타측에 접이라인(1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면판(310)에는 제1 측면절취선(311)과 제1 터치부(31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측면판(320)에는 제2 측면절취선(321)과 제2 터치부(3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터치부(312)와 제2 터치부(322)는, 제1 및 제2 측면절취선(311,321)에서 정면부를 향하는 방향에 절개형성되어, 절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면부(4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본체(101)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면판(410)과 제1 상판(421)과 제2 상판(4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판(410)은 전면부(200)에 접이라인(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1 상판과 제2 상판(422)은 각각 제1 측면판(310)과 제2 측면판(320)에 접이라인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조립 시에 제1 상판(421)과 제2 상판(422)을 접은 다음 그 위에 상면판(410)을 덮고, 상면판(410)에 연결된 제1 고정편(411)을 끼워서 본체(101)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본체(101)의 수납공간(102)에 물품(G)을 다시 넣을 때는 제1 고정편(411)을 분리하여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배면부(5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본체(101)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1 측면판(310)에 접이라인(15)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1 연결편(510)을 통해 제2 측면판(32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면부(6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본체(10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하판(611,612,613,614)으로 형성되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착하여 하부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판(611)은 전면부(200)에서 접이라인(14)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2 하판(612)은 제1 측면판(310)에서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3 하판(613)은 제2 측면판(320)에서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4 하판(614)은 배면부(500)에서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면부(200)와 측면부(300)와 상면부(400)와 배면부(500) 및, 하면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전면절취선(211)은 전면부(200)에 수평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타공되어 형성되고, 한 쌍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전면절취선(211)은 소정 길이(L1)의 타공을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타공은 소정 거리(L2)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L1는 약 2mm일 수 있고, L2는 약 1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타공 형태는 전면절취선(211)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면절취선(311,321)과, 후술하는 제2 실시예의 상면절개라인(730)과, 전면절개라인(230) 및 배면절개라인(8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면절취선(211)은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유통 시에는 파손되지 않고, 개구부를 개봉 시에는 손쉽게 뜯어져서 절취면이 깔끔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전면절취선(211)은, 하면부(600)와 연결되는 접이라인(14)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d)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절취선(211)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이 중 하부에 배치되는 전면절취선(211)의 위치는 하면부(600)와 연결되는 접이라인(14)에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시에 하면에서 소정 거리(d) 이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절취선(211)에 의해 본체(101)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물품(G)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절취선(211)이 접이라인(14)에 배치되거나 너무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 접이라인(14)의 접힘에 의해 전면절취선(211)의 타공이 파손될 수 있고, 본체(101)가 쉽게 찢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하부에 배치되는 전면절취선(211)을 하면부(600)에서 소정 간격(d) 이격되게 설치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절취선(211)과 하면부(600)의 접이라인(14) 사이의 간격(d)은 5mm-40mm 범위일 수 있다. 간격이 5mm 미만인 경우에는 본체(101)가 쉽게 찢어질 수 있고, 4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품(G)을 인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절취선(211)과 하면부(600)의 접이라인(14) 사이의 간격(d)은, 물품(G)의 높이의 0.5배 내지 1.1배일 수 있다. 상기 간격이 물품의 높이의 0.5배 미만일 경우 본체가 파손되거나 최하단의 물품을 인출 시에 최하단 물품의 상부에 적층된 물품이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간격이 물품의 높이의 1.1배를 초과하는 경우 물품을 인출할 때 물품이 개구부에 걸려서 인출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전면절취선(211)이 하면부(600)에서 소정 간격(d)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본체(101)는 전면절취선(211)이 절취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수납공간(102)의 최하단부에 물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 수용부는, 전면절취선(211)과 하면부(600) 사이에 구비된 전면부(200)의 영역에 의해,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물품 중 최하단 물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품 수용부에 의해 본체(101)는 별도의 장치 없이 개구부에 위치하는 물품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물품(G)이 상단부에 리드필름을 포함하고 하단부에 경사부를 포함하는 경우, 물품(G) 간의 접촉면적과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마찰력이 감소된 상태에서 물품(G)을 인출하므로, 상기 물품 수용부에 별도의 마찰력 저감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다만, 전면절취선(211)과 하면부(600)의 접이라인(14) 사이의 간격(d)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납되는 물품(G)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1)는, 잔량확인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잔량확인구(330)는,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물품(G)의 잔량이 인식되도록, 전면부(200)와 측면부(300)와 배면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일례와 같이, 잔량확인구(330)는 제1 측면판(310)에 형성될 수 있고, 하면부(600)에 인접한 부분부터 상면부(400)에 인접한 부분까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공간(102)을 투시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101)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G)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잔량확인구(330)의 위치 및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물품(G)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면 제1 측면판(310) 이외의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는 본체(101)를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는, 측면부(300)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홀(340)과, 손잡이홀(340)에 결합되는 손잡이끈(341)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홀(340)은 제1 측면판(310)과 제2 측면판(320)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끈(341)은 제1 측면판(310)과 제2 측면판(320)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손잡이홀(340)에 매듭 등의 방법으로 결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나 판매자는 본체(101)를 이동시킬 때 손잡이끈(341)을 잡고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손잡이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1)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손잡이를 결합하거나 종이판재 손잡이를 형성하는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비해 손잡이부(750)의 구성과 전개도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에서, 본체(101')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품(G)은 수납공간(102')에 2열로 적층될 수 있다. 포장상자(100')의 진열공간이나 가정 내 보관공간에 따라 포장상자(100')의 높이가 낮은 것이 유리한 경우, 본체(101')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0')는, 전면부(200)와 측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부(700)와 배면부(800) 및 하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면부(200)와 측면부(300)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면부(20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손잡이부(750)를 위한 전면절개라인(230)을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측면부(30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 고정편(315)과 제3 고정편(325)이 연결되는 점과, 제1 내지 제4 측판(354)을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판(310)은 전면부(200)에서 접이라인(11)을 통해 연결되고, 제2 고정편(315)이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제2 측면판(320)은 전면부(200)에서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제3 고정편(325)이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판(351)과 제2 측판(352)은 상면부(700)에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제3 측판(353)과 제4 측판(354)은 하면부(900)에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조립 시에 제1 측판(351)과 제3 측판(353)을 제1 측면판(310)이 덮고 제2 고정편(315)에 의해 고정하며, 제2 측판(352)과 제4 측판(354)을 제2 측면판(320)이 덮고 제3 고정편(325)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상면부(7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본체(101')의 상면에 배치되고, 접이라인(13)을 통해 전면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배면부(8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본체(101')의 배면에 배치되고, 접이라인(17)을 통해 상면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면부(900)는 본체(101')의 하면에 배치되고 전면부(200)와 접이라인(1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하면부(900)는 배면부(800)에 구비된 제2 연결편(820)에 의해 배면부(800)와 접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100')는 손잡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750)는 본체(10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면부(700)는, 본체(101')의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타공되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상면절개라인(7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200)는, 상면절개라인(730)에서 연장되는 전면절개라인(230)을 포함할 수 있고, 배면부(800)는, 상면절개라인(730)에서 연장되는 배면절개라인(8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절개라인(730)과 전면절개라인(230) 및, 배면절개라인(830)은 상기한 전면절취선(211)과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손잡이부(750)는 상면절개라인(730)과 전면절개라인(230) 및, 배면절개라인(830)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면절개라인(230)은 상면절개라인(730)에서 연장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면부(700)에 인접한 일부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절개라인(830)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면부(700)에 인접한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750) 형성을 위해 절개되면, 손잡이부(750)는 전면부(200)와 배면부(8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부(750)가 본체(101')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됨으로써, 제1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끈(341)의 형태에 비해, 손잡이부(750)를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소비자가 가정 내에서 제품을 보관할 때 다시 손잡이부(750)를 본체(101')의 형상에 맞게 변형시킴으로써, 보관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면부(700)는, 한 쌍의 상면절개라인(730) 사이에, 손잡이부(750)의 형성 시에 접히는 제1 접힘선(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힘선(740)은 상면절개라인(73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750)를 형성할 때 접힐 수 있다.
또한, 전면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전면절개라인(230)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접힘선(240)을 포함하고, 배면부(8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배면절개라인(830)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 접힘선(8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접힘선(740)과 제2 접힘선(240) 및, 제3 접힘선(840)에 의해, 상면절개라인(730)과 전면절개라인(230) 및, 배면절개라인(830)이 절개된 후, 손잡이부(750)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면절개라인(730)에는 측면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3 터치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3 터치부(731)를 통해 상면절개라인(730)을 따라 본체(101')를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다.
한편, 전면절개라인(230)은 제2 접힘선(240)에 인접한 단부가, 본체(101')의 하면을 향하여 만곡된 곡선 형상(231 참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된 곡선 부분에 의해, 전면절개라인(230)의 끝단이 제2 접힘선(240)에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절개라인(230)과 제2 접힘선(240)이 연결되는 경우, 손잡이부(750)를 형성할 때 힘이 집중되어 연결된 부분에서 본체(101')가 찢어지는 등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면절개라인(830)은 제3 접힘선(840)에 인접한 단부가, 본체(101')의 하면을 향하여 만곡된 곡선 형상(831 참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전면절개라인(230)과 마찬가지로, 배면절개라인(830)과 제3 접힘선(840)이 연결되는 경우 손잡이부(750)를 형성할 때 힘이 집중되어 연결된 부분에서 본체(101')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한 물품 디스펜서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 디스펜서는 상기한 포장상자(100)에서 전면절취선(211)과 측면절취선(311,321)이 절취되어,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물품 디스펜서는, 내부에 물품(G)을 수납하는 수납공간(102)을 갖는 본체(101)를 구비하고, 전면부(200)와 측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본체(101)의 전면에 배치되고, 수납공간(102)을 개방하는 전면개구부(212)가 마련된다.
측면부(300)는, 본체(101)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적어도 어느 1개로서, 전면부(200)에 연결되게 본체(101)의 측면에 배치되며, 전면개구부(212)에서 본체(101)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개구부(313,323)가 마련된다.
여기서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물품(G)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전면개구부(212)와 측면개구부(313,323)에 의해, 전면부(200)와 측면부(300)에 걸쳐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 디스펜서를 이용하면, 측면부(300)까지 개구부가 연장됨으로써, 전면부(200)에만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에 비해, 물품(G)을 꺼낼 때 본체(101)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본체(101)의 크기가 커질 필요가 없고, 물품(G)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를 이용하면, 측면부까지 개구부가 연장됨으로써, 전면부에만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에 비해, 물품을 꺼낼 때 본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의 파손 방지를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포장상자(특히 전면부)의 크기가 커질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측면개구부를 통해 물품을 파지할 수 있어서, 물품을 손쉽게 인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잔량확인구에 의해 물품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부에 의해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포장상자 101: 본체
102: 수납공간 G: 물품
200: 전면부 211: 전면절취선
212: 전면개구부 230 전면절개라인
240 제2 접힘선 300: 측면부
310: 제1 측면판 311: 제1 측면절취선
312: 제1 터치부 313: 측면개구부
315 제2 고정편 320: 제2 측면판
321: 제2 측면절취선 322: 제2 터치부
323: 측면개구부 325 제3 고정편
330: 잔량확인구 340: 손잡이홀
341: 손잡이끈 351: 제1 측판
352: 제2 측판 353: 제3 측판
354: 제4 측판 400: 상면부
410: 상면판 411: 제1 고정편
421: 제1 상판 422: 제2 상판
500: 배면부 510: 제1 연결편
600: 하면부 611: 제1 하판
612: 제2 하판 613: 제3 하판
614: 제4 하판 700: 상면부
730: 상면절개라인 731: 제3 터치부
740: 제1 접힘선 750: 손잡이부
800: 배면부 820: 제2 연결편
830: 배면절개라인 840: 제3 접힘선
900: 하면부

Claims (11)

  1.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는 포장상자에 있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는 전면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전면절취선이 형성된 전면부; 및,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적어도 어느 1개로서,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개구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전면절취선에서 이어지는 측면절취선이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전면개구부와 상기 측면개구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걸쳐 형성된,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절취선은, 상기 전면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타공되어 형성되고, 한 쌍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포장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와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하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절취선은, 상기 하면부와 연결되는 접이라인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포장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배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물품의 잔량이 인식되도록,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와 상기 배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잔량확인구를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구비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측면부에 관통 형성된 손잡이홀; 및,
    상기 손잡이홀에 결합되는 손잡이끈을 포함하는, 포장상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포장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부와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상면부와,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면부와 접이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배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타공되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상면절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상면절개라인에서 연장되는 전면절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상기 상면절개라인에서 연장되는 배면절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면절개라인과 상기 전면절개라인 및, 상기 배면절개라인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포장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한 쌍의 상기 상면절개라인 사이에, 상기 손잡이부의 형성 시에 접히는 제1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전면절개라인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배면절개라인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 접힘선을 포함하는, 포장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절개라인은 상기 제2 접힘선에 인접한 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면을 향하여 만곡된 곡선 형상을 갖고,
    상기 배면절개라인은 상기 제3 접힘선에 인접한 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면을 향하여 만곡된 곡선 형상을 갖는, 포장상자.
  11.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는 물품 디스펜서에 있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어느 1개로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하는 전면개구부가 마련된 전면부; 및,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의 적어도 어느 1개로서,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게 상기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개구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개구부가 마련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전면개구부와 상기 측면개구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걸쳐 형성된, 물품 디스펜서.
KR2020180003249U 2018-07-16 2018-07-16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KR200492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49U KR200492642Y1 (ko) 2018-07-16 2018-07-16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US16/979,803 US20210039828A1 (en) 2018-07-16 2019-03-29 Packaging box and product dispenser
PCT/KR2019/003738 WO2020017735A1 (ko) 2018-07-16 2019-03-29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TW108117240A TWI693185B (zh) 2018-07-16 2019-05-20 包裝箱以及貨品分裝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49U KR200492642Y1 (ko) 2018-07-16 2018-07-16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88U true KR20200000188U (ko) 2020-01-28
KR200492642Y1 KR200492642Y1 (ko) 2020-11-16

Family

ID=6916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49U KR200492642Y1 (ko) 2018-07-16 2018-07-16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39828A1 (ko)
KR (1) KR200492642Y1 (ko)
TW (1) TWI693185B (ko)
WO (1) WO2020017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7021S1 (en) 2019-05-17 2022-03-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on/dispenser package
US10787289B1 (en) 2019-05-17 2020-09-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Blank with platform panel and foot panel, and package with platform panel and foot panel
USD947022S1 (en) 2019-05-17 2022-03-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on/dispenser package
US10787288B1 (en) 2019-05-17 2020-09-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Blanks and packages for consumer items
US11983845B1 (en) 2022-07-22 2024-05-14 Steven Frank Digital tissue segmentation and viewing
US11961234B1 (en) 2022-12-09 2024-04-16 Steven Frank Multistage region-of-interest identification in medical imag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182U (ja) * 1983-04-30 1984-11-17 株式会社ネピア テイシユペ−パ−入り箱
JPH0211065U (ko) * 1988-07-01 1990-01-24
KR200384574Y1 (ko) * 2005-03-03 2005-05-16 신영훈 티슈 박스
KR20120019094A (ko) * 2010-08-25 2012-03-06 (주)거성문화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KR20170000553U (ko) * 2015-07-29 2017-02-09 (주)페이퍼월드 포장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924A (en) * 1932-12-15 1935-06-25 Sutherland Paper Co Dispensing carton
US3094268A (en) * 1962-06-26 1963-06-18 St Regis Paper Co Carrying handle construction for cartons
US4170325A (en) * 1978-06-20 1979-10-09 American Can Company Receptacle
JPH0454913Y2 (ko) * 1987-06-25 1992-12-24
IL116110A (en) * 1994-12-02 1999-05-09 Mead Corp Cartons for carrying a plurality of articles and a blank for forming same
GB9500807D0 (en) * 1995-01-17 1995-03-0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ing article packaging
JP3019740U (ja) * 1995-06-23 1996-01-12 天藤産業株式会社 包装ケース
MXPA03009664A (es) * 2001-04-24 2004-12-06 Meadwestvaco Packaging Systems Caja de carton con brida de sujecion transversal.
GB0218392D0 (en) * 2002-08-08 2002-09-18 Riverwood Int Corp Dispensing package
US6871778B2 (en) * 2003-04-07 2005-03-29 Caraustar Custom Packaging Container for holding and dispensing multiple types of items
GB0326435D0 (en) * 2003-11-13 2003-12-17 Graphic Packaging Int Inc Dispensing package
CA2644238C (en) * 2006-03-13 2011-01-2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dispenser
US10065762B2 (en) * 2013-04-30 2018-09-04 Tidi Products, Llc Dispenser having a tower portion and an insert portion
KR101554009B1 (ko) * 2014-02-17 2015-09-17 주식회사크라운제과 스틱 과자 상품 인출 창 구조를 갖는 포장 박스
KR101504901B1 (ko) * 2014-03-12 2015-05-04 유하정판 주식회사 제품 인출이 용이하도록 제품 받침대가 형성된 포장박스
MY177703A (en) * 2014-08-18 2020-09-23 Rengo Co Ltd Box for packaging and display
USD778149S1 (en) * 2014-12-18 2017-02-07 Herbert Ospelt Anstalt Dispens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182U (ja) * 1983-04-30 1984-11-17 株式会社ネピア テイシユペ−パ−入り箱
JPH0211065U (ko) * 1988-07-01 1990-01-24
KR200384574Y1 (ko) * 2005-03-03 2005-05-16 신영훈 티슈 박스
KR20120019094A (ko) * 2010-08-25 2012-03-06 (주)거성문화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KR20170000553U (ko) * 2015-07-29 2017-02-09 (주)페이퍼월드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9828A1 (en) 2021-02-11
TW202005875A (zh) 2020-02-01
WO2020017735A1 (ko) 2020-01-23
KR200492642Y1 (ko) 2020-11-16
TWI693185B (zh)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TW461868B (en) Shelf ready shipping container
KR100794256B1 (ko) 서랍형 포장박스
JP2013544540A (ja) 製品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
US8910793B2 (en) Split case system for display containers
KR20120054025A (ko) 상승부재를 구비하고 흡연물품을 수용하는 용기
US8789704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4709851A (en) Package for loaf of bread
WO2013020573A1 (en) Dispensing system
WO2006050748A1 (en) Transport- and storage package containing paper-rolls
EP3484782B1 (en) Shelf-ready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K6033Y1 (sk) Package goods
RU109742U1 (ru) Ящик из картон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упак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JP6361393B2 (ja) 振り出しカートン
US20160159513A1 (en) Retail ready packaging
WO2013144635A2 (en) A container and method of packaging goods
US20070007158A1 (en) Packaging f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ducts packed in individual packagings
JP2013010525A (ja) 商品包装体
JP3196778U (ja) スティック状包装品用トレー
WO2014035563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products
US10501217B2 (en) Pack for wrapping consumer goods
WO2013006161A1 (en) Film bags in dispensing container
WO2007102128A1 (en) Container for holding an article
JP6415733B2 (ja) 作り付けハンガーを有するストリップパックのための展示可能な外装容器
EP2019044B1 (en) Container for paper napkins comprising a napkins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