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980A -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980A
KR20090023980A KR1020070089143A KR20070089143A KR20090023980A KR 20090023980 A KR20090023980 A KR 20090023980A KR 1020070089143 A KR1020070089143 A KR 1020070089143A KR 20070089143 A KR20070089143 A KR 20070089143A KR 20090023980 A KR20090023980 A KR 2009002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amera
sens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464B1 (ko
Inventor
강현준
Original Assignee
(주)엘티엠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티엠에이피 filed Critical (주)엘티엠에이피
Priority to KR102007008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4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반자동을 개폐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가 자동을 작동되도록 하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 카메라렌즈모듈이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석과; 상기 자석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홀센서와; 상기 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자석, 홀센서,

Description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Apparatus for closing and opening camera door in mobile }
본 발명은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반자동을 개폐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가 자동을 작동되도록 하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 및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렌즈를 통해 결상된 상(image)을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만들고 이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시키는 카메라 장치를 탑재한 휴대폰 또는 PDA가 등장하였다.
카메라 장치는 휴대폰 또는 PDA의 배면 또는 전면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고, 렌즈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초기 휴대폰 또는 PDA에는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형태가 대부분이있는데, 이 경우에 렌즈의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자주 끼게 되어 렌즈가 손상되거나 선명한 사진 촬영을 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카메라 도어를 구비한 PDA 또는 휴대폰이 개발되었다.
이때 카메라 도어의 개폐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계적 연동으로 개폐 되는 기계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과,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 개폐에만 관심이 있을 뿐 도어의 개폐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여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 촬영을 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하고, 그 후에 다사 카메라를 작동시켜야 하였다.
또한, 카메라 촬영이 끝난 후에는 도어를 닫는 과정과 카메라를 정지시키는 과정을 따로따로 하여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 카메라를 보호하는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카메라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 카메라렌즈모듈이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측정되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측정되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의 자력을 측정하는 홀센서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센서는 상기 광센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에 결합된 텐션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카메라렌즈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함으로서,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을 카메라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과 카메라를 작동/정지시키는 과정을 따로따로 하지않고 하나의 과정을 통해 두가지 과정을 모두 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텐션스프링에 의해 도어를 반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닫힌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열린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베이스(10)와, 도어(30)와, 자석(50)과, 텐션스프링(60)과, 홀센서(hall sensor, 70)와, 제어부(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에는 개방구(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구(15)에는 카메라렌즈모듈(10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는 상기 베이스(10)는 덮는 베이스커버(20)가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20)는 상기 베이스(10)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고 가운데가 뚫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10)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이스(10)의 가장자리만을 덮도록 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베이스(10)의 크기의 절반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15)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30)는 상기 베이스(10)와 베이스커버(2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는 상기 베이스(10)의 가장자리만을 덮고 가운데가 뚫린 상기 베이스커버(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30)가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30)의 양측에는 가이드돌기(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커버(2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35)가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가이드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자석(50)이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자석(50)은 상기 도어(3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곳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50)을 상기 도어(30)의 하부에 장착하였다.
상기 텐션스프링(60)은 상기 도어(30)가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3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텐션스프링(60)의 양단은 상기 베이스(10)와 도어(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텐션스프링(60)은 상기 도어(3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구(15)를 개방하거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구(15)를 폐쇄한 경우에 최대이완되고, 하방향에서 상방향 또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최대 압축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이동시킬때, 상기 텐션스프링(60)을 최대 압축 지점까지 이동시키면 그 후에는 압축된 상기 텐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30)는 자동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도어(30)를 반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자석(50) 및 텐션스프링(60)을 덮는 도어커버(40)가 장착된다.
상기 홀센서(70)는 상기 도어(30)에 장착된 상기 자석(50)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5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70)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홀센서(70)는 휴대폰에 내장된 PCB에 장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센서(70)가 상기 베이스(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자석(50)에 가장 근접하도록 하였다.
상기 제어부(80)는 휴대폰에 내장되어 상기 홀센서(7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자석(50)과 홀센서(70)에 의해 상기 도어(3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도어(30)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가 상기 도어(30)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홀센서(70)에 의해 상기 자석(50)이 상기 홀센서(70)에 근접하였는지를 측정하여 판단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을 위해 상기 도어(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텐션스프링(60)은 최대압축지점까지 압축되다가 그 지점을 지나면 탄성복원력의 의해 상기 도어(30)를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어(30)의 하부에 장착된 상기 자석(50)은 상기 베이스(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상기 홀센서(7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홀센서(70)로부터 상기 자석(50)이 멀어졌다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어(3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 후 상기 도어(3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스프링(60)이 최대압축되었다가 이완되면서 상기 도어(30)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30)의 하부에 장착된 상기 자석(50)은 상기 베이스(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된 상기 홀센서(70)와 근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홀센서(70)로부터 상기 자석(50)이 근접하게 되었다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어(30)가 폐쇄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위와 달리, 상기 홀센서(70)를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자석(50)이 상기 홀센서(70)로부터 멀어진 경우 즉 상기 도어(30)가 폐쇄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50)이 홀센서(70)에 근접한 경우 즉 상기 도어(30)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석(50)을 상기 도어(30)의 상부에 장착하고 상기 홀센서(70)를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배치할 경우와, 상기 자석(50)을 상기 도어(30)의 상부에 장착하고 상기 홀센서(70)를 상기 베이스(10)의 중앙부위에 배치할 경우가 있다.
이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30)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도어(30)에 의해 카메라렌즈모듈(100)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촬영이 필요할 때에만 자동으로 카메라렌즈모듈(10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닫힌 상태의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열린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30)의 개폐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로 도 1 내지 도 8에서 제시한 홀센서(70) 대신에 광센서(90)를 이용한다.
상기 광센서(90)는 상기 도어(30)의 개폐여부에 따라 유입되는 빛의 양에 따라 상기 도어(30)의 개폐여부를 측정하도록 한다.
이때에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요한 자석(50)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광센서(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서 상기 도어(30)가 완전 개방되었을 때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닫혀 상기 광센서(90)를 통해 측정되는 빛의 량이 일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도어(30)가 폐쇄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개방되어 상기 광센서(90)를 통해 측정되는 빛의 량이 일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도어(3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작동과정과 반대로, 상기 광센서(90)를 통해 측정되는 빛의 량이 일정값 이하이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을 정시시키고, 일정값 이상이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광센서(90)의 장착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즉,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상 기 광센서(90)가 빛을 수광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도어(30)가 폐쇄되었을 상기 광센서(90)가 빛을 수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카메라렌즈모듈(100)의 작동여부는 상기 제어부(90)를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30)가 슬라이딩되면서 닿을 수 있는 곳에 터치스위치 또는 온-오프스위치를 장착하여, 상기 도어(30)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발명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도어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닫힌 상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열린 상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닫 힌 상태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열린 상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5 : 개방구,
20 : 베이스커버, 25 : 가이드홈,
30 : 도어, 35 : 가이드돌기,
40 : 도어커버, 50 : 자석,
60 : 텐션스프링, 70 : 홀센서,
80 : 제어부, 90 : 광센서,
100 : 카메라렌즈모듈

Claims (5)

  1.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 카메라렌즈모듈이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측정되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측정되면 상기 카메라렌즈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의 자력을 측정하는 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에 결합된 텐션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20070089143A 2007-09-03 2007-09-03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2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43A KR100924464B1 (ko) 2007-09-03 2007-09-03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43A KR100924464B1 (ko) 2007-09-03 2007-09-03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778A Division KR20090097836A (ko) 2009-08-21 2009-08-21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980A true KR20090023980A (ko) 2009-03-06
KR100924464B1 KR100924464B1 (ko) 2009-11-03

Family

ID=4069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143A KR100924464B1 (ko) 2007-09-03 2007-09-03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3920A (zh) * 2019-07-15 2019-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04B1 (ko) * 2013-05-07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US9307129B2 (en) 2013-05-07 2016-04-0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KR101461564B1 (ko) * 2014-03-07 2014-11-13 주식회사 맥스덴탈 듀얼 구강카메라
KR101840201B1 (ko) * 2016-08-17 2018-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WO2024043369A1 (ko) * 2022-08-25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713A (ja) 2002-12-04 2004-07-0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KR100501261B1 (ko) * 2003-05-16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0798B1 (ko) * 2005-04-09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KR100801018B1 (ko) 2007-04-07 2008-02-04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3920A (zh) * 2019-07-15 2019-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464B1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464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7098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KR101070337B1 (ko)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정 장치
EP2034719B1 (en) Camera lens module
CN101118365A (zh) 光学设备与照相机系统
KR20200132972A (ko) 이동 단말기
US8408822B2 (en) Camera
KR20090097836A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200708155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4634253A (en) Underwater photographable camera
KR101446570B1 (ko)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WO2011010753A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CN210927772U (zh) 一种可调整拍摄角度的智能终端
KR100981956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5064911B2 (ja) 防水式光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90076744A (ko) 카메라모듈의 줌 조절장치
KR20070002523A (ko)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플래시를 온/오프시키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11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JP2007199353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補助光装置、撮像装置、拡散部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31998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개폐 장치
JP4548924B2 (ja) 撮像装置
KR100819755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0818699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보호장치
US5784657A (en) Camera having a display panel
KR100253213B1 (ko) 화상회의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