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201B1 - 마우스 - Google Patents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201B1
KR101840201B1 KR1020160104464A KR20160104464A KR101840201B1 KR 101840201 B1 KR101840201 B1 KR 101840201B1 KR 1020160104464 A KR1020160104464 A KR 1020160104464A KR 20160104464 A KR20160104464 A KR 20160104464A KR 101840201 B1 KR101840201 B1 KR 101840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main housing
slide
mous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022A (ko
Inventor
유태훈
이일병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201B1/ko
Priority to PCT/KR2017/008930 priority patent/WO2018034498A1/ko
Publication of KR2018002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마우스의 휴대성과 사용성 두 가지 요건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입력 버튼을 구비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바닥면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가 열린 경우 상기 지지부 제1 영역 및 상기 커버 부재의 단부 영역이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닫힌 경우 상기 지지부 제2 영역이 바닥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우스{MOUSE}
본 발명은 형태가 가변하는 확장형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 있어서 다양한 외부 입력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대표적인 외부 입력 장치로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펜 타입의 입력 장치가 대중화 되고 있다.
단말기의 휴대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입력 장치로서의 마우스의 휴대성 또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마우스는 내부 부품의 크기가 크지 않아 작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무한정 작아질 수는 없는 이중적인 요건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두 가지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형태가 가변하는 마우스의 형태가 시장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가변형 마우스의 대표적인 형태로 폴더블 마우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손에 파지하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폴더블 마우스의 경우 접히는 경계로 일측의 몸체에만 부품이 실장되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제한 사항이라는 점, 양쪽에 부품을 실장시키는 경우 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 인한 비용 증가, 내구도 감소 등이 불가피하다는 점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폴딩(Folding)을 위한 힌지의 구비가 필수불가결한 점에서 마우스 형태의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가변형 마우스에 있어서 폴더블 마우스의 폼 팩터가 아닌 다른 형태의 가변형 마우스를 통해 휴대성과 사용성 두 가지 요건을 동시에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폴더블 마우스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버튼을 구비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바닥면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가 열린 경우 상기 지지부 제1 영역 및 상기 커버 부재의 단부 영역이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닫힌 경우 상기 지지부 제2 영역이 바닥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의 바닥면 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 제1 영역 일단에서 상기 메인 하우징 내측으로 꺾어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 제1 영역은 상기 지지부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 제2 영역은 상기 지지부 제1 영역보다 상기 커버 부재 단부 영역 방향으로 치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 단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커버 부재의 임의의 지점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체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 하우징 상면에 결합하는 제1 슬라이드부,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에 대해 슬라이드 거동하는 제2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를 체결하는 바이 스테이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는 특정 곡률을 따라 슬라이드 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2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슬라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탐침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보다 좁은 폭을 형성하는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 또는 상기 커버 부재 중 하나에 구비된 자성부, 상기 메인 하우징 또는 상기 커버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부재가 열린 경우 상기 자성부와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자성부를 인식하는 센싱부,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센싱부가 상기 자성부를 인식하면 상기 전원 공급부로 하여금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제1 깊이 함몰 형성된 배터리 실장부, 상기 배터리 실장부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제2 깊이 함몰 형성된 수신 동글 실장부 및 상기 배터리 실장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메인 하우징 바닥면의 일 영역을 형성하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 일영역에 형성된 함몰부 및 상기 전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함몰부 외측으로 돌출된 휠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가 닫힌 경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휠 버튼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커버 부재와 결합하는 상단 하우징 및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단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하우징 및 상기 하단 하우징을 관통하는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에 결합하여 상기 상단 하우징 및 상기 하단 하우징을 체결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마우스를 사용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에 따라 형태가 가변하므로 휴대성과 사용성을 둘 다 만족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마우스 휴대 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마우스 휴대 시 돌출 영역을 최소화 하여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마우스 파지 시 커버 부재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 부재를 적은 힘으로 개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 부재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의도하지 않게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 커버 부재를 개폐하는 동작을 통해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메인 하우징을 결합하여 부품 비용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커버 부재가 닫힌 상태의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커버 부재가 열린 상태의 마우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커버 부재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커버 부재가 열린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메인 하우징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커버 부재가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슬라이드 모듈 일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제2 슬라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제1 슬라이드부 및 제2 슬라이드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바닥면에서 배터리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바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커버 부재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를, 도 1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커버 부재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의 메인 하우징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마우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60) 및 전원 공급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마우스(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마우스(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마우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마우스(100)와 다른 외부 단말기 사이, 또는 마우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마우스(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마우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마우스(100)와 다른 단말기 사이, 또는 마우스(100)와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등이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마우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단말기인 경우, 마우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사용자는, 마우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의 대표적 형태로 후술할 입력 버튼(210) 또는 휠 버튼(211)이 있을 수 있다.
센싱부(130)는 마우스 내 정보, 마우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마우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햅틱 모듈(141), 광 출력부(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41)은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사용자의 손에 진동 등의 촉각을 전달할 수 있다.
광 출력부(142)는 전원 온/오프 상태, 배터리의 잔여 전력 상태,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마우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마우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도 1의 나머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마우스(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7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마우스(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마우스(100)의 두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커버 부재(300)가 닫힌 상태를, 도 3은 커버 부재(30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마우스(100)는 크게 입력 버튼(210)을 구비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200)과 메인 하우징(200)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 부재(300)로 나뉠 수 있다.
마우스(10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컴퓨터 등의 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00)은 마우스(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전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입력 버튼(210)은 메인 하우징(200)에 구비되어 단말기에 전달될 입력 신호를 받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입력부와 제2 버튼의 두 개를 구비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 버튼(210)은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자연스럽게 감싸 검지와 중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도 무방하다.
입력 버튼(210)은 특정 패턴의 음각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메인 하우징(200)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 부재(300)를 열어 사용하고, 마우스(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커버 부재(300)를 닫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마우스(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 1과 같이 닫혀 메인 하우징(200)의 일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반면, 마우스(100)를 사용할 시에는 도 2와 같이 열려 입력 버튼(2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노출시키고 동시에 바닥면에 지지되는 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0)는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만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메인 하우징(200)의 바닥면은 감싸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만을 감싸는 경우 마찬가지로 마우스(100) 전체의 공간 차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커버 부재(300)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메인 하우징(200) 및 커버 부재(300)의 형상은 두 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 첫째는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이물감을 최소화 하고 좋은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는 커버 부재(3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커버 부재(300)가 용이하게 슬라이드 되어 개폐될 수 있을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과 커버 부재(3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은 곡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마우스(100)의 측면을 기준으로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은 R1의 곡률 값을 형성할 수 있고, 커버 부재(300) 또한 R2의 곡률 값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일정한 곡률 값을 유지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곡률 값은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곡률 슬라이드 거동을 고려 하였을 때 메인 하우징(200) 상면(220)의 R1의 곡률 값과 커버 부재(300)의 R2의 곡률 값은 유사한 경향성을 띠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00) 상면(220)의 R1의 곡률 값 및 커버 부재(300)의 R2의 곡률 값은 커버 부재(300)가 메인 하우징(200)에 대해 슬라이드 되는 거동 곡률 값과 독립적일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것과 같은 이유로, 유사한 경향성을 띠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앞쪽 두께 T1는 최소한으로 형성되어 커버 부재(300)를 연 상태에서 마우스(100)를 파지하였을 때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과 커버 부재(300)의 단차를 최소화하여 이물감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커버 부재(300)의 뒤쪽 두께 T2, 즉 단부 영역(310)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충분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300)의 단부 영역(310)의 두께 T2는 커버 부재(300)의 임의의 지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30)는 메인 하우징(200)의 바닥면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열리면 메인 하우징(200)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지지부(230)와 함께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열린 경우, 지지부(230)의 제1 영역(231)과 커버 부재(300)의 단부 영역(310)은 함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커버 부재(300)가 열린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지지부(230)의 제1 영역(231) 및 커버 부재(300)의 단부 영역(310)에는 마우스(100)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지지 돌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돌출부(232)는 바닥과의 부드럽게 마찰되기 위해 실리콘 소재의 시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30) 제1 영역(231)의 앞쪽에는 제1 지지 돌출부(232a)가, 뒤쪽에는 제2 지지 돌출부(232b)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단부 영역(310)에는 제3 지지 돌출부(232c)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열린 경우 제1 지지 돌출부(232a), 제2 지지 돌출부(232b) 및 제3 지지 돌출부(232c)는 바닥에 직접적으로 닿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230)는 메인 하우징(200)의 배면 뒤쪽의 경사면(235)으로 이어지기 위한 곡면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00)의 바닥면 중 지지부(230)를 제외한 나머지 뒤쪽 영역은 경사면(235)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235)은 지지부(230) 제1 영역(231)의 일단에서 메인 하우징(200) 내측으로 A각도 꺾어진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235)은 평면 형상이 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같이 메인 하우징(200) 바닥면 뒤쪽 부분이 서서히 가팔라지는 곡면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메인 하우징(200) 내측으로 꺾어진 경사면(235)을 가짐으로써 마우스(100)는 커버 부재(300)를 인입하였을 때 전체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경사면(235)으로 인해 메인 하우징(200)의 바닥면 뒤쪽이 빈 공간을 형성하더라도 마우스(100) 양쪽의 제1 영역(231)및 단부 영역(310)이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경사면(235)으로 인해 커버 부재(300)의 형상뿐만 아니라 메인 하우징(200) 바닥면도 전체적인 곡면 형상을 구성하여 돌출 영역을 최소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시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를 띨 수 있다.
휠 버튼(211)은 메인 하우징(200)의 전장부에 구비되어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 일영역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휠 버튼(211)은 입력 버튼(210)과 함께 마우스(100)에서 사용자 입력을 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휠 버튼(211)은 전장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회전 결합하여 회전 입력을 받을 수 있고, 동시에 마우스(100) 상하 방향으로 클릭 입력을 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닫힌 경우 휠 버튼(211)까지 차폐할 수 있다. 즉, 휠 버튼(211)은 커버 부재(300)와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메인 하우징(200) 측면 사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휠 버튼(211)은 사용자의 회전 입력을 받기 위한 상대적 돌출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휠 버튼(211)은 메인 하우징(200) 상면(220)의 일정 깊이 함몰된 영역을 형성하는 함몰부(22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커버 부재(300)가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커버 부재(300)가 닫힌 경우 커버 부재(300)의 뒤쪽 경계는 메인 하우징(200)의 뒤쪽 경계보다 바닥면을 기준으로 더 안쪽에 형성되거나 동일 경계를 형성하여 마우스(100)를 바닥에 놓은 경우 커버 부재(300)가 바닥에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0)가 메인 하우징(200)에서 돌출되는 영역을 최소화 하여 마우스(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 전체 공간 차지를 최소화 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닫힌 경우 지지부(230)의 제2 영역(233)은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열린 경우에 지지부(230) 중 바닥에 지지하는 제1 영역(231)과 커버 부재(300)가 인입된 경우에 지지부(230) 중 바닥에 지지하는 제2 영역(233)은 상이할 수 있다.
제2 영역(23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영역(231)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2 영역(233)은 전술한 제2 지지 돌출부(232b)의 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233)은 제1 영역(231)과 비교하여 커버 부재(300)의 단부 영역(310)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300)가 닫힌 경우 마우스(100) 전체의 무게 중심은 마우스(100)의 바닥면 중심 부근에 치우칠 수 있다. 이는 메인 하우징(200) 바닥면의 뒤쪽이 경사면(235)을 가져 부피 최소화를 가져오는 특징으로 인한 결과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버 부재(300)는 메인 하우징(200)에 대해 슬라이드 모듈(400)을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슬라이드 모듈(400)은 메인 하우징(200)과 커버 부재(300)를 체결할 수 있다. 슬라이드 모듈(400)은 제1 슬라이드부(411) 및 제2 슬라이드부(412) 등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거동을 제어하는 전체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411)는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에 결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슬라이드부(411)는 후술할 메인 하우징(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부(412)는 커버 부재(300)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제1 슬라이드부(411)에 대해 슬라이드 거동할 수 있다.
바이 스테이블 스프링(430)은 제1 슬라이드부(411) 및 제2 슬라이드부(412)를 체결할 수 있다.
바이 스테이블 스프링(430)은 커버 부재(3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연장 돌출되는 방향으로 일정힘을 가할 때 이 힘을 도와줄 수 있다. 반대로 커버 부재(30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일정힘을 가할 때 이 힘을 도와줄 수 있다.
즉, 바이 스테이블 스프링(430)은 사용자로 하여금 커버 부재(200)를 적은 힘으로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슬라이드 모듈(400) 일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제2 슬라이드부(412)에는 가이드 레일(413)이 구비되고, 제1 슬라이드부(411)에는 가이드 레일(413)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는 탐침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탐침부(414)는 제2 슬라이드부(412)의 결합홀(416)을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다.
탐침부(414)는 제2 슬라이드부(412)에 체결된 후 가이드 레일(4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제2 슬라이드부(412)의 제1 슬라이드부(411)에 대한 슬라이드 거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제2 슬라이드부(412)의 사시도이다.
가이드 레일(413)의 폭은 탐침부(414)의 폭과 같거나 일정 거리 크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드 거동하는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마찰로 인해 슬라이드 거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챔버(415)는 가이드 레일(413)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413)의 폭보다 좁은 폭을 형성할 수 있다.
탐침부(414)는 가이드 레일(413)을 따라 슬라이드 거동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을 받다가 챔버(415)를 지나는 지점부터 좁아지는 폭에 의해 큰 마찰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마찰력의 작용으로 인해 커버 부재(300)를 완전히 닫았을 때, 또는 메인 하우징(200)에서 완전히 열었을 때 의도하지 않은 힘에 의해 커버 부재(300)가 유동하거나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제1 슬라이드부(411) 및 제2 슬라이드부(412)의 측면도이다.
가이드 레일(413)은 R3의 곡률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411)의 탐침부(414)는 가이드 레일(413)을 따라 슬라이드 거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거동은 상대적인 것이며, 실제로는 제2 슬라이드부(412)와 결합한 커버 부재(300)가 R3의 곡률 값으로 슬라이드 거동 할 것이다.
R3의 곡률 값은 전술한 메인 하우징(200)의 상면(220)의 R1 곡률 값 또는 커버 부재(300)의 R2 곡률 값과 유사한 거동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바닥면에서 배터리 커버(24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우스(100)는 외부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에 의해 전원 공급이 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배터리는 배터리 실장부(241)에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실장부(241)는 메인 하우징(200)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제1 깊이 함몰 형성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마우스(100)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제1 입력부(251)는 메인 하우징(200)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마우스(100)가 외부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중 대표적으로 블루투스 방식이 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통신 규격을 통한 방식이 될 수도 있다. 또는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통신 방식 선택을 위한 제2 입력부(252)를 통해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별도의 통신 규격을 통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신 동글을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
수신 동글은 수신 동글 실장부(242)에 안착 구비될 수 있다. 수신 동글 실장부(242)는 배터리 실장부(241)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제2 깊이 함몰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 실장부(241)에서 안쪽으로 함몰 형성된 수신 동글 실장부(242)로 인해 마우스(100)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하여 마우스(100) 전체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바닥면을 도시한 것이다.
배터리 커버(240)는 배터리 실장부(24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메인 하우징(200) 바닥면 일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240)는 메인 하우징(2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240)는 배터리 실장부(241)와 착탈 가능한 후크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240)와 배터리 실장부(241)의 일측은 사용자가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탄성 후크부(244)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후크부(244)는 사용자의 손톱 또는 손가락이 끼워지기 위한 파지부(243)를 구비할 수 있다. 파지부(243)를 포함하는 탄성 후크부(244)는 메인 하우징(200)의 바닥면의 경사면(235)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 후크부(244)는 경사면(235)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커버 부재(300)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를, 도 1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커버 부재(300)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커버 부재(300)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거나 켜지도록 하기 위해 홀센서 모듈(420)을 구비할 수 있다. 자성부(421)는 메인 하우징(200) 또는 커버 부재(300) 중 일측에 구비되고, 센싱부(422)는 나머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성부(421)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커버 부재(300)의 제1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점은 커버 부재(300)가 열린 경우 커버 부재(300)의 자성부(421)가 메인 하우징(200)에 구비된 센싱부(422)와 대응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홀센서 모듈(420)은 커버 부재(300)를 열면 전원이 켜지고, 커버 부재(300)를 닫으면 전원이 꺼지기 위한 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센싱부(422)가 자성부(421)를 인식하면 전원 공급부(170)로 하여금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인식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부(170)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분해도이다.
메인 하우징(200)은 커버 부재(300)와 결합하는 상단 하우징(201) 및 상단 하우징(201)과 결합하여 메인 하우징(2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단 하우징(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201) 및 하단 하우징(202)이 결합하면서 양 부재 사이에 전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마우스(100)의 메인 하우징(100) 분해 사시도이다.
나사홀(203)은 상단 하우징(201) 및 하단 하우징(20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04)는 나사홀(203)에 결합하여 상단 하우징(201) 및 하단 하우징(202)을 체결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나사홀(203)은 배터리 실장부(241)의 일 지점에 구비되어 배터리 커버(240)를 결합한 경우에 마우스(100)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마우스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센싱부
140: 출력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제어부 170: 전원 공급부
200: 메인 하우징 201: 상단 하우징
202: 하단 하우징 203: 나사홀
204: 스크류 210: 입력 버튼
211: 휠 버튼 220: 메인 하우징 상면
221: 함몰부 230: 지지부
231: 지지부 제1 영역 232: 지지 돌출부
232a: 제1 지지 돌출부 232b: 제2 지지 돌출부
232c: 제3 지지 돌출부 233: 지지부 제2 영역
234: 곡면부 235: 경사면
240: 배터리 커버 241: 배터리 실장부
242: 수신 동글 실장부 243: 파지부
244: 탄성 후크부 251: 제1 입력부
252: 제2 입력부 300: 커버 부재
310: 단부 영역 400: 슬라이드 모듈
411: 제1 슬라이드부 412: 제2 슬라이드부
413: 가이드 레일 414: 탐침부
415: 챔버 416: 결합홀
420: 홀센서 모듈 421: 자성부
422: 센싱부 430: 바이 스테이블 스프링

Claims (14)

  1. 입력 버튼을 구비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바닥면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하우징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가 열린 경우 상기 지지부 제1 영역 및 상기 커버 부재의 단부 영역이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닫힌 경우 상기 지지부 제2 영역이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 제2 영역은 상기 지지부 제1 영역보다 상기 커버 부재 단부 영역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체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 하우징 상면에 결합하는 제1 슬라이드부;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에 대해 슬라이드 거동하는 제2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를 체결하는 바이 스테이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2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슬라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탐침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보다 좁은 폭을 형성하는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바닥면 일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 제1 영역 일단에서 상기 메인 하우징 내측으로 꺾어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제1 영역은 상기 지지부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단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커버 부재의 임의의 지점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는 특정 곡률을 따라 슬라이드 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 또는 상기 커버 부재 중 하나에 구비된 자성부;
    상기 메인 하우징 또는 상기 커버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부재가 열린 경우 상기 자성부와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자성부를 인식하는 센싱부;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센싱부가 상기 자성부를 인식하면 상기 전원 공급부로 하여금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제1 깊이 함몰 형성된 배터리 실장부;
    상기 배터리 실장부의 상기 제1 깊이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제2 깊이 함몰 형성된 수신 동글 실장부; 및
    상기 배터리 실장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메인 하우징 바닥면의 일 영역을 형성하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 일영역에 형성된 함몰부; 및
    상기 전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함몰부 외측으로 돌출된 휠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가 닫힌 경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휠 버튼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커버 부재와 결합하는 상단 하우징; 및
    상기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단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하우징 및 상기 하단 하우징을 관통하는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에 결합하여 상기 상단 하우징 및 상기 하단 하우징을 체결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14. 입력 버튼을 구비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바닥면 적어도 일 영역을 형성하는 지지부;
    상기 메인 하우징에 슬라이드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커버 부재를 체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 하우징 상면에 결합하는 제1 슬라이드부;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에 대해 슬라이드 거동하는 제2 슬라이드부;
    상기 제1 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드부를 체결하는 바이 스테이블 스프링;
    상기 제2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슬라이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탐침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보다 좁은 폭을 형성하는 챔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KR1020160104464A 2016-08-17 2016-08-17 마우스 KR10184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64A KR101840201B1 (ko) 2016-08-17 2016-08-17 마우스
PCT/KR2017/008930 WO2018034498A1 (ko) 2016-08-17 2017-08-17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64A KR101840201B1 (ko) 2016-08-17 2016-08-17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22A KR20180020022A (ko) 2018-02-27
KR101840201B1 true KR101840201B1 (ko) 2018-03-20

Family

ID=6119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464A KR101840201B1 (ko) 2016-08-17 2016-08-17 마우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0201B1 (ko)
WO (1) WO201803449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64B1 (ko) * 2007-09-03 2009-11-03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US20100007607A1 (en) * 2008-07-11 2010-01-14 Weigao Li Telescopic sliding mouse
US20140001935A1 (en) * 2012-04-24 2014-01-0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se hous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7567B (en) * 2003-12-02 2006-07-01 Benq Corp Folder-type computer mo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64B1 (ko) * 2007-09-03 2009-11-03 (주)엘티엠에이피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US20100007607A1 (en) * 2008-07-11 2010-01-14 Weigao Li Telescopic sliding mouse
US20140001935A1 (en) * 2012-04-24 2014-01-0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se housing 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무선 마우스 추천] 마이크로소프트 와이어리스 모바일 1850 마우스 microsoft wireless mobile 1850 mouse (마우스, 저렴한 마우스) 소소한 리뷰" 2014.12.24. [URL: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yw20&logNo=2202189020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498A1 (ko) 2018-02-22
KR20180020022A (ko)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11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US11178334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7233319B2 (en) Peripheral devices for portable computer
EP3224693B1 (en) Charging device for removable input modules
TWI691825B (zh) 電子裝置
US20070132733A1 (en)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EP3720104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KR102505588B1 (ko) 거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080225471A1 (en) Housing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apparatus system
US20120293410A1 (en) Flexible Input Device Worn on a Finger
JP2010528397A (ja) フィンガチップマウスおよびベース
US20060007151A1 (en)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80232049A1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system
US9331519B2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WO2006075416A1 (ja) 操作体、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KR102465076B1 (ko)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40044803A (ko) 엄지손가락에 설치할 수 있는 커서 제어 및 입력 기기
US2020011047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M454569U (zh) 平板電腦
EP3093730B1 (en) Sep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695382B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KR101840201B1 (ko) 마우스
US20070200824A1 (en) Wireless foldable mouse
US20140018127A1 (en) Method and appendage for retrofitting a mobile phone to use same for navigating a computer environment
US20080225020A1 (en)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