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814A - 도허티 증폭기 - Google Patents

도허티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814A
KR20090023814A KR1020070088868A KR20070088868A KR20090023814A KR 20090023814 A KR20090023814 A KR 20090023814A KR 1020070088868 A KR1020070088868 A KR 1020070088868A KR 20070088868 A KR20070088868 A KR 20070088868A KR 20090023814 A KR20090023814 A KR 20090023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parallel
transmission line
impedan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202B1 (ko
Inventor
양영구
박현철
정성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202B1/ko
Priority to US12/022,861 priority patent/US7663434B2/en
Publication of KR2009002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discharge-tube amplifiers
    • H03F1/0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discharge-tube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of amplifying modulated radio frequency waves; to raise the efficiency of amplifiers acting also as modulators
    • H03F1/07Doherty-typ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8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a main and one or several auxiliary peaking amplifiers whereby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using an impedance inverter, e.g. Dohert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in field-effect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1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using FET's, e.g. GaAs 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87A circuit being add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out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9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circuit of an amplifying stage comprising an LC-networ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23Amplifier output adaptation especially for transmission line coupling purposes, e.g. impedance adapt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허티 증폭기 출력단 구성에 관한 것으로, 주 증폭부(carrier amplifier)와 보조 증폭부(peaking amplifier) 그리고 두 증폭부를 연결하는 콤팩트 λ/4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증폭부를 연결하는 콤팩트 λ/4 라인은 상기 주 증폭부와 연결되어 병렬로 접지되는 제1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보조 증폭부와 연결되어 병렬로 접지되는 제2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는 인덕터 또는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여 최종 출력으로 연결하는 매칭 네트워크 단과;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의 전원입력으로 사용되는 λ/4 라인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회로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구조를 간략화 하면서도 증폭기의 선형성 및 고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허티 증폭기{DOHERTY AMPLIFIER}
본 발명은 도허티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구조를 간략화하면서도 선형성 및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도허티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양의 정보 전송을 위해 높은 피크-대-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ratio: PAPR)를 가지는 방식의 변조 신호를 사용하는데, 이는 전력 증폭기의 급격한 전류 소비를 가져오고, 효율을 급격하게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도허티(Doherty)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넓은 출력 전력 범위에서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기지국(Base station, 이하 '베이스 스테이션'이라 함), 중계기(Repeater),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전력 증폭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허티 증폭기는 일반적인 증폭기와 다르게 출력단을 구성하는데, 도 1은 종래의 도허티 증폭기의 일반적인 출력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 조하여 설명하면, 최적의 출력 성능을 위해 주 증폭부(또는 캐리어 증폭부(Carrier amplifier), 이하 동일)와 보조 증폭부(또는 피크 증폭부(Peaking amplifier), 이하 동일)를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매칭 네트워크(Matching network)로 구성되며,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는 λ/4의 길이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이하, 'λ/4 라인' 이라 함)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도허티 증폭기의 정확한 동작을 위해 오프셋 라인(Offset line)을 두 증폭부와 λ/4 라인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λ/4 라인은 입력 구동 레벨(Input drive level)에 따라 주 증폭부의 부하 임피던스(Load impedance)를 변조하며, 오프셋 라인은 낮은 입력 구동 레벨에서 주 증폭부로는 정확한 부하 임피던스 변조와, 보조 증폭부로는 전력의 누수를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결과, 일반적인 밸런스(Balanced) 증폭기에 비해 향상된 효율과 선형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허티 증폭기가 베이스 스테이션에 적용될 경우, 피드포워드(feedforward)나 디지털 전치왜곡(digital predistortion)을 사용하여 베이스 스테이션의 엄격한 선형성을 만족시킨다.
증폭기의 구현에 있어 요구되는 중요한 요소로 제조비용과 관련된 회로의 크기를 줄이는 연구가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때, 도허티 증폭기는 얇은 모듈 패키지에 구현되어야 하므로 소형화가 요구되는게 현실이다. 베이스 스테이션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회로의 사이즈 감소는 제조비용의 감소를 위해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회로의 사이즈를 작고 간단하게 구현하면서도 선형성 및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도허티 증폭기가 구현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도허티 증폭기 분야에서의 문제점이나 요구를 해소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은 회로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구조를 간략화하면서도 선형성 및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도허티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1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보조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2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며, 인덕터 및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트랜스미션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전원을 상기 주 증폭부 및 상기 보조 증폭부에 인가하는 λ/4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된 매칭 네트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병렬 커패시터,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는 π-네트워크 λ/4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1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보조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2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며,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트랜스미션 라인부와; 상기 제1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주 증폭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λ/4 라인과; 상기 제2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보조 증폭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 λ/4 라인과; 상기 보조 증폭부,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된 매칭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1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보조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2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주 증폭부 및 상기 제1 병렬 임피던스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되어 고주파를 제거하는 제1 고주파 제거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 및 상기 제2 병렬 임피던스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되어 고주파를 제거하는 제2 고주파 제거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 상기 제2 병렬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고주파 제거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주 증폭부 및 상기 보조 증폭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인덕터와;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는 제2 인덕터와;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인덕터 사이로부터 분기된 매칭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주 증폭부의 출력이 100Ω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정합하는 제1 매칭 네트워크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증폭부의 출력이 100Ω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정합하는 제2 매칭 네트워크부와; 상기 제1 매칭 네트워크부와 상기 제2 매칭 네트워크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병렬 연결하여 최종 출력을 발생하는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쿼터-웨이브 트랜스미션 라인과; 상기 제1 매칭 네트워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오프셋 라인과; 상기 제2 매칭 네트워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제2 오프셋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허티 증폭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구조를 간략화하면서도 선형성 및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도허티 증폭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주 증폭부(10), 보조 증폭부(20), 콤팩트 λ/4 라인(30)(Compact λ/4 lin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에 서로 다른 바이어스(Bias)를 사용하거나, 자동 바이어스 제어(Automatic bias control)를 통해 도허티 증폭기의 전체적인 효율을 증가시킨다.
콤팩트 λ/4 라인(30)은 주 증폭부(10) 및 보조 증폭부(20)의 출력 측에 연결되며, λ/4 라인(34) 및 매칭 네트워크부(35)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λ/4 라인(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병렬 커패시터(31), 제2 병렬 커패시터(32) 및 트랜스미션 라인부(33a,3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콤팩트 λ/4 라인(30)을 인덕터(33a)와 제1 병렬 커패시터(31) 및 제2 병렬 커패시터(32)를 통해 π-네트워크 형태로 구현하였고, λ/4 트랜스미션 라 인에 대응하는 특성을 갖는다. 도 4는 도 3에서 인덕터(33a)를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33b)으로 대체하여 π-네트워크 형태로 콤팩트 λ/4 라인(30)을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인덕터의 용량이 불연속적이고 손실이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33b)으로 대체하였고, 그 결과 손실이 작고 연속적인 값을 가지며 상당히 작은 크기의 π-네트워크 형태의 콤팩트 λ/4 라인(30)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병렬 커패시터(31)는 주 증폭부(10)에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고, 제2 병렬 커패시터는 보조 증폭부(20)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된다. 인덕터(33a) 또는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33b)은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를 연결된다.
여기서, 임의의 특성 임피던스(RT)를 가지는 콤팩트 λ/4 라인(30)은 이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33b)의 특성 임피던스(R0)와, 위상각(θ), 그리고 제1 병렬 커패시터(31) 및 제2 병렬 커패시터(32)의 조합으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63926872-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07063926872-PAT00002
콤팩트 λ/4 라인(30)을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이용하여, 도 2의 구성과 같이 주 증폭부(10) 및 보조 증폭부(20) 바로 뒷단에서 도 4에 도시된 콤팩트 λ/4 라인(30)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도허티 증폭기 부하 네트워크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된다.
한편, λ/4 라인(34)은 제1 병렬 커패시터(31)와 트랜스미션 라인부(33a,33b)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전원을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 측으로 동시에 인가한다. 그리고 매칭 네트워크부(35)는 제2 병렬 커패시터(32)와 트랜스미션 라인부(33a,33b) 사이로부터 분기되며, 매칭 네트워크부(35)로부터의 출력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최종 출력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주 증폭부(10), 보조 증폭부(20), 제1 병렬 임피던스(jX')(231), 제2 병렬 임피던스(jX")(232), 트랜스미션 라인부(236), 제1 λ/4 라인(233), 제2 λ/4 라인(335), 매칭 네트워크부(234)를 포함한다.
제1 병렬 임피던스(jX')(231), 제2 병렬 임피던스(jX")(232)는 각각 주 증폭부(10) 및 보조 증폭부(20)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된다. 트랜스미션 라인부(236)는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를 연결하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미션 라인부(236)는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며, 커패시터와 트랜스미션 라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λ/4 라인(233)은 제1 병렬 임피던스(jX')(231)와 트랜스미션 라인부(236) 사이로부터 분기되며, 제2 λ/4 라인(235)은 제2 병렬 임피던스(jX")(232)와 트랜스미션 라인부(236) 사이로부터 분기되며 각각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의 전원 입력부로 사용된다. 매칭 네트워크부(234)는 보조 증폭부(20), 제2 병렬 커패시터(232) 및 트랜스미션 라인부(236) 사이로부터 분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콤팩트 λ/4 라인(30)의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33a)을 커패시터 또는 커패시터와 트랜스미션 라인의 조합으로 대체하여 구현한 것으로 콤팩트 λ/4 라인(30)의 구성을 일반화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도허티 증폭기보다 그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고 회로의 사이즈도 감소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주 증폭부(10), 보조 증폭 부(20), 제1 병렬 임피던스(jX')(331), 제2 병렬 임피던스(jX")(332), 제1 고조파 제거부(333a), 제2 고조파 제거부(333b), 제1 인덕터(335) 및 제2 인덕터(336), 매칭 네트워크부(334)를 포함한다.
제1 병렬 임피던스(jX')(331) 및 제2 병렬 임피던스(jX")(332)는 각각 주 증폭부(10) 및 보조 증폭부(20)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되고, 제2 인덕터(336)가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를 연결한다. 제1 인덕터(335)는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의 전원 입력부로 사용되며, 매칭 네트워크부(334)는 제1 인덕터(335) 및 제2 인덕터(336)와 제2 병렬 임피던스(jX"), 제2 고조파 제거부(333b), 보조 증폭부(20)에서 분기된다.
제1 고조파 제거부(333a)는 주 증폭부(10) 및 제1 병렬 임피던스(jX')(331)와 병렬 연결 접지되어 주 증폭부(10)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를 제거하여 회로의 성능을 개선한다. 제2 고조파 제거부(333b)는 보조 증폭부(20) 및 제2 병렬 임피던스(jX")(332)와 병렬 연결 접지되어 보조 증폭부(20)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를 제거하여 회로의 성능을 개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콤팩트 λ/4 라인(30)의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33a)을 제2 인덕터(336)로 대체하여 구현하였고, 직접회로에 적합하도록 고조파 제거를 위한 제1 고조파 제어부(333a) 및 제2 고조파 제거부(333b), 그리고 전원입력부로 사용되는 제1 인덕터(335)가 추가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제1 인덕터(335) 및 제2 인덕터(336)는 인덕턴스를 가지는 모든 구성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제1 매칭 네트워크부(110a), 제2 매칭 네트워크부(110b), 쿼터-웨이브 트랜스미션 라인(130), 제1 오프셋 라인(120a) 및 제2 오프셋 라인(120b)을 포함한다.
제1 매칭 네트워크부(110a)는 주 증폭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주 증폭부(10)의 출력이 100Ω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정합하고, 제2 매칭 네트워크부(110b)는 보조 증폭부(2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보조 증폭부(20)의 출력이 100Ω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정합한다.
쿼터-웨이브 트랜스미션 라인(130)은 제1 매칭 네트워크부(110a)와 제2 매칭 네트워크부(110b)의 출력에 연결되어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폭부(20)를 병렬 연결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최종 출력은 쿼터-웨이브 트랜스미션 라인(130)으로부터의 출력이 된다.
제1 오프셋 라인(120a)은 제1 매칭 네트워크부(110a)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다. 또한, 제2 오프셋 라인(120b)의 제2 매칭 네트워크부(110b)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다.
여기서, 제1 오프셋 라인(120a)과 쿼터-웨이브 트랜스미션 라인(130)의 최종 출력 임피던스는 100Ω을 갖는다. 100Ω으로 매칭이 된 주 증폭부(10)와 보조 증 폭부(20)가 합해져서 50Ω의 출력 부하 저항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도허티 증폭기에서 마지막 매칭 네트워크부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도허티 증폭기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도허티 증폭기의 π-형태의 λ/4 라인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허티 증폭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 증폭부 20 : 보조 증폭부
30 : 컴팩트 λ/4 라인 31 : 제1 병렬 커패시터
32 : 제2 병렬 커패시터 33a : 인덕터
33a :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
34 : λ/4 라인 35 : 매칭 네트워크부

Claims (7)

  1.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1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보조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2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며, 인덕터 및 마이크로스트립 트랜스미션 라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트랜스미션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전원을 상기 주 증폭부 및 상기 보조 증폭부에 인가하는 λ/4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된 매칭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병렬 커패시터,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 부는 π-네트워크 λ/4 라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5.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1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보조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2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며,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트랜스미션 라인부와;
    상기 제1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주 증폭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λ/4 라인과;
    상기 제2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보조 증폭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 λ/4 라인과;
    상기 보조 증폭부,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 및 상기 트랜스미션 라인부 사이로부터 분기된 매칭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6.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1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보조 증폭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제2 병렬 임피던스와;
    상기 주 증폭부 및 상기 제1 병렬 임피던스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되어 고주파를 제거하는 제1 고주파 제거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 및 상기 제2 병렬 임피던스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되어 고 주파를 제거하는 제2 고주파 제거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 상기 제2 병렬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고주파 제거부 사이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주 증폭부 및 상기 보조 증폭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인덕터와;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연결하는 제2 인덕터와;
    상기 제2 병렬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인덕터 사이로부터 분기된 매칭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허티 증폭기.
  7. 주 증폭부와 보조 증폭부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주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주 증폭부의 출력이 100Ω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정합하는 제1 매칭 네트워크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증폭부의 출력이 100Ω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정합하는 제2 매칭 네트워크부와;
    상기 제1 매칭 네트워크부와 상기 제2 매칭 네트워크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주 증폭부와 상기 보조 증폭부를 병렬 연결하여 최종 출력을 발생하는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쿼터-웨이브 트랜스미션 라인과;
    상기 제1 매칭 네트워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제1 오프셋 라인과;
    상기 제2 매칭 네트워크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10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제2 오프셋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허티 증폭기.
KR1020070088868A 2007-09-03 2007-09-03 도허티 증폭기 KR100905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868A KR100905202B1 (ko) 2007-09-03 2007-09-03 도허티 증폭기
US12/022,861 US7663434B2 (en) 2007-09-03 2008-01-30 Doherty ampl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868A KR100905202B1 (ko) 2007-09-03 2007-09-03 도허티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814A true KR20090023814A (ko) 2009-03-06
KR100905202B1 KR100905202B1 (ko) 2009-06-26

Family

ID=4056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868A KR100905202B1 (ko) 2007-09-03 2007-09-03 도허티 증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63434B2 (ko)
KR (1) KR100905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5280B2 (en) * 2007-09-03 2016-04-26 Ampleon Netherlands B.V. Multi-way doherty amplifier
US8508295B2 (en) * 2008-04-24 2013-08-13 Nec Corporation Amplifier
KR101097605B1 (ko) * 2009-11-04 2011-12-22 알.에프 에이치아이씨 주식회사 도허티 증폭기
EP2393201A1 (en) * 2010-06-02 2011-12-07 Nxp B.V. Two stage doherty amplifier
DE102011075312A1 (de) 2011-05-05 2012-11-08 Rohde & Schwarz Gmbh & Co. Kg Quasi-breitbandiger Doherty-Verstärker und diesbezügliche Kondensatorschaltung
CN103259494A (zh) * 2012-02-16 2013-08-21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功率放大器
US11233483B2 (en) 2017-02-02 2022-01-25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90-degree lumped and distributed Doherty impedance inverter
EP3577758B1 (en) * 2017-02-02 2024-04-03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90-degree lumped and distributed doherty impedance inverter
US11159125B2 (en) 2017-04-24 2021-10-26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Inverted Doherty power amplifier with large RF fractional and instantaneous bandwidths
WO2018197919A1 (en) 2017-04-24 2018-11-01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Inverted doherty power amplifier with large rf and instantaneous bandwidths
WO2018197918A1 (en) 2017-04-24 2018-11-01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Improved efficiency, symmetrical doherty power amplifier
WO2019069115A1 (en) 2017-10-02 2019-04-11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HIGH PERFORMANCE POWER AMPLIFIER WITHOUT CHARGE MODULATION
WO2020072898A1 (en) 2018-10-05 2020-04-09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Low-load-modulation power amplifier
KR102581317B1 (ko) * 2018-12-24 2023-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137951A1 (en) 2019-12-30 2021-07-08 Macom Technology Solutions Holdings, Inc. Low-load-modulation broadband amplifier
WO2022160248A1 (zh) * 2021-01-29 2022-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频段功率放大电路和射频收发机
KR102306338B1 (ko) 2021-02-05 2021-10-01 김경수 암반수 채수공 굴착 및 확장 공법 및 채수공 확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038B2 (ja) * 1991-07-19 1996-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周波高効率電力増幅器
JP2002204133A (ja) 2000-12-28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増幅器
JP4341771B2 (ja) 2003-07-08 2009-10-07 弘 中山 膜形成方法
KR100516035B1 (ko) * 2003-09-24 2005-09-21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임의의 전기적 길이를 갖는 도허티 증폭기의 전력결합구조를 위한 전력 결합 방법
US7248110B2 (en) 2005-12-06 2007-07-24 Harris Corporation Modified doherty amplifier
US7414478B2 (en) * 2006-03-31 2008-08-19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parallel power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02553A1 (en) 2009-04-23
US7663434B2 (en) 2010-02-16
KR100905202B1 (ko) 200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202B1 (ko) 도허티 증폭기
CN108259008B (zh) 具有无源相位补偿电路的多尔蒂放大器
CN107112953B (zh) 用于放大射频信号的功率放大器
KR100862056B1 (ko) 광대역 전력 증폭 장치
EP2806557B1 (en) Doherty amplifier
EP3054589B1 (en) Doherty amplifier
US7646248B2 (en) Harmonic tuned doherty amplifier
US8988147B2 (en) Multi-way Doherty amplifier
US8717099B2 (en) Wideband doherty amplifier circuit with peaking impedance absorption
US7164316B2 (en) Series-Type Doherty Amplifier Without Hybrid Coupler
US8441321B2 (en) Multi-stage amplifier
US7940120B2 (en)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RF feedback
EP2274829A1 (en) Efficient linear linc power amplifier
US11533028B2 (e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with harmonic control circuit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510076B (zh) 一种class-AB驱动的Doherty功率放大器、基站和移动终端
US20150070094A1 (en) Doherty power amplifier with coupling mechanism independent of device ratios
CN110808716A (zh) 一种Doherty射频功率放大器及其输出匹配网络结构
JP2008125044A (ja) 増幅器
KR20070101723A (ko) 전송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증폭기
KR102165176B1 (ko)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및 이 장치의 부하 임피던스 변조 방법
JP5390495B2 (ja) 高周波増幅器
Moon et al. A multimode/multiband envelope tracking transmitter with broadband saturated power amplifier
CN109067364B (zh) 一种宽频高效输出的Doherty功率放大器
Ishikawa et al. A 4.5-ghz-band miniature outphasing gan hemt mmic power amplifier
KR20090043853A (ko)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