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062A -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062A
KR20090023062A KR1020080063808A KR20080063808A KR20090023062A KR 20090023062 A KR20090023062 A KR 20090023062A KR 1020080063808 A KR1020080063808 A KR 1020080063808A KR 20080063808 A KR20080063808 A KR 20080063808A KR 20090023062 A KR20090023062 A KR 2009002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mory card
connector
car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422B1 (ko
Inventor
츠요시 곤노
요시노리 오오타
신이치 다무라
가츠히로 호리
마코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Abstract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소형화에 따라 소형화 및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
카드 삽입구(101)로부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하우징(110)과 실드 케이스(120)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본체에 해당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검출하는 카드 검출 스위치(150)를 구비한다. 카드 검출 스위치(150)는 커넥터 본체에 배열 설치된 제1 단자(160)와, 제1 단자(160)를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눌러 해당 제1 단자(160)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되고,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의해 제1 단자(160)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간되는 제2 단자(170)를 가지며, 제2 단자(170)가 제1 단자(160)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커넥터에의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한다.
Figure P1020080063808
카드 삽입구, 커넥터 본체, 메모리 카드, 카드 검출부, 메모리 카드 커넥터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MEMORY CAR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기판에 실장되고, 삽입된 메모리 카드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데이터의 기억 매체로서 메모리 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나 규격의 소형의 메모리 카드가 시판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전화용 데이터의 기억 매체로서도 메모리 카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매우 소형의 메모리 카드도 시판되고 있다.
이들 메모리 카드를 기억 매체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는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메모리 카드 커넥터)가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삽입함으로써 전자 기기에 장착된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는, 예컨대 특허 문헌 1 또는 특허 문헌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전기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카드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은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삽입을 검출하는 카드 검출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카드 검출 스위치(1)는, 커넥터 본체(3)에 있어서,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2)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측의 안내 측벽(4) 측에 설치되어 있다.
카드 검출 스위치(1)는 커넥터 본체의 안내 측벽(4)을 따라 배치된 고정판(5), 고정판(5)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나란히 이간되어 배치된 가동판(6)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판(6)은 고정판(5)에 대하여 커넥터 본체(3)의 폭방향에서 대향하고, 안내 측벽(4) 측으로부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 경로 내에 돌출되는 절곡부(7)를 갖는다.
메모리 카드(2)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메모리 카드(2)의 측면에 눌려 가동판(6)의 절곡부(7)의 기단 및 기단이 고정판(5)에 맞닿고, 가동판(6)과 고정판(5)은 전기적으로 접속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삽입 방향을 따른 일측의 안내 측벽(4) 측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는 고정판(5) 및 가동판(6)은 오픈된 상태이고, 메모리 카드가 삽입됨으로써 가동판(6)이 측방으로 휨으로써 가동하여 고정판(5)에 접촉하여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2)를 커넥터 본체(3)로부터 빼서 제거하면, 가동판(6)의 절곡부(7)는 복귀하여 가동판(6)과 고정판(5)은 전기적으로 차단 상태가 된다. 또 한, 이들 가동판(6)과 고정판(5)의 종단은 커넥터 본체(3)가 실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의 카드 검출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2287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5-71666호 공보
그런데, 최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가 탑재되는 전자 기기도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으며, 해당 전자 기기에 메모리 카드를 탑재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 자체의 소형화, 실장 스페이스의 절약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의해 가동판(6)을,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의 측방, 즉 해당 메모리 카드(2)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고정판(5) 측으로 휘게 함으로써 가동시켜 고정판(5)에 접촉시키기 때문에, 고정판(5)도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휜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에 있어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측방에서, 가동판(6)의 가동 및 고정판(5)의 휨을 위한 폭 방향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커넥터 자체의 외형을 크게 하게 되어 커넥터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소형화에 따라 소형화 및 실장 스페이스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는, 카드 삽입구로부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검출하는 카드 검출부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검출부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눌러 해당 제1 단자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되고, 상기 카드의 삽입 영역으로 돌출하는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삽입 영역으로부터 후퇴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간하는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에의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은,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 금형 내에 가요성을 가지며, 선단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길다란 2개의 단자를 상하로 이간시켜 배치하는 단계와, 상부 금형에 의해 상기 2개의 단자 중 상방에 위치하는 단자의 선단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휘게 함으로써 상기 상측의 단자를 상기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에 접촉시켜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를 휘게 하여 예압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금형에 의해 상기 2개의 단자에 예압을 가한 상태에서 하부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 검출부를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를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소형화에 따라 소형화 및 실장 스페이스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 후, 좌, 우란 상기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를 정면이라 하였을 때의 전, 후, 좌, 우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는 일측면 부분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01)를 구비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다.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서는, 바닥판부(112), 양 측벽부(114, 115) 및 기단 측벽부(116)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에 상면이 될 실드 케이스(120)를 상방으로부터 씌움으로써 카드 삽입구(101)로부터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여 장착 상태로 하는 내부 수용 영역을 구비한 커넥터 본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메모리 카드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고도 함)(100)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우징(110)의 바닥판부(112)의 후단측에 폭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개의 컨택트 핀이 메모리 카드의 하면 선단부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 나란히 배열 설치된 패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수 개의 컨택트 핀은 각각 가요성을 가지며, 바닥판부(112)로 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동하는 접점부(도시 생략)를 갖는다.
이들 접점부가 카드 삽입구(101)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패드에 눌려짐으로써 접점부와 패드는 대응하는 세트끼리 접촉하고,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110)은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이며, 두께가 얇은 바닥판부(112) 및 양 측벽부(114, 115)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 부착되는 컨택트 핀은 하우징(110)을 형성할 때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에서 부착된다.
하우징(110)의 양 측벽부(114, 115)는 카드 삽입구(101)를 통하여 커넥터(100) 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를 기단 측벽부(116) 측으로 안내한다.
하우징(110)의 양 측벽부(114, 115) 중 어느 하나의 측벽부(114) 측, 여기서는 우측의 측벽부(114) 측에는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카드 검출부(카드 검출 스위치)(15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드 검출부(150)는 카드의 장착을 전기적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양 측벽부 중 나머지 하나의 측벽부 측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카드의 삽입/제거에 의해 하우징 바닥면 상을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메모리 카드 삽입구측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젝트 기구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젝트 기구는 메모리 카드를 커넥터(100)에 완전히 삽입한 삽입 완료 위치와, 그 바로 앞의 삽입 위치에서 가볍게 유지하기 위한 하프 락 위치의 2곳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주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카드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를 부호 200으로 나타내고, 해당 메모리 카드(200)의 하면의 선단부를 모식적으로 선단부(201)로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메모리 카드(200)의 측 가장자리부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 및 측방으로 개구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메모리 카드(200)의 하면의 선단부(201)는 홈의 바닥면의 선단부(201)가 된다.
카드 검출부(150)는 측벽부(114) 측에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A) 방향을 따라 상하 배치된 길다란 띠형의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를 갖는다.
이들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는 가요성을 가지고, 탄성 변형되는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여기서는 띠형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160)는 측벽부(114)에 있어서,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측면과 대향하는 면 부분에 일단부측(커넥터 본체의 후단부측)의 부위(161)의 하면이 하방에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측벽부(114)에 있어서, 제1 단자(160)의 일단부측의 부위(161)의 윗부분에는 노치(114a)가 형성되고, 해당 일단부측의 부위(161)의 윗부분의 상면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노치(114a)는 제2 단자(170)의 하방으로부터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제1 단자(160)의 상방으로의 휨을 상방으로 해방시켜 접촉 부분에서의 접촉 상태를 보 다 확실하게 하고 있다.
이 제1 단자(160)는 측벽부(114)에, 선단부(커넥터 본체의 후단부) 측과 타단부(커넥터 본체의 전단부) 측에서 각각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여기서는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단자(160)에 대하여, 제2 단자(170)는 하우징(110)의 측벽부(114)에 제1 단자(160)의 하방에서, 그리고 제1 단자(160)보다 커넥터(100)의 내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단자(170)에서는 본체 부분의 측변부가 제1 단자(160)의 하방에서 대향 배치되고, 선단부측(커넥터의 후단부측)에서, 제1 단자(160)의 선단부측의 부위(161)의 하면을 상방으로 눌러 해당 하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카드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자(170)는, 측벽부(114)에 있어서, 하우징(110)에 있어서 내부 바닥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의 측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레일부(114b)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자(170)는 삽입 방향에서 레일부(114b)로부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동부(179)를 갖는다. 이 가동부(179)는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170)의 가동부(179)는 레일부(114b)의 삽입 방향측의 단면으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하우징(110) 내에서 선단부(172)를 포함하여 하방으로 가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자(170)는 일단부(172) 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172)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절곡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74)는 제2 단자(170)의 본체 부분(176)보다 측방(여기서는 제1 단자(160) 측인 우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178)을 가지며, 이 돌출편(178)에서 제1 단자(160)의 부위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카드 검출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시에 있어서, 제2 단자(170)의 돌출편이 제1 단자(160)의 일단부측의 부위를 누르고,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200)가 삽입되면,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의 측부는 레일부(114b) 상을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단자(170)에 있어서 상면에서 노출되는 가동부(179) 상면을 이동해 간다.
이에 따라 제2 단자(170)에서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여기서는 메모리 카드의 하면(201)으로 나타냄)에 의해 절곡부(174)의 가동부(179)의 기단측의 경사면이 삽입 방향으로 눌려진다.
그러면, 제2 단자(170)에서는, 절곡부(174)가 하방으로 눌려져서 절곡부(174)의 돌출편(178)은 제1 단자(160)의 일단부측의 부위(161)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카드 검출부(150)에서는, 제1 단자(160)와 제2 단자(170)간 접촉 상태, 즉 접속 상태가 해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카드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단자(160)로부터 제2 단자(170)가 이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도 2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를 부호 200으로 나타내고, 해당 메모리 카드(200)의 하면의 선단부를 모식적으로 선단부(201)로서 나타낸다.
도 4와 같이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카드 검출부(150)에서는, 제1 단자(160)와 제2 단자(170)간 접속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 메모리 카드(200)가 삽입된 것 또는 장착된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 형태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제조 방법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서는, 카드 검출부 및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패드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을 성형하는 하부 금형(201) 내에 복수 개의 컨택트 핀과 함께 카드 검출부(150)의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를 인서트품으로서 장전한다. 여기서는, 제1 단자(160) 및 제2 단 자(170)는 복수 개의 컨택트 핀과 함께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라 한다. 또한, 각 부끼리는 성형후 필요에 따라 절연되는 것이다.
인서트품으로서의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는 각각 기단부측에서 하우징의 바닥판이 될 부위로부터 세워져올라가고, 선단부(164, 172)를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자(160)에서는 하부 금형(210) 내에 배치된 바닥면이 될 부위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세워져올라가는 상승부(160a)와, 해당 상승부(160a)로부터 커넥터(100)의 기단부측으로 수평하게 뻗어나온 수평부(160b)와, 수평부(160b)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올라가는 제2 상승부(160d)에 의해 기단 부분(16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상승부(160d)의 선단으로부터, 배열 설치되는 커넥터 내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는 부위인 제1 단자(160)의 본체 및 선단부가 될 경사편(160c)이 상방으로 경사져서 뻗어나와 있다.
또한 제2 단자(170)에서는, 제1 단자(160)의 수평부(160b)의 선단부 하방으로부터 세워져올라가는 상승부(170a)와 해당 상승부(170a)로부터 선단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뻗어나오는 수평편(170b)에 의해 기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편(170b)의 커넥터(100)의 후단부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만곡되어 만곡편(17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만곡편(170c)은 선단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선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절곡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인서트품을 장전한 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금형(210) 내에 배열 설치되는 상부 금형 부품(220)에 의해 제1 단자(160)의 선단부(164)를 연직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누르도록 성형 금형의 형폐쇄를 행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금형 부품(220)으로 제1 단자(160)를 눌러 가다가, 제1 단자(160)를 휘게 하여 제2 단자(170)와 접촉시킨다.
더욱이 상부 금형 부품(220)을 제1 단자(160)에 상방으로부터 눌러,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폐쇄 상태로 한다. 이 때, 상부 금형 부품(220)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눌려지는 제1 단자(160)는 탄성 변형하여 휘고, 제2 단자(170)를 하방으로 눌러 해당 제2 단자(170)를 하방으로 휘게 하여 예압을 가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서는, 카드 삽입 검출부(150)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에 예압을 가함으로써 양 단자(160, 170)를 접촉시킨 상태로 한 후에, 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품을 용융 수지로 싸서 고화시키고, 일체화된 복합 부품을 제조한다.
카드 삽입 검출부(150)에 있어서, 용융 수지에 의해 싸여져서 고화되는 부위는 예압이 가해진 상태의 제1 단자(160)의 상승부(160a), 수평부(160b) 및 제2 상승부(160d)를 갖는 기단 부분(166)과, 예압이 가해진 상태의 경사편(164)에 있어서, 제2 상승부(160d)로부터 연속되는 기단 부분과, 제2 단자(170)와의 접촉 부위(161)보다 선단측의 부분으로 한다.
또한 제2 단자(170)에 있어서, 용융 수지에 의해 싸여져서 고화되는 부위는 예압이 가해진 상태의 상승부(170a) 및 수평편(170b)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기단 부분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0)에서는, 카드 검출부는, 상하에 배치 된 제1 및 제2 단자(170)를 포함하는 인서트 성형품에 대하여 인서트 금형에 의해 예압이 가해지는 제1 단자(160)를 휘게 하여 예압을 가하는 제2 단자(170)를 접촉시킴으로써 예압을 가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 삽입구(101)로부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검출하는 카드 검출 스위치(150)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 있어서, 카드 검출 스위치(150)는, 커넥터 본체에 고정된 제1 단자(160)와, 제1 단자(160)를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눌러 해당 제1 단자(160)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되고,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의해 제1 단자(160)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간되는 제2 단자(170)를 가지고 있다.
카드 검출부(150)에서는 제2 단자(170)가 제1 단자(160)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커넥터 본체에의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커넥터 본체는 적어도 바닥판부와 해당 바닥판부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측벽부(114, 115)를 갖는 수지제의 하우징(110)을 구비하고,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는 하우징(110)의 측벽부(114)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단자(170)를 제1 단자(160)에 눌러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는 각각 길다란 띠형을 이루며, 커넥터 본체 내에 각각 삽입 방향을 따라 상하로 배치되고, 제1 단자(160)는 제2 단자(170)에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눌려진 상태에서 접촉하여 배치되며, 제2 단자(170)는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에 의해 제1 단자(16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눌려진다.
또한, 제1 단자(160)는 커넥터 본체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안내하는 측벽부(114)의 일방측에 있어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단자(170)는 측벽부(114)의 일측방에 있어서, 제1 단자(160)의 하방에서, 커넥터 본체의 바닥면 부분으로부터 상방의 메모리 카드 삽입 영역으로 삽입 방향측의 단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삽입 방향측의 단부에 제1 단자(160) 측으로 돌출되어 제1 단자(160)를 하방으로부터 누르는 돌출편(17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편(178)은 제2 단자(170)에 있어서 선단부측을 상방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절곡부(174)로부터 제1 단자(160) 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에 의하면, 메모리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제2 단자(170)가 제1 단자(160)의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해당 제1 단자(160)로부터 이간되어 양 단자의 접촉 상태가 해제, 즉 양단이 오픈된 상태가 되고, 커넥터가 실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인쇄 기판의 카드 검출 회로로 하여금 커넥터(100)에 대한 메모리 카드의 삽입 또는 장착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커넥터(100)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전기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제1 단자(160)에 대하여 탄성 변형되어 가동, 즉 휨으로써 이간되는 제2 단자(170)의 가동 영역(휘는 영역)을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메모리 카드의 두께 범위에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폭방향으로 단자의 가동 영역을 형성하지 않아 공간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 금형 내에 가요성을 가지며, 선단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길다란 2개의 단자를 상하로 이간하여 배치하는 단계와, 상부 금형에 의해 상기 2개의 단자 중 상방에 위치하는 단자의 선단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휘게 함으로써 상기 상측의 단자를 상기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에 접촉시켜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를 휘게 하여 예압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금형에 의해 상기 2개의 단자에 예압을 가한 상태에서 하부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 삽입 검출부를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를 갖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 절감화가 도모된 메모리 카드 커넥터(100)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두께가 얇은 커넥터(100)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더욱이 실장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예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서로 접촉해 있는 제1 단자(160) 및 제2 단자(170)는 커넥터(100)의 폭방향에서 이간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성형시의 수지가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금형에 의해 단자의 주변을 보호하기 때문에, 수동 조립으로 커넥터(100)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 검출부(150)를 커넥터(100)의 측벽 부분이 될 하우징의 측벽부(114)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벽부(115)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벽부(115)에 설치한 이젝트 기구를 측벽부(114)에 설치하고, 메모리 카드도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경하는 것으로 한 다. 또한 카드 검출부(150)를 기단측 측벽부(116)에 설치하고, 커넥터(100)에 대하여 가장 깊숙이까지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선단에 의해 제2 단자(170)를 제1 단자(160)로부터 이간시켜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카드 삽입 검출부(150)는 커넥터 본체에 고정된 제1 단자(160)에 대하여 제1 단자(160)를 눌러 접촉하여 배치된 가동 단자인 제2 단자(170)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에 의해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제1 단자(160)로부터 이간되어 커넥터 본체에의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검출된다. 이에 따라 제1 단자(160)와 제2 단자(170)가 접촉할 때의 가동 영역을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커넥터 본체의 폭이 작아진다. 또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수동 조립으로 단자를 조립해 넣을 필요가 없어, 두께가 얇은 메모리 카드 커넥터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전, 후, 좌, 우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커넥터측에서 보았을 때 삽입되는 삽입구를 정면으로 하여 전, 후, 좌, 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커넥터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카드 커넥터로서 설명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USB(Universal Serial Bus) 플러그가 접속되는 USB 커넥터로 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커넥터(300)는 일측면 부분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301)를 구비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룬다. 이 커넥터(300)는 커넥터(100) 와 동일한 외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즉, 커넥터(300)에서는 바닥판부(312), 양 측벽부(314, 315) 및 기단 측벽부(316)를 구비하는 하우징(310)에 상면이 될 실드 케이스(320)를 상방으로부터 씌움으로써 카드 삽입구(301)로부터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여 장착 상태로 하는 내부 수용 영역을 구비한 커넥터 본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300)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310)의 바닥판부(312)의 후단측에 폭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개의 컨택트 핀이 메모리 카드의 하면 선단부에 폭방향으로 복수 개 나란히 배열 설치된 패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복수 개의 컨택트 핀은 각각 가요성을 가지며, 바닥판부(3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동하는 접점부(도시 생략)를 갖는다.
이들 접점부가 카드 삽입구(301)로부터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패드에 눌려짐으로써 접점부와 패드는 대응하는 세트끼리 접촉하고,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310)은 절연성을 갖는 수지제이며, 하우징(110)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얇은 바닥판부(312) 및 양 측벽부(314, 315)에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하우징(310)에 부착되는 컨택트 핀은 하우징(310)을 형성할 때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에서 부착된다.
하우징(310)의 양 측벽부(314, 315)는 카드 삽입구(301)를 통하여 커넥 터(300) 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를 기단 측벽부(316) 측으로 안내한다.
하우징(310)의 양 측벽부(314, 315) 중 일측의 측벽부(314) 측, 여기서는 우측의 측벽부(314) 측에는 커넥터(100)와 마찬가지로, 커넥터(300)에 삽입되는 접속 대상물(여기서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카드 검출부(카드 검출 스위치)(350)(도 7 참조)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10)에 있어서 양 측벽부 중 나머지 측벽부측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카드를 넣고 뺌으로써 하우징 바닥면 상을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를 메모리 카드 삽입구측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젝트 기구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젝트 기구는 메모리 카드를 커넥터(100)에 완전히 삽입한 삽입 완료 위치와, 그 바로 앞의 삽입 위치에서 가볍게 유지하기 위한 하프 락 위치의 2곳의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주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의 커넥터(300)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는 전술한 메모리 카드(200)와 동일한 것이며, 카드의 측가장자리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 및 측방으로 개구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측벽부에 내장된 상태의 카드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카드 검출부가 내장된 측벽부를 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카드 검출부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카드 검출 스위치(350)는 측벽부(314) 측에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방향(A)을 따라 상하 배치된 길다란 띠형의 제1 단자(360, 460) 및 제2 단자(370, 470)를 갖 는다. 카드 검출 스위치(350)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에 의해 제1 단자(360) 및 제2 단자(370), 제1 단자(460) 및 제2 단자(470)의 각각이 이간됨으로써 해당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한다.
이 카드 검출 스위치(350)는 측벽부(314)를 따라 삽입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카드 삽입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스위치(이하 "제1 스위치"라고 함)(350A) 및 제2 검출 스위치(이하, "제2 스위치"라고 함)(350B)를 구비한다. 제1 스위치(350A)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360) 및 제2 단자(370)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스위치(350B)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460) 및 제2 단자(470)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스위치(350B)의 기본적 구성은 제1 스위치(350A)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스위치(350A)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제2 스위치(350B)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을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스위치(350A)를 구성하는 제1 단자(360) 및 제2 단자(370)는 각각 가요성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가늘고 긴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제1 단자(360) 및 제2 단자(370)는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360)는 측벽부(314)의 내벽면에 연장 방향을 따라 잘려나감으로써 내부 수용 영역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노치부(317) 내에 삽입구측으로부터 깊숙이 안쪽을 향하여 뻗어나오도록 배열 설치되며, 그 선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제1 단자(360)에서는, 기단측이 노치부(317)를 형성하는 전측의 측벽 부분(314a)에 고정되고, 선단부(361)는 노치부(317) 내에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 의 측면과 횡방향(여기서는 수평 방향)에서 대향하고,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커넥터의 두께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360)의 선단부(361)는 하면을 하방으로 노출시키고 있으며, 이 부분에서 하방에 배치된 제2 단자(370)의 접촉편부(372)에 의해 상방으로 눌려져서, 해당 제1 단자(360)의 상방에 배치된 규제 암부(380)에 맞닿아 있다.
규제 암부(380)는 측벽부(314)에 제1 단자(360)를 따라 해당 제1 단자(36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어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규제 암부(38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300) 내에 있어서, 측벽부(314)의 노치부(317) 내에서 노출되는 제1 단자부(360)의 바로 위에 노치부(317)를 삽입 방향에서 구획 형성하는 벽부 사이(314a, 314b)에 가설된 상태에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벽부(134a)의 벽면(317a) 커넥터(30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단자(360)와 대향하는 면(여기서는 하면)에는 해당 제1 단자(360)와 접촉하는 부위에 제1 단자(360) 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3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382)에 하방으로부터 눌려져서 상방으로 이동한 제1 단자(360)가 맞닿음으로서 그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 오목부(382)는 여기서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제1 단자(360)의 선단부(361)의 상면이 맞닿아 슬라이딩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규제 암부(380)에 볼록부(382)를 형성함으로써 제1 단자(360)의 규제 암부(380)에 대한 맞닿음 위치를 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350B)에서는 제1 단자(460)는 제1 단자(360)와, 볼록부(482)를 갖는 규제 암부(480)는 볼록부(382)를 갖는 규제 암부(380)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되며, 동일한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460)에 대한 제2 단자(470)의 위치 관계 및 작용도 제1 단자(360)에 대한 제2 단자(370)와 동일하다. 즉, 제1 단자(460)의 선단부(461)는 하면측으로부터 제1 단자(470)의 접촉편부(471)에 의해 규제 암부(480) 측에 눌려져서 볼록부(482)에 맞닿는다. 이들 제1 단자(460), 규제 암부(480) 및 제2 단자(470)는 측벽부(314)에 있어서 중앙 벽부(314b)와 후단측벽부분(314c) 사이에 형성된 노치부(317a) 내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자(460)는 기단부측을 중앙벽 부분(314b) 측에서 고정받아 선단부(461)를 자유단으로 하고 있으며, 규제 암부(480)는 제1 단자(460)의 상방에서 벽부분(314b, 314c)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470)는 접촉편부(472)를 노치부(317a) 내에서 상하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단자(470)는 제2 단자(37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제2 단자(370)의 설명을 행함으로써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규제 암부(380, 480)는 여기서는 제1 단자(360)에 스위치 컨택트(400)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스위치 컨택트(400)를 측벽부(314)에 고정함으로써 전술한 위치 관계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커넥터 카드 검출 스위치(350)의 스위치 컨택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이 스위치 컨택트는 커넥터로부터 떼어낸 상태, 즉 커넥터(300)의 하우징의 측벽부(314)를 따라 해당 측벽부(314)에 내장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 다.
도 10에 도시한 스위치 컨택트(400)는 길다란 도전성 부재, 여기서는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스위치 컨택트(400)는 규제 암부(380, 480)를 포함하는 길고 가는 장판형을 이루는 본체 암(410)과, 이 본체 암(410)에 본체 암(410)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여 뻗어나와 설치되며, 측벽부(314)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압입부(420)를 갖는다.
상세하게는, 압입부(420)는 본체 암(410)에 있어서 규제 암부(380)가 될 부위의 기단측의 단부에 형성된 기단측 압입부(422)와, 규제 암부(380, 480) 사이의 부위(여기서는 본체 암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된 중앙 압입부(424)와, 규제 암부(480)의 선단측의 단부에 형성된 선단측 압입부(426)를 갖는다.
이들 기단측 압입부(422), 중앙 압입부(424) 및 선단측 압입부(426)는 본체 암(410)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뻗어나옴과 아울러, 각각 본체 암(410)의 연장 방향과 동일 방향의 폭을 갖는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들 기단측 압입부(422), 중앙 압입부(424) 및 선단측 압입부(426)에 있어서, 폭방향에서 이간되어 본체 암(410)과 직교하는 양측변으로부터 압입용 리브(428)가 튀어나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압입부(424)는 기단측 압입부(422) 및 선단측 압입부(426)보다 길게 뻗어나와 있다. 이 중앙 압입부(424)의 선단부(424a)는 측벽부(314)의 중앙벽 부분(314b)에 형성된 상하로 연통하는 연통 구멍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며, 커넥터(30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중앙 압입부(424)의 선단부(424a)는 카드 검출용 리드부로서 기능하며, 커넥터(300)가 실장되는 기판의 카 드 검출용 배선에 접속된다.
본체 암(410)에서는 그 일단측(기단측)으로부터 기단측 압입부(422)를 따라 뻗어나온 연결부(432)를 통하여 제1 단자부(360)가 규제 암부(38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 암(410)에서는 중앙 압입부(424)보다 타단측(선단측)에서 해당 중앙 압입부(424)와 서로 이웃하도록 따라서 뻗어나온 연결부(434)를 통하여 제1 단자부(460)가 규제 암부(48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단자(360, 460)는 제2 단자부(370, 470)에 의해 눌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위치 컨택트(400)로서 규제 암부(480)인 본체 암(410)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위치 컨택트(400)가 기단측 압입부(422), 중앙 압입부(424) 및 선단측 압입부(246)를 측벽부(314)의 벽부분(314a, 314b, 314b)의 각각에 압입함으로써 하우징(310)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314)에서는, 규제 암부(380, 480)는, 측벽부(314)에, 선단부(커넥터 본체의 후단부) 측과 타단부(커넥터 본체의 전단부) 측에서 각각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노치부(317, 317a) 내를 건너지르도록 여기서는 수평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1 단자(360, 460)는 스위치 컨택트(400)가 측벽부(314)에 고정된 상태, 즉 하우징(310)에 조립되어 들어간 상태에서는 하우징(310)에 부착된 제2 단자(370, 470)에 의해 규제 암부(380, 480)의 각각에 눌려진 상태에서 배치된다.
도 11은 상기 커넥터 카드 검출부의 제1 단자에 대한 제2 단자의 위치 관계 를 보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제1 스위치(350A)의 제1 단자(360)와 제2 단자(370)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메모리 카드(200)의 삽입 방향을 삽입 방향(A)으로서 편의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스위치(350B)의 제1 단자(460) 및 제2 단자부(470)의 위치 관계는 제1 스위치(350A)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자(370)는 측벽부(314)에 있어서, 하우징(310)에 있어서 내부 바닥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의 측가장자리 하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레일부(314d)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37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자(360)의 연직 하방에서 해당 제1 단자(360)와 중첩되는 영역과, 제1 단자(360)보다 커넥터(300) 내측의 카드 수용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자(370)는 접촉편부(372)와, 노치부(317)를 구획 형성하는 삽입구측의 벽부분(314a)의 단면과 동일면의 레일부(314d)의 단면(314e)으로부터 삽입 방향을 따라 뻗어나온 길다란 단자 본체(374)를 갖는다. 접촉편부(372)는 단자 본체(374)로부터 분기되어 단자 본체(37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2 단자(370)에서는 단자 본체(374)는 기단으로부터 중앙 압입부가 압입되는 측벽부(314)의 중앙부의 측방에 이르기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그 선단부를 자유단으로 하고 있다. 이 제2 단자(370)는 자신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선단부가 제1 단 자에 대하여 접근/이간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단자 본체(374)는 단면(314e)으로부터 연장되는 가동판부(373)와, 가동판부(373)의 선단으로부터 제1 단자(360) 측, 즉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커넥터(300)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절곡부(375)를 갖는다. 절곡부(375)는 가동판부(373)의 선단으로부터 연속되며, 해당 가동판부(373)가 배치되는 면보다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과, 해당 경사면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절곡부(375)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 영역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하면(홈부의 바닥면)에 의해 제1 단자(360)와 이간되는 방향, 즉 하방으로 눌려진다. 이에 따라 절곡부(375)는 단자 본체(374) 자체를 제1 단자(360)와 이간되는 방향, 여기서는 하방으로 변형시켜 이동시킨다.
접촉편부(372)는 단자 본체(374)의 가동판부(373)의 제1 단자(360) 측(여기서는, 제1 단자(360) 측인 우측)의 측변부로부터 단자 본체(37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제1 단자(360) 측(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부(372)는 제1 단자(360)의 하면에 해당 하면을 상방으로 누른 상태에서 맞닿아 있다. 접촉편부(37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372a)를 제1 단자(360)와 접촉하는 접촉부로 하고, 이 선단부(372a)는 단자 본체(374)를 따라 연장되는 편부 본체(372b)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제1 단자(360)의 폭 전체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단자 본체(374)와 편부 본체(372b)는 횡방향(커넥터(300)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편부 본체(372b)는 단자 본체(374)에 해당 단자 본체(374)의 측변부와의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편부(372)(상세하게는 선단부(372a))는 제1 단자(360)와 대향하며, 해당 제1 단자(360)의 변형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촉편부(372)는 제1 단자(360)의 바로 아래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단자 본체(374)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단자(360)를 규제 암부(380) 측에 누른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360)의 복원력보다 제1 단자(360)에 대한 제2 단자(370)의 누름력이 크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2 단자(36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커넥터(300)의 하우징(310)에 해당 커넥터(300)의 깊숙이 안쪽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조립되어 들어가 있다.
하우징(310)을 성형하는 금형에의 조립시에 있어서, 제2 단자(360)에서는, 단자 본체(374)는 레일 단면(314d)으로부터 뻗어나오는 수평 레벨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절곡부(375) 및 접촉편부(372)는 하우징(310)의 바닥면이 형성되는 면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상방측)으로 변위된 위치에 위치된다. 특히, 인서트 성형시의 접촉편부(372)의 배치 위치는 스위치 컨 택트(400)를 조립해 넣음으로써 이루어지는 카드 검출 스위치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상태 위치보다 상방의 위치가 된다.
인서트 성형후, 상기 상태에서 제2 단자(370(470))가 설치된 하우징(310)에 스위치 컨택트(400)를 압입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접촉편부(372)는 규제 암부(380)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제1 단자(360)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서 변위하고, 제2 단자(370) 자체도 하방으로 눌려져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검출 스위치(350)는 커넥터(300)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常態)시에는, 도 7∼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카드 검출 스위치(350)에서는, 측벽부(314)에 있어서, 제1 단자(360)에 제2 단자(370)가 맞닿음과 아울러, 제1 단자(460)에 제2 단자(470)가 맞닿음으로써 각각 클로즈 상태에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단자(360, 460)를 포함하는 스위치 컨택트(400)와 제2 단자(370, 470)가 조립되어 들어간 커넥터(300)에서는 통상시에 있어서, 제2 단자(370, 470)의 접촉편부(372, 472)가 각각 대응하는 제1 단자(360, 460)의 자유단측의 부위를 누르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자(360, 460)를 포함하는 제1 스위치(350A) 및 제2 단자(370, 470)를 포함하는 제2 스위치(350B)는 각각의 스위치에 있어서 단자끼리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카드 검출 스위치(350)에서는, 커넥터(300)에 메모리 카드(200)가 A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스위치가 OFF가 되고, 카드 삽입이 검출된다.
여기서, 커넥터(300)의 카드 검출 스위치(3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200)의 삽입에 의해 스위치가 OFF가 되기 직전의 카드 검출부의 제1 스위치(350A)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상태의 제1 스위치(350A)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2는 커넥터(300)에 있어서, 레일부(314e)의 내측면 부분을 따른 측벽부(314)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단자(360)로부터 제2 단자(370)가 이간된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도 9에 도시한 상태의 커넥터(300)에 메모리 카드(200)를 삽입한다. 커넥터(300)에 삽입구(301)(도 7 참조)로부터 메모리 카드(200)가 A방향으로 삽입되면,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의 측부(203)는 레일부(314d) 상을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단자(370)에 있어서 상면에서 노출되는 가동판부(373) 상면을 이동해 간다.
이에 따라 제2 단자(370)에서는,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여기서는 메모리 카드의 하면(201)으로 나타냄)의 선단부(201)(상세하게는 선단면의 코너 부분)에 의해 절곡부(374)에 있어서, 가동판부(373)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세워져올라가는 경사 부분(375a)이 삽입 방향으로 눌려진다.
그러면, 제2 단자(370)에서는, 절곡부(375)가 메모리 카드에 삽입 방향에서 눌려짐으로써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판부(375)가 하방(제1 단자(36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판부(375)의 하방으로의 변위에 따라, 접촉편부(372)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접촉편부(372)의 이동에 의해, 상방 의 규제 암부(380) 측에 눌려져 있던 제1 단자(360)는 규제 암부(380)의 볼록부(382)로부터 이간된다.
커넥터(300) 내에 메모리 카드(200)가 더 삽입되면, 제2 단자(370)에서는 절곡부(375)는 삽입 방향으로 더 눌려져서 하방으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가동판부(373)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촉편부(372)도 더 하방(제1 단자(30)와는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접촉편부(372)가 제1 단자(360)로부터 이간될 때, 제1 단자(360)가 기단부측을 중심으로 요동함과 아울러, 접촉편부(372)도 가동판부(375)의 기단부측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접촉편부(372)는 제1 단자(36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이간되도록 이동한다.
그러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편부(372)는 제1 단자(360)로부터 이간되어, 해당 제1 단자(360)에의 누름 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카드 검출 스위치(350)에서는, 제1 단자(360)와 제2 단자(370)간 접촉 상태, 즉, 접속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메모리 카드(200)가 커넥터(300)에 삽입되어, 제1 단자(360)에 대하여 접촉편부(372)가 완전히게 이간되어 있는 동안에는, 제2 단자(370)의 제1 단자(360)에 대한 접속 상태는 해제된다. 즉, 제1 단자(360)와 제2 단자(370)의 스위치는 오픈 상태가 되고, 카드 검출 스위치(350)는 카드 삽입 상태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제1 스위치(350A)를 오픈 상태로 한 메모리 카드(200)가 더 커넥터(300) 내로 삽입되면, 측벽부(314)에 있어서 제2 스위치(350B)가 배치되는 부분 으로 이동한다.
메모리 카드(200)가 더 삽입되면, 제2 단자(470)도 제2 단자(370)와 마찬가지로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200)(도 12에 도시한 메모리 카드(200))의 선단 코너 부분(201)에 의해 절곡부(475)에 있어서 가동판부(473)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세워져올라가는 경사 부분(475a)이 삽입 방향으로 눌려진다.
그러면, 제2 단자(470)에서는, 절곡부(475)가 메모리 카드에 삽입 방향에서 눌려짐으로써 하방으로 이동하고, 가동판부(473)도 하방(제1 단자(46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200)의 삽입에 의해 제2 스위치가 OFF가 되기 직전의 카드 검출부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판부(473)의 하방으로의 변위에 따라 접촉편부(472)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접촉편부(472)의 이동에 의해 해당 접촉편부(472)에 의해 눌려져 있는 제1 단자(460)는 규제 암부(480)의 볼록부(482)로부터 이간된다.
메모리 카드가 커넥터(300)의 깊숙이 안쪽까지 삽입되면, 제2 단자(470)에서는 절곡부(475)는 삽입 방향으로 더 눌려져서 하방으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가동판부(473)도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촉편부(472)도 제1 단자(46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더 하방(제1 단자(30)와는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를 도 16에 도시하였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편부(472)는 제1 단자(460)로부터 이간되어 해당 제1 단자(460)에의 누름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카드 검출 스위치(350)에서는, 제1 단자(460)와 제2 단자(470)간 접촉 상태, 즉 접속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메모리 카드(200)가 커넥터(300)에 장착됨으로써, 제1 단자(460)에 대하여 접촉편부(472)가 완전히 이간되어 있는 동안에는 제2 단자(470)의 제1 단자(460)에 대한 접속 상태는 해제된다. 즉, 제1 단자(460)와 제2 단자(470)의 스위치는 오픈 상태가 되고, 카드 검출 스위치(350)를 통하여 카드 장착 상태인 것이 검출된다.
카드 검출 스위치(350)에서는, 제1 단자(360) 및 제2 단자(370)를 갖는 삽입구측의 제1 스위치(350A)는 카드 삽입을 검출함과 아울러, 카드를 쓰기 금지로 하는 프로텍트 스위치의 잠금 상태 및 비잠금 상태를 검출한다.
즉, 제2 단자(370)에서는, 절곡부(375)의 꼭지점 부분이 커넥터(300)에 장착된 카드의 프로텍트 스위치의 잠금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위치할 때, 접촉편부(372)는 제1 단자(360)를 누른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치(350A)는 카드 삽입시에 있어서 카드 삽입을 검출함과 아울러 카드의 장착시에 프로텍트 스위치의 잠금 상태, 즉 카드의 리드 라이트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7은 카드 검출 스위치(350)에 있어서, 제1 스위치(350A) 및 제2 스위치(350B) 모두 오픈 상태, 즉 커넥터(300)에 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커넥터(300)의 상태에서는, 제1 스위치(350A)에 있어서, 제2 단자(370)가 제1 단자(360)에 맞닿아 있지 않고, 양 단자(360, 370)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스위치 오픈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메모리 카드에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하는 프로텍트 스위치가 카드의 쓰기 금지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2 단자(370)의 절곡부(375)가 장착된 카드 쓰기 금지 위치까지 복원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드 검출부(350)에서는, 제1 스위치(350A)의 오프, 제2 스위치(350B)의 오프에 의해 쓰기 금지된 카드가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었을 때 절곡부(375)가 복원되고, 쓰기 금지 위치의 노치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접촉편부(372)는 제1 단자(360)를 눌러 해당 제1 단자(360)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카드 검출부(350)는 읽고 쓰기 가능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제1 단자(460) 및 제2 스위치(470)를 갖는 제2 스위치(350B)는 커넥터(300)의 깊숙이 안쪽에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된 카드를 빼서 제거하는 경우, 제1 스위치(350A)보다 빨리 카드의 빠짐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검출 스위치(350)의 제1 스위치(350A) 및 제2 스위치(350B)에서는 각각 제1 단자(360, 460)를 누름으로써 해당 제1 단자(360, 460)에 접속되는 제2 단자(370, 470)의 접촉편부(372, 472)는 제1 단자(360, 46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접근/이간된다.
이들 제1 단자(360, 460) 및 제2 단자(370, 470)의 접촉 부분에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에도, 서로가 마찰하면서 접근/이간됨으로써 서로 마찰하는 부분에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카드 검출 스위치(350)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간 의 컨택트 클리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370, 470)에 있어서, 접촉편부(372, 472)는 단자 본체(374, 474)의 가동판부(373, 473)로부터 이간되도록 분기되고, 해당 단자 본체(374, 474)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편부(372, 472)와 단자 본체(374, 474) 사이에 간극(G)(도 11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부(472)와 단자 본체(474) 사이의 간극은 접촉편부(372)와 단자 본체(374) 사이의 간극(G)과 동일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접촉편부(372)와 단자 본체(374) 사이, 접촉편부(472)와 단자 본체(474) 사이의 각각에 이물질이 체류하지 않아 커넥터 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배제하여 제1 단자 및 제2 단자끼리의 접촉 상태를 양호한 접촉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의 커넥터(300)에서는, 제2 단자(370, 47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310)과 함께 형성되며, 제1 단자(360, 460)는 규제 암부(380, 480)와 함께 스위치 컨택트(400)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위치 컨택트(400)를 제2 단자(370, 470)를 구비하는 하우징(310)의 측벽부(314)에 제1 단자(360, 460)가 제2 단자(370, 470)에 눌려지도록 압입함으로써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컨택트 클리닝 기능을 갖는 커넥터(3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삽입 검출부(350)는 커넥터 본체에 고정된 제1 단자(360, 460)에 대하여, 제1 단자(360, 460)를 눌러 접촉하여 배치된 제2 단자(370, 470)가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에 의해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제1 단자(360, 460)로부터 이간되어 커넥터 본체에의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검출된다. 이에 따라 제1 단자(360, 460)와 제2 단자(370, 470)가 접촉할 때의 가동 영역을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커넥터 본체의 폭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개량 변형을 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이 상기 개량 변형시킨 것에 이름은 당연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의 소형화에 따라 소형화 및 실장 스페이스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소형화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소형 전자 기기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 카드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카드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상기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카드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측벽부에 내장된 상태의 카드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카드 검출부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도 7에 있어서 카드 검출부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상기 커넥터의 카드 검출부에 있어서 스위치 컨택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카드 검출부에 있어서 제1 단자에 대한 제2 단자의 위치 관계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의해 스위치가 OFF가 되기 직전의 카드 검출부의 제1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카드 검출부에 있어서 제1 스위치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
도 14는 제1 단자로부터 제2 단자가 이간된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의해 제2 스위치가 OFF가 되기 직전의 카드 검출부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의해 스위치가 OFF가 되기 직전의 제2 스위치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카드 검출 스위치에 있어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종래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삽입을 검출하는 카드 검출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0, 300…메모리 카드 커넥터, 110, 310…하우징,
112…바닥판부, 114, 314…측벽부,
150, 350…카드 검출 스위치(카드 검출부) 160, 360, 460…제1 단자,
170, 370, 470…제2 단자, 174…절곡부,
178…돌출편

Claims (12)

  1. 카드 삽입구로부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검출하는 카드 검출부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 검출부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눌러 해당 제1 단자와 접촉한 상태에서 배치되고, 상기 카드의 삽입 영역으로 돌출하는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삽입 영역으로부터 후퇴함으로써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이간하는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에의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상기 제2 단자와의 접촉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일부가 상기 메모리 카드에 눌려짐으로써, 상기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접근/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적어도 바닥판부와 해당 바닥판부로부터 세워져서 설치되는 측벽부를 갖는 수지제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제2 단자를 상기 제1 단자에 눌러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각각 길다란 띠형을 이루며,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각각 삽입 방향을 따라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2 단자에 상기 메모리 카드의 두께 방향에서 눌려진 상태에서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의해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안내하는 측벽부의 일방측에 있어서, 삽입되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의 상기 일부는 상기 측벽부의 일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하방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바닥면 부분으로부터 상방의 상기 메모리 카드 삽입 영역에 삽입 방향측의 단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 기 삽입 방향측의 단부에 상기 제1 단자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단자를 하방으로부터 누르는 돌출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제2 단자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측의 단부인 선단부측을 상방으로 굴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1 단자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7. 메모리 카드 커넥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 금형 내에 가요성을 가지며, 선단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는 길다란 2개의 단자를 상하로 이간시켜 배치하는 단계와,
    상부 금형에 의해 상기 2개의 단자 중 상방에 위치하는 단자의 선단 부분을 하방으로 눌러 휘게 함으로써 상기 상측의 단자를 상기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에 접촉시켜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를 휘게 하여 예압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금형에 의해 상기 2개의 단자에 예압을 가한 상태에서 하부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 검출부를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를 자유단으로 한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도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단부측에서 상기 제2 단자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제2 단자와 서로 마찰하면 서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있어서, 삽입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측벽 부분에 상기 일단부를 상기 카드 삽입구측으로 하고, 자유단인 타단부를 깊숙이 안쪽으로 하여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배열 설치되고,
    상기 측벽 부분에 상기 제1 단자에 대하여 상기 제2 단자와 대향하는 측과 상기 두께 방향 반대측에서 이간되어 상기 제2 단자에 의한 누름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단자의 타단부측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암부가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암부는 상기 제1 단자측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단자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기 제1 단자가 맞닿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암부는 상기 측벽 부분에 상기 제1 단자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규제 암부에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규제 암부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타단부가 자유단이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규제 암부와 함께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측벽 부분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두께 방향에서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에 맞닿아 두께 방향에서 누르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일부와 삽입 방향에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20080063808A 2007-08-31 2008-07-02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 KR101015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27183 2007-08-31
JP2007227183 2007-08-31
JP2007284501A JP5098580B2 (ja) 2007-08-31 2007-10-31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及び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JP-P-2007-00284501 2007-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062A true KR20090023062A (ko) 2009-03-04
KR101015422B1 KR101015422B1 (ko) 2011-02-22

Family

ID=4042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808A KR101015422B1 (ko) 2007-08-31 2008-07-02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98580B2 (ko)
KR (1) KR101015422B1 (ko)
CN (1) CN101378154B (ko)
TW (1) TW2009198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600B1 (ko) * 2011-07-20 2013-02-14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메모리 소켓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1320603B1 (ko) * 2012-02-23 2013-10-23 (주)씨엘 카드 커넥터의 카드 검출 스위치 장치
WO2016060510A1 (ko) * 2014-10-17 2016-04-21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CN106463862A (zh) * 2014-10-17 2017-02-22 莫列斯有限公司 电子装置用卡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8876B2 (ja) * 2009-09-14 2014-05-14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85156B2 (ja) 2010-03-26 2014-09-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薄型コネクタ
JP5024687B2 (ja) * 2010-04-20 2012-09-12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JP5615601B2 (ja) * 2010-06-11 2014-10-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用コネクタ
JP6097072B2 (ja) * 2012-12-27 2017-03-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0473311Y1 (ko) 2013-03-26 2014-06-25 히로세코리아(주) 카드 커넥터
TWI718921B (zh) * 2020-04-07 2021-02-1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檢測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5775B1 (en) * 2001-03-16 2002-07-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mart card connector
JP2002373740A (ja) * 2001-06-13 2002-12-26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965282B2 (ja) * 2001-06-29 2007-08-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コネクタ
JP4287673B2 (ja) * 2003-02-26 2009-07-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59625B2 (ja) * 2003-08-20 2006-1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CN2671166Y (zh) * 2003-09-19 2005-01-12 钜航科技股份有限公司 插卡连接器插卡检测装置
JP2005108764A (ja) * 2003-10-01 2005-04-21 Kel Corp カードコネクタ
KR100624203B1 (ko) * 2004-08-24 2006-09-1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CN2783571Y (zh) * 2005-02-25 2006-05-24 金嘉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单槽式存储卡连接器
CN201112915Y (zh) * 2007-07-04 2008-09-1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600B1 (ko) * 2011-07-20 2013-02-14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메모리 소켓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1320603B1 (ko) * 2012-02-23 2013-10-23 (주)씨엘 카드 커넥터의 카드 검출 스위치 장치
WO2016060510A1 (ko) * 2014-10-17 2016-04-21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CN106463862A (zh) * 2014-10-17 2017-02-22 莫列斯有限公司 电子装置用卡槽
US10411403B2 (en) 2014-10-17 2019-09-10 Molex, Llc 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US10707612B2 (en) 2014-10-17 2020-07-07 Molex, Llc Card socket for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5422B1 (ko) 2011-02-22
JP5098580B2 (ja) 2012-12-12
CN101378154B (zh) 2011-09-14
JP2009076428A (ja) 2009-04-09
CN101378154A (zh) 2009-03-04
TW200919837A (en) 200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422B1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 커넥터 제조 방법
US7427206B2 (en) Card connector
US9875432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EP1764723B1 (en) Memory card socket structure
US7887348B2 (en) Card connector
US7540782B2 (en) Card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housing assembly
US7794232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6848923B2 (en) Switch structure of card connector
US7361037B2 (en) Card connector with an eject mechanism
KR100870186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US8740634B2 (en) Card connector
US20070218770A1 (en) Card connector
KR20130029338A (ko) 카드 커넥터
US20070054526A1 (en) Connector which can be reduced in operating force and miniaturized
JP4582214B2 (ja) コネクタ
KR20110014954A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KR101042867B1 (ko) 카드용 커넥터
WO2017115696A1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KR100978511B1 (ko) 카드용 커넥터
KR20100032297A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2007323945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3031314A (ja) 端子保護装置付き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