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912A -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912A
KR20090022912A KR1020070088601A KR20070088601A KR20090022912A KR 20090022912 A KR20090022912 A KR 20090022912A KR 1020070088601 A KR1020070088601 A KR 1020070088601A KR 20070088601 A KR20070088601 A KR 20070088601A KR 20090022912 A KR20090022912 A KR 2009002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input
user
input unit
le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912A/ko
Priority to US12/105,383 priority patent/US20090058834A1/en
Publication of KR2009002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레터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방법이 개시된다. 본 입력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장치의 회전동작에 기초하여, 레터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 조작에 의존하지 않은 다른 방식의 조작을 통해 레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레터 입력의 다양화와 편리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휠, 마크, 레터

Description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input lette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터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이 리모콘에 마련된 버튼들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전자기기의 경우 사용자 명령은 버튼 조작을 통해 입력하여야 하는데, 버튼 조작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전자기기들은 다기능화 추세에 있어 제공하는 기능들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었는데, 하나의 버튼에는 하나의 기능이 배정되는 것이 일반적임을 고려한다면, 전자기기의 다기능화는 리모콘에 마련되는 버튼들의 개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IPTV 등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레터를 전송할 전송에 대한 전송필요성 및 전송기회도 증대되고, 이 경우 버튼식 리모콘의 버튼 조작에 의존해 레터를 입력하게 된다면, 이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조작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 조작에 의존하지 않은 다른 방식의 조작을 통해 레터를 입력하여, 레터 입력의 다양화와 편리화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다수번의 회전으로 나열형 구조의 언어에 대한 레터를 다수개 입력하고, 하나의 회전으로는 상기 레터를 하나 입력할 수 있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표시되는 레터들 중 어느 하나에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사용자 입력장치는, 상기 레터들이 나열되며, 상기 레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마크가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자 입력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에 인접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상기 레터들이 재나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자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를 포함하는 단어들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나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어들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로 시작되는 단어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색, 크기, 글자체, 밑줄, 음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와 선택되지 않은 레터들이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레터들 중 상기 마크가 중첩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에 인접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레터들이 재나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입력부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터들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상기 레터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사용자 입력장치는, 상기 나열된 레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 는 문장을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사용자 입력장치는, 상기 나열된 레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내의 다른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법은, 다수번의 회전으로 나열형 구조의 언어에 대한 레터를 다수개 입력하고, 하나의 회전으로는 상기 레터를 하나 입력할 수 있는 제1 입력수단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표시되는 레터들 중 어느 하나에 마크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입력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수단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레터들을 재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입력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수단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를 포함하는 단어들을 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어들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로 시작되는 단어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단계는, 색, 크기, 글자체, 밑줄, 음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와 선택되지 않은 레터들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입력방법은, 상기 제1 입력수단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나열된 레터들 중 상기 마크가 중첩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의 인접한 영역에 레터들을 재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입력방법은, 상기 제1 입력수단에 마련된 휠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터들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 입력수단의 회전방향과 상기 레터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입력방법은, 상기 나열된 레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는 문장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입력방법은, 상기 나열된 레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마크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된 레터들을 나열하여 완성된 단어 또는 문장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초성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모음들 중 어느 하나를 중성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3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종성으로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방향, 상기 제3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자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모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들이 나열되는 영역과 상기 모음들이 나열되는 영역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선택된 초성, 중성 및 종성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합한 레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 제2 입력부 및 제3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휠을 사용하여 상기 자음 또는 모음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입력부에 마련된 휠을 눌러서 입력된 레터는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레터이고, 상기 제3 입력부에 마련된 휠을 눌러서 입력된 레터는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초성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모음들 중 어느 하나를 중성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종성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방향, 상기 제3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자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모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입력방법은, 상기 자음들이 나열되는 영역과 상기 모음들이 나열되는 영역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선택된 초성, 중성 및 종성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합한 레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 제2 입력부 및 제3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휠을 사용하여 상기 자음 또는 모음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입력방법은, 상기 제2 입력부에 마련된 휠이 눌러지면,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레터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부에 마련된 휠을 눌러서 입력된 레터는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레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장치의 회전동작에 기초하여, 레터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 조작에 의존하지 않은 다른 방식의 조작을 통해 레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레터 입력의 다양화와 편리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전송부(150)를 구비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레터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1 휠(111), 제2 휠(113), 제3 휠(115), 모드 입력부(117) 및 전송 입력부(119)를 구비한다.
모드 입력부(117)는 레터입력을 위한 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모드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영어 입력모드 및 한글 입력모드 중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모드 입력부(117)를 조작하게 되면 영어 입력모드에서 한글 입력모드로 또는 한글 입력모드에서 영어 입력모드로 변경된다.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은 모드 입력부(117)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서 해당하는 레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가 각각의 휠을 회전시키면, 회전 동작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120)로 입력된다.
전송 입력부(119)는 모드 입력부(117)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서,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통해 입력된 레터들을 외부 영상기기(미도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송 입력부(119)를 누르게 되면, 전송 입력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120)로 출력되고, 제어부(120)는 모드 입력부(117),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이용하여 생성한 레터를 전송부(150)로 출력한다.
저장부(130)는 영어 입력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 나열되기 위한 레터, 한글 입력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 나열되기 위한 레터 및 영어 입력모드에서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되기 위한 영단어가 저장된다.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이용한 사용자의 레터 입력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레터들 및 단어들을 제1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레터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제어부(120)로 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레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1 디스플레이부(14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45)를 구비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의 입력에 따라 레터가 완성되는 과정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영어 입력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휠(111) 및 제2 휠(11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영문 레터를 나열하여 표시하고, 제3 휠(1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나열된 영문 레터들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나열하여 표시한다.
또한, 한글 입력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휠(111)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한글 레터의 자음을 나열하여 표시하고, 제2 휠(113)의 회전 동작에 따라 모음을 나열하여 표시하며, 제3 휠(1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자음을 나열하여 표시한다.
제2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의 입력 에 따라 완성된 레터 또는 단어를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영어 입력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휠(111) 및 제2 휠(11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영문 레터를 나열하여 표시하고, 제3 휠(1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나열된 영문 레터들로 시작되는 단어들을 나열하여 표시한다.
또한, 한글 입력모드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휠(111)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한글 레터의 자음을 나열하여 표시하고, 제2 휠(113)의 회전 동작에 따라 모음을 나열하여 표시하며, 제3 휠(1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자음을 나열하여 표시한다.
전송부(150)는 전송 입력부(119)에 의해 동작하게 되고,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의 입력에 따라 완성된 레터 또는 단어를 제어부(120)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영상기기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모드 입력부(117)를 이용하여 영어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41)에 영어 레터들이 수직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제어하고, 한글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제1 디스플레이부(141)에 자음열과 모음열이 나열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언어체계는 영어와 같이 레터들을 나열하여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는 나열형 구조의 언어와 한글과 같이 레터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글자를 생성하고 그 글자들을 나열하여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는 조합형 구조의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나열형 구조의 언어인 영어 입력모드에서의 제어부(120)의 동작을 먼저 설명하고, 조합형 구조의 언어인 한글 입력모드에서의 제어부(120)의 동작을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영어 입력모드에서, 제어부(120)는 제1 휠(111)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141)에 나열된 레터들 중 어느 하나에 마크가 중첩되도록 제어하고 제2 휠(113)의 회전 동작에 따라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레터 주변에 레터들이 다시 나열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2 휠(113)의 회전 동작에 따라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지 않고, 제1 휠(111)의 누름 동작에 따라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 휠(111)과 제2 휠(113)에 의한 과정이 반복되어 적어도 하나의 레터들이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제3 휠(1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선택된 레터들을 시작으로 하는 영단어들이 제1 디스플레이(141)에 나열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선택된 레터들이 선택되지 않은 레터와 비교하여 다른 색, 크기 또는 글자체 등을 가지거나 밑줄 또는 음영을 갖도록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제3 휠(1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나열된 영단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선택된 단어를 제2 디스플레이부(145)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레터 및 단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빠르게 회전시키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레터 및 단어들이 빠르게 회전되어 나열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천천히 회전시키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레터 및 단어들이 천천히 회전되어 나열되도록 제어한다.
한글 입력모드에서, 제어부(120)는 제1 휠의 회전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초성으로 선택하고, 제2 휠의 회전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모음들 중 어느 하나를 중성으로 선택하며, 제3 휠의 회전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종성으로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나열된 자음들과 나열된 모음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초성, 중성, 종성이 조합된 레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제2 휠(113)을 누르거나 제3 휠(115)을 눌러 조합된 레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레터를 제2 디스플레이부(145)로 전송한다.
한글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어부(120)는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레터 및 단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빠르게 회전시키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레터 및 단어들이 빠르게 회전되어 나열 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제1 휠(111), 제2 휠(113) 및 제3 휠(115)을 천천히 회전시키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레터 및 단어들이 천천히 회전되어 나열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20)는 영어 입력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10). 영어 입력모드라고 판단되면(S210-Y), 제어부(120)는 영어를 포함한 레터들을 제1 디스플레이(141)에 나열하며, 레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마크를 표시한다(S220).
이후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회전시킨 제1 휠(111)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나열된 레터들 중 어느 하나에 마크를 중첩하여 표시한다(S230).
어느 하나의 레터와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되고 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2 휠(113)이 회전되거나 제1 휠(111)이 눌러졌는지 판단한다(S240).
제2 휠(113)이 회전되거나 제1 휠(111)이 눌러졌으면(S240-Y),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레터의 인접영역에 레터들을 재나열한다(S250).
이후 제어부(120)는 제3 휠(115)이 회전되었는지 판단하고(S260),제3 휠이 회전되었으면, 선택된 레터들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제1 디스플레이(141)에 나열한다(S270).
그리고나서 제어부(120)는 제3 휠(115)의 회전동작을 기초로 나열된 단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S280).
S210단계에서, 영어입력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면(S210-N), 한글입력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15).
한글입력모드가 선택되었다면(S210-Y), 제어부(120)는 제1 휠(111)의 회전동작을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141) 상의 자음 중 하나를 초성으로 선택한다(S225).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2 휠(113)의 회전동작을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141) 상의 모음들 중 하나를 중성으로 선택하고 초성과 중성을 조합한 레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35).
여기서, 제어부(120)는 제2 휠(113)이 눌러졌는지 판단한 후(S245), 제2 휠(113)이 눌러졌으면 초성과 중성으로 조합된 레터를 입력하고(S255), 제2 휠(113)이 눌러지지 않았으면, 제3 휠(115)의 회전동작을 기초로 제1 디스플레이(141) 상의 자음들 중 하나를 종성으로 선택하여 초성, 중성, 종성이 조합한 레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265).
이후 제어부(120)는 제3 휠(115)이 눌러졌는지 판단하고(S275), 제3 휠(115)이 눌러졌으면(S275-Y) 초성, 중성, 종성으로 조합된 레터를 입력한다(S285).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문 입력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는 제1 휠(111), 제2 휠(113), 제3 휠(115), 음영 영역(300) 및 제1 디스플레이부(141)가 도시된다. 제1 디스플레이부(141)의 화면에는 영어 레터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제1 휠(111)과 제3 휠(115)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또한, 제2 휠(113)은 제1 휠(111) 및 제3 휠(115)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도 3a는 제1 휠(111)을 조작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모드 입력부(117)에 의해 영문 입력 모드로 설정된 뒤, 제1 휠(111)이 조작되는 순간, 화면상에는 영어 레터가 수직으로 배열된다. 영어 레터가 수직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1 휠(111)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원하는 영어 레터를 검색한다.
도 3b는 제1 휠(111)을 조작하여 음영 영역(300)에 위치시킨 영어 레터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영어 레터 'a'를 음영 영역(300)에 위치시킨 후 제2 휠(113)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음영 영역(300)에 위치한 영어 레터 'a'를 선택하게 된다.
도 3c는 제1 휠(111)과 제2 휠(113)을 각각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음 영어 레터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b와 같이 제2 휠(113)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이 시작되는 순간, 음영 영역(300)에 위치되었던 영어 레터 'a'가 선택되고, 영어 레터 'a'의 우측에는 다시 영어 레터의 열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영어 레터 'a'의 우측에 다시 영어 레터가 수직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1 휠(111)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원하는 영어 레터를 검색한다.
제1 휠(111)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면, 영어 레터의 열도 수직방향으로 회전 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영어 레터 'p'를 음영 영역(300)에 위치시켜 선택할 준비를 한다.
도 3d는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의 과정이 반복되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영어 레터가 선택된 후 제3 휠(115)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작이 시작되는 순간, 음영 영역(300)에 위치되었던 영어 레터 'app'가 선택되고, 영어 레터 'app'를 시작으로 하는 영단어의 열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영어 레터 'app'로 시작하는 단어들 중 제3 휠(1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영단어를 검색하고, 원하는 영단어 'apple'을 음영 영역(300)에 위치시켜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영어 레터가 선택된 이후에는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단어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145)에는 생성된 단어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전송입력부(119)를 눌러 생성된 단어를 외부 영상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제1 휠(111), 제2 휠(113), 제3 휠(115), 음영 영역(400) 및 제1 디스플레이부(141)가 도시된다. 제1 디스플레이부(141)의 화면에는 한글 자음이 수직으로 배열되고, 제1 휠(111)과 제3 휠(115)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또한, 제2 휠(113)은 제1 휠(111) 및 제3 휠(115)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 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도 4a는 제1 휠(111)을 조작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모드 입력부(117)에 의해 한글 입력 모드로 설정된 뒤, 제1 휠(111)이 조작되는 순간, 화면상에는 한글 자음이 수직으로 배열된다. 한글 자음이 수직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1 휠(111)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초성에 해당할 원하는 자음 'ㅎ'을 검색한다.
이 경우, 한글표기법상 초성에 올 수 없는 자음이 포함되도록 배열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여 한글표기법상 위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글자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초성에 올 수 있는 자음들만 배열되도록 설정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b는 제1 휠(111)을 조작하여 음영 영역(400)에 위치시킨 한글 자음을 선택하고, 제2 휠(113)을 조작하여 중성에 해당하는 한글 모음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이다.
제2 휠(113)이 조작되는 순간, 화면상에는 한글 모음이 수평으로 배열된다. 한글 모음이 수평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2 휠(113)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원하는 모음 'ㅏ'를 검색한다.
이 경우에도 한글표기법상 중성에 올 수 없는 모음이 포함되도록 배열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여 한글표기법상 위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글자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중성에 올 수 있는 모음들만 배열되도록 설정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종성이 없는 한글을 선택하기 원한다면, 제2 휠(113)을 눌러서 '하'라는 글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라는 글자를 배열시킨 후 선택하기 이전에, 다시 제1 휠(111)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다시 제1 휠(111)을 조작한다면, 제1 휠(111)이 조작되는 순간, 화면상에는 한글 자음이 수직으로 배열된다. 한글 모음이 수직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1 휠(111)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ㅎ'이외의 원하는 초성을 다시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배열된 모음 'ㅏ'는 화면상에 고정된 채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만 변경되어 중성 'ㅏ'와 조합된 화면이 표시된다.
원하는 초성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제2 휠(113) 또는 제3 휠(115)을 조작하여 한글 선택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도 4c는 제2 휠(113)을 조작하여 음영 영역(400)에 위치시킨 한글 모음을 선택하고, 제3 휠(115)을 조작하여 종성에 해당하는 한글 자음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이다.
제3 휠(115)이 조작되는 순간, 화면상에는 한글 자음이 수직으로 배열된다. 한글 모음이 수직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3 휠(115)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원하는 자음 'ㅁ'을 검색한다.
이 경우에도 한글표기법상 종성에 올 수 없는 자음이 포함되도록 배열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여 한글표기법상 불가능한 글자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종성에 올 수 있는 자음들만 배열되도록 설정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3 휠(115)을 누르게 되면, '함'이라는 글자가 선택되게 된다. 제3 휠(115)을 눌러 선택된 단어는 제2 디스플레이(145)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함'이라는 글자를 배열시킨 후에도 제3 휠(115)이 아닌 제2 휠(113)을 누르게 되면, '하'라는 글자가 선택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함'이라는 글자를 배열시킨 후 선택하기 이전에, 다시 제1 휠(111) 및 제2 휠(113)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다시 제1 휠(111)을 조작한다면, 제1 휠(111)이 조작되는 순간, 화면상에는 한글 자음이 수직으로 배열된다. 한글 모음이 수직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1 휠(111)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ㅎ'이외의 원하는 초성을 다시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배열된 중성 'ㅏ'와 종성 'ㅁ'은 화면상에 고정된 채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만 변경되어 모음 'ㅏ' 및 종성 'ㅁ'과 조합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원하는 초성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제2 휠(113) 또는 제3 휠(115)을 조작하여 한글 선택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제2 휠(113)을 조작한다면, 제2 휠(113)이 조작되는 순간, 화면상에는 한글 모음이 수평으로 배열된다. 한글 모음이 수평으로 배열되면, 사용자는 제2 휠(113)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동작에 따라 'ㅏ'이외의 원하는 중성을 다시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배열된 초성 'ㅎ'과 종성 'ㅁ'은 화면상에 고정된 채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만 변경되어 초성 'ㅎ' 및 종성 'ㅁ'과 조합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단, 이미 배열된 초성 'ㅎ'과 종성 'ㅁ'은 화면상에 고정된다는 의미는 초성 'ㅎ'과 종성 'ㅁ'이외의 다른 자음으로 변경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모음의 종류와 위치의 변화에 따라 초성과 종성의 모양 및 위치마저 변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원하는 중성을 선택한 후, 사용자는 제1 휠(111) 또는 제3 휠(115)을 조작하여 한글 선택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글자가 선택된 이후에는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단어를 생성할 수 있고,제2 디스플레이(145)에는 생성된 단어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전송입력부(119)를 눌러 생성된 단어를 외부 영상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영어 레터와 한글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 및 입력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영어 레터와 한글이 아닌 다른 레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레터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리모콘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리모콘이 아닌 휴대폰, PDA, PMP등 레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다른 입력장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영역을 달리하여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만 존재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또한, 입력하기 위한 레터들이 사용자 입력장치 내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외부 영상기기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사용자는 외부 영상기기에 표시되는 레터 입력 화면을 보며 사용자 입력장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최대 3개의 휠을 사용하여 레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4개 이상의 휠을 사용하여 레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나머지 휠들은 특수레터를 입력하는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 휠과 제3 휠은 수직방향으로 나열되고, 제2 휠은 수평방향으로 나열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제1 휠, 제2 휠 및 제3 휠은 다른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휠을 사용하여 회전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휠 뿐만 아니라 벨트 방식, 터치패드 방식 등 회전 조작이 가능한 다른 어떤 장치 또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한글 레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자음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검색하고 모음은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검색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상호 반대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휠 회전에 의해 영어 레터 또는 한글 레터를 선택하 여 영어 단어 또는 한글 단어를 입력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영어 레터 또는 한글 레터가 아닌 특수레터 등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단어가 아닌 레터 자체 또는 문장을 입력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장치(100)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문 입력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전송부

Claims (33)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다수번의 회전으로 나열형 구조의 언어에 대한 레터를 다수개 입력하고, 하나의 회전으로는 상기 레터를 하나 입력할 수 있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표시되는 레터들 중 어느 하나에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들이 나열되며, 상기 레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마크가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에 인접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상기 레터들이 재나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를 포함하는 단어들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나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들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로 시작되는 단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색, 크기, 글자체, 밑줄, 음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와 선택되지 않은 레터들이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레터들 중 상기 마크가 중첩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에 인접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영역에 레터들이 재나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들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방향과 상기 레터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된 레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는 문장을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된 레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내의 다른 영역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13. 다수번의 회전으로 나열형 구조의 언어에 대한 레터를 다수개 입력하고, 하나의 회전으로는 상기 레터를 하나 입력할 수 있는 제1 입력수단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수단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표시되는 레터들 중 어느 하나에 마크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수단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마크가 중첩되어 표시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레터들을 재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수단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를 포함하는 단어들을 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들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로 시작되는 단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색, 크기, 글자체, 밑줄, 음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와 선택되지 않은 레터들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수단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나열된 레터들 중 상기 마크가 중첩된 레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레터의 인접한 영역에 레터들을 재나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수단에 마련된 휠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레터들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 입력수단의 회전방향과 상기 레터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된 레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는 문장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된 레터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마크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된 레터들을 나열하여 완성된 단어 또는 문장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24.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초성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모음들 중 어느 하나를 중성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3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종성으로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방향, 상기 제3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자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모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음들이 나열되는 영역과 상기 모음들이 나열되는 영역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선택된 초성, 중성 및 종성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합한 레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 제2 입력부 및 제3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휠을 사용하여 상기 자음 또는 모음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에 마련된 휠을 눌러서 입력된 레터는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레터이고,
    상기 제3 입력부에 마련된 휠을 눌러서 입력된 레터는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29.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초성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모음들 중 어느 하나를 중성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제3 입력부의 회전 동작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나열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종성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방법.
  30.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의 회전 방향, 상기 제3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자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회전 방향 및 상기 모음들의 나열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들이 나열되는 영역과 상기 모음들이 나열되는 영역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선택된 초성, 중성 및 종성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합한 레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 제2 입력부 및 제3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휠을 사용하여 상기 자음 또는 모음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에 마련된 휠이 눌러지면,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레터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입력부에 마련된 휠을 눌러서 입력된 레터는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레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방법.
KR1020070088601A 2007-08-31 2007-08-31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90022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01A KR20090022912A (ko) 2007-08-31 2007-08-31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
US12/105,383 US20090058834A1 (en) 2007-08-31 2008-04-18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01A KR20090022912A (ko) 2007-08-31 2007-08-31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12A true KR20090022912A (ko) 2009-03-04

Family

ID=4040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601A KR20090022912A (ko) 2007-08-31 2007-08-31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58834A1 (ko)
KR (1) KR20090022912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197B1 (en) * 1996-11-26 2003-10-21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effects for control, knobs and other interface devices
JPH10163953A (ja) * 1996-11-29 1998-06-19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カーソル移動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携帯電話装置
US6011542A (en) * 1998-02-13 2000-01-04 Sony Corporation Graphical text entry wheel
JP2001331251A (ja) * 2000-05-24 2001-11-30 Alps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US6744427B2 (en) * 2001-03-01 2004-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aracter input interface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s
JP2003280796A (ja) * 2002-03-26 2003-10-02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入力装置
TWM257497U (en) * 2004-05-19 2005-02-21 Lite On Technology Corp Use roller of cell phone inpu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58834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16312A (ja) 文字入力装置
US200602185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nipulation of graphic images to form a graphic image
CN102063187A (zh) 一种终端输入方法
CN104066012A (zh) 一种智能电视输入汉字的方法及装置
EP2439614B1 (en) Frequency converter with text editor
KR20090065007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방법
CN103425430A (zh) 在移动终端中支持单手输入文字的方法和设备
KR20090131423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1439057B1 (ko)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90022912A (ko) 레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방법
KR20130037484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EP3084566A1 (en) Typ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KR20160070515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30673B1 (ko) 문자 표시 방법 및 문자 표시 장치
KR101252743B1 (ko) 한 손으로 문자입력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 장치
KR100912736B1 (ko) 텃치 폰의 문자입력 장치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
KR101328554B1 (ko)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100473946B1 (ko) 입력도움창을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01202835B1 (ko) 문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0473831B1 (ko) 문자코드 입력장치 및 방법
CN103593057A (zh) 具有输入控制程序的电子设备
JPH06214978A (ja) 同音語表示選択方式
KR101158361B1 (ko) 단말기 및 그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06408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입력 방법
KR201600638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