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057B1 -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057B1
KR101439057B1 KR1020130121830A KR20130121830A KR101439057B1 KR 101439057 B1 KR101439057 B1 KR 101439057B1 KR 1020130121830 A KR1020130121830 A KR 1020130121830A KR 20130121830 A KR20130121830 A KR 20130121830A KR 101439057 B1 KR101439057 B1 KR 10143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jog dial
keypad
input
charact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사와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12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쉽게 문자를 선택, 입력할 수 있고, 문자 배열을 위한 화면 공간의 축소가 가능하며,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직관적인 문자 이동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에게 친화성이 높은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문자 입력의 효율성 향상, 문자 입력 시간의 단축, 입력 방법의 단기간 습득이 가능한 개선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System for inputting text using jog dial}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자 정보 시스템에서 조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는 편안한 자동차(Comfortable Car), 편리한 자동차(Convenience Car)로의 진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의 진화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전달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복잡성과 다양한 운행패턴으로 인해 운전자는 운전 중 더 많은 기기를 조작하게 되었고, 더불어 자동차 내/외부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정보의 종류도 음성, 데이터, 영상, 그래픽 등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운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은 운전자 정보 시스템(DIS:Driver's Information System), 텔레매틱스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운전자에게 운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의 AVN 시스템, 운전자 정보 시스템(이하, 'DIS'라 칭함) 등은 운전자로부터 한글,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기호 등)와 같은 문자들을 입력받기 위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구비하고 있다.
즉, 차량에서 운전자가 AVN 시스템, DIS 등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입력장치로서 상기 HMI를 통하여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다양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들로 차량의 입력장치를 구성할 경우 입력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커지게 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경우,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많은 수의 문자들을 표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손으로 작은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것이 쉽지 않아(입력 오류가 많음) 만약 운전 중 사용할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조그 다이얼(Jog Dial)을 이용하여 한글,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등의 다양한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최근 AVN 시스템이나 DIS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간소화할 목적으로 기존의 버튼들을 조그 다이얼로 대체하고 있으며, 조그 다이얼은 틸트(Tilt)조작이 가능한 조이스틱(Joystic)과, 회전(Rotation)조작이 가능한 다이얼(Dial), 누름(Push)조작이 가능한 버튼(Button)이 복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특히 한글의 경우 자음과 모음을 한 화면에 표시한 뒤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화면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고, 문자 입력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과 관련하여 선행문헌으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018636호(2012.03.05), 공개특허 제10-2010-0044008호(2010.04.29), 등록특허 제10-0946460호(2010.03.02), 공개특허 제10-2009-0065340호(2009.06.22), 등록특허 제10-1198675호(2012.11.01)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공지된 문자 입력 방식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들을 원형으로 나열하고 조그 다이얼의 회전조작과 누름조작만으로 문자들을 선택하도록 한 방식이거나, 이에 더하여 부가 기능의 선택을 위해 일부 틸트조작의 사용을 추가한 방식, 또는 그 밖의 각자 정해진 복잡한 방식에 의해 자모음, 쌍자음, 기본모음, 획이 추가된 모음 등으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선택하도록 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문자 입력 방식의 경우, 많은 문자들을 표시 화면상에 나열해야 하므로 화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거나, 각자 정해진 입력 방식이 이용되므로 사용자가 문자 입력에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노력과 훈련, 시간이 필요하고, 특히 입력 방식이 복잡하여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일례로, 도 1의 (a)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차량 단말기의 표시장치(30)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고, (b)는 조그 다이얼(10)을 포함한 입력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같이 많은 문자들을 배열하여 표시한 뒤 사용자가 조그 다이얼(10)의 조작으로 문자를 선택하도록 한 방식은 입력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조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쉽게 문자를 선택, 입력할 수 있는 차량 내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 배열을 위한 화면 공간의 축소가 가능하고,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직관적인 문자 이동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에게 친화성이 높은 문자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문자 입력의 효율성 향상, 문자 입력 시간의 단축, 입력 방법의 단기간 습득이 가능한 개선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틸트조작, 회전조작 및 누름조작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 상기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문자 및 확정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단수 또는 복수의 문자가 각각 배정된 문자키들이 복수의 횡과 열로 배열되어 있는 키패드를 표시하면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상기 확정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틸트조작시의 입력신호에 따라 키패드상의 문자키를 선택하고 상기 회전조작시의 입력신호에 따라 현재 선택된 문자키에 배정된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누름조작시의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문자의 입력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그 다이얼은 상하좌우의 4개 방향과 상기 상하좌우 사이의 4개 경사방향으로 틸트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키패드의 문자키 배열에서 조그 다이얼의 틸트조작시마다 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한 칸씩의 문자키를 이동시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문자키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다이얼의 회전조작시마다 상기 선택된 문자키의 정해진 문자 순서대로 문자를 변경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 화면상에서 상기 선택된 문자키를 사용자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분하여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는 문자키들이 천지인 입력 방식 또는 나랏글 입력 방식의 자판 배열 형태로 배열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은 키패드를 표시하는 키패드 표시 영역과, 조그 다이얼의 조작상태에 따라 선택된 문자 및 확정 입력이 결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조그 다이얼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조작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차량의 안전운행과 상품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그 다이얼의 회전, 틸트, 누름 조작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문자 배열을 위한 화면 공간의 축소가 가능하고,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직관적인 문자 이동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에게 친화성이 높은 문자 입력 방식을 적용하므로 문자 입력의 효율성 향상, 문자 입력 시간의 단축, 입력 방법의 단기간 습득이 가능한 개선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서 조그 다이얼의 조작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표시부의 문자 입력용 키패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알파벳 키패드와 한글 키패드의 각 문자키마다 조그 다이얼의 조작방향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에서 조그 다이얼의 조작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표시부의 문자 입력용 키패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장치인 조그 다이얼(10)과, 상기 조그 다이얼(10)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20)와, 선택될 수 있는 문자들이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있는 키패드 화면을 표시하면서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10)은 운전자나 승객 등의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사용하게 되는 입력장치로서, 틸트조작이 가능한 조이스틱, 회전조작이 가능한 회전 다이얼, 누름조작이 가능한 버튼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 콘솔 패널(Center Console Panel) 등에 별도 기능의 다른 버튼들과 함께 장착될 수 있다.
문자 입력시 사용자는 조그 다이얼(10)을 틸트조작, 회전조작 및 누름조작 중 어느 하나의 조작 또는 그것의 연속된 조작을 수행하게 되며, 틸트조작의 경우 상하좌우의 4개 방향과, 상기 상하좌우 사이의 4개 경사방향을 포함하여 총 8개 방향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즉, 문자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총 8개 방향 중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조그 다이얼(10)을 틸트조작을 하게 되면, 그에 따른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로서 제어부(20)에 입력된다.
물론, 회전조작 및 누름조작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조그 다이얼(10)은 차량의 AVN 시스템이나 DIS의 HMI(입력장치)에 이미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구성(조작이 이루어지는 기구적인 구성 및 조작에 따라 신호 출력이 이루어지는 구성 등)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적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조그 다이얼(10)을 이용한 틸트조작은 후술하는 표시부(30)의 키패드 화면에서 문자키를 이동시킬 때 수행하는 조작으로, 이전 조작에 의해 이동되거나 선택된 키패드 화면상의 현재 문자키에서 이동하여 상/하/좌/우에 위치된 문자키를 선택하고자 할 때, 또는 경사방향으로 위치된 문자키를 선택하고자 할 때 수행하는 조작이다.
즉, 조그 다이얼(10)을 상측으로 조작할 경우 현재 선택되어 있는 키패드 화면의 문자키에서 그 상측에 위치된 문자키로, 하측으로 조작할 경우 하측에 위치한 문자키로 이동이 가능하고, 좌측으로 조작할 경우 좌측의 문자키로, 우측으로 조작할 경우 우측의 문자키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조그 다이얼(10)을 4개의 경사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할 경우에는 조작과 동일한 경사방향으로 위치된 문자키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1회의 틸트조작시마다 한 칸씩의 문자키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회전조작은 표시부(30)의 키패드 화면 내 문자키마다 복수의 문자들이 배정되어 표시되어 있을 때 해당 문자키에 배정된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수행하는 조작이며, 누름조작은 틸트조작 또는 회전조작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최종 확정 입력하기 위해 수행하는 조작이다.
다음으로, 표시부(3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표시부는 문자 선택 및 입력을 위한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차량 내 표시장치(예를 들면, AVN 시스템, DIS, 텔레매틱스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표시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의 표시 화면은 선택될 수 있는 문자들이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의 키패드 화면이 표시되는 키패드 표시 영역과, 문자 입력 과정에서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문자들이 표시되는 문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키패드는 한글,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기호 등)들이 미리 정해진 방식에 의해 배정되어 있는 복수의 문자키들이 조합된 키패드를 말하는 것으로, 키패드 화면의 문자키들은 n×m의 형태(여기서, n과 m은 횡과 열의 개수임, n, m ≥ 2이면서 n = m이거나 n ≠ m일 수 있음)로 배열되어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키패드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키패드 화면은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미 적용되고 있는 키패드 형태가 될 수 있는바, 그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문자키들이 조합된 알파벳 키패드(a)와 한글 키패드(b)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천지인 입력 방식의 키패드가 예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나랏글 입력 방식이 적용된 키패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문자들이 배정된 문자키들을 횡과 열로 배열한 키패드 화면을 표시부(30)에 표시하면서 조그 다이얼(10)의 틸트, 회전, 누름조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키패드 화면상의 특정 문자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다.
상기한 키패드는 표시 화면의 작은 공간을 점유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에서 이미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므로(사용자 친화성이 높음) 별도의 숙련 과정없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문자 입력 시간의 단축 및 사용성 향상, 문자 입력 편의성 및 효율성 향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조그 다이얼(10)로부터 틸트조작, 회전조작, 누름조작에 따른 각 신호(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구성부로서, 조그 다이얼(10)의 조작에 따른 신호, 즉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그 처리 결과가 표시부(3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키패드 표시 영역의 키패드 화면을 보면서 조그 다이얼(10)을 조작하는 동안 제어부(2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된 문자가 표시부(30)에 표시되도록 하는데, 조그 다이얼(10)의 조작에 의해 이동된 현 위치의 문자키가 키패드 화면상에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동시에(사용자가 조작된 현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조작된 현 위치의 문자키에 상응하는 선택된 문자 또는 누름조작에 의해 확정된 문자가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해준다.
물론, 표시부(30)가 키패드 화면에서 선택된 문자키를 사용자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자키의 색을 변경시키는 방법 외에, 문자키 내 문자의 글자체 변경 또는 문자 크기 변경 등과 같이 선택된 문자키를 식별할 수 있는 그래픽 처리 방식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해 문자가 입력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문자 입력 모드에서는 표시부(30)가 키패드 표시 영역을 통해 도 4와 같은 문자 입력용 키패드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 입력을 위해 키패드 표시 영역의 키패드 화면을 보면서 조그 다이얼(10)을 조작하며, 키패드 화면상의 선택된 문자키를 조그 다이얼(10)의 틸트조작을 통해 한 칸씩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목표로 하는 문자키, 즉 원하는 문자 입력을 위해 지정된 문자키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키패드 화면에서 현재 선택된 문자키는 다른 문자키와 다른 색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조작된 위치(선택된 문자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단, 키패드 화면이 표시된 후 최초 입력 전에는 미리 정해진 문자키가 선택되어 표시되며, 그 이후 조그 다이얼(10)을 틸트조작함에 따라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문자키로부터 한 칸씩 선택된 문자키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는 문자키는 키패드 화면에서 중앙에 위치되는 문자키로 설정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도 4의 알파벳 키패드에서 'jkl5' 문자키, 한글 키패드에서 'ㄴㄹ5' 문자키가 디폴트 값의 문자키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배정된 문자키를 목표로 하여 조그 다이얼(10)의 틸트조작을 수행하되, 목표로 하는 문자키로 이동하고 나면, 선택된 문자키에 배정된 복수의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조그 다이얼(10)을 회전조작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틸트조작과 회전조작에 의해 선택된 문자키의 문자는 문자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고, 문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다이얼(10)을 누름조작할 경우 선택된 문자가 최종 확정 입력된다.
이와 같은 문자 입력 방법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알파벳 키패드와 한글 키패드(천지인 입력 방식 적용)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알파벳 키패드와 한글 키패드에서 각 문자키마다 조그 다이얼의 조작방향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문자 'r'의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문자 'r'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디폴트 값으로 문자키 'jkl5'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문자 'r'이 배정된 문자키 'pqrs7'이 선택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 방향의 틸트조작(1회), 시계방향의 회전조작(2회), 누름조작(1회)을 연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즉, ↙ 방향의 틸트조작에 의해 문자키 'jkl5'에서 목표 키인 문자키 'pqrs7'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때 키패드 표시 영역에서는 'pqrs7' 문자키의 색이 변경되면서 이 'pqrs7' 문자키가 현재 선택된 문자키임을 표시하게 된다.
또는 틸트조작 직후에 'pqrs7' 문자키에 배정된 문자 중 첫번째 문자인 'p'가 문자 표시 영역에 우선 표시되도록 한다.
이어 같은 문자키 내에 배정되어 있는 문자들 중 'p'에서 'r'로의 이동을 위해 두 번의 회전조작을 하게 되고, 'r'이 선택되어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다이얼을 누름조작하게 되면 'r'의 입력이 완료된다.
도 7과 도 8은 이메일 주소 'Equus1@hyundai.com'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폴트 문자키인 'jkl5'에서 ↗ 방향의 틸트조작(문자키 이동), 시계방향의 회전조작(문자 이동), 누름조작(확정 입력)을 통해 'def3' 문자키의 'e'가 확정 입력될 수 있고, 이어 선택된 'def3' 문자키에서 ↙ 방향의 틸트조작 2회, 시계방향의 회전조작 1회, 누름조작을 통해 'pqrs7' 문자키의 'q'가 확정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pqrs7' 문자키에서 → 방향의 틸트조작(1회), 시계방향의 회전조작(1회), 누름조작(1회)을 통해 'tuv' 문자키의 'u'가 확정 입력될 수 있고, 이어 'u'가 선택된 상태에서 누름조작을 한 번 더해주게 되면 'u'가 한번 더 입력될 수 있다.
이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tuv8' 문자키가 선택된 상태에서 ← 방향의 틸트조작(1회), 시계방향의 회전조작(3회), 누름조작을 통해 'pqrs7' 문자키 내 문자 's'를 입력하고, 'pqrs7' 문자키가 선택된 상태에서 ↑ 방향의 틸트조작 2회, 시계방향의 회전조작 3회, 누름조작을 통해 './@1' 문자키 중 '1'이 입력될 수 있다.
이어 반시계방향의 회전조작 1회, 누름조작을 통해 '@'이 입력될 수 있고, 그 이후 나머지 문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각 문자를 선택, 확정하여 입력하면 된다.
도 9는 한글 입력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천지인 입력 방식의 예로 '현' 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자음의 경우 알파벳 입력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문자키 이동, 문자키 내 문자 선택의 과정을 통해 원하는 자음을 입력하게 된다.
또한 천지인 방식의 예에서 모음의 경우 기본모음 'ㅏ'는 'ㅣ'와 'ㆍ'의 순으로 선택 조작하여 입력하고, 'ㅓ'는 'ㆍ'와 'ㅣ'의 순으로, 'ㅗ'는 'ㆍ'와 'ㅡ'의 순으로, 'ㅜ'는 'ㅡ'와 'ㆍ'의 순으로 선택 조작하여 입력하면 된다.
또한 기본모음에 획이 추가된 모음 'ㅑ', 'ㅕ', 'ㅛ', 'ㅠ'는 'ㅣ', 'ㅡ'의 선택 전후에 'ㆍ'를 두번 연속해서 선택 조작해주면 되고, 'ㅐ', 'ㅔ'는 각각 기본모음 'ㅏ', 'ㅓ'의 선택 조작 후 'ㅣ'를 한번 더 선택 조작해주면 된다.
또한 'ㅒ', 'ㅖ'의 경우 'ㅑ', ㅕ'의 선택 조작 후에 'ㅣ'를 한번 더 선택 조작해주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조그 다이얼
20 : 제어부
30 : 표시부

Claims (6)

  1. 틸트조작, 회전조작 및 누름조작이 가능한 조그 다이얼;
    상기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조그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문자 및 확정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단수 또는 복수의 문자가 각각 배정된 문자키들이 복수의 횡과 열로 배열되어 있는 키패드를 표시하면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상기 확정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틸트조작시의 입력신호에 따라 키패드상의 문자키를 선택하고 상기 회전조작시의 입력신호에 따라 현재 선택된 문자키에 배정된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누름조작시의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된 문자의 입력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그 다이얼은 상하좌우의 4개 방향과 상기 상하좌우 사이의 4개 경사방향으로 틸트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키패드의 문자키 배열에서 조그 다이얼의 틸트조작시마다 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한 칸씩의 문자키를 이동시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자키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다이얼의 회전조작시마다 상기 선택된 문자키의 정해진 문자 순서대로 문자를 변경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키패드 화면상에서 상기 선택된 문자키를 사용자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분하여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문자키들이 천지인 입력 방식 또는 나랏글 입력 방식의 자판 배열 형태로 배열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은 키패드를 표시하는 키패드 표시 영역과, 조그 다이얼의 조작상태에 따라 선택된 문자 및 확정 입력이 결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1020130121830A 2013-10-14 2013-10-14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10143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830A KR101439057B1 (ko) 2013-10-14 2013-10-14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830A KR101439057B1 (ko) 2013-10-14 2013-10-14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057B1 true KR101439057B1 (ko) 2014-09-05

Family

ID=5175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830A KR101439057B1 (ko) 2013-10-14 2013-10-14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0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001A (ko) * 2014-09-17 2016-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43461A (ko) * 2016-10-20 2018-04-30 정영일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
WO2020141790A1 (ko) * 2019-01-02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725A (ko) * 1997-09-06 1999-04-06 정선종 단속신호 발생장치를 이용한 글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9878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8방향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차량에서의 한글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725A (ko) * 1997-09-06 1999-04-06 정선종 단속신호 발생장치를 이용한 글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9878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8방향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차량에서의 한글 입력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001A (ko) * 2014-09-17 2016-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00714B1 (ko) * 2014-09-17 2017-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120564B2 (en) 2014-09-17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User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43461A (ko) * 2016-10-20 2018-04-30 정영일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
KR101878565B1 (ko) * 2016-10-20 2018-07-13 정영일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
WO2020141790A1 (ko) * 2019-01-02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1656B2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JP200206296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099379A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WO2014148358A1 (ja) 情報端末、操作領域制御方法及び操作領域制御プログラム
KR101439057B1 (ko) 조그 다이얼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DK2439614T3 (en) Frequency converter with text editor
KR20090131423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080033739A (ko) 차량용 정보기기의 문자입력 시스템
JP5954156B2 (ja) 車載情報処理装置
JP2008503376A (ja) 車両用の制御システム
KR100488971B1 (ko) 텔레메틱스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347903B2 (ja) 入力制御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JP5728957B2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0271375B1 (ko)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KR20120018636A (ko) Avn 시스템의 입력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4650B1 (ko) 차량 운전자 정보시스템의 조그다이얼을 활용한문자입력방법
JP5728958B2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1113477B1 (ko) 텔레매틱스의 키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8120B1 (ko)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0420B1 (ko) 차량용 입력 장치
KR100607357B1 (ko) 텔레매틱스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JP3742351B2 (ja) 携帯用通信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EP1821178A1 (en) Vehicle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into an on-board vehicle system using said interface
CN115803214A (zh) 显示区域的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