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85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854A
KR20090022854A KR1020070088504A KR20070088504A KR20090022854A KR 20090022854 A KR20090022854 A KR 20090022854A KR 1020070088504 A KR1020070088504 A KR 1020070088504A KR 20070088504 A KR20070088504 A KR 20070088504A KR 20090022854 A KR20090022854 A KR 20090022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collecting
air
filt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312B1 (ko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312B1/ko
Priority to EP07860674.6A priority patent/EP2181293B1/en
Priority to ES07860674.6T priority patent/ES2595305T3/es
Priority to PCT/KR2007/006855 priority patent/WO2009028767A2/en
Priority to CN200780100252A priority patent/CN101779084A/zh
Publication of KR20090022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전방에 결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집진 통 착탈부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는 흡입 기구와; 상기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상기 흡입 기구와 착탈되는 집진 통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전방을 개폐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여, 프론트 패널을 닫은 상태일 때 집진 통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이 향상되고, 프론트 패널을 연 상태일 때 집진 통이 외부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집진 통의 착탈 및 청소가 손 쉬운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본체, 필터, 흡입 기구, 흡입구, 공기 배출구, 집진 통, 격벽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론트 프레임에 집진 통이 출입되는 집진 통 착탈부가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을 열어 집진 통을 착탈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여러 종류의 정화 유닛이 설치되고, 특히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실내를 정화되게 하고,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는 이물질이 많이 있을 경우, 공기의 흡입 능력을 저하시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나, 청소나 교체 작업시 사용자 등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고, 필터가 장시간 청소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경우도 있 으므로, 필터 청소 장치를 공기조화기에 설치하여 필터 청소 장치 자체가 필터를 청소할 경우 공기조화기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는 띠 형상의 에어 필터를 실내기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한 조출/권취용 축 사이에 걸쳐 흡입부에 이면으로부터 임하도록 걸치고, 한쪽축을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에어 필터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이 에어 필터의 하둔부 근방에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하는 청소용 브러쉬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청소용 브러쉬의 하방에 청소용 브러쉬에 의해 긁혀 떨어진 먼지를 회수하는 더스트 박스(dust box)를 설치한 에어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99479호에 개시된 에어 필터 장치는, 에어 필터가 조출축과 권취용 축을 따라 회전되므로, 에어 필터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컴팩트화되지 못하고, 에어 필터가 조출축을 따라 돌면서 에어 필터에 있던 이물이 더스트 박스 이외로 낙하될 수 있어 오히려 지저분해 질 수 있으며, 더스트 박스가 공기조화기의 내측 위치에 좌,우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면이 개방되고, 청소용 브러시와 권취용 축이 더스트 박스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므로, 더스트 박스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 방향으로 직접 취출하기 곤란하고, 더스트 박스의 청소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10-073666호에는 흡입 노즐에 의해 흡입된 진애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장치와, 한쪽이 흡입 덕트에 연결되고 흡인된 공기 유로의 하류측에 진애를 집진할 수 있는 필터가 형성되며, 필터의 하방에 착탈가능하며 진애를 축적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10-073666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는, 장시간 사용시 집진장치의 필터에 진애가 부착되어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집진 장치 내부를 청소를 위해서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집진 통의 착탈 및 청소 작업이 손쉽고 전면의 외관이 미려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론트 패널을 열었을 때 집진 통 내부의 이물질 유무나 이물질의 양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집진 통의 불필요한 착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기구의 배치를 최적화하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섀시와; 상기 섀시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에 집진 통 착 탈부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는 흡입 기구와; 상기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상기 흡입 기구와 착탈되는 집진 통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전방을 개폐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집진 통은 전부 혹은 전면부가 투명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하측에 상기 집진 통이 올려지는 지지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 통은 전면부에 손잡이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전면부 중 상기 프론트 패널에 가려지는 위치에 상기 집진 통 착탈부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전면과 상면에 상기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집진 통 착탈부가 상기 개구부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 개구부 전방과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전방을 함께 개폐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상면 개구부에 형성되는 흡입 그릴을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 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와 연결 호스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의 토출부와 착탈된다.
상기 집진 통 착탈부는 상기 집진 통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덕트 형상의 개구 부이다.
상기 집진 통 착탈부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후판부에 상기 집진 통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 기구에 형성된 토출부 중 어느 하나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의 옆 위치에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전장부가 형성된 섀시와; 상기 섀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에 상기 유로 가이드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장부의 전방에 집진 통 착탈부가 상기 개구부와 이격되게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유로 가이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 유닛과; 상기 유로 가이드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 기구와; 상기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상기 흡입기구와 착탈되는 집진 통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 개구부 전방과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전방을 함께 개폐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전장부에 설치되는 흡입력 발생 유닛과; 상기 흡입 덕트와 흡입력 발생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과 착탈된다.
상기 흡입 덕트는 일부가 상기 전장부의 전방에 위치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장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 연결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 호스 연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 유로부의 옆 위치에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전장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송풍 유로부에 배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 안내되도록 배치된 흡입 안내 기구와; 상기 전장부에 설치된 흡입력 발생 유닛과;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에 연통되도록 상기 전장부에 배치되는 집진 통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흡입 안내 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송풍 유로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게 접속되도록 배치된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와 흡입력 발생 유닛을 연통시키도록 연결된 연결 호스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집진 통이 프론트 프레임에 형성된 집진통 출입구를 통해 착탈되고, 프론트 패널이 집진통 출입구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을 닫은 상태일 때 집진 통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이 향상되고, 프론트 패널을 연 상태일 때 집진 통이 외부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집진 통의 착탈 및 청소가 손 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 패널을 열었을 때 집진 통의 내부가 보여 집진 통에 담겨진 이물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집진 통의 불필요한 착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집진 통의 전면부에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어, 집진 통을 잡은 상태에서 집진 통을 착탈 할 수 있으므로, 집진 통의 착탈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과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이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 개구부 전방을 함께 개폐하여, 전면 개구부의 전방과 집진 통 착탈부 전방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각각 개폐될 경우 보다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이 미려하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력 발생 유닛이 전장부에 설치되고 집진 통의 장착시 집진 통이 전장부의 전방 위치에 위치되게 되므로, 흡입력 발생 유닛과 전장부의 설치 위치가 최적화되고,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개방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 통을 전방으로 인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을 분리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일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 로부와,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4)가 송풍 유로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6)가 송풍 유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한 후 하부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등에 적용 가능하고, 이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섀시(10)와, 프론트 프레임(20)과, 흡입 그릴(21)과, 프론트 패널(26)과, 토출 유닛(30)을 포함한다.
섀시(10)는 벽에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로가 형성되며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일종의 케이스이다.
섀시(10)는 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설치판(11)이 벽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섀시(10)가 설치판(11)에 후크 등으로 걸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섀시(10)에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를 공기 토출구(6)로 안내되는 유로 가이드(1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유로 가이드(12)의 좌,우 중 일측 옆에 후술하는 컨트롤 박스(70) 등의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13)가 형성되며, 이하 전장부(13)가 유로 가이드(12)의 우측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섀시(10)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12)는 후술하는 팬(54)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섀시(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가이드(15)(16)와, 좌,우 가이드(15)(16) 사이의 중앙 가이드(17)를 포함한다.
섀시(10)에는 후술하는 열교환기(6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우 가이드(15)(16) 중 하나(16)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열교환기(60)를 지지하는 가이드/서포터의 기능을 하고, 열교환기 서포터(18)가 좌,우 가이드(15)(16) 중 다른 하나(15)에 결합된다.
한편, 섀시(10)는 전장부(13)에 후술하는 팬모터(52)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모터 설치부(14a)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술하는 청소기구의 청소 팬 하우징(184)(185)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하우징 설치부(14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섀시(10)와 함께 송풍 유로부를 형성하고, 섀시(10)에 형성된 전장부(13)를 보호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상면과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면 개구부가 공기 흡입구(4)로 작용하고, 전면 개구부(5)가 공기 흡입 통로로 작용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2) 전방에 전면 개구부(5)가 전후 개구 형성되고,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2) 전방 상측에 상면 개구부가 상하 개구 형성된다.
흡입 그릴(21)은 프론트 프레임(20)의 상면 개구부에 형성된다.
한편, 프론트 프레임(20)은 전면부 특히, 섀시(10)의 전장부(13) 전방 부분에 청소기구의 후술하는 집진 통(190)이 착탈되는 집진 통 착탈부(24)가 형성된다.
즉, 집진 통 착탈부(24)는 전면 개구부(5)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집진 통 착탈부(24)는 전체적으로 집진 통(190) 보다 크고 내부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집진 통(190)의 착탈시 그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집진 통 착탈부(24)는 집진 통(190)이 통과하는 개구부이면서 집진 통(190)의 착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로 기능한다.
한편, 프론트 프레임(20)에는 집진 통 착탈부(24)의 하측에 집진 통(190)이 올려져 지지되는 지지 리브(25)가 형성된다.
지지 리브(25)는 집진 통(19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집진 통(19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여 집진 통(19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선단이 집진 통 착탈부(24)의 선단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고, 후단이 집진 통 착탈부(24)의 후단 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다.
지지 리브(25)는 집진 통 착탈부(24)의 저판부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집진 통 착탈부(24)의 하판부와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 리브(25)는 그 좌,우 양단이 집진 통 착탈부(24)의 하판부와 이격되어, 집진 통(190)의 착탈시 일부가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패널(26)은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 전방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전면 개구부(5) 뿐만 아니라 집진 통 착탈부(24)를 함께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다.
즉, 프론트 프레임(20)은 집진 통 착탈부(24)가 프론트 패널(26)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26)은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길이가 전면 개구부(5)의 좌측단에서부터 집진 통 착탈부(24)의 우측단까지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높이가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 개구부 높이 및 집진 통 착탈부(24)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프론트 패널(26)은 전체적으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가 프론트 프레임(20)의 상부에 힌지 연결된다.
프론트 프레임(20)과 프론트 패널(26)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힌지축이 형성되고, 프론트 프레임(20)과 프론트 패널(26) 중 다른 하나의 상부 양측에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 연결부가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본체(2)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것으로서, 섀시(10)와 프론트 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부재 등의 체결수단이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조립된다.
토출 유닛(3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후술하는 열교환기(60)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부(32)가 형성되고, 드레인부(32)에는 응축수를 본체(2)의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 연결 호스(33)가 연결되며, 드레인부(32)의 하부에 공기 토출구(6)가 개구 형성된다.
토출 유닛(30)은 드레인부(32)의 좌,우 양측에서 좌,우 측면부가 하향 돌출되어 섀시(10)의 유로 가이드(15)(16)(17) 하부와의 사이에 공기 토출구(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드레인부(32)의 좌,우 양측에서 좌,우 측면부가 하향 돌출됨과 아울러 좌,우 측면부의 하단을 잇는 하부 수평부가 형성되어 드레인부(32)와 좌,우 측면부와 하부 수평부 사이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토출 유닛(30)에는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함과 아울러 공기 토출구(6)를 개폐하는 베인(3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베인(34)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35)가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6)를 통과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루버(36)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4)로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2)의 내부를 통하도록 한 후 공기 토출구(6)로 토출시키는 송풍기(50)와,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된다.
송풍기(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10) 특히 전장부(13)에 형성된 모터 설치부(14a)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팬모터(52)와, 팬모터(5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유로 가이드(12)에 위치되는 팬(54)과, 팬모터(52)를 덮도록 섀시(10)에 설치되는 모터 커버(56)를 포함한다.
팬(54)은 유로 가이드(15)(16)(17) 특히 좌,우 유로 가이드(15)(16)의 사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60)는 공기 흡입구(4)와 팬(5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2)의 공간 특히, 흡입 프레임(20)의 전면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그 하단은 드레인부(32)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열교환기(60)는 드레인부(32)의 상측에 수직하게 위치된 수직부(62)와, 수직부(62)의 상측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전방 경사부(64)와, 전방 경사부(64)의 상부에서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후방 경사부(66)를 포함한다.
열교환기(60)에는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되기 위한 냉매배관(68)이 연결된다.
한편, 본체(2)의 내부 특히 전장부(13)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70)가 설치되는 바, 컨트롤 박스(70)는 섀시(10)에 후크나 스트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된다.
컨트롤 박스(70)에는 팬모터(52) 등의 공조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72)와, 후술하는 청소기구의 각종 전장부품을 제어하는 청소 피시비(74)가 함께 설치된다.
청소 피시비(74)는 메인 피시비(72)의 제어 신호에 의해 후술하는 청소기구의 각종 전장부품(121)(181)을 제어하도록 메인 피시비(72)와 리드 선으로 연결되되, 청소기구의 선택적 장착을 위해 리드 선이 커넥터를 통해 메인 피시비(72)에 연결된다.
컨트롤 박스(7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메인 피시비(72)와 청소 피시비(74)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내부를 닫는 박스 커버(75)가 배치된다.
컨트롤 박스(70) 특히 청소 피시비(74)는 후술하는 노즐 이동용 모터(121) 및 청소 팬모터(181)를 제어하도록 노즐 이동용 모터(121) 및 청소 팬모터(181)와 리드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의 외면 혹은 내부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서 정화하는 필터(80)와, 필터(80)에 걸러진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기구가 설치된다.
필터(80)는 공기 흡입구(4)를 통과하여 유로 가이드(12)를 향해 흡입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일종의 정화 유닛으로서, 송풍 유로부에 배치되며, 단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좌,우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80)는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82)와, 수평부(82)의 선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8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에는 필터(80)가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90)이 설치된다.
필터(80)는 필터 프레임(90)에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터 프레임(90)에 고정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필터 프레임(9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 필터 프레임(90)에 착탈 가능한 것으로 설명한다.
필터 프레임(90)은 공기 흡입구(4)와 열교환기(6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 되고, 공기가 통과하고 필터(80)가 배치되는 개구부(91)가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부(92)와, 수평부(92)의 선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93)를 포함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가 열교환기(60)의 후방 경사부(66)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경사부(93)는 열교화기(60)의 전방 경사부(64)의 전방 상측에 전방 경사부(64)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의 후단이 섀시(10)에 체결되는 바,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양측 후방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95)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96)가 돌출 형성되고, 섀시(10)의 상부에는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재(95)가 체결되는 체결보스(10a)가 형성되며, 필터 프레임(90)은 수평부(92)의 양측 후단이 섀시(10)에 체결부재(95)로 체결된다.
필터 프레임(90)은 합성수지 등의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열교환기(60)와 너무 근접할 경우 열팽창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열교환기(6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사부(9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60)에 고정됨과 아울러 일정 높이를 갖는 열교환기 고정부(97)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열교환기 고정부(97)는 열교환기(90)의 냉매 튜브 사이로 삽입되고 돌출 리브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열교환기(90)의 냉매 튜브 사이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부 휨이 가능하도록 절개부(97a)가 형성된다.
청소기구는 필터(90)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 기구(100)와; 흡입 기구(100)와 연통되고, 흡입 기구(100)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분리되어 공기가 배출되고 이물질이 모이는 집진 통(190)을 포함한다.
흡입 기구(100)는 필터(90)의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집진 통(190)으로 흡입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하 필터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 안내되도록 배치된 흡입 안내 기구와, 흡입력 발생 유닛(180)을 포함한다.
흡입 안내 기구는 흡입 노즐(11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연결 호스(170)를 포함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90)를 따라 이동되면서 필터(90)의 이물질을 필터(90)에서 분리시킴과 아울러 공기와 함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서, 송풍 유로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흡입 노즐(110)은 대략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필터(9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고, 대략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체적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80) 및 필터 프레임(9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된다. 즉, 필터(80)의 수평부와 대향되는 수평부와, 필터(80)의 경사부와 대향되는 경사부가 필터(80)의 절곡 각도와 같거나 유사하게 절곡된다.
흡입 노즐(110)은 필터(90)와 대향되는 면에 개구부인 흡입부(112)가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에는 흡입 노즐(110)의 이동시 필터(90)의 이물질을 필터(90)와 분리시키는 부재 즉, 브러시(113)가 필터(90)와 대향되는 면에 설치된다.
흡입 노즐(110)은 내부에 이물질과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114)가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이물질과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부인 배출부(115)가 대략 하부에 위치되게 형성되되, 사각 덕트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흡입 노즐(110)은 브러시(113)가 설치됨과 아울러 흡입부(112)와 배출부(115)가 형성된 로우어 바디(116A)와, 로우어 바디(116A)와 결합되고 로우어 바디(116A)와의 사이에 통로(114)를 형성하는 어퍼 바디(116B)를 포함한다.
청소기구는 흡입 노즐(110)을 이동시키는 이동기구(120)를 더 포함한다.
이동기구(12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110)과 함께 이동되도록 흡입 노즐(110)에 장착된 구동원인 노즐 이동용 모터(121)와, 노즐 이동용 모터(121)에 의해 회전되게 배치된 구동기어(123)와, 필터(80)와, 필터 프레임(90)과,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 중 일측에 형성되고 흡입 노즐(8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 기어(124)와, 구동 기어(123) 및 고정 기어(124)에 치합되어 구동 기어(123)의 회전시 고정 기어(124)를 따라 이동되는 종동 기어(125)(126)를 포함한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는 흡입 노즐(110)이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회전축(121b)이 정/역회전되는 양방향 회전 모터로 이루어진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는 구동기어(123)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축(121b)에 구동기어(123)를 회전시키는 모터기어(121a)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종동 기어(125)(126)는 하나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가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흡입 노즐(110)을 좌,우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좌,우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연통되는 공간이 구비되고 흡입 노즐(110)의 이동을 위한 개구면(134)이 형성된 흡입 덕트(135)와, 흡입 노즐(110)과 연결되어 흡입 노즐(110)에 의해 무빙되면서 개구면(134)을 막는 차폐부재(150)를 포함한다.
즉, 흡입 노즐(110)은 배출부(115)가 흡입 덕트(135)의 개구면을 관통해 배출부(115)의 대략 하단이 흡입 덕트(135)의 내부에 위치되게 배치되어 배출부(115)가 흡입 덕트(135)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흡입 덕트(135)는 전체적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된 고정 타입의 박스체로서, 흡입 노즐(110)을 향하는 면인 상면에 개구면(134)이 상하 개구 형성된다.
흡입 덕트(135)는 인접하는 두면이 개방된 덕트 케이스(136)와, 덕트 케이스(136)의 일면을 막고 덕트 케이스(136)와의 사이에 개구면(134)을 형성하는 덕트 캡(137)을 포함한다.
흡입 덕트(135)는 일부가 송풍 유로부에 위치되고, 나머지가 전장부(13)의 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며, 전장부(13)의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에 연결 호스(170)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38)가 구비된다.
한편, 차폐부재(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덕트(135)와 함께 흡입 덕트(135) 내부에 흡입 통로(133)를 형성하는 폐루프로 이루어져, 흡입 덕트(135)의 개구면(134) 중에서 흡입 덕트(135)의 배출부(115) 이외를 모두 막는 것으로서,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일측에 개구 형성된다.
차폐부재(150)는 접착재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흡입 노즐(11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고정부재(155)에 이해 흡입 노즐(11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고정부재(155)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고정부재(155)는 흡입 노즐(110)과 결합되어 차폐부재(150)의 이탈을 막는 것으로서, 흡입 노즐(110)과의 결합시 차폐부재(15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게 흡입 노즐(110)과 결합되고, 흡입 노즐(110)과의 사이에 차폐부재(150)의 일부가 개재되게 하여 차폐부재(150)가 흡입 노즐(110)과 고정부재(155)에 의해 구속되게 한다.
고정부재(155)는 흡입 노즐(110)의 배출부(115)가 관통되는 개구부(156)가 형성된다.
연결 호스(170)는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를 통과한 이물질과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흡입덕트 어셈블리(130) 특히, 흡입 덕트(135)의 연결 호스 연결부(138)에 연결되고, 타단이 흡입력 발생 유닛(180)에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송풍 유로부에 위치되지 않고, 전장부(13)에 위치된다.
한편, 흡입력 발생 유닛(180)은 연결 호스(170)와 흡입 덕트 어셈블리(130)와 흡입 노즐(110)에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와 같은 흡입력에 연결 호스(170)를 통해 안내된 이물질과 공기를 집진 통(190)으로 송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 특히 전장부(13)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 청소 팬모터(181)와, 청소 팬모터(181)에 의해 회전되게 연결된 청소 팬(182)과, 청소 팬모터(181)와 결합되고 청소 팬(182)을 둘러싸는 청소 팬 하우징(184)(185)을 포함한다.
청소 팬(182)은 터보팬으로 이루어진다.
청소 팬 하우징(184)(185)은 청소 팬모터(181)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제 1 바디(184)와, 제 1 바디(184)와 결합되어 제 1 바디(184)와의 사이에 송풍 통로를 형성하는 제 2 바디(185)로 이루어지고, 제 1,2 바디 중 청소 팬(182)의 흡입면과 대향되는 바디에 터보팬인 청소 팬(182)으로의 흡입을 안내하는 오리피스(186)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연결 호스(170)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부(18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흡입력 발생 유닛(180)은 청소 팬모터(181)가 컨트롤 박스(70)와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섀시(10)의 전장부(13)에 설치되되, 그 토출부(188)가 프론트 프레 임(20)의 집진 통 착탈부(24)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력 발생 유닛(180)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담아 두고 공기만을 배출하는 일종의 공기 분리기 및 이물질 저장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박스체(191)와, 박스체(191)의 개방면을 막도록 박스체(191)와 결합되는 덮개(192)를 포함한다.
집진 통(190)은 흡입 기구(100) 특히 청소 팬 하우징(184)(185)에서 송출된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193)와,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가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194)가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흡입구(193)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곧바로 공기 토출구(194)로 토출되지 않고 집진 통(190)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부딪히면서 이물질과 공기가 분리되도록 흡입구(193)와 공기 배출구(194)가 서로 대향되지 않게 형성되고, 서로 직교하는 면에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하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구조로서, 공기 배출구(194)는 집진 통(190)의 상하 중에서 대략 상부에 형성된다.
집진 통(190)은 박스체(191)에 상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흡입구(193)와 공기 배출구(194)가 박스체(191)에 함께 형성되고, 덮개(192)가 박스체(191)의 상면을 덮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집진 통(190)은 내부에 ′U′자형 유로를 형성시켜 흡입구(193)로 흡 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우회하면서 분리되는 격벽(195)이 형성된다.
격벽(195)은 공기 배출구(194)와 대향됨과 아울러 이격되게 형성되고, 덮개(192)에서 돌출되고 박스체(191)의 저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흡입구(193)로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은 흡입구(193)에서 곧바로 옆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격벽(195)의 하단을 돌아 우회하며, 상기와 같은 우회의 도중에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하측으로 낙하되고, 공기만이 공기 배출구(194)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진 통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진 통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진 통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 개략도이다.
덮개(192)는 박스체(191)의 상단을 둘러싸는 테두리부(192a)가 형성되고, 테두리부(129a)와의 사이로 박스체(191)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 리브(192b)가 형성되어, 박스체(191)의 상단이 덮개(192)의 테두리부(192a)와 삽입 리브(192b) 사이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집진 통(190)은 박스체(191)의 둘레면 중 전면에 덮개(192)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191a)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덮개(192)의 테두리부(192a) 중 선단부에는 돌출부(191a)가 삽입되는 삽입홀(192c)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92a)에 절곡이 가능하게 형성된 결합부(192d)가 형성된다.
한편, 집진 통(190)은 흡입 기구(100) 특히 흡입력 발생 유닛(180)과 연통되게 착탈되는 바, 흡입구(193)가 흡입력 발생 유닛(180)의 토출부(188)와 삽입식으로 결합되도록 흡입 플랜지부(193a)가 덕트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박스체(191)에는 흡입 플랜지부(193a)가 흡입력 발생 유닛(180)의 토출부(188)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집진 통(190)은 프론트 패널(26)을 상측을 중심으로 들어올렸을 때 즉, 집진 통 착탈부(24)의 전방이 개방되었을 때, 집진 통(190) 내부의 이물질의 유무 및 그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지는 바, 그 전체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전부가 투명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프론트 패널(26)을 상측으로 열었을 때 노출되는 부분인 전면부만 투명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집진 통(190)은 전면부가 손잡이부(196)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손잡이부(196)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리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피시비(72)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이나 공기조화기를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기를 통해 필터 청소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 조건이 필터 청소 조건이거나, 주기적으로 청소 피시비(74)로 필터 청소의 신호를 출력한다.
청소 피시비(74)는 필터 청소의 신호 입력시 노즐 이동용 모터(121)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청소 팬모터(181)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노즐 이동용 모터(121)와 청소 팬모터(181)는 구동된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의 구동시 구동 기어(122)는 회전되고, 종동기어(125)(126)는 구동기어(123)에 의해 회전되면서 고정 기어(124)를 따라 이동되며, 흡입 노즐(110)은 필터(80)를 따라 고정 기어(12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고, 이때 필터(80)에 있던 이물질은 브러시(113)에 의해 필터(80)와 분리된다.
노즐 이동용 모터(121)는 흡입 노즐(110)이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었을 때, 그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역구동되고, 흡입 노즐(110)은 필터 프레임(90)의 좌,우 중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흡입 노즐(110)의 이동과 그에 따른 이물질의 분리와 함께, 청소 팬(182)은 청소 팬모터(18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연결 호스(170)의 내부와 흡입 덕트(135)와, 흡입 노즐(110)에는 청소 팬(182)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된다.
상기와 같은 흡입력 작용시 필터(80)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흡입 노즐(110)과, 흡입 덕트(135)와, 연결 호스(170)를 차례로 통과하여 청소 팬 하우징(184)(185)으로 흡입되고, 이후 청소 팬(182)에 의해 집진 통(190)의 흡입구(193)로 보내진다.
집진 통(190)의 흡입구(193)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는 집진 통(190)의 내부에서 격벽(195)에 막혀 공기 배출구(194)로 곧바로 배출되지 못하고, 격벽(195)을 따라 하향 이동된 후 격벽(195)의 하단을 따라 우회하며, 이때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은 집진 통(190)의 내벽에 부딪히면서 낙하되고, 이물질 보다 무거운 공기는 공기 배출구(194)를 통해 집진 통(19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집진 통(190)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점차 쌓이고,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26)을 들어 올리면,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 개구부(5)와 집진 통(190)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집진 통(190)의 전면을 통해 육안으로 이물질의 유무 및 그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집진 통(190)의 손잡이(196)를 잡고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집진 통(190)은 그 흡입구(193)가 흡입력 발생 유닛(180)의 토출부(188)와 분리되면서, 지지 리브(25)에 올려진 상태에서 집진 통 착탈부(24)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후, 덮개(192)를 박스체(191)에서 분리하여 박스체(191) 내부의 이물질을 빼내거나 털어내 그 내부를 비우고, 이후 덮개(192)로 박스체(191)의 상면을 덮음과 아울러 덮개(192)와 박스체(191)를 결합한다.
그런 다음, 결합된 집진 통(190)을 프론트 프레임(20)의 집진 통 착탈부(24) 전방에 위치시킨 다음, 집진 통 착탈부(24)로 삽입시키면, 집진 통(190)은 지지 리브(25)에 올려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본체(2)의 내부를 향해 깊숙이 삽입되고, 이때 집진 통(190)의 흡입구(193)의 내부로 청소 팬 하우징(184)(185)의 토출부(188)가 삽입되어 집진 통(190)이 청소 팬 하우징(184)(185)에 결합된다.
최종적으로, 프론트 패널(26)을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과 나란하게 회전시키면, 프론트 패널(26)은 전면 개구부(5)의 전방과 집진 통 착탈부(24)의 전방을 덮고, 집진 통(190)의 청소 작업은 완료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집진 통을 전방으로 인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집진 통이 설치된 상태가 되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통 착탈부(24′)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집진 통(190)이 집진 통 착탈부(24′)의 전방에서 집진 통 착탈부(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집진 통 착탈부(24′)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즉, 집진 통 착탈부(24′)는 집진 통(190)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부이면서 집진 통(190)의 착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그 후판부(24a)는 집진 통(190)의 삽입시 집진 통(190)이 걸려 그 과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그 후판부(24a)에는 집진 통(180)의 흡입구(193)와 흡입력 발생 유닛(180)의 토출부(188) 중 하나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개구부(24a)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 기구가 흡입 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이물질을 원통체의 내부에서 원통체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 유동시켜 분리하는 사이클론 분리기와, 사이클론 분리기에서 공기와 분리된 이물질이 담겨지는 집진 통을 포함하고, 집진 통이 프론트 프레임에 형성된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사이클론 분리기와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 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집진 통이 프론트 프레임에 형성된 집진통 출입구를 통해 착탈되고, 프론트 패널이 집진통 출입구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미관이 향상되고, 프론트 패널을 열어 집진 통을 손쉽게 착탈/청소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전면부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 통을 전방으로 인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을 분리한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을 분리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일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진 통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진 통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집진 통이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집진 통을 전방으로 인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집진 통이 설치된 상태가 되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 본체 4: 공기 흡입구
5: 전면 개구부 6: 공기 토출구
10: 섀시 12: 유로 가이드
13: 전장부 20: 프론트 프레임
21: 흡입 그릴 24: 집진 통 착탈부
25: 지지 리브 26: 프론트 패널
30: 토출 유닛 50: 송풍기
60: 열교환기 80: 필터
90: 필터 프레임 110: 흡입 노즐
135: 흡입 덕트 138: 호스 연결부
170: 연결 호스 180: 흡입력 발생 유닛
181: 청소 팬모터 182: 청소 팬
183: 청소 팬 하우징 187: 호스 연결부
188: 토출부 190: 집진 통
191: 박스체 192: 덮개
193: 흡입구 194: 공기 토출구
195: 격벽

Claims (14)

  1. 섀시와;
    상기 섀시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섀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측에 집진 통 착탈부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는 흡입 기구와;
    상기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상기 흡입 기구와 착탈되는 집진 통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전방을 개폐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통은 전부 혹은 전면부가 투명부인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하측에 상기 집진 통이 올려지는 리브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통은 전면부에 손잡이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전면부 중 상기 프론트 패널에 가려지는 위치에 상기 집진 통 착탈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전면과 상면에 상기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집진 통 착탈부가 상기 개구부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 개구부 전방과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전방을 함께 개폐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와 연결 호스로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의 토출부와 착탈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통 착탈부는 상기 집진 통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덕트 형상의 개구부인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통 착탈부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후판부에 상기 집진 통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 기구에 형성된 토출부 중 어느 하나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의 옆 위치에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전장부가 형성된 섀시와;
    상기 섀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면과 상면에 상기 유로 가이드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장부의 전방에 집진 통 착탈부가 상기 개구부와 이격되게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유로 가이드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 유닛과;
    상기 유로 가이드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송출하도록 설치된 흡입 기구와;
    상기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상기 흡입 기구와 착탈되는 집진 통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전면 개구부 전방과 상기 집진 통 착탈부의 전방을 함께 개폐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전장부에 설치되는 흡입력 발생 유닛과;
    상기 흡입 덕트와 흡입력 발생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 통은 상기 집진 통 착탈부를 통해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과 착탈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는 일부가 상기 전장부의 전방에 위치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전장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에 상기 연결 호스가 연결되는 연결 호스 연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3. 실내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 유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 유로부의 옆 위치에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전장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송풍 유로부에 배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 안내되도록 배치된 흡입 안내 기구와;
    상기 전장부에 설치된 흡입력 발생 유닛과;
    상기 흡입력 발생 유닛에 연통되도록 상기 전장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집진 통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안내 기구는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송풍 유로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연통되게 배치된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와 흡입력 발생 유닛을 연통시키도록 연결된 연결 호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088504A 2007-08-31 2007-08-31 공기조화기 KR100905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04A KR100905312B1 (ko) 2007-08-31 2007-08-31 공기조화기
EP07860674.6A EP2181293B1 (en) 2007-08-31 2007-12-26 Air conditioner
ES07860674.6T ES2595305T3 (es) 2007-08-31 2007-12-26 Acondicionador de aire
PCT/KR2007/006855 WO2009028767A2 (en) 2007-08-31 2007-12-26 Air conditioner
CN200780100252A CN101779084A (zh) 2007-08-31 2007-12-26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504A KR100905312B1 (ko) 2007-08-31 2007-08-3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854A true KR20090022854A (ko) 2009-03-04
KR100905312B1 KR100905312B1 (ko) 2009-07-02

Family

ID=4038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504A KR100905312B1 (ko) 2007-08-31 2007-08-3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81293B1 (ko)
KR (1) KR100905312B1 (ko)
CN (1) CN101779084A (ko)
ES (1) ES2595305T3 (ko)
WO (1) WO200902876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2513B2 (en) 2016-08-19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0507A1 (de) * 2012-05-30 2013-12-05 deconta GmbH Mobile Vorrichtung zum Filtern von Luft
JP2017166800A (ja) * 2016-03-18 2017-09-2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JP7059717B2 (ja) * 2018-03-15 2022-04-2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室内機
CN117053286A (zh) * 2019-01-31 2023-11-14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KR102219821B1 (ko) * 2019-01-31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21036185A (ja) * 2019-08-30 2021-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019U (ko) * 1986-03-07 1987-09-12
JPH06114224A (ja) * 1992-10-08 1994-04-2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2001099479A (ja) * 1999-09-30 2001-04-1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電源装置
KR100442579B1 (ko) * 2001-10-08 2004-08-02 (주)니트 젠 복수의 임계값을 이용한 지문에 의한 개인인증장치 및 방법
JP2005083721A (ja) * 2003-09-11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122862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콘의 자동청소장치
ES2687647T3 (es) * 2004-10-19 2018-10-26 Panasonic Corporation Aparato de filtro para equipo de aire acondicionado
JP2006284044A (ja) * 2005-03-31 2006-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4655754B2 (ja) * 2005-05-16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ー装置
JP2007170789A (ja) * 2005-12-26 2007-07-0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2513B2 (en) 2016-08-19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95305T3 (es) 2016-12-29
EP2181293A2 (en) 2010-05-05
WO2009028767A3 (en) 2009-09-11
EP2181293B1 (en) 2016-09-28
KR100905312B1 (ko) 2009-07-02
CN101779084A (zh) 2010-07-14
WO2009028767A2 (en) 2009-03-05
EP2181293A4 (en)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12B1 (ko) 공기조화기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KR100867956B1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3B1 (ko) 공기조화기
KR101444357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KR2020010640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576287B (zh) 空调器
KR10245713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216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19157B1 (ko) 공기 조화기
KR101633789B1 (ko) 공기조화기
KR100873399B1 (ko) 공기조화기
KR101394516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8B1 (ko) 공기조화기
KR101323326B1 (ko) 공기조화기
KR101306127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7B1 (ko) 공기조화기
CN101581476B (zh) 壁挂式空调器
KR101392312B1 (ko) 공기조화기
KR100972079B1 (ko) 공기 조화기
KR20060097453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장치
KR101409898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6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50317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