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628A -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628A
KR20090022628A KR1020070088159A KR20070088159A KR20090022628A KR 20090022628 A KR20090022628 A KR 20090022628A KR 1020070088159 A KR1020070088159 A KR 1020070088159A KR 20070088159 A KR20070088159 A KR 20070088159A KR 20090022628 A KR20090022628 A KR 2009002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erminal device
mode
level signal
execu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943B1 (ko
Inventor
엄봉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9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와 대응하는 레벨신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감지한 진동신호를 상기 레벨신호와 비교 판별한 후 판별한 결과를 통해 대응하는 상기 실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어떠한 세기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또는 어떠한 시간간격으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통해 단말장치의 실행모드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두드림 동작에 의해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위치한 단말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테면 가방 속의 단말장치가 전화벨을 시끄럽게 울릴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방을 흔들어줌으로써 무음모드나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함에 따라 주위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통화 시도하는 발신자의 단말로 기 설정된 특정의 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도록 하여 이후의 여유있는 시간에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진동, 센서링, 단말장치

Description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VIBRATION SENSORING-BASED MODE CONVERSION METHOD AND TERMINAL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어떠한 세기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또는 어떠한 시간간격으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통해 단말장치의 실행모드를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보급이 증가하여 1인 1 전화시대가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유선방식 일반적화를 이용한 통화 횟수보다,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이용한 통화 횟수가 점차 증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카메라 기능, GPS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기능 등 갖가지 첨단기술을 내장하여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타 단말기로 통화를 거는 발신방법이나 상기 단말장치를 사용자가 입력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은 제어명령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키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를 사용하여 키패드의 숫자키를 발신번호에 따라 차례로 누름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누름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번호로의 발신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이미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다수 전화번호 중 하나를 검색 또는 선택하여 통화버튼을 입력하거나, 상기 다수 전화번호 중 단축키가 설정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단축키를 누름 입력함으로써, 상기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 또는 선택하지 않고,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인식 및 판독하여 해당 번호로 발신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장치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성인식 기능은 동일한 번호를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라도 각 사용자에 따라 주파수, 파장, 크기 등이 모두 상이하며, 한 명의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라도 경우에 따라서 각각 상이하게 출력되므로, 음성인식 기능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를 정확히 판독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상기 음성인식 기능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음성통화 동작이 수행되거나 전달된 음성데이터를 잘못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장치가 사용자와 소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음성인식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오 발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버튼입력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평상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위치하였을 경우, 전화벨이 울리는 등의 상황에서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일일이 조작하기에는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어떠한 세기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또는 어떠한 시간간격으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통해 단말장치의 실행모드를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정도의 두드림 동작을 유발하게 하여 발생한 진동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화벨을 무음 또는 진동모드로 전환하거나 발신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자동 전달하기 위한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화가 울리는 경우 등의 한정적인 상황 에서만 진동 센서링을 실행하여 전원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은, (가) 단말장치가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나) 감지한 진동신호를 기 설정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에 대한 레벨신호와 비교 판별하는 단계 및 (다) 판별결과를 토대로 대응하는 실행모드로 전환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 및 상기 레벨신호를 사용자 제어입력에 따라 임의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이동통신 서비스에 기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착신 호를 실행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 단계는 착신 벨에 대한 무음/진동/소리전환 모드, 발신 단말장치로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모드 및 전원종료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 단계는 소정의 진동에 대한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파라미터로 하여 기 설정된 상기 레벨신호와 상기 감지한 진동 신호를 비교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와 대응하는 레벨신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감지한 진동신호를 상기 레벨신호와 비교 판별한 후 판별한 결과를 통해 대응하는 상기 실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임의적인 제어입력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와 대응하는 상기 레벨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토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착신 호를 실행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대한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서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속도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벨신호는 소정의 진동에 대한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 어도 하나 이상을 파라미터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진동신호의 가속도 값을 분산 프로세싱하여 중간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값과 상기 레벨신호 간의 대응 여부를 통해 상기 실행모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어떠한 세기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또는 어떠한 시간간격으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통해 단말장치의 실행모드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두드림 동작에 의해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위치한 단말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테면 가방 속의 단말장치가 전화벨을 시끄럽게 울릴 경우 사용자에 의해 가방을 흔들어줌으로써 무음모드나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함에 따라 주위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통화 시도하는 발신자의 단말로 기 설정된 특정의 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도록 하여 이후의 여유있는 시간에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두드림 동작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 및 시간간격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의 실행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단말장치(100)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 해 이동통신 서비스에 기반하는 단말장치(100)로 한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착신벨에 대한 무음/진동/소리전환 모드, 발신 단말장치(100)로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모드 및 전원종료 모드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와 대응하는 레벨신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10), 사용자의 두드림 동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20) 및 감지한 진동신호를 레벨신호와 비교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를 통해 대응하는 실행모드를 특정하여 모드 전환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와 각각 대응하는 레벨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20)는 단말장치(100)로 착발신 호 연결을 시도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착신 호가 실행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단말장치(100)가 이동통신 서비스에 기반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일일이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감지하게 되면 센서링 동작으로 인한 전원 소모량이 상당하여 비효율적인 면이 큰 것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되는 레벨신호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진동의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라미터로 하여 설정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120)도 이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대한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서링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센서부(120)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구현되며, 여러 방향의 움직임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3축 가속도 센서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100)의 가속도를 일실시 예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가 위치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 사용자의 가방 또는 주머니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4번의 두드림 동작을 취하여 전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는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30)는 4번의 진동을 감지한 진동신호를 판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중인 레벨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실행모드를 특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한 진동신호와 레벨신호 간의 진동 세기 및 시간간격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별함에 따라, 상기 실행모드를 특정하는 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정 그래프의 분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센서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임에 따라 전해지는 진동의 감지가 미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30)가 감지한 진동신호의 가속도 값을 분산 프로세 싱을 통해 중간값을 변환하고, 변환한 중간값을 기 설정된 레벨신호와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에서는 도 2의 측정 그래프에 대한 분산적용이 이루어진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100)의 가속도를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가 위치 이동하는 사용자의 가방 또는 주머니에 위치할 경우, 단말장치(100)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명령으로 입력실행되는 진동 이외에 별도의 움직임으로 인한 진동까지 감지하는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명령으로 실행되기 위한 진동 이외의 진동과 구분하기 위하여, 레벨신호로 기 설정되는 진동의 세기 및 시간간격을 토대로 센서부(120)를 통해 감지되는 진동신호를 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위치 이동하면서 4번의 두드름 동작을 실행하게 되면, 제어부(130)가 센서부(120)를 통해 전해지는 진동신호 중에서 기 설정된 레벨신호의 세기 및 시간간격과 매칭되는 구간을 판별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판별하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측정 그래프의 분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센서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임에 따라 전해지는 진동의 감지가 미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30)가 감지한 진동신호의 가속도 값을 분산 프로세싱을 통해 중간값을 변환하고, 변환한 중간값을 기 설정된 레벨신호와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에서는 도 4의 측정 그래프에 대한 분산적용이 이루어진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두드림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단말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진동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상기 진동인식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두드림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단말장치(100)가 감지하게 되며(S102), 이후로 감지한 진동신호를 기 저장중인 레벨신호와 비교 판별하는 과정을 실행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에서, 감지한 진동신호의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진동 세기 및 시간간격을 모두 비교 파라미터로 활용함)을 레벨신호와 매칭하는지를 비교하여 형성된 판별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실행모드를 특정한다(S106 및 S108).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단말장치(100)는 특정한 실행모드를 실행하게 된다(S1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어떠한 세기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또는 어떠한 시간간격으로 진동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통해 단말장치의 실행모드를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사용자의 간단한 두드림 동작을 통해 단말장치의 실행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의 단말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의 가속도를 일실시 예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정 그래프의 분산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의 가속도를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측정 그래프의 분산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말장치 110 : 데이터베이스부
120 : 센서부 130 : 제어부
140 : 사용자 입력부

Claims (15)

  1. (가) 단말장치가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나) 감지한 진동신호를 기 설정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에 대한 레벨신호와 비교 판별하는 단계; 및
    (다) 판별결과를 토대로 대응하는 실행모드로 전환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 및 상기 레벨신호를 사용자 제어입력에 따라 임의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이동통신 서비스에 기반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착신 호를 실행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착신 벨에 대한 무음/진동/소리전환 모드, 발신 단말장치로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모드 및 전원종료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는
    소정의 진동에 대한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파라미터로 하여 기 설정된 상기 레벨신호와 상기 감지한 진동신호를 비교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와 대응하는 레벨신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부;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감지한 진동신호를 상기 레벨신호와 비교 판별한 후 판별한 결과를 통해 대응하는 상기 실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임의적인 제어입력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를 설 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모드와 대응하는 상기 레벨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토대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착신 호를 실행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진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대한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센서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진동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14.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신호는
    소정의 진동에 대한 세기 및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파라미터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15.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진동신호의 가속도 값을 분산 프로세싱하여 중간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값과 상기 레벨신호 간의 대응 여부를 통해 상기 실행모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기반의 단말장치.
KR1020070088159A 2007-08-31 2007-08-31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KR10089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59A KR100899943B1 (ko) 2007-08-31 2007-08-31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59A KR100899943B1 (ko) 2007-08-31 2007-08-31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628A true KR20090022628A (ko) 2009-03-04
KR100899943B1 KR100899943B1 (ko) 2009-05-28

Family

ID=4069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159A KR100899943B1 (ko) 2007-08-31 2007-08-31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499A (ko) * 2009-08-20 2011-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485B1 (ko) 2013-05-09 2019-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신 메시지 특성에 따른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172A (ja) 2003-03-04 2004-10-14 Sony Corp 入力装置、情報端末装置およびモード切替方法
EP1706983B1 (de) * 2004-01-22 2014-01-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GmbH & Co. KG Mobiltelefon
TWI253834B (en) * 2004-12-31 2006-04-21 Giga Byte Comm Inc Portable device with motion detection
KR100775006B1 (ko) * 2005-11-30 2007-11-08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기반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방법과, 그 단말 장치와 협력하여 옥내 이동 서비스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499A (ko) * 2009-08-20 2011-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943B1 (ko)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70099574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ccording to Detection of Environmental Light
GB24519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profile or mode of a mobile phone
US20080167006A1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899943B1 (ko)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JP3571254B2 (ja) 通話装置
KR101678390B1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1174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66116A (ja) 携帯情報装置
JP5195389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イベント通知方法並びに携帯電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353659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着信応答方法
KR200202271Y1 (ko)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101374158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진동 센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20684B1 (ko)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KR2004004298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2845B1 (ko)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KR101360210B1 (ko) 휴대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20030073328A (ko) 지정시간동안 벨소리/진동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방법과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20000018934A (ko) 무선 이동 통신기기의 소리감지 알람장치 및 그 방법
KR200318692Y1 (ko) 벨모드 자동전환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751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벨소리 자동 제어 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KR100255390B1 (ko) 전화기의 마이크로폰 감도 제어 장치
KR20210088868A (ko) 욕실용 IoT 블루투스 스피커 및 그 제어방법
KR100805677B1 (ko)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