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677B1 -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677B1
KR100805677B1 KR1020070022372A KR20070022372A KR100805677B1 KR 100805677 B1 KR100805677 B1 KR 100805677B1 KR 1020070022372 A KR1020070022372 A KR 1020070022372A KR 20070022372 A KR20070022372 A KR 20070022372A KR 100805677 B1 KR100805677 B1 KR 10080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vibration
call
ringtone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7002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 착신이 되어 벨이나 진동이 발생한 뒤 사용자가 이를 알아차리고 어떤 조치를 한 뒤에는 벨소리가 진동을 적절히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벨소리를 발생하는 벨소리 발생부와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휴대폰의 각종 입력신호를 받아 처리하고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센서부는 빛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받아 처리한 뒤 미리 정한 판단과정을 거쳐 그 판단과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벨소리 발생부 또는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벨소리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착신, 벨, 진동, 벨소리, 감소, 외란, 판단, 착신음

Description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Mobile phone which reduces the magnitude of sound of bell or vibration considering the variation of light or accel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의 외관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의 주요 구성부의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작동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전면 광센서부, 3: 후면 광센서부, 4: 가속도센서부
5: 벨소리 발생부, 6: 진동 발생부
7: 외부 LCD창, 8: 제어부, 9: 외부 LED 램프
본 발명은 휴대폰의 착신후 사용자에 의해 휴대폰에 가해지는 외란을 감지하 여 판단한 뒤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줄이거나 발생되지 않는 기능을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빛의 밝기의 변화 또는 충격 등 가속도의 변화에 의하여 벨소리(수신음) 또는 진동의 크기가 감소되거나 꺼지게 되는,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음이나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폰 등 전화기 기능을 갖는 각종 정보통신단말기(이하‘휴대폰’이라 한다)는 많은 사람들이 휴대하면서 자주 이용하는 중요한 전자기기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은, 소음발생이 바람직하지 않은 장소에서 착신되어 벨소리나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벨소리나 진동을 끄거나 전화를 받기 위해 서둘러 주머니 또는 가방 안의 휴대폰을 꺼내어 휴대폰의 버튼 또는 플립을 조작하는데, 그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므로 불편하며, 특히 발신자번호 표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많은 경우 사용자는 전화를 받거나 끄기 전에 휴대폰의 외부창을 통해 발신자를 확인하는데 그동안도 계속 수신벨이 울리므로 그 불편함은 더욱 크다. 이러한 불편함은 벨소리 모드인 경우에 특히 크지만 진동모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진동을 사용자가 알아차린 뒤에는 더 이상의 진동이 필요 없음에도 통화가 시작될 때까지 계속 강한 진동이 울린다는 점에서 벨소리의 경우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불편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2004-42988호(“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착신이 이루어지기 전부터 광센서 및 온도센서에 의해 현재 환경의 밝기 등을 감지한 뒤 이를 이용하여 판단해서 진동모드(매너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설정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 방법은 휴대폰의 착신과 상관 없이 착신이 있기 전부터 항상 광센서로 환경의 밝기를 측정해야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폰이 착신이 시작되었나를 판단하는 것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발명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거나 극히 일부분 밖에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관련된 또다른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휴대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해서 필요한 경우 벨소리모드를 진동모드로 변경해주는 공개특허 제2000-47458호(“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가 있으나 이 방법만으로는 충격판단 기준치를 매우 낮게 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동작만으로 착신감지 여부를 알아내기 어려울 뿐 아니라, 반대로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서 일어나는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착신벨이나 진동이 꺼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어서 실제 적용이 어렵고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폰이 갖는 문제점 및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 착신이 되어 벨이나 진동이 발생한 뒤 사용자가 이를 알아차리고 어떤 조치를 한 뒤에는 벨소리가 진동을 적절 히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벨소리를 발생하는 벨소리 발생부와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휴대폰의 각종 입력신호를 받아 처리하고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센서부는 빛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받아 처리한 뒤 착신 후에 발생된 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착신이 시작되었음을 인식했는지 판단하는 판단과정을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벨소리 발생부 또는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벨소리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여기서 상기 판단과정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이거나, 또는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사용자의 통화 착신 인식후 이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의 위치 이동 또는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에 가해지는 의도적인 빛의 밝기 변화 동작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벨소리를 발생하는 벨소리 발생부와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휴대폰의 각종 입력신호를 받아 처리하고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부와, 휴대폰이 받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센서부는 빛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가속도센서부는 휴대폰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 및 상기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받아 처리한 뒤 착신 후에 발생된 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착신이 시작되었음을 인식했는지 판단하는 판단과정을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벨소리 발생부 또는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벨소리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여기서 상기 판단과정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며; 여기에 더하여,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이후 광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 휴대폰이 계속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빛이 가해지는 환경하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가속도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이거나, 또는,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며; 여기에 더하여,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이후 광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 휴대폰이 계속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빛이 가해지는 환경하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패턴으로 판단했을 때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의 외관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은 주위에서 휴대폰에 비쳐지는 빛의 양이나 세기 등을 측정하여 주위의 밝기를 측정해야 하므로 휴대폰의 전면이나 후면 등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광센서가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전면에 2개의 광센서(1,2), 후면에 1개의 광센서(3)가 설치된 경우가 도시도어 있다. 물론 광센서의 수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폰의 경우 카메라를 위해 설치되는 광센서를 함께 이용하거나 이 광센서만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휴대폰의 지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주위 환경의 파악을 위해서는 광센서에 의한 주위 밝기의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가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므로 카메라폰 외의 용도로 설치하게 될 광센서를 본 발명의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고, 반대로 본 발명의 용도로 설치되는 광센서를 카메라폰이나 기타 다른 용도에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의 주요구성부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제어부(8)는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중앙처리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각종 키 또는 스위치의 입력이나 통화의 착신 등 휴대폰의 여러 부분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며 또한 처리한 신호를 외부 엘씨디창(7) 등 휴대폰의 여러 부분으로 출력하고 명령을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이후부터 광센서(1,2,3)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리 정해진 판단과정에 의해 판단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휴대폰의 착신이 시작되었음을 이미 인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벨소리 발생부(5) 또는 진동 발생부(6)에 벨 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 명령을 내린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폰의 착신 시작을 인식하는 기준은, 통화 착신 이후에 휴대폰에서 인식하는 주변 밝기가 갑자기 변화하는 것으로서, 주머니나 가방에서 휴대폰을 꺼냄에 따라 휴대폰의 주위가 착신 후 일정시간 경과 후 밝아지는 경우나, 휴대폰의 광센서부에 사용자가 손을 접근시킴에 따라 휴대폰의 주위가 착신 후 일정시간 경과 후 어두워지는 경우가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벨소리나 진동을 완전히 감소시켜 그 발생을 멈추는 것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또한 이때 벨소리나 진동의 감소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첫 번째 밝기 변화가 일어날 때 벨소리나 진동을 어느 정도 줄인 뒤, 사용자가 다시 한번 광센서부에 의도적인 밝기 변화를 가하면 벨소리나 진동을 더 줄이거나 멎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제어부는 휴대폰 전면의 외부 LED 램프(9)를 깜빡거리게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소음을 피하면서 착신을 알리는 등의 방법을 병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작동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외란을 판단하여 벨소리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휴대폰의 선택가능 모드를 가칭‘지능모드’라고 할 경우, S1은 휴대폰에서 이러한 지능모드의 설정을 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단 이러한 지능모드를 휴대폰에서 설정할 수 있게 할 것인지 기본으로 할 것인지는 제품 설계시 선택하는 사항일 뿐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S2는 제어부가 통화의 착신이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3는 통화의 착신이 이루어지면(착신호 발생) 제어부가 현재 휴대폰의 모드(벨소리모드 또는 진동모드)에 따라 벨소리 또는 진동을 즉시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일반적인 휴대폰에서도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S4는 착신호가 울리고 있는 동안 광센서가 휴대폰이 위치한 곳에서의 빛의 양(빛의 밝기)을 검출하고 측정하는 단계이다.
S5는 광센서에서 빛을 측정하여 발생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고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판단과정에 의해 판단을 하는 단계로서, 이때 광센서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변화로부터 착신호가 발생한 이후 미리 정해둔 기준을 넘는 갑작스런 밝기의 변화가 있었다고 판단하거나,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사용자의 통화 착신 인식후 이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의 위치 이동 또는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에 가해지는 의도적인 빛의 양 변화 동작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벨소리 또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명령을 내린다.
S6은 판단과정을 거친 제어부가 벨소리발생부(5) 또는 진동발생부(6)에 명령을 내려 벨소리 또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S7은 사용자가 전화를 받음으로써 현재 상태가 벨소리나 진동이 감소된 상태이든 감소되지 않은 상태이든 상관 없이 휴대폰은 더 이상 벨소리나 진동을 발생하지 않고 통화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S5의 판단단계에서 밝기의 변화란 광센서로 측정한 휴대폰 주위가 어두운 환경에서 밝은 환경으로 바뀌는 것과 밝은 환경에서 어두운 환경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바뀌는 것은 포켓이나 가방 등에 들어있던 휴대폰을 바깥으로 꺼내는 것으로 유추되기 때문이며,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바뀌는 경우란 책상 등에 올려져 있거나 허리에 차고 있던 휴대폰에 착신 벨소리가 울리기 시작했을 때 사용자가 벨소리를 중단시키기 위해 손으로 광센서부 위를 지나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으로 유추되기 때문이다.
결국 도 3과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휴대폰은 통화음 발생 이후 광센서에서 측정된 빛의 양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면서 그 변화를 분석하고 기준치와 비교 판단함에 의해 통화음 발생 이후에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여 휴대폰을 밀폐된 곳으로부터 꺼냄과 동시에, 또는 책상 등 밝은 곳에 놓여진 휴대폰의 광센서부 위로 손을 지나가게 함과 동시에 일단 통화음이 감소되거나 중단되므로 사용자는 더 이상 벨소리나 진동으로 불편을 받지 않고 휴대폰의 외부 LCD창의 발신자를 확인해가면서 전화를 편안하게 받을 수 있게 된다.
다음은 광센서에 더하여 가속도센서가 함께 설치된 경우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휴대폰에 착신에 의한 벨소리 또는 진동의 발생이 시작된 후 가속도센서에 의해 일정값 이상의 가속도가 측정되는 것만으로 벨소리나 진동을 일방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택할 경우에는 바지주머니나 가방 속에 깊이 들어있는 휴대 폰이 착신이 시작된 후 사용자나 사용자 가방의 흔들림에 의해 충격을 받아 벨소리나 진동이 멈춰질 가능성이 있는데 비해, 광센서에 의해 휴대폰이 밝은 환경하에 있는 것으로 측정되고 있는 동안에는 그 휴대폰이 바지주머니나 가방 속에 들어있을 가능성이 매우 낮으므로 이 경우엔 가속도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이는 사용자가 착신을 인식한 후 고의적으로 휴대폰을 건드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에 착안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폰에 벨소리 발생부와 진동 발생부, 제어부, 광센서부가 설치되는 점은 앞의 실시예와 같으며, 여기에 더하여 휴대폰이 받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부가 추가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속도센서는 MEMS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가속도센서를 휴대폰의 제어부와 일체로 또는 제어부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부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가속도센서부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받아 처리한 뒤 미리 정한 판단과정을 거쳐 그 판단과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벨소리발생부 또는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벨소리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판단과정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데 이점은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 다.
판단과정에서 이 실시예의 특징이 되는 점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이후 광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 휴대폰이 통화 착신 후 일정시간 이상 계속 미리 정해진 정도 이상의 빛이 가해지는 환경 하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1)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가속도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거나, (2)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패턴으로 판단했을 때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은, 휴대폰에서 착신이 되어 벨이나 진동이 발생한 뒤 사용자가 이를 알아차리고 어떤 조치를 한 뒤에는 벨소리가 진동을 적절히 감소하므로 사용자가 착신을 인지해서 휴대폰을 꺼내거나 손을 지나치는 순간부터, 또는 밝은 상태에서 건드리는 순간부터 불필요한 벨소리나 진동이 자동적으로 즉각 없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벨소리를 발생하는 벨소리 발생부와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휴대폰의 각종 입력신호를 받아 처리하고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센서부는 빛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받아 처리한 뒤 착신 후에 발생된 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착신이 시작되었음을 인식했는지 판단하는 판단과정을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벨소리 발생부 또는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벨소리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 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사용자의 통화 착신 인식후 이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의 위치 이동 또는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에 가해지는 의도적인 빛의 밝기 변화 동작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
  4.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벨소리를 발생하는 벨소리 발생부와 휴대폰으로 통화가 착신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휴대폰의 각종 입력신호를 받아 처리하고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부와, 휴대폰이 받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부가 설치되며;
    상기 광센서부는 빛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 송하며;
    상기 가속도센서부는 휴대폰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 및 상기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받아 처리한 뒤 착신 후에 발생된 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착신이 시작되었음을 인식했는지 판단하는 판단과정을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벨소리 발생부 또는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벨소리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며;
    여기에 더하여,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이후 광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 휴대폰이 착신 후 계속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빛이 가해지는 환경하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가속도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 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은,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후 휴대폰에 가해지는 빛의 밝기의 변동치가 각 조건에서 미리 정한 기준값을 넘으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며;
    여기에 더하여, 통화의 착신이 시작된 이후 광센서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 휴대폰이 착신 후 계속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빛이 가해지는 환경하에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가속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패턴으로 판단했을 때 사용자에 의한 휴대폰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후 판단에 의해 벨소리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휴대폰.
KR1020070022372A 2007-03-07 2007-03-07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KR10080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372A KR100805677B1 (ko) 2007-03-07 2007-03-07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372A KR100805677B1 (ko) 2007-03-07 2007-03-07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677B1 true KR100805677B1 (ko) 2008-02-22

Family

ID=3938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372A KR100805677B1 (ko) 2007-03-07 2007-03-07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6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236A (ko) * 2003-04-22 200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기 검출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조절 방법및 장치
KR20060011168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조도감지를 이용한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236A (ko) * 2003-04-22 200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기 검출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조절 방법및 장치
KR20060011168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조도감지를 이용한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JP3988608B2 (ja) バイブレータ制御機能付き無線電話機及び無線電話機のバイブレータ制御方法
JP2007532069A (ja) センサスクリーンセーバー
JP4982705B2 (ja) アクセサリに関連するサウンド出力の選択
KR101249960B1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5473799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
TWI439111B (zh) 切換行動裝置之通話模式之方法以及可自動切換通話模式之行動裝置
JP2012029217A (ja) 携帯端末装置
JP5663138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着信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05129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o control notification based on distance
CN103763441A (zh) 信息处理方法、以及应用该信息处理方法的电子设备
JP2007288296A (ja) 携帯端末
JP5627342B2 (ja) 携帯電話
KR970055992A (ko) 핸드프리시의 볼륨 자동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05677B1 (ko) 외란을 판단하여 착신 벨소리를 감소시키는 휴대폰
JP200533211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情報入力方法
KR101065293B1 (ko) 진동강도 자동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진동강도 자동조절 방법
JP2012186628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状態制御方法
JP2000295318A (ja) 携帯電話装置
JP5969549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4179961A (ja) 携帯端末及びその着信制御方法
WO2010004669A1 (ja) 携帯端末
KR20040080650A (ko) 휴대폰
KR100782449B1 (ko) 착신음 크기 자동 조절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및 이를이용한 착신음 크기 자동 조절 방법
JP4821837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