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684B1 -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684B1
KR100420684B1 KR10-2001-0082423A KR20010082423A KR100420684B1 KR 100420684 B1 KR100420684 B1 KR 100420684B1 KR 20010082423 A KR20010082423 A KR 20010082423A KR 100420684 B1 KR100420684 B1 KR 10042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ressure
noise
mobile phone
vibration mode
mod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455A (ko
Inventor
소우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6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에는 주변의 소음도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음압처리부와, 상기 음압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하여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여 호수신시 이를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알고리즘구조를 가지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압처리부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호신호 수신시 해당하는 벨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변환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의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하여 사용자에게 안정된 수신상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 { Method for changing ringing level or mode according to outside noise and cellular-phone implementing the same }
본 발명은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 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에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음압처리부를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자동으로 진동모드전환이나 벨소리레벨을 조정하여 주변환경에 의한 수신방해요인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전화나 문자메시지 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이 구현되도록 하는 휴대전화기에 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에는 전화나 문자메시지가 올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벨/진동모드를 지원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전화기를 소지하고 다른 일을 진행중일 때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로부터 상대방의 호출이나 발송된 문자메시지가 옴을 알 수 있다. 물론 화면을 통하여 착신이 도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휴대전화기는 이동성에 큰 장점이 있으므로 이동하면서 착신을 확인하는 것은 다소 힘들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준 것이 착신벨/진동모드 기능인 것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착신벨/진동기능은 한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휴대전화기 사용자는 휴대전화기를 소지하면서 이동 중에 여러 환경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시끄러운 시장이나 소음을 많이 생성하는 작업장, 기계가 작동하면서 소음을 발생하는 기계실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사용자가 착신벨/진동기능을 직접 수동으로 변경하여 착신벨을 인지할 수 있도록 조절해야만 한다. 이러한 설정화면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여러 번의 설정과정을 걸쳐야하고 설정되면 설정상태는 사용자가 다시 재 변경하기까지 계속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상태에서 만일 사용자가 공공장소나 다른 여타 환경에 처하게 될 경우 다시 사용자가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장소나 환경이 변하면 매번 이에 맞게 변경해야 하므로 휴대전화기 사용자로써는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안된 것으로써,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환경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면 휴대전화기의 착신벨/진동모드가 이에 맞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환경변화에 따른 알맞은 착신벨/진동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음압처리부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착신벨/진동모드를 설정하는 화면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휴대전화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처리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음압을 측정하여 착신벨/진동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착신벨/진동모드가 변경되고 이전의 설정된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예이고, 도 5b는 착신벨/진동모드가 변경된 이후의 설정된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주위환경에 따른 소음도를 감지하여 이에 적합한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휴대전화기에는 주변의 소음도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음압처리부와, 상기 음압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하여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여 호수신시 이를 처리하도록 지원하는 알고리즘구조를가지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압처리부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호신호 수신시 해당하는 벨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변환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기 사용자는 소음도에 맞게 벨소리나 진동의 레벨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전화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휴대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에는 제어부(200), 키패드(210), 디스플레이부(220), 메모리부(230), 오디오변환부(240), 음압처리부(250), 무선회로부(260) 등으로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0)는 휴대전화기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주변의 소음도를 측정하여 이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를 변경하는 기능과, 변경된 착신벨/진동모드를 저장하여 착신시 사용자에게 벨 또는 진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210)는 제어부에 사용자의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기능버튼과 단지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버튼으로이루어지며, 정확히는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20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키버튼과 일반버튼에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키버튼 뿐만 아니라 강제로 설정해제 또는 재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키버튼이 존재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휴대전화기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화면,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화면, 그림이나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편집화면, 무선인터넷에 접속하는 화면 등을 제공한다.
메모리부(230)는 제어부(20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특히 음압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벨소리 또는 진동을 변경된 설정값으로 저장하고 이 설정값으로 호착신시 벨소리나 진동을 제공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가진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와 이에 의하여 사용되거나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오디오변환부(240)는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하는 음성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이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아날로그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음압처리부(250)는 소음측정기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별도로 구비된 음압센서나 휴대전화기에 있는 마이크를 통하여 휴대전화기가 현재 위치해 있는 장소의 소음도를 측정하여 음압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무선회로부(260)는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자동응답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전화기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처리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이 구현되기 위한 음압처리부(250)의 구성요소에는 프로세서(300), 센서부(310),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부(320), 정량화부(330) 등이 구비된다.
프로세서(300)는 제어부(200)와 무선회로부와 연결되어 무선회로부로부터 호신호가 있게 되면 마이크와 연결된 센서부로부터 소음의 아날로그데이터를 받아 이에 따른 소음도를 인지하고 산출된 음압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센서부(310)는 휴대전화기가 있는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보통은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하여 소음의 아날로그데이터를 받아들이나 상기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센서자체내의 감지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부(320)는 원래 소음은 아날로그로 존재하는데 프로세서는 디지털신호만을 인식하므로 프로세서가 이를 인식하도록 센서부(310)가 전송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량화 처리부(330)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감지된 소음의 평균적인 데시벨의 수치를 산출하는 정량화작업을 수행한다. 음압 레벨의 단위는데시벨(decibel)이며, 흔히 dB로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음압을 측정하여 착신벨/진동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휴대전화기는 상대방으로부터 전화통화나 문자메시지 수신이 있기 전까지 또는 실시간으로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도록 하는 실행명령이 있기 전까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착신벨레벨을 유지한다(단계 S400).
이러한 유지상태에서 휴대전화기는 전화통화 등의 착신호나 실시간 실행의 명령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410). 확인결과 상기 착신호나 실행명령이 있게 되면 센서부는 주변의 소음을 감지한다(단계 S420). 즉, 상기과정에서 설명한 것처럼 아날로그신호인 음성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일정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모아 여기서 평균적인 소음도의 데시벨 수치를 산출하는 정량화과정을 거쳐 이 값을 제어부에 전송한다(단계 S430).
제어부는 이 값이 일정이상의 소음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산출값이 일정이상의 소음에 해당하지 않으면 현재의 착신벨레벨을 유지하고, 산출값이 일정이상의 소음에 해당하면 착신벨레벨을 변경한다(단계 S440).
제어부는 상기 데시벨수치에 맞도록 벨소리의 음량을 증가하여 착신벨레벨을 변경한다(단계 S450).
변경된 설정정보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변경되기까지 상태를 유지하며 착신호가 있을 경우 설정된 정보대로 벨소리로 출력한다(단계 460).
이는 사용자가 착신알림을 벨소리로 하였는지 아니면 진동모드로 설정하였는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여기에는 크게 두가지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상기 도 1과 같은 초기 설정화면에서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기술한 과정은 적용이 없게 된다. 왜냐하면 진동모드로 되어있으면 굳이 음압을 산출하여 그에 맞는 벨소리를 출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의 경우는 착신벨소리가 일정수준을 넘어서거나 벨소리를 일정횟수 출력한 후 사용자의 반응이 없으면 벨소리모드가 진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구비되어 있을 때이다. 이 때에는 측정된 음압이 너무커 휴대전화기로 이를 실현할 수 없거나 벨소리를 출력해도 사용자가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라면 미리 진동모드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에는 도 4의 S450 단계에서 벨소리레벨을 변경하는 대신 착신모드를 진동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이외에도 일정시간이 흐른 후에 벨소리모드가 진동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게 하는 것도 사용자가 소음이 심한 곳에 있을 경우에는 효과적이다.
벨소리레벨의 변환에 따른 변경전과 변경 후를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a는 상기 단계 S400에서의 현재유지상태의 화면예를 보여주고 도 5b는 상기과정을 걸쳐 변경된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함양하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으로 인한 주변환경 속에서도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휴대전화기의 수신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의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하여 사용자에게 안정된 수신상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어부와 무선회로부와 연결되어 무선회로부로부터 호신호가 있게 되면 마이크와 연결된 센서부로부터 소음의 아날로그데이터를 받아 이에 따른 소음도를 인지하고 산출된 음압정보를 전송하는 프로세서와, 휴대전화기가 위치해 있는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센서부와, 센서부가 전송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부와, 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감지된 소음의 평균적인 데시벨의 수치를 산출하는 정량화작업을 수행하는 정량화 처리부를 포함하며, 휴대전화기가 현재 위치해 있는 장소의 소음도를 측정하여 음압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음압처리부와,
    음압처리부에 의해 산출된 음압에 따라 벨소리 또는 진동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가진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음압처리부로부터의 주변 소음도에 관한 정보로부터 주변 소임이 일정이상의 소음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현재의 착신벨레벨설정을 유지하고 산출값이 일정이상의 소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벨소리모드를 진동모드로 변경하며, 일정시간 벨소리가 출력된 후에 사용자의 응답명령이 없을 때는 벨소리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압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를 제공하는 휴대전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82423A 2001-12-21 2001-12-21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KR10042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23A KR100420684B1 (ko) 2001-12-21 2001-12-21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423A KR100420684B1 (ko) 2001-12-21 2001-12-21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455A KR20030052455A (ko) 2003-06-27
KR100420684B1 true KR100420684B1 (ko) 2004-03-02

Family

ID=2957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423A KR100420684B1 (ko) 2001-12-21 2001-12-21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1730B2 (en) 2013-05-09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ication of message reception according to property of received mess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892B1 (ko) * 2002-08-27 2009-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27445B1 (ko) * 2006-09-15 2013-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착신 알림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05A (ja) * 1996-07-22 1998-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呼び出し音自動調整装置
KR20000026419A (ko) * 1998-10-20 2000-05-15 전선규 휴대폰의 착신 모드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60650A (ko) * 1999-03-18 2000-10-16 구계숙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호작용에 의한 착신모드 제어 방법
KR20010008937A (ko) * 1999-07-06 2001-02-05 윤종용 호출음 출력레벨 자동조절 및 호출방식 자동전환방법
KR20010011199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경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05A (ja) * 1996-07-22 1998-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呼び出し音自動調整装置
KR20000026419A (ko) * 1998-10-20 2000-05-15 전선규 휴대폰의 착신 모드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60650A (ko) * 1999-03-18 2000-10-16 구계숙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호작용에 의한 착신모드 제어 방법
KR20010008937A (ko) * 1999-07-06 2001-02-05 윤종용 호출음 출력레벨 자동조절 및 호출방식 자동전환방법
KR20010011199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경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1730B2 (en) 2013-05-09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ication of message reception according to property of received message
US11050889B2 (en) 2013-05-09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ication of message reception according to property of received mes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455A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JP2009296294A (ja) 通信端末装置
KR100420684B1 (ko)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TW200428861A (en) Method for managing a calling in on a cellular phone
JP3389916B2 (ja) おやすみモード付き携帯電話端末および方法
JP2002319997A (ja) 携帯電話機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200600601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JP4972886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30073328A (ko) 지정시간동안 벨소리/진동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방법과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
JPH10290282A (ja) ハンズフリー制御回路
JP4136927B2 (ja) 端末装置
KR101604869B1 (ko) 수신 음량의 변화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087397A (ja) 録音装置及び携帯型無線通信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2004080616A (ja) 携帯電話機の振動検知による鳴動音量制御方式とその方法
KR100208763B1 (ko) 전화단말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전화수신방법
KR2007006734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 모드 진행시 수신정보 알림방법
KR200400954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주변 소음 정도에 따른 진동모드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191200B1 (ko) 전화단말장치의 착신벨음량 원격제어방법
JP2008079054A (ja) オーディオ装置
KR20060075851A (ko) 착신 횟수에 따른 착신알림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8154179A (ja) 折畳式携帯電話装置
KR1007133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KR100614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톤 녹음 및 재생방법
KR0150235B1 (ko) 전화벨의 자동 음량 제어 회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