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505A - 센서용 커버유닛 - Google Patents

센서용 커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505A
KR20090022505A KR1020070087891A KR20070087891A KR20090022505A KR 20090022505 A KR20090022505 A KR 20090022505A KR 1020070087891 A KR1020070087891 A KR 1020070087891A KR 20070087891 A KR20070087891 A KR 20070087891A KR 20090022505 A KR20090022505 A KR 20090022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ver
cover unit
glass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08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505A/ko
Publication of KR2009002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등에 용접 장착되는 용접용 볼트나 너트 등의 사양 혹은 지그 상에 패널의 안착유무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류가 용접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스패터에 의한 오염이나 감지부품 등과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70087891
근접센서, 커버유닛, 커버 하우징, 보호 글라스

Description

센서용 커버유닛{A SENSOR COVER UNIT}
본 발명은 센서용 커버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등에 용접 장착되는 용접용 볼트나 너트 등의 사양 혹은 지그 상에 패널의 유무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류가 용접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스패터에 의한 오염이나 감지부품 등과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의 사양이나 특정위치에 부품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근접센서(100)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근접센서(100)는 보통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 리드형과 같이, 3가지 정도로 분류된다.
먼저, 상기 고주파 발진형은 금속을 감지하여 고주파의 미세한 전기신호를 방출하는데, 금속이 가까이 접근하면 금속자체에서 와전류가 형성되어 전기신호에 손실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금속을 감지하는 것으로, 감지거리는 센서의 직경에 따라 2mm~20mm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정전 용량형은 분극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센서에서 (+) 신호를 방출하면, 물체의 정전유도현상에 의해 (-) 신호가 유기되어 (+) 신호가 (-) 로 이동하면서, 방출하는 (+)는 (-)로 바뀌는데, 이 신호를 잡아서 감지한다.
또한, 상기 자기 리드형은 디지털 출력일 경우, 자석으로 접점을 붙여다 떼었다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근접센서에서, 특히,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몸체(101)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N)이 가공되고, 몸체(101)의 전단에는 감지부(103)를 형성하며, 몸체(101)의 후단에는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105)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1)의 나사산(N)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111) 등에 형성되는 장착 브라켓(113)에 몸체(101)를 끼운 상태로 체결하기 위한 2개의 장착용 너트(107)가 체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근접센서(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111)의 일측에 체결된 장착 브라켓(113)에 그 몸체(101)를 끼운 상태로, 장착 브라켓(113)의 상면과 하면에 대하여 상기 너트(107)를 체결하여 장착되며, 패널(109) 등의 금속재 부품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기 등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근접센서는 그 몸체와 감지부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로 지그 등에 설치되어 특히, 용접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스패터나 감지부품 등과의 간섭에 의해 쉽게 오염되거나 파손되어 그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 등에 용접 장착되는 용접용 볼트나 너트 등의 사양 혹은 지그 상에 패널의 안착유무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류가 용접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스패터에 의한 오염이나 감지부품 등과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서용 커버유닛은 센서의 몸체를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커버관를 구성하고, 상기 커버관의 전방 내주면을 따라서는 글라스 홈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관의 양측 절개단에는 각각 슬롯을 갖는 체결판을 구성하여 상기 체결판을 통하여 장착 브라켓에 체결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커버 하우징의 글라스 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원형의 보호 글라스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그 커버관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센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체결판은 양측 절개단에 하나씩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롯은 상기 체결판 단면상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씩 형성되며, 상기 보호 글라스는 상기 투명한 유리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센서용 커버유닛에 의하면, 커버 하우징을 통하여 근접센서 몸체의 외부를 감싸며, 보호 글라스를 커버 하우징에 끼워 감지부를 보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 등에 용접 장착되는 용접용 볼트나 너트 등의 사양 혹은 지그 상에 패널의 안착유무 등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근접센서의 감지부가 용접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스패터로부터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여 감지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패널, 볼트, 너트 등의 감지부품 등과의 경미한 간섭에도 몸체가 파손을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그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커버유닛이 적용된 지그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커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커버유닛(1)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센서(10)를 끼워서 설치한 상태로, 장착 브라켓(3)을 통하여 지그(5)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근접센서(10)가 지그(5)에 안착되는 패널(7)의 일측을 감지할 수 있도록 위치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커버유닛(1)의 구성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커버 하우징(11)과 보호 글라스(13)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커버 하우징(11)은 상기 근접센서(10)의 몸체(21)를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커버관(15)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관(15)은 그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그 절개된 양측 절개단에는 각각 사각의 체결판(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3)에 끼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양측 체결판917)은 그 커버관(15)의 양측 절개단에 하나씩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용접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판재를 절곡시켜 커버관(15)과 양측 체결판(17)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방식으로 커버관(15)과 양측 체결판(17)이 상호 용접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체결판(17)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각각의 단면상에 2개씩의 슬롯(S)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S)은 상기 각 체결판(17)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동일한 위치에 하나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11)은 그 커버관(15)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근접센서(10)의 몸체(21)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N)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19)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하우징(11)의 커버관(15) 전방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서 일정폭의 글라스 홈(18)을 형성하는데, 상기 글라스 홈(18)에는 상기한 원형의 보호 글라스(13)가 끼워져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글라스 홈(18)은 그 폭이 상기 보호 글라스(13)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 글라스(13)는 투명한 유리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호 글라스(1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센서용 커버유닛(1)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11)의 양측 체결판(17)을 벌려서 커버관(15)의 내부 글라스 홈(18)에 보호 글라스(13)를 끼우고, 상기 커버관(15)의 후방으로부터 근접센서(10)를 끼워 근접센서(10)의 감지부(23)가 상기 보호 글라스(13)에 대응하도록 장착한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10)는 그 외주면의 나사산(N)이 커버관(15)의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9)에 걸려 전후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커버 하우징(11)은 그 양측 체결판(17) 사이에 장착 브라켓(3)의 일측이 위치되도록 하여 각 슬롯(S)을 통하여 장착 브라켓(3)에 볼트(25)와 너트(27)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1)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3)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장착 브라켓(3)의 타측을 통하여 상기 지그(5)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근접센서(10)가 보호 글라스(13)를 통하여 패널(7) 등에 용접 장착되는 용접용 볼트나 너트 등의 사양 혹은 지그(5) 상에 패널(7)의 안착유무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10)는 그 감지부(23)가 보호 글라스(13)에 의해 용접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스패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며, 패널(7), 볼트 등의 부품에 의해 간섭되는 경우에도 커버 하우징(11)이 근접센서(10)의 몸체(21)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근접센서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근접센서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커버유닛이 적용된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커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용 커버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Claims (7)

  1. 센서의 몸체를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커버관를 구성하고, 상기 커버관의 전방 내주면을 따라서는 글라스 홈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관의 양측 절개단에는 각각 슬롯을 갖는 체결판을 구성하여 상기 체결판을 통하여 장착 브라켓에 체결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커버 하우징의 글라스 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원형의 보호 글라스를 포함하는 센서용 커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그 커버관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센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은
    양측 절개단에 하나씩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체결판 단면상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홈은
    그 폭이 상기 보호 글라스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글라스는
    투명한 유리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글라스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용 커버유닛.
KR1020070087891A 2007-08-30 2007-08-30 센서용 커버유닛 KR20090022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91A KR20090022505A (ko) 2007-08-30 2007-08-30 센서용 커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91A KR20090022505A (ko) 2007-08-30 2007-08-30 센서용 커버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505A true KR20090022505A (ko) 2009-03-04

Family

ID=4069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891A KR20090022505A (ko) 2007-08-30 2007-08-30 센서용 커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5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94A1 (ko) * 2014-06-27 2015-12-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이물질 방지 장치
KR20220060252A (ko) * 2020-11-04 2022-05-11 김석환 절토면 내부의 토사 유동 센싱을 위한 옹벽 그리드 시스템
WO2023006163A1 (de) * 2021-07-27 2023-02-02 MICRO-EPSILON-MESSTECHNIK GmbH & Co. K.G. Sensor und system mit einem sensor und einer befestigungseinrichtu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94A1 (ko) * 2014-06-27 2015-12-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이물질 방지 장치
KR20160001440A (ko) * 2014-06-27 2016-01-0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이물질 방지 장치
US10260938B2 (en) 2014-06-27 2019-04-16 Hanwha Land Systems Co., Ltd. Foreign substance prevention apparatus
KR20220060252A (ko) * 2020-11-04 2022-05-11 김석환 절토면 내부의 토사 유동 센싱을 위한 옹벽 그리드 시스템
WO2023006163A1 (de) * 2021-07-27 2023-02-02 MICRO-EPSILON-MESSTECHNIK GmbH & Co. K.G. Sensor und system mit einem sensor und einer befestigungsein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8281B2 (ja) 高電圧検出器
US6617845B1 (en) Proximity sensor resistant to environmental effects
US8689628B2 (en) Dust-proof structure for measuring tool
US7475606B2 (en) Load cell
ATE300774T1 (de) Optoelektronische eindringalarm-vorrichtung
JP2006052744A (ja)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取付機構
KR20090022505A (ko) 센서용 커버유닛
JP2020073936A5 (ja) 検出装置
JP2011112510A (ja) 電流検出装置
US20210231462A1 (en) Encoder
KR100875876B1 (ko) 센서용 커버유닛
JP2001174208A (ja) 可動物体の位置を検出するための磁場センサ
KR20150047237A (ko)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US20160164576A1 (en) Method and plug-in connection for informing a process control center about a sensor being disconnected from a measuring transducer
JP4388059B2 (ja) 塗装面アース検査装置の異常検知装置
KR20160041763A (ko) 스위치
US20220094359A1 (en) Proximity sensor
JP5570454B2 (ja) サイドスタンドの位置検出装置
JP2007127364A (ja) 空気調和機のセンサ固定装置
TW202122738A (zh) 流體壓力缸
KR20190021654A (ko) 용접작업용 센서 커버 자동개폐 장치
JP7256974B2 (ja) 移動体検出装置
KR102091430B1 (ko) 센서 홀더
KR102272707B1 (ko) 오링 검사장치
AU2013400005B2 (en) Shock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