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237A -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 Google Patents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237A
KR20150047237A KR1020130127049A KR20130127049A KR20150047237A KR 20150047237 A KR20150047237 A KR 20150047237A KR 1020130127049 A KR1020130127049 A KR 1020130127049A KR 20130127049 A KR20130127049 A KR 20130127049A KR 20150047237 A KR20150047237 A KR 2015004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cage
pipe
cylinder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룡
Original Assignee
이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룡 filed Critical 이기룡
Priority to KR102013012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237A/ko
Publication of KR2015004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5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with provision for safeguarding the apparatus, e.g. against abnormal operation, against breakdow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Abstract

본 발명은 콘트롤러의 하단에 형성된 포스트 파이프(post pipe)에 플로트를 설치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따라 평행하게 추가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와; 스크린 판 소재로 된 두개의 대칭 반원통으로서, 상기 반원통 양측단에는 원통으로 조립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중심 반원홈과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측심 반원홈이 형성되어, 상기 반원통 내부에 상기 플로트를 넣고, 상기 중심 반원홈을 포스트 파이프에 끼우고, 측심 반원홈을 가이드 파이프에 끼운 후 상기 반원통을 서로 합치시켜 원통으로 조립시킨 플로트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위레벨센서의 플로트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레벨을 직접 측정하는 플로트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 안정성을 높이고, 수위 레벨에서의 노이즈를 방지하여 측정 정확성을 높이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Float protection type water level detecting sensor}
본 발명은 콘트롤러의 하단에 형성된 포스트 파이프(post pipe)에 플로트를 설치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따라 평행하게 추가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와; 스크린 판 소재로 된 두개의 대칭 반원통으로서, 상기 반원통 양측단에는 원통으로 조립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중심 반원홈과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측심 반원홈이 형성되어, 상기 반원통 내부에 상기 플로트를 넣고, 상기 중심 반원홈을 포스트 파이프에 끼우고, 측심 반원홈을 가이드 파이프에 끼운 후 상기 반원통을 서로 합치시켜 원통으로 조립시킨 플로트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위레벨센서의 플로트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위레벨센서는 콘트롤러의 하단에 형성된 포스트 파이프(post pipe)에 플로트를 설치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서, 상기 플로트에 설치되는 전자기적 장치에 따라 정전식, 자기식, 기계식, 초음파식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형식을 사용하는 수위레벨센서로는 선출원번호 2019960062105, 선등록번호 2004534800000, 선등록번호 2002223430000, 선등록번호 1003567310000 선등록번호 1007949450000, 선등록번호 1006755420000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들의 공통점으로서는 레벨을 직접 측정하는 플로트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 안정성을 높이고, 수위 레벨에서의 노이즈를 방지하여 측정 정확성을 높이는데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현재에도 계속되어 플로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레벨 측정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노력의 연장으로서, 레벨을 직접 측정하는 플로트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 안정성을 높이고, 수위 레벨에서의 노이즈를 방지하여 측정 정확성을 높이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트롤러의 하단에 형성된 포스트 파이프(post pipe)에 플로트를 설치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따라 평행하게 추가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와; 스크린 판 소재로 된 두개의 대칭 반원통으로서, 상기 반원통 양측단에는 원통으로 조립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중심 반원홈과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측심 반원홈이 형성되어, 상기 반원통 내부에 상기 플로트를 넣고, 상기 중심 반원홈을 포스트 파이프에 끼우고, 측심 반원홈을 가이드 파이프에 끼운 후 상기 반원통을 서로 합치시켜 원통으로 조립시킨 플로트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위레벨센서의 플로트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로트 케이지는 상호 합치되는 반원통의 가장자리에 나사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하여 나사 체결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로트 케이지는 내부에 상기 포스트 파이트를 관통하여 체결된 큐션을 형성하여 상기 플로트와 플로트 케이지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레벨을 직접 측정하는 플로트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 안정성을 높이고, 수위 레벨에서의 노이즈를 방지하여 측정 정확성을 높이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플로트 케이지를 형성시키는 반원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트 케이지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트 케이지 부분의 단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플로트 케이지를 형성시키는 반원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트 케이지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트 케이지 부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트롤러(1)와 포스트 파이프(2)(post pipe)와 가이드 파이프(10)와 대칭 반원통(200)으로서 중심 반원홈(204)과 측심 반원홈(205)이 형성된 플로트 케이지(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레벨센서로서, 일반적인 수위레벨센서는 콘트롤러(1)의 하단에 플로트(40)가 설치된 포스트 파이프(2)(post pipe)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플로트(4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트(40)를 하우징시키는 플로트 케이지(20)(cage)를 형성시키되, 상기 플로트 케이지(20)가 플로트(40)의 기능 수행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외부의 전자기적 노이즈 및 물리적 방해물을 제거시키게 형성된다.
먼저, 상기 플로트 케이지(20)가 상기 플로트(40)의 기능 수행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은 상기 플로트 케이지(20)가 상기 플로트(40)의 구동 거리를 포함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상기 플로트(40)와 함께 이동되는 안내 경로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플로트(40)를 전자기적 노이즈와 물리적 방해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은 상기 플로트 케이지(20) 표면에 스크린(203)을 형성시켜 플로트 케이지(20) 내부를 전자기적으로 안정시키고, 슬러지 등과 같은 물리적 방해물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함께 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파이프(10)는 상기 포스트 파이프(2)를 따라 평행하게 추가 설치된 파이프이다.
상기 평행 설치를 위하여 가이드 파이프(10)와 포스트 파이프(2)를 평행 결합시키는 클립(100)을 중간 중간 설치한다.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린(203) 판 소재로 된 반원통(200) 두개를, 서로 마주보게 합치하여 형성시킨 원통 케이스인데, 표면에 스크린(203)이 형성되어 외부 오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물이 내부에 차게 되므로 내부에서도 수위 측정이 가능하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 케이지(20)의 양측단 중심축에는 상기 포스트 파이프(2)를 관통시키는 중심홀(240)이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 케이지(20) 양측단 측심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10)를 관통시키는 측심홀(2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홀(240)에 포스트 파이프(2)를 관통시키고, 상기 측심홀(250)에 상기 가이드 파이프(10)를 관통시켜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를 수위레벨센서가 완성된 상태에서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를 반원통을 조립하여 형성시키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홀(240)과 측심홀(250)은 상기 반원통(200)의 양측단에 중심 반원홈(204)과 측심 반원홈(205) 상태로 형성되어 원통으로 조립시에 중심홀(240)과 측심홀(250)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반원통 내부에 보호 대상물인 플로트(40)를 넣고, 상기 중심 반원홈(204)을 포스트 파이프(2)에 끼우고, 측심 반원홈(205)을 가이드 파이프(10)에 끼운 후 다른 반원통을 합치시켜 원통으로 조립시킨다.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는 반원통(200)을 상호 합치시켜 원통 케이스로 만드는 것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를 형성시키는 반원통(200)의 가장자리에는 나사홀(202)이 형성된 플랜지(201)를 형성하여 나사(202-1) 체결로 원통 조립이 완성될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플로트 케이지(20)에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포스트 파이프(2)를 관통하여 체결된 큐션(30)을 형성하여 상기 플로트(40)와 플로트 케이지(20)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를 상기 플로트(40)의 구동 거리를 포함하는 길이로 형성시키거나, 상기 플로트(40)와 함께 이동되는 안내 경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는 고정형 또는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형으로 형성시켜 플로트(40)의 기능에 방해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플로트 케이지(20)는 스크린(203)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는 원통체이므로 금속으로 형성하면 내부 정전위가 외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수조 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적 노이즈에 대해 보호받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203)으로 형성되므로 유체의 출입은 자유롭게 형성되어 내부 플로트(40)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외부 이물질이 플로트(40)로 접근하는 것을 미리 차단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40)는 상기 플로트 케이지(20)에 의하여 전자기적 노이즈와 물리적 방해물로부터 보호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200 : 반원통
20 : 플로트 케이지
202 : 나사홀
201 : 플랜지
202-1 : 나사
1 : 콘트롤러
2 : 포스트 파이프
10 : 가이드 파이프
204 : 중심 반원홈
205 : 측심 반원홈

Claims (3)

  1. 콘트롤러의 하단에 형성된 포스트 파이프(post pipe)에 플로트를 설치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따라 평행하게 추가 설치된 가이드 파이프와;
    스크린 판 소재로 된 두개의 대칭 반원통을 합치하여 형성시킨 원통 케이스로서, 상기 반원통 양측단에는 원통으로 조립시 상기 포스트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중심 반원홈과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측심 반원홈이 형성되어,
    상기 반원통 내부에 상기 플로트를 넣고, 상기 중심 반원홈을 포스트 파이프에 끼우고, 측심 반원홈을 가이드 파이프에 끼운 후 상기 반원통을 서로 합치시켜 중심홀과 측심홀을 형성시키면서 원통으로 조립시킨 플로트 케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위레벨센서의 플로트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케이지는
    상호 합치되는 반원통의 가장자리에 나사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하여 나사 체결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케이지는
    내부에 상기 포스트 파이트를 관통하여 체결된 큐션을 형성하여 상기 플로트와 플로트 케이지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KR1020130127049A 2013-10-24 2013-10-24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KR20150047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049A KR20150047237A (ko) 2013-10-24 2013-10-24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049A KR20150047237A (ko) 2013-10-24 2013-10-24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37A true KR20150047237A (ko) 2015-05-04

Family

ID=5338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049A KR20150047237A (ko) 2013-10-24 2013-10-24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72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3982A (zh) * 2018-10-09 2019-01-15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缓冲托盘的液位传感器
KR102007527B1 (ko) * 2019-03-26 2019-10-21 (주)혜성티앤시 수위감지장치
KR102208778B1 (ko) 2020-08-24 2021-01-28 대한센서 주식회사 배수 레벨 센서
KR102416204B1 (ko) * 2021-04-21 2022-07-05 주식회사 코스모테크 리드식 수위계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3982A (zh) * 2018-10-09 2019-01-15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缓冲托盘的液位传感器
CN109203982B (zh) * 2018-10-09 2023-09-08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缓冲托盘的液位传感器
KR102007527B1 (ko) * 2019-03-26 2019-10-21 (주)혜성티앤시 수위감지장치
KR102208778B1 (ko) 2020-08-24 2021-01-28 대한센서 주식회사 배수 레벨 센서
KR102416204B1 (ko) * 2021-04-21 2022-07-05 주식회사 코스모테크 리드식 수위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6124T3 (es) Sensor de flujo electromagnético
KR20150047237A (ko)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BRPI0701248A (pt) sistema eletromagnético rebocado de baixo ruìdo para exploração de subsuperfìcie
RU201613720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наживки, в частности, наживки для грызунов
US9810563B2 (en) Flow meter having electronic enclosure assembly
CN101901666B (zh) 磁化组件
US6993968B2 (en) Liquid level sensing apparatus
US9645005B2 (en) Liquid level detector
KR101491416B1 (ko) 자기누설 피그
CN1210971A (zh) 电磁流量探测头
US7982453B2 (en) Magnetorestrictive distance measuring device
KR102200583B1 (ko) Mfl 배관 검사장치
US20120001623A1 (en) Sensor with laser welded cover
RU2684399C1 (ru) Фиксатор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с вмонтированным в него устройством обнаружения местонахождения
US9772214B2 (en) Liquid level detector
KR101642692B1 (ko) 광섬유 격자센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진단 시스템
US10969295B2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and water leakage detector
KR20130058357A (ko) 초음파 누유 검출기
CN105987728B (zh) 电磁流量计
CN210570740U (zh) 一种传感器安装结构
KR101711885B1 (ko) 스탠드 파이프 보호 캡
KR200467429Y1 (ko)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KR101889810B1 (ko) 거리조정부재를 구비한 상부보호공 일체형 동력판넬 전선관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58965B1 (ko) 시추공 지진계를 기 설정된 방위각으로 시추공 내에 설치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추공 지진계의 설치 방법
KR20150131439A (ko) 압력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