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29Y1 -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 Google Patents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29Y1
KR200467429Y1 KR2020120007603U KR20120007603U KR200467429Y1 KR 200467429 Y1 KR200467429 Y1 KR 200467429Y1 KR 2020120007603 U KR2020120007603 U KR 2020120007603U KR 20120007603 U KR20120007603 U KR 20120007603U KR 200467429 Y1 KR200467429 Y1 KR 200467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sensor
unit
housing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전기
Priority to KR2020120007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 F04D15/0236Lack of liquid level being detected by analysing the parameters of the electric drive, e.g.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27Varying behaviour or the very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 공간에 펌핑 유닛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고 상기 펌핑 유닛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배출 파이프와, 상기 물의 수위 정보에 따라 상기 펌핑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펌핑 제어부를 구비하는 본체 유닛;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배출 파이프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양단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도록 형성하는 고정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위 감지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물의 수위를 근거로 상기 수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펌핑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SUBMERGED PUMP CONTROLLING WATER LEVEL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측정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모터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물은 사람의 신체활동, 농업, 축산업, 어업 및 산업 등에서 필수적인 원재료로 이용되지만 불필요하게 많이 발생 되거나 공급되면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천재지변으로 인한 수해의 발생 시 농경지, 주택 및 도로 등이 침수될 수 있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물 배관이나 물탱크의 파손 시 산업장비의 침수로 인한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상치 못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다량의 물이 공급되거나 발생하는 경우, 강제적인 배수를 통해 침수 피해를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위 센서로 수중펌프 주위의 수위를 측정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 수위의 측정 시, 일정 영역의 물을 다른 영역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중펌프가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수중펌프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Sensor)와, 수위 센서를 통해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장치가 수중펌프와 구분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중펌프의 설치 시, 수중펌프, 수위 센서 및 센서 제어장치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다시 연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뿐 아니라 수중펌프의 위치를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장치들을 분리 -> 이동 -> 재설치 -> 재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으로 수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설치 및 연결이 필요없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는, 내부 공간에 펌핑 유닛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고 상기 펌핑 유닛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배출 파이프와, 상기 물의 수위 정보에 따라 상기 펌핑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펌핑 제어부를 구비하는 본체 유닛;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배출 파이프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양단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도록 형성하는 고정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위 감지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물의 수위를 근거로 상기 수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펌핑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핑 유닛은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물을 상기 배출 파이프로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 및 상기 펌핑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펌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정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정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그의 외면에서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이프는, 일 단부가 상기 제 1 슬리브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 2 슬리브에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고정 파이프에는,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물의 수위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수위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펌핑 제어부가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회로기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관련된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에 의하면, 수위 감지 유닛과 정보 생성부가 수중펌프에 통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수중펌프의 설치 및 이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위 감지 유닛의 수위 센서를 고정 막대, 고정 파이프 및 체결구 등으로 형성되는 고정 유닛으로 하우징 또는 배출 파이프의 외면에 고정함으로써, 수중펌프의 설치, 이동 및 침수 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수위 센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100)의 내·외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되는 고정 유닛(132)의 정면도 및 결합구(132b)와 걸쇠(132c)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확대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고정 유닛(132)이 제 1 슬리브(111a) 및 제 2 슬리브(111b)와 결합·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32)이 수위 표시부(115)를 기초하여 길이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32)이 외면에 절개부를 가지는 고정 파이프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위 센서(131)가 삽입 및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32)이 밴딩 체결구(135)로 형성되어 배출 파이프(113)의 외면에서 수위 센서(131)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위 조절기능을 가지는 수중펌프(1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100)의 내·외부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중펌프(100)는 본체 유닛(110), 수위 감지 유닛(130), 및 정보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유닛(110)은, 하우징(111), 펌핑 유닛(112), 배출 파이프(113), 펌핑 제어부(114), 및 수위 표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높이 방향(H)을 따라 브라켓(211), 프레임(311), 및 케이싱(4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브라켓(211)과 프레임(311), 및 케이싱(411)과 프레임(311)이 각각 접촉하는 부분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 1 슬리브(111a), 및 제 2 슬리브(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펌핑 유닛(112)은, 흡입구(112a), 임펠러(112b), 및 모터(112c)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2a)는, 높이 방향(H)을 따라 케이싱(411)의 저면에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12b)는, 케이싱(4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구동축을 통해 프레임(3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모터(112c)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113)는, 일 단부가 케이싱(411)의 일 측과 연통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111)의 높이 방향(H)을 따라 연장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단부 및 상기 타 단부 사이의 일 지점은 굴곡 형성될 수 있다.
펌핑 제어부(114)는, 프레임(311) 또는 브라켓(2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모터(112c)와 연결될 수 있다.
수위 표시부(115)는, 프레임(311)의 외면에 높이 방향(H)을 따라 연장설치되며, 물의 수위에 대응하는 수치 또는 문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 유닛(130)은, 복수 개의 수위 센서(131) 및 고정 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센서(131)는, 하우징(111)의 외부에 노출되는 케이블(131b)과 케이블(131B)의 일 단에 설치되는 정전 센서(131a)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31b)의 타 단은 브라켓(211)의 내부 공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유닛(132)은, 하우징(111)의 높이 방향(H)으로 연장설치될 수 있으며, 일 단부가 제 1 슬리브(111a)에, 타 단부가 제 2 슬리브(111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131)와 접촉하는 일 면에는 높이 방향(H)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체결구(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150)는, 브라켓(2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수위 센서(131) 및 펌핑 제어부(1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중펌프(100)의 작동 과정을 각각의 장치들의 관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수중펌프(100)가 설치되는 지점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물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에는 흡입구(112a)를 통해 케이싱(411)의 내부 공간까지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311)과 케이싱(411)은 서로 독립적인 공간으로 존재할 수 있고, 서로 접촉하는 일 면은 방수처리되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모터(112c) 및 펌핑 제어부(114)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물이 수위 센서(131)의 정전 센서(131a)와 접촉할 수 있다. 정전 센서(131a)는 정전방식으로 작동되며 2개 이상의 정전 센서(131a)가 물에 침수되는 경우, 그에 대한 측정 결과를 정보 생성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 케이블(131b)로 연결되는 3개의 정전 센서(131a)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최하단에 위치하는 정전 센서(131a)는 상시적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고 나머지 2개의 정전 센서(131a)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물의 수위가 높아져 3개의 정전 센서(131a) 중 하우징(111)의 저면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정전 센서(131a)가 모두 물과 접촉하면, 상시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최하단의 정전 센서(131a)가 물을 매개체로 하여 상측의 정전 센서(131a)에 전류를 통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정전 센서(131a)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정전 센서(131a)에 전류가 흐를 경우, 정보 생성부(150)는 모터(112c)의 동작을 요청하는 수위 정보를 생성하여 펌핑 제어부(114)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위 센서(131)가 2개의 정전 센서(131a)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2개의 정전 센서(131a)가 모두 물속에 침수되어 2개의 정전 센서(131a)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정보 생성부(150)가 물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 센서(131a)의 수위 감지 방식은 물을 매개체로 하여 근접하는 정전 센서(131a)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전방식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평상시 모든 정전 센서(131a)에서 상시적으로 일정량의 전류를 방출하고 정전 센서(131a)와 물이 접촉하는 경우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는 정전용량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위 센서(131)는 고정 유닛(132)을 통해 하우징(111)의 외면에 고정됨으로써 침수 시, 물의 유동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중펌프(1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한 이동 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도면의 고정 유닛(132)은 하우징(111)의 외면에 구비되는 추가적인 구조로 형성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하우징(111)의 외면에 일체화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위 센서(131)와 접촉하는 일 면은 높이 방향(H)의 양 측면이 수위 센서(131)의 둘레를 일정 부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펌핑 제어부(114)는, 전송받은 수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연결되어 있는 모터(112c)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모터(112c)의 작동이 개시되면, 모터(112c)와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임펠러(112b)는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112b)의 회전 시, 케이싱(41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거나 하우징(111)의 저면에서 흡입구(112a)로 유입되는 물이 배출 파이프(113)를 통해 강제 배수될 수 있다. 임펠러(112b)의 회전은 배출 파이프(113)의 내부로 물을 지속적으로 밀어냄으로써 결과적으로 배출 파이프(113)를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지속적인 모터(112c)와 임펠러(112b)의 작동을 통해 수중펌프(100)와 접촉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물의 수위는 낮아지게 되고 수위 센서(131)의 정전 센서(131a)는 설치 높이에 따라, 높은 위치의 정전 센서(131a)부터 물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물과 접촉하지 않는 정전 센서(131a)는 더 이상 물을 매개로 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정보 생성부(150)는 이를 토대로 물의 수위를 판단하고 모터(112c)의 작동 중지를 요청하는 수위 정보를 생성해 펌핑 제어부(114)에 전송할 수 있다.
펌핑 제어부(114)는 전송받은 상기 수위 정보에 따라 모터(112c)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동작은 수위 센서(131)에서 감지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도면의 정보 생성부(150) 및 펌핑 제어부(113)는 개별적인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정보 생성부(150)와 펌핑 제어부(113)는 회로적으로 구현된 단일의 회로기판에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를 측정하고 수위에 따라 모터(112c)의 작동 및 중지를 요청하는 수위 센서(131) 및 정보 생성부(150)가 하우징(111)의 외면과 내부 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통합됨에 따라, 수중펌프(100)에 대한 설치 및 이동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되는 고정 유닛(132)의 정면도 및 결합구(132b)와 걸쇠(132c)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확대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위 센서(131)가 고정되는 고정 유닛(132)은 직경이 서로 다른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제 1 고정바(232), 제 2 고정바(332), 및 제 3 고정바(432)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직경의 크기는, 제 1 고정바(232) > 제 2 고정바(332) > 제 3 고정바(432) 순이며, 이에 따라 제 2 고정바(332)는 제 1고정바(232)에, 제 3 고정바(432)는 제 2 고정바(332)의 내부 공간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바(232, 332, 432)는 외면에 내부 공간과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결합구(132b)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일 측에는 결합구(132b)에 끼워지도록 걸쇠(132c)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걸쇠(132c)는, 고정바(232, 332, 432)의 내부 공간 일 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32d)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걸쇠(132c)를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32d)는, 걸쇠(132c)에 외부 힘이 작용하여 눌려지는 경우, 수축하여 걸쇠(132c)가 고정바(232, 332, 432)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팽창하여 걸쇠(132c)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작하는 걸쇠(132c)는, 각각의 고정바(232, 332, 432)가 근접하는 고정바(232, 332, 432)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바(232), 제 2 고정바(332), 및 제 3 고정바(432)가 최대 길이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 3 고정바(432)의 걸쇠(132c)는 제 2 고정바(332)의 최하단에 형성된 결합구(132b)에 끼워지고, 제 2 고정바(332)의 걸쇠(132c)는 제 1 고정바(232)의 최하단에 형성된 결합구(132b)에 끼워져 각각의 고정바(232, 332, 432)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바(232, 332, 432)의 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걸쇠(132c)를 눌러서 고정바(232, 332, 432)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고정바(232, 332, 432)를 근접하는 고정바(232, 332, 432)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다. 그리고, 걸쇠(132c)가 외부로 향하는 방향에 결합구(132b)를 위치시키면 내부 공간에 눌림되어 있던 탄성부재(132d)의 탄성에 의해 결합구(132b)에 돌출되어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바(232, 332, 432)는 길이 조절 가능한 3단으로 구성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 1 고정바 및 제 2 고정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험 및 공정조건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쇠(132c)는 외면에 수위 센서(131)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구(132a)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구(132a)는, 수위 센서(131)의 둘레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고, 양측면으로 각각 벌려져 수위 센서(131)를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걸쇠(132c)는 탄성부재(132d)를 고정바의 내부 공간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132e)를 더 포함하여 탄성부재(132d)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132a)는 C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실험 및 공정상황에 따라 V 형상, U 형상 및 Y 형상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도면의 결합구(132b) 및 걸쇠(132c)는, 체결구(132a)가 형성되는 고정바의 동일한 일 면에 형성되었지만, 이는 이해를 돕고자 도시한 것이다. 고정바에서 수위 센서(131)에 의해 결합구(132b) 및 걸쇠(132c)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위 센서(131)와 접촉하는 고정바의 일면을 기준으로 측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고정 유닛(132)이 제 1 슬리브(111a) 및 제 2 슬리브(111b)와 결합·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1)의 외면에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 1 슬리브(111a)에는 고정 유닛(132)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제 1 고정홈(111a)가, 제 2 슬리브(111b)에는, 고정 유닛(132)의 타 단부가 결합되는 제 2 고정홈(111b`)이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홈(111a`) 및 제 2 고정홈(111b`)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132)은, 전체 길이가 불변하는 고정 막대(133)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막대(133)의 일 면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정전 센서(131a)의 둘레를 복수 개의 체결구(132a)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막대(133)가 제 1 고정홈(111a`) 및 제 2 고정홈(111b`)에 고정되고 수위 센서(131)가 고정 막대(133)에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위 센서(131)가 하우징(111)에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외면과 고정 막대(133)가 이격 설치됨에 따라 하우징(11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유닛(132)이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고정 유닛(132)의 일 단부는 도 3의 고정 유닛(132)과 동일하게 제 1 고정홈(111a`)에 결합되어 고정되지만, 타 단부는 길이 조절되도록 제 2 고정홈(111b`)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유닛(132)이 길이 조절 가능한 다단으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 유닛(132)이 최대 길이 시, 제 1 고정홈(111a`) 및 제 2 고정홈(111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2)의 길이를 축소하는 경우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고정 유닛(132)의 단부가 상위 단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함으로써, 제 2 고정홈(111b`)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 유닛(132)의 일 단부는 분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32)이 수위 표시부(115)를 기초하여 길이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길이 조절 가능한 고정 유닛(132)에 수위 센서(131)가 고정되고, 고정 유닛(132)에 근접하는 하우징(111)의 외면에는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표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수중펌프(100)에 물이 유입되고 물의 수위가 높아져 수위 센서(131)와 접촉하게 되면 물의 수위 따라 자동으로 모터(112c)를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12c)의 동작을 결정하는 물의 수위에 대한 기준값은 정보 생성부(150) 또는 펌핑 제어부(114)에 설정될 수 있다. 기준값은 전기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주위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기준값의 변경을 요구되는 경우, 기존에는 정보 생성부(150) 또는 펌핑 제어부(114)를 조작해야 하지만, 본 고안은 수위 센서(131)의 위치를 변경하는 간단한 수동적인 조작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유닛(132)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근접하는 하우징(111) 외면에 물의 수위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되는 수위 표시부(115)가 설치된다. 따라서, 수위 표시부(115)를 통해 수위 센서(131)의 높이를 확인하며, 고정 유닛(132)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중펌프(100)의 모터(112c)가 동작하는 기준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유닛(132)에 고정되는 정전 센서(131a)들이 수위 표시부(115)에 표시되는 20, 내지 40에 각각 위치함에 따라, 물의 수위가 20 내지 30 사이에서 모터(112c)가 작동되는 수중펌프(100)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주위 환경(가뭄에 의한 물부족 등)에 의해 기준값을 상향시킬 필요로 인해 고정 유닛(132)의 길이를 수위 표시부(115)에 표시되는 수치와 대응되도록 10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수위 센서(131)는 고정 유닛(132)에 고정됨으로써 고정 유닛(132)의 길이가 줄어드는 것에 반비례해 수위 센서(131)의 높이는 10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수중펌프(100)보다 수위 센서(131)가 물과 접촉하는 높이가 10만큼 높아짐에 따라 모터(112c)의 작동 개시시간은 그만큼 줄어들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터(112c)의 작동에 대한 기준값이 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32)이 외면에 절개부를 가지는 고정 파이프(134)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위 센서(131)가 삽입 및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조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32)이 수위 센서(131)를 삽입 및 고정하도록 원통면의 일부분이 일정 간격(d1)만큼 높이 방향(E)으로 균일하게 절개되어 직사각형의 절개부를 가지는 고정 파이프(134)로 형성되어 하우징(111)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2)의 내부 공간에는 수위 센서(131)의 둘레를 감싸서 고정하도록 복수 개의 체결구(132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파이프(134)는 일 단 및 타 단이 개구로 형성되고 원통면이 절개됨으로써, 수중펌프(100)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고정 파이프(134)의 내부 공간에도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공간에 고정되는 수위 센서(131)는 물과 접촉하여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고정 파이프(134)의 내부 공간에 수위 센서(131)가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수중펌프(100)가 물에 잠기는 경우 물속에 포함되는 불순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32)이 밴딩 체결구(135)로 형성되어 배출 파이프(113)의 외면에서 수위 센서(131)를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32)은 수위 센서(131)를 배출 파이프(113)의 외면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밴딩 체결구(135)로 설치될 수 있다. 밴딩 체결구(135)는 일 단 및 타 단이 서로 연결되어 결합 및 쪼임되는 밴딩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위 센서(131)와 배출 파이프(113)의 전체 둘레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밴딩 체결구(135)는, 수위 센서(131)를 배출파이프에 고정함으로써, 수위 센서(131)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가 필요치 않게 되어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유닛(132)은 밴딩 체결구(135)로 형성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일 측에 형성되는 집게를 통해 대상물을 집어 고정하고 타 측은 배출 파이프(113)의 외면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집게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수중펌프 115: 수위 표시부
110: 본체 유닛 130: 수위 감지 유닛
111: 하우징 131: 수위 센서
112: 펌핑 유닛 131a: 정전 센서
112a: 모터 131b: 케이블
112b: 임펠러 132: 고정 유닛
113: 배출 파이프 132a: 체결구
114: 펌핑 제어부 150: 정보 생성부

Claims (13)

  1. 내부 공간에 펌핑 유닛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고 상기 펌핑 유닛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배출 파이프와, 상기 물의 수위 정보에 따라 상기 펌핑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펌핑 제어부를 구비하는 본체 유닛;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배출 파이프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양단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에 상기 센서를 수용하도록 형성하는 고정 파이프를 구비하는 수위 감지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물의 수위를 근거로 상기 수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펌핑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유닛은,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물을 상기 배출 파이프로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 및 상기 펌핑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펌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정전 방식으로 작동하는 정전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의 외면에서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 1 슬리브 및 제 2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이프는,
    일 단부가 상기 제 1 슬리브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 2 슬리브에 결합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7. 삭제
  8. 삭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이프에는,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부분이 형성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물의 수위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수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펌핑 제어부가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KR2020120007603U 2012-08-28 2012-08-28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KR200467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03U KR200467429Y1 (ko) 2012-08-28 2012-08-28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03U KR200467429Y1 (ko) 2012-08-28 2012-08-28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29Y1 true KR200467429Y1 (ko) 2013-06-12

Family

ID=5138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03U KR200467429Y1 (ko) 2012-08-28 2012-08-28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86U (ko) 2016-10-11 2018-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잠수펌프를 대체하기 위한 휴대용 이젝터 펌프
KR102492101B1 (ko) * 2022-06-11 2023-01-27 이경호 물탱크 배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811Y1 (ko) 2003-05-07 2003-07-31 김태호 다기능 소방동력 펌프의 수위 감지장치
KR101031683B1 (ko) 2004-06-30 2011-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물질측정용 레벨센서
KR20120043350A (ko) * 2010-10-26 2012-05-04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다단 수위감지 모듈
KR20120046193A (ko) * 2009-07-27 2012-05-09 터치센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레벨 감지 제어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811Y1 (ko) 2003-05-07 2003-07-31 김태호 다기능 소방동력 펌프의 수위 감지장치
KR101031683B1 (ko) 2004-06-30 2011-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물질측정용 레벨센서
KR20120046193A (ko) * 2009-07-27 2012-05-09 터치센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레벨 감지 제어기 및 방법
KR20120043350A (ko) * 2010-10-26 2012-05-04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다단 수위감지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86U (ko) 2016-10-11 2018-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잠수펌프를 대체하기 위한 휴대용 이젝터 펌프
KR102492101B1 (ko) * 2022-06-11 2023-01-27 이경호 물탱크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4787B2 (en) Combined oil level or condition sensor and sight oil level gage
EP28518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underground water
US9074587B2 (en) Energy efficient sewage pumping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variable frequency drive and method
US9964425B2 (en)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underground water
US11739549B2 (en) Smart pool skimmer with cloud-based pool monitoring system
JP6698928B2 (ja) 液面センサ装置及び自動給液システム
KR200467429Y1 (ko) 자동 수위 조절형 수중펌프
TW201411100A (zh) 水位檢測裝置
KR10182105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자동세척 수중센서
KR20150047237A (ko) 플로트 보호형 수위레벨센서
KR200476103Y1 (ko) 선박 기관실의 침수 경보장치
KR101362782B1 (ko) 수중펌프 제어장치
EP352921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perly orienting pool equipment
DE60237871D1 (de) Kapazitiver Flüssigkeitsfüllstandssensor für Unterwasserpumpen
CN109073476B (zh) 水位温度测定装置
US7193150B2 (en) Submersible pump cable with air line
KR102508775B1 (ko) 하수처리시설 중계펌프장의 수위계
EP4286758A1 (en) Sensor device and condensate water removal device
JP2004144570A (ja) 漏水監視センサ及び漏水監視システム
JP2005351826A (ja) 液面計
JP2000356541A (ja) 投げ込み式水位センサ
JPH11324972A (ja) 水中ポンプにおける電極式水位検出器の電極
JP2005282457A (ja) 水中回転機器用油中水分計
RU200312624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 нарушений в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й колонне
TWM448679U (zh) 液位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