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455A -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455A
KR20090022455A KR1020070087814A KR20070087814A KR20090022455A KR 20090022455 A KR20090022455 A KR 20090022455A KR 1020070087814 A KR1020070087814 A KR 1020070087814A KR 20070087814 A KR20070087814 A KR 20070087814A KR 20090022455 A KR20090022455 A KR 20090022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air
heating wire
guide me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귀
이상률
임연우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455A/ko
Publication of KR2009002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28Electric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시패널을 이용하여 설치한 송풍유니트와 발열유니트를 작동시켜 가열한 공기를 차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겨울철에 차 실내를 즉시 난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패널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각각 엔진룸 및 차실내에 장착된 모터 및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유니트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열선과, 상기 송풍유니트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전열선과 접촉하도록 상기 전열선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유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풍유니트와 발열유니트를 이용하여 가열시킨 공기로 겨울철에 차 실내를 즉시 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시패널, 송풍유니트, 발열유니트, 난방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AUXILIARY HEAT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시패널에 설치한 송풍유니트와 별도 조립체로 구비된 발열유니트에 의하여 가열한 공기를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하반신에 송풍시켜 즉시 난방하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겨울철 차량의 난방은, 엔진을 일정시간 워밍업시켜 가열된 냉각수가 히터코어를 가열하도록 하고, 히터코어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내·외기에 의하여 차 실내를 난방하고 있다.
상기한 차량 난방 방식에 의하면, 차 실내가 난방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차량 실내가 따뜻해 질 때까지 탑승자가 추위에 떨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겨울철 차량의 초기 난방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4-010674호의 "자동차 급속 난방장치"는, 공기를 차 실내로 공급하는 공조덕트 내에 차량의 전원장치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히터와,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조작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3-0073837호의 "자동차용 고속히터"는, 통 풍구의 가까운 곳에 위치하면서 에어덕트 내부에 설치된 열선과, 온도센서 전원의 연결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차 급속 난방장치" 및 "자동차용 고속히터"는, 공조덕트의 벤트 토출구에 조밀하게 설치된 전열선의 간섭을 받아 송풍량이 감소하고, 열전달 량의 부족을 초래하여 난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열선이 단락되면, 수리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유니트와 발열유니트를 대시패널에 설치하여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겨울철 차 실내를 즉시 난방하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열선이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의 내ㆍ외부를 공기의 가열과 순환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유니트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대시패널에 종ㆍ횡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열선이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단열 소재로 제작하여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패널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각각 엔진룸 및 차실내에 장착된 모터 및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유니트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열선과, 상기 송풍유니트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전열선과 접촉하도록 상기 전열선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유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유니트는,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성형된 덕트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권선된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유니트는, 상기 송풍팬과 전열선이 내장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 송풍팬 및 전열선과 인접한 위치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덕트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권선된 형태로 장착된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입구는, 가이드 부재의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다공부 및 안내날개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토출구는,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안내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대시패널에 종방향이나 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측 단부에 브라켓, 훅, 볼트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한 결합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유니트의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전열선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토출구에 의하여 확산되어 차 실내의 난방이 즉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대시패널에 발열유니트를 브라켓, 훅, 볼트 등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수리와 보수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팬에 의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를 단열재로 형성함으로써 화상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시패널에 설치한 송풍유니트와 별도 조립체로 구비되어 설치되는 발열유니트에 의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하반신에 가열공기를 송풍시켜 즉시 난방 함으로써 두한족열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발열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패널(8)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각각 엔진룸 및 차실내에 장착된 모터(2) 및 송풍팬(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유니트(10)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열선(14)과, 상기 송풍유니트(1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전열선(14)과 접촉하도록 상기 전열선(14)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유니트(16)를;
구비한다.
상기한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엔진과 별도로 작동되며, 겨울철 차 실내 난방을 빨리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상기한 송풍유니트(10)나, 발열유니트(16)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며, 전원의 단속은 난방 스위치(18)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방스위치(18)는 공조장치의 스위치와 별개로 설치되거나, 기존 스위치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상기한 송풍유니트(10)는, 대시패널(8)을 기준으로 모터(2)는, 엔진룸 측에 설치하여 소음이 차단되도록 하고, 송풍팬(6)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차 실내에 설치된다. 상기한 송풍유니트(10)는, 대시패널(8)의 주변 빈 공간을 이용함에 따라 설치가 어렵지 않고 간단하다.
또한, 상기 발열유니트(16)는, 상기 송풍팬(6)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성형된 덕트 형상의 가이드 부재(12)와, 상기 가이드 부재(12)의 외주면에 권선된 전열선(1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열유니트(16)는, 공기를 가열하는 전열선(14)에 송풍 공기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별도 조립체 로 구비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전열선(14)은, 고온에 견디고 저항률이 크며, 철사형태의 도체재료를 사용한 전선으로, 철과 크롬의 합금 또는 니켈과 크롬의 합금 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합금외에 텅스텐이나 백금의 저항선도 사용되며, 규화몰리브덴, 탄화규소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성형 소결한 저항발열체가 전열선으로 사용된다.
전열선의 사용온도는, 1000℃ 전후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전기로, 전기히터 등 다양한 전열기구에 사용된다.
상기한 전열선 난방은, 전열선이나 전열 온풍기에 의한 난방을 전열 난방이라고 하며, 이 난방 방식은 전기에 의한 전열선의 발열에 의한 방식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발열유니트(16-1)는, 도 1에 도시한 발열유니트(16)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열유니트(16)는, 상기 송풍팬(6)과 전열선(14)이 내장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 송풍팬(6) 및 전열선(14)과 인접한 위치에 공기 유입구(17) 및 공기 토출구(19)가 형성된 덕트 형상의 가이드 부재(12)와, 상기 가이드 부재(12)의 내부에 권선된 형태로 장착된 전열선(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공기 유입구(17)는, 가이드 부재(12)의 일측에 공기 유입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구(19)는, 도 3,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된 공기가 가이드 부재(12)에서 배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배출시 차 실내에 확산이 용이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안내날개로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발열유니트(16-2)는, 가이드 부재(12)의 일측에 공기 토출구(19)와, 타측에 공기 유입구(17)를 각각 형성하고 있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 유입구(17) 및 공기 토출구(19)에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안내날개를 형성하여 공기의 순환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발열유니트(16-2)는, 가이드 부재(12) 조립으로 내장이 되는 송풍팬(6)의 회전으로 공기 유입구(17)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전열선(14)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19)를 통해 차 실내로 배출되어 난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발열유니트(16-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6)이 내장되도록 대시패널(8)에 장착되는 조립관(22)과, 상기 조립관(22)에 종방향으로 연결 형성되고 양측에 배출구(24)를 형성한 연통관(26)과, 상기 연통관(26)의 내부에 발열되도록 설치되는 전열선(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조립관(22)의 공기 유입구(17)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열선(14)에 의하여 가열된 후 연통관(26)의 양측에 형성된 배출구(24)를 통해 차 실내로 배출되어 난방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발열유니트(16-1),(16-2)(16-3)는, 송풍팬(6)이 가이드 부재(12) 내부에 위치되도록 대시패널(8)에 설치된다. 이는 송풍팬(6) 주변에 구멍이나 안내날개 중 어느 하나로 공기 유입구(17)를 형성함으로써 송풍팬(6)의 회전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 부재(12)는, 단열재로 제작되어 사용 중 접촉되더라도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상기한 발열유니트(16-1),(16-2)(16-3)는, 장착성 향상이나, 가열 공기의 순환을 위해 대시패널(8)에 설치할 때 주위 공간에 알맞도록 설치 자세를 종방향이나 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2)는, 일측 단부에 대시패널(8)에 브라켓(도시생략), 볼트(28), 훅(30)(31)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한 결합방식을 통해 탈착이 용이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발열유니트(16-1),(16-2)(16-3)의 수리와 점검이 용이하다.
또한, 가이드 부재(12)는, 원통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겨울철에 차량 난방을 하고자 난방스위치(18)을 온(ON) 조작하면, 배터리의 전원은, 송풍유니트(10)의 모터(2)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발열유니트(16)의 전열선(14)을 발열시킨다.
상기한 모터(2)의 구동과 전열선(14)의 발열로, 송풍팬(6)에 의하여 송풍되는 송풍공기는, 발열하는 전열선(14)을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이렇게 가열된 온풍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차 실내는 신속히 난방이 된다.
한편, 볼트(28) 및 훅(30)(31) 등으로 대시패널(8)에 설치되는 발열유니트(16-1)(16-2)(16-3)를 이용한 난방은, 송풍팬(6)의 회전으로 공기 유입구(17)를 통해 가이드 부재(12)내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발열하는 전열선(14)에 의하여 가열되고 전열선(14)의 주변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19)를 통해 차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처럼 종방향으로 장착된 연통관(26)의 경우는 양측 배출구(24)를 통해 차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유니트(16-1)(16-2)(16-3)에서 차 실내로 배출된 가열공기는,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하반신에 송풍이 이루어져 즉시 난방 함으로써 두한족열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은, 겨울철 차량 실내의 난방을 엔진 구동없이 송풍유니트와 발열유니트를 통해 즉시 난방할 수 있어, 자동차 공조장치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발열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발열유니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발열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발열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종방향 장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모터(Motor) 6:송풍팬
8:대시패널(Dash Pannel) 10:송풍유니트
12:가이드 부재 14:전열선
17:공기 유입구 16,16-1,16-2,16-3:발열유니트
18:난방 스위치 19:공기 토출구
22:조립관 24:배출구
26:연통관 28:볼트(Bolt)
30,31:훅(Hook)

Claims (3)

  1. 엔진룸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패널(8)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각각 엔진룸 및 차실내에 장착된 모터(2) 및 송풍팬(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유니트(10)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열선(14)과, 상기 송풍유니트(1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전열선(14)과 접촉하도록 상기 전열선(14)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열유니트(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유니트(16)는,
    상기 송풍팬(6)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성형된 덕트 형상의 가이드 부재(12)와, 상기 가이드 부재(12)의 외주면에 권선된 전열선(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유니트(16)는,
    상기 송풍팬(6)과 전열선(14)이 내장 설치됨과 아울러 각각 송풍팬(6) 및 전열선(14)과 인접한 위치에 공기 유입구(17) 및 공기 토출구(19)가 형성된 덕트 형 상의 가이드 부재(12)와, 상기 가이드 부재(12)의 내부에 권선된 형태로 장착된 전열선(1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KR1020070087814A 2007-08-30 2007-08-30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KR20090022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14A KR20090022455A (ko) 2007-08-30 2007-08-30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14A KR20090022455A (ko) 2007-08-30 2007-08-30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55A true KR20090022455A (ko) 2009-03-04

Family

ID=4069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814A KR20090022455A (ko) 2007-08-30 2007-08-30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4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137B1 (ko) * 2011-06-28 2013-04-0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독립 난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137B1 (ko) * 2011-06-28 2013-04-04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독립 난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CN115320332A (zh) 一种液体加热驻车暖风系统、暖风集成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0326718A (ja) 自動車の車室内空調システム
JP4556182B2 (ja) アスピレータ取付構造
KR10153473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장치 및 방법
KR20090022455A (ko) 차량용 보조 난방장치
US20090020280A1 (en) Passenger compartment heating
CN215860441U (zh) 一种快速暖车装置
JP2008080850A (ja) 車両用暖房装置
US1853585A (en) Automobile heater
JPH0620113U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6327341A (ja) 電気ヒータ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0312550B1 (ko) 버스용 난방장치
JP5720982B2 (ja) ダッシュボード冷却システム
US20140151354A1 (en) Electrical heater for vehicle windshields and windows
JPS61263823A (ja) 車両用暖房装置
US1881492A (en) Vehicle heater
JPH0219597B2 (ko)
CN114347749A (zh) 采暖系统及车辆
RU409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обогрева сал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42499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ケース構造
KR20040061109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S63130421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333208Y1 (ko) 차량의 원격조정 난방장치
CA2802560C (en) Electrical heater for vehicle windshields and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