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118A -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 Google Patents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118A
KR20090022118A KR1020070087198A KR20070087198A KR20090022118A KR 20090022118 A KR20090022118 A KR 20090022118A KR 1020070087198 A KR1020070087198 A KR 1020070087198A KR 20070087198 A KR20070087198 A KR 20070087198A KR 20090022118 A KR20090022118 A KR 2009002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tical pickup
base
bobbin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열
박관우
김재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118A/ko
Publication of KR2009002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그네트(34)가 설치되는 요크(32)가 구비되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의 표면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34)와 상호작용하는 코일이 권선되며, 대물렌즈(42)가 설치되는 보빈(40)과; 상기 베이스(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50)과; 상기 프레임(50)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40)을 상기 베이스(30) 상에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스프링(46)과; 상기 프레임(50)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연결 고정되는 관통공(63)이 형성되는 유동부(62)와 상기 프레임(50)에 고정되는 고정부(61)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62)와 고정부(61)의 사이에 절개슬릿(64)이 형성되는 프레임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을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발생하는 부공진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픽업, 액츄에이터, 대물렌즈

Description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Actuator for optical pickup and Fixing method for frame circuit of actuator for optical pickup}
본 발명은 광픽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이 대물렌즈를 통해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입사되도록 하여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광기록매체에는 광픽업이 디스크의 하부에서 이동하면서 신호기록면에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광픽업은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광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의 정확한 위치에 광스폿으로 형성되도록 대물렌즈를 트랙킹 방향, 포커싱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대물렌즈의 트랙킹 방향, 포커싱 방향으로 조정하는 장치를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라고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보빈(2)이 구비된다. 상기 보빈(2)은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구비된 베이스(도 시되지 않음)의 상방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트랙킹코일(6) 및 포커싱코일(8)에 의해 트랙킹방향 및/또는 포커싱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보빈(2)의 상면에는 한 쌍의 대물렌즈(4)가 설치된다. 상기 대물렌즈(4)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집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보빈(2)과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2)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트랙킹코일(6) 및 포커싱코일(8)이 권선된다. 상기 트랙킹코일(6)과 포커싱코일(8)에 전류가 인가되면 베이스에 구비된 마그네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보빈(2)을 트랙킹방향 및/또는 포커싱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보빈(2)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한 로렌쯔힘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움직이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빈(2)에서 상기 코일(6,8)이 구비되지 않은 양측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지지리브(1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10)는 상기 보빈(2)을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스프링(12)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리브(10)는 상기 보빈(2)의 양측면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10)에는 각각 와이어스프링(12)이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스프링(12)은 베이스에 설치된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빈(2)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보빈(2)은 상기 트랙킹코일(6) 및 포커싱코일(8)과 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트랙킹방향 및/또는 포커싱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일(6,8) 및 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2)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대물렌즈(4)의 광축이 힘중심, 질량중심, 강성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부공진(sub-resonance)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공진으로 인한 피칭모드(pitching mode)와 롤링모드(rolling mode)와 같은 회전 진동모드는 포커싱 및 트래킹동작시 기본 주파수 특성의 위상과 변위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광신호의 열화가 초래된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스프링(12)의 일단부가 기판에 강하게 구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공진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고배속, 고밀도 광기록 재생장치에서는 피칭모드와 롤링모드 현상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작동과정에 발생하는 부공진을 최소화하기 위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요크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는 코일이 권선되며, 대물렌즈가 설치되는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연결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절개슬릿이 형성되는 프레임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유동부의 양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프레임기판의 양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기판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요크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는 코일이 권선되며, 대물렌즈가 설치되는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구비된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과 함께 유동되는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는 프레임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프레임기판의 양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기판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요크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는 코일이 권선되며, 대물렌즈가 설치되는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베 이스 상에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연결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일측에 절개슬릿이 형성되는 프레임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동부를 제외한 일측을 상기 프레임에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프레임기판의 양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기판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빈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에 프레임기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날개부가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기판에서 와이어스프링이 연결된 부분의 사이에는 절개슬릿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빈을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의 구속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와이어스프링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발생하는 부공진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기판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 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픽업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는 베이스(3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30)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요크(32)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요크(32)는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에 직립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자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요크(32)의 내측에는 자기장의 형성을 위한 마그네트(34)가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34)는 아래에서 설명될 보빈(40)에 권선된 코일과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보빈(40)을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30)에는 보빈(4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40)은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빈(40)은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스프링(46)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다.
상기 보빈(40)의 상면에는 대물렌즈(42)가 설치된다. 상기 대물렌즈(42)는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집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보빈(40)과 일체로 동작되면서 집광정도와 집광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대물렌즈(42)는 한 쌍이 설치되는데, 이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광을 사용하는 기록매체를 하나의 광픽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 각각은 블루레이광 및 디브이디광을 집광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빈(40)의 측면에는 각각 트랙킹코일 및 포커싱코일이 권선된다.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40)에서 상기 마그네트(34)와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은 상기 마그네트(34)가 형성한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 로렌쯔힘을 통해 보빈(40)을 움직이게 한다.
한편, 상기 보빈(40)의 양측면에는 각각 지지리브(44)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44)는 상기 보빈(40)에서 상기 마그네트(34)와 마주보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44)는 다수개가 상하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에는 와이어스프링(46)이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30)의 일측에는 프레임(5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50)은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을 통해 상기 보빈(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50)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날개부(52)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52)는 상기 프레임(50)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날개부(52) 각각은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하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52)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기판(60)과 소정거리(D)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2의 확대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부(52)가 프레임기판(60)에 밀착되지 않고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기판(60)의 양측이 화살표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날개부(52)의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위치한 상태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젤 등이 주입된다. 상기 젤은 상기 날개부(52)에 주입되어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의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보빈(40)의 움직임에 따라 급격하게 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0)의 일측면에는 프레임기판(60)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기판(60)에 관한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기판(60)은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기판(60)은 상기 보빈(4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50)의 일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기판(60)으로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 등이 사용된다.
상기 프레임기판(60)에는 고정부(6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61)는 상기 프레임기판(60)에서 상기 프레임(50)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61)의 전면이 항상 상기 프레임(50)에 접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고정부(61)에서 상측 또는 하측의 일부만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61)에서 상측 또는 하측의 특정부위,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6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만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61)의 양측에는 유동부(62)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부(62)는 상기 와이어스프링(46)에 인접한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빈(40)의 이동시에 상기 와이어스프링(46)과 함께 유동될 수 있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부(62)는 상기 프레임기판(60)의 양측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절개슬릿(64)이 형성된 부분까지를 말한다.
상기 프레임기판(60)은 상기 유동부(62)를 제외한 부분만 상기 프레임(50)에 접착된다. 즉, 상기 프레임기판(60)의 고정부(61)만 상기 프레임(50)에 접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기판(60)에서 상기 유동부(62)만 상기 프레임(50)에 접착되지 않으므로 유동부(62)는 상기 와이어스프링(46)과 함께 유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레임기판(60)은 에폭시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프레임기판(60)은 대략 납작한 판형상이고, 양측에는 각각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관통하여 솔더링되는 관통공(63)이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3)은 상기 프레임기판(60)의 양단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63)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각각 솔더링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기판(60)에서 상기 관통공(63)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절개슬릿(64)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슬릿(64)은 상기 유동부(62)의 강성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유동부(62)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기판(60)의 양단부까지 개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상기 유동부(62)와 함께 보다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상기 절개슬릿(64)은 가장 상부에 위치한 관통공(63)과 바로 아래에 위치한 관통공(63) 사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기 프레임기판(60)의 내구성을 고려한 설계상 양측에 하나씩만 형성한 것으로서 양측에 위치한 관통공(63) 사이마다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기판(60)에는 상기 프레임(50)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 공(6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기판(60)에는 상기 관통공(63)을 둘러싸도록 회로패턴(68)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기판(60)의 고정부(61)만 프레임(50)에 접착시킨다. 즉, 상기 프레임기판(60)에서 유동부(62)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프레임(50)에 접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광픽업용 액츄에이터가 조립되면, 보빈(40)에 권선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마그네트(34)에 형성된 자기장과 상호작용을 하여 상기 보빈(40)을 움직이는 로렌쯔힘이 발생된다. 즉,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상기 보빈(40)이 트랙킹방향 및/또는 포커싱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40)의 움직임에 따라 대물렌즈(42)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집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을 적절히 제어하여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의 정확한 위치에 광이 집광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보빈(40)의 움직임에 따라 피칭모드 또는 롤링모드와 같은 부공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공진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보빈(40)을 지지하고 있는 와이어스프링(46)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46)이 강하게 구속되어 있으면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기판(60)에 절개슬릿(6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부(62)가 상기 프레임(50)에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스프링(46)이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발생하는 부공진현상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기판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베이스 32 : 요크
34 : 마그네트 40 : 보빈
42 : 대물렌즈 44 : 지지리브
46 : 와이어스프링 50 : 프레임
52 : 날개부 60 : 프레임기판
61 : 고정부 62 : 유동부
63 : 관통공 64 : 절개슬릿

Claims (10)

  1.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요크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는 코일이 권선되며, 대물렌즈가 설치되는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연결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와 고정부의 사이에 절개슬릿이 형성되는 프레임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유동부의 양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프레임기판의 양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기판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5.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요크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는 코일이 권선되며, 대물렌즈가 설치되는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구비된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과 함께 유동되는 유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는 프레임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프레임기판의 양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기판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8.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요크가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는 코일이 권선되며, 대물렌즈가 설치되는 보빈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보빈을 상기 베이스 상에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연결 고정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일측에 절개슬릿이 형성되는 프레임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동부를 제외한 일측을 상기 프레임에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프레임기판의 양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프레임기판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 고정방법.
KR1020070087198A 2007-08-29 2007-08-29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KR20090022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98A KR20090022118A (ko) 2007-08-29 2007-08-29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98A KR20090022118A (ko) 2007-08-29 2007-08-29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118A true KR20090022118A (ko) 2009-03-04

Family

ID=4069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198A KR20090022118A (ko) 2007-08-29 2007-08-29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9987A1 (en) * 2012-06-13 2013-12-19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Wire holder and wiring layers included in an objective lens driving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9987A1 (en) * 2012-06-13 2013-12-19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Wire holder and wiring layers included in an objective lens driving unit
US8984546B2 (en) * 2012-06-13 2015-03-17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Wire holder and wiring layers included in an objective lens driv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7904A (en) Optical pickup
US6768601B2 (en) Position control unit for lens of optical pickup device
KR100711132B1 (ko) 광 스캐닝 디바이스
KR0153766B1 (ko) 광픽업장치
KR20090022118A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KR1998008618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5063091B2 (ja) 光スキャニング装置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KR100205924B1 (ko) 광픽업장치의 액츄에이터
KR100633201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361498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JP3500094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727661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871847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0690595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206780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JP2003123291A (ja) 光学素子のアクチュエータ
KR100476417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JP2003016668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9980086187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3059072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JP4414590B2 (ja) 光学系駆動装置
KR1002205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4377555B2 (ja) 光学系駆動装置
JP2002008256A (ja) 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20010109836A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