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201B1 -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201B1
KR100633201B1 KR1019990061233A KR19990061233A KR100633201B1 KR 100633201 B1 KR100633201 B1 KR 100633201B1 KR 1019990061233 A KR1019990061233 A KR 1019990061233A KR 19990061233 A KR19990061233 A KR 19990061233A KR 100633201 B1 KR100633201 B1 KR 10063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flux
focusing coil
actuator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822A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201B1/ko
Priority to US09/686,788 priority patent/US6788638B1/en
Priority to JP2000384787A priority patent/JP2001202640A/ja
Publication of KR2001005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자속량을 조절하여 대물렌즈의 위상변화를 최소화시키도록 한 엑츄에이터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에 있어서 영구자석, 요오크, 트랙킹코일 및 포커싱 코일로 구성된 자기회로에서 발생되어 포커싱 코일의 서브 코일부와 쇄교하는 누설자속은 자속제어부재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는 유효 자기공간 외부의 코일 쪽에서 발생하여 가동부에 영향을 주는 힘의 모멘트를 변화시킴으로써 회전 진동모드 특히, 피칭모드에서 대물렌즈의 위상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픽업용 엑츄에이터{Actuator For Optical Pickup}
도 1은 종래의 렌즈 중심형 엑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도 1에서 선"A-A'"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도 1에서 "A"방향으로 바라 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중심형 엑츄에이터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의 높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의 비대칭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의 진동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은 피칭모드에서 도 4에 도시된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의 가동부에 가해지는 가진을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피칭모드에서 도 4에 도시된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 상에 설치된 대물렌즈의 위상변화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엑츄에이터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엑츄에이터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엑츄에이터의 캡과 자기회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캡의 길이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캡의 두께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에 있어서 누설자속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가동부의 질량, 가동 중심점 및 서브 포커싱코일 측에서 가동부에 가해지는 힘의 모멘트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11에 도시된 캡에 형성된 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오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요오크에 형성된 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코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포커싱코일과 자기회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2,42 : 대물렌즈 4,24,44 : 보빈
6,26,46 : 영구자석 8,28,48,68 : 요오크
10,30,50 : 트래킹코일 12,32,52,62 : 포커싱코일
14,34,54 : 와이어 스프링 56 : 프레임
58 : 캡
본 발명은 광픽업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설 자속량을 조절하여 대물렌즈의 위상변화를 최소화시키도록 한 엑츄에이터에 관한것이다.
최근, 광디스크의 급속한 발전으로 광디스크의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픽업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광픽업에는 대물렌즈에 의해 집광된 광스폿이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하게끔 트랙킹 제어함과 아울러 광스폿이 신호트랙면에 대하여 초점심도 내에 들도록 포커싱 제어하기 위한 엑츄에이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엑츄에이터는 자석과 자성체가 이루는 자기공간 안에 코일을 구성하여 플레밍의 외손법칙에 의해 발생되는 로렌쯔힘(Lorentz force)으로 구동된다.
광픽업은 노트북과 같은 소형/휴대용 정보기기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박형화 추세에 있다. 엑츄에이터는 보빈 상에서의 대물렌즈 위치에 따라 도 1과 같은 렌즈 중심형과 도 3과 같은 렌즈 돌출형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렌즈 중심형 엑츄에이터는 대물렌즈(2), 보빈(4), 트랙킹코일(10), 포커싱코일(12) 및 와이어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가동부와, 영구자석(6)과 요오크(8)를 포함하는 고정부로 나뉘어진다. 가동부에 있어서, 대물렌즈(2)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빔을 광디스크 상에 집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대물렌즈(2)는 보빈(4)의 중앙부에 형성된 환형홀 내에 끼워지게 된다. 포커싱코일(12)은 보빈(4)의 측면 전체에 권선되며, 트랙킹코일(10)은 포커싱코일(12)의 권선면에 접착된다. 와이어 스프링(14)은 보빈(4)의 좌/우 측면 중심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부를 탄성지지함과 아울러 프레임으로부터의 전류신호를 트랙킹코일(10)과 포커싱코일(12)에 공급한다. 고정부에 있어서, 영구자석(6)은 트랙킹코일(10)과 포커싱코일(12)에 대면되도록 요오크(8)에 접착되어 트랙킹코일(10)과 포커싱코일(12)을 쇄교하는 자속을 발생한다. 요오크(8)는 스틸계통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일단부에 영구자석(6)이 접착되고 대면되는 다른 부분이 보빈(4) 내의 사각홀 내에 끼워지게 된다.
렌즈 중심형 엑츄에이터에 있어서 포커싱 방향의 구동력은 도 2a와 같이 영구자석(6)과 요오크(8)에 의해 마련된 자기공간 내의 포커싱코일(12)에 인가되는 전류(i)의 방향에 따라 그 구동방향이 결정된다. 자속선(B)의 방향은 x축 방향이며, 힘(F)은 y축방향이다. 그리고 자기공간 내의 포커싱코일(12)의 권선방향에 따라 전류(i)의 방향은 z축 방향(도면에 들어가거나 나오는 방향)이다. 자속선(B)의 방향이 -x축 방향일 때 전류(i)의 방향이 -z축 방향(도면에 들어가는 방향)이면 힘(F)의 방향은 +y축 방향으로 결정되는 반면, 전류(i)의 방향이 +z축 방향(도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면 힘(F)의 방향은 -y축 방향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수직방향의 로렌쯔힘에 의해 대물렌즈(2)는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동된다.
렌즈 중심형 엑츄에이터에 있어서 트랙킹 방향의 구동력은 도 2b와 같이 영구자석(6)과 대면된 트랙킹코일(10)에 인가되는 전류(i)의 방향에 따라 그 구동방 향이 결정된다. 자속선(B)의 방향은 z축 방향이며, 힘(F)은 x축방향이다. 그리고 트랙킹코일(10)에 인가되는 전류(i)의 방향은 y축 방향이다. 자속선(B)의 방향이 -z축 방향일 때, 전류(i)의 방향이 +y축 방향이면 힘(F)의 방향은 +x축 방향으로 결정되는 반면, 전류(i)의 방향이 -y축 방향이면 힘(F)의 방향은 -x축 방향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수평방향의 로렌쯔힘에 의해 대물렌즈(2)는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렌즈 중심형 엑츄에이터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 자기회로가 구성되기 때문에 박형화에 한계가 있다. 실제로, 렌즈 중심형 엑츄에이터는 광의 경로 상에 자기회로를 구성할 수가 없으므로 도 3과 같이 대물렌즈(2)에서 45°반사경(16)까지의 높이(HLCA)가 그 만큼 높아지게 된다.
엑츄에이터의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은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대물렌즈(22), 보빈(24), 트랙킹코일(30), 포커싱코일(32) 및 와이어 스프링(34)을 포함하는 가동부와, 영구자석(26) 및 요오크(28)를 포함하는 고정부로 나뉘어진다. 가동부에 있어서, 보빈(24)의 일측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그 중심부에 대물렌즈(22)가 취부된다. 트랙킹코일(30)과 포커싱코일(32)은 영구자석(26)에 대면되게끔 보빈(24) 내에 설치된다. 와이어 스프링(34)은 보빈(24)의 좌/우 측면 중심에 위치한 인쇄회로보드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부에 있어서, 영구자석(26)은 요오크(28)에 접착되어 트랙킹코일(30)과 포커싱코일(32)에 대면된다. 요오크(28)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수직으로 선 두 부분의 대면되는 면에 영구자석(26)이 접착된다. 이 요오크(28)는 트랙킹코일(30)과 포커싱코일(32)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선 두 부분이 위치하도록 보빈(24)의 사각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의 자기회로는 대물렌즈(22)가 광원 쪽으로 돌출되고 보빈(24)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자기회로가 광경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도 5와 같이 대물렌즈(22)에서 45°반사경(36)까지의 높이(HLPA)가 낮아지게 된다.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광경로를 회피하기 위한 자기회로의 구조가 대물렌즈(22)로부터 멀리 떨어진 보빈(24)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대물렌즈(24)를 중심으로 가동부가 비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렇게 가동부가 비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도 6과 같이 질량중심(Cmass)과 트랙킹/포커싱 가동 중심점(TC,FC)이 모두 불일치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와이어 스프링(34)의 진동모드가 구동 주파수 대역에서 나타나게 되며, 쉽게 가진되는 문제점이 있다.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가동부의 무게중심과 구동중심의 불일치로 인하여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회전 진동모드로 가동부가 진동하게 된다. 도 7a는 디스크의 접선방향(X축)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가동부가 회전하는 롤링모드(Rolling Mode)를 나타내며, 도 7b는 디스크의 반경방향(Y축) 중심으로 가동부가 회전하는 피칭모드(Pitching Mode)를 나타낸다. 도 7c는 광디스크에 대한 수직한 광축방향(Z축)을 중심으로 가동부가 회전하는 요우잉 모드(Yawing Mode)를 나타낸 다. 이와 같은 회전 진동모드에서 가동부가 트랙킹 또는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할 때 가동부의 경사운동에 의해 대물렌즈(22)의 위상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 때문에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제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비대칭적인 가동부의 앞쪽에 대물렌즈(22)가 위치하기 때문에 피칭모드에 대하여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도 8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에 있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 구성 중 포커싱코일(32)은 보빈(24)의 뒤쪽에서 요오크(28)의 일측부를 중심으로 권선되기 때문에 유효한 자기공간 내에 위치하는 메인 포커싱코일(32a)과 보빈(24)의 뒤쪽에 위치하는 서브 포커싱코일(32b)로 이루어진다. 영구자석(26)으로부터 발생된 자속(26a)은 자기공간 내에서 메인 포커싱코일(32a)을 쇄교하여 포커싱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한편 그 일부(26b)가 보빈(24)의 뒤쪽으로 누설되어 서브 포커싱코일(32a)을 쇄교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포커싱코일(32a) 쪽에서 발생하는 포커싱방향의 구동력과 서브 포커싱코일(32b) 쪽에서 발생하는 부수적인 힘에 의해 모멘트가 발생하여 피칭모드를 가진하게 된다. 이렇게 포커싱 방향으로 가동부가 가진하게 되면 주파수 응답 특성상 도 8b와 같이 피칭모드가 발생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에서 가동부 특히, 대물렌즈(22)의 위상변화가 심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피칭모드에서 위상 변화가 일어날 때 이득도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대물렌즈(22)의 위상 변화양은 가동부의 질량중심을 변화시킴으로써 줄게 된다. 다시 말하여, 피칭모드에 따른 대물렌즈(22)의 위상 변화는 가동부의 질량중심위 위치 변화에 따라 메인 포커싱코일(32a)에 영향을 주는 자속밀도와 서브 포커싱코일(32b)에 영향을 주는 누설자속(26b)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가동부의 모멘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부의 질량중심 위치를 조정하여 가동부의 모멘트를 변화시켜 대물렌즈(22) 위치에서 위상변화가 없는 조건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질량중심 위치를 트랙킹/포커싱 가동 중심점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질량 발란서(mass balancer)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엑츄에이터가 박형화되는 추세에 있어서 질량 발란서를 설치하는 공간이 제약받고 있으며, 질량 발란서로 인하여 질량 불균형이 더욱 가중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설자속량을 조절하여 대물렌즈의 위상변화를 최소화시키도록 한 광픽업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에 있어서 영구자석, 요오크, 트랙킹코일 및 포커싱 코일로 구성된 자기회로에서 발생되어 포커싱 코일의 서브 코일부와 쇄교하는 누설자속은 자속제어부재에 의해 조절된다.
자기회로 주변에 위치하는 서브 코일과, 자기회로로부터 발생되어 서브 코일을 쇄교하는 누설자속을 제어하기 위한 자속제어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를 첨부한 도 9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렌즈 돌출형 엑츄에이터는 대물렌즈(42), 보빈(44), 트랙킹코일(50), 포커싱코일(52) 및 와이어 스프링(54)을 포함하는 가동부와, 영구자석(46), 요오크(48), 캡(58) 및 프레임(56)을 포함하는 고정부로 나뉘어진다. 가동부에 있어서, 보빈(44)의 일측은 반원형으로 돌출되고 그 중심부에 대물렌즈(42)가 취부된다. 포커싱코일(52)은 보빈(44) 내에 형성된 사각홀의 내벽에 권선되며, 트랙킹코일(50)은 포커싱코일(5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권선되어 포커싱코일(50)에 접착된다. 와이어 스프링(54)은 보빈(44)의 좌/우 측면 중심에 위치한 인쇄회로보드와 프레임(56)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부에 있어서, 영구자석(46)은 요오크(48)에 접착되어 트랙킹코일(50)과 포커싱코일(52)에 대면된다. 영구자석(46)으로부터 발생된 자속(46a)은 도 11과 같이 메인 포커싱코일(52a)과 트랙킹코일(50)을 쇄교하여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그 일부(46b)가 서브 포커싱코일(52b) 쪽으로 누설된다. 요오크(48)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수직으로 선 두 부분의 대면되는 면에 영구자석(46)이 접착된다. 이 요오크(48)는 트랙킹코일(50)과 포커싱코일(52)을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선 두 부분이 위치하도록 보빈(44)의 사각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캡(58)은 도 11과 같이 요오크(48)의 위쪽 개구부를 차폐하여 누설자속(46b)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캡(58)은 스틸계통의 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도 12와 같이 그 길이(Lcap)가 조정되거나 도 13과 같이 두께(Tcap)가 조정된다. 캡(58)의 길이(Lcap)가 길면 일측이 서브 포커싱코일(52b) 위쪽으로 돌출된다. 그러면 영구자석(46)으로부터 발생된 자속선(52a) 중 캡(58)을 통과하여 서브 포커싱코일(52b)을 쇄교하는 누설자속선(46b)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3에서 캡(58)의 두께(Tcap)가 두꺼워질수록 서브 포커싱코일(52b)을 쇄교하는 누설자속선(46b)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서브 포커싱코일(52b)에서 발생하여 가동부의 모멘트를 변화시키는 힘은 그 만큼 작아지게 된다. 반면에, 캡(58)의 길이(Lcap)가 짧아지면 영구자석(46)으로부터 발생된 자속선(52a) 중 캡(58)을 통과하여 서브 포커싱코일(52b)을 쇄교하는 누설자속선(46b)의 수가 많아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캡(58)의 두께(Tcap)가 얇아지면 서브 포커싱코일(52b)을 쇄교하는 누설자속선(46b)의 수가 많아지게 된다. 이 경우, 서브 포커싱코일(52b)에서 발생하여 가동부의 모멘트를 변화시키는 힘은 커지게 된다. 여기서, 누설 자속의 양은 도 14에서 가동부의 질량중심(MC)과 포커싱 가동 중심점(FC) 사이의 거리(Lf)에 따라 조절된다. 예를 들어, 가동부의 질량중심(MC)과 포커싱 가동 중심점(FC)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서브 포커싱코일(52b) 쪽으로 누설되는 누설자속(46b)의 양은 줄어들어야 하고 가동부의 질량중심(MC)과 포커싱 가동 중심점(FC)이 일치되면 누설자속(46b)은 없어야 한다. 반면, 가동부의 질량중심(MC)과 포커싱 가동 중심점(FC) 사이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서브 포커싱코일(52b) 쪽으로 누설되는 누설자속(46b)의 양은 그 만큼 많아져야 한다. 이렇게 서브 포커싱코일(52b)쪽에서 가동부에 영향을 주는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포커싱코일(52b) 쪽에서 가동부에 가해지는 힘의 모멘트가 가동부의 기본운동 즉, 포커싱 방향의 병진운동과 위상 변화가 없도록 서브 포커싱 코일(52b)을 쇄교하는 누설자속(46b)의 양을 조절하면 피칭모드에서 대물렌즈(42)의 위상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캡(58)에는 서브 포커싱코일(52b)을 쇄교하는 누설자속(46b)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15a 및 도 15b와 같이 홀(58a,58b)이 형성될 수 있다. 홀(58a,58b)은 도 15a와 같이 원형 또는 도 15b와 같이 정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타원형 또는 삼각형이나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홀(58a,58b)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서브 포커싱코일(52b) 쪽으로 누설되는 누설자속(46b)의 양은 많아지게 되며, 반대로 홀(58a,58b)의 크기가 작으면 누설자속(46b)의 양은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
서브 포커싱코일에 영향을 주는 누설자속(46b)은 후술되는 요오크나 포커싱코일의 구조변경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서브 포커싱코일(52b) 쪽으로 누설되는 누설자속(46b)의 양을 많게 하기 위하여 서브 포커싱코일(52b)에 대면된 일부분이 절개되거나 대면된 부분 상에 홀이 형성된 요오크(68)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과 같이 서브 포커싱코일(52b)에 대면된 요오크(68)의 상부가 제거되어 개구부(68a)가 형성되면 영구자석(46)에서 발생된 누설자속(46b)은 많은 양이 서브 포커싱코일(52b) 쪽으로 누설된다. 또한, 누설자속(46b)의 양은 개구부(68a)의 크기(Mopen)가 커질수록 더 많아지게 된다. 도 17a와 도 17b와 같이 서브 포커싱코일(52b)과 대면된 요오크(68)의 측벽 상에 원형홀(68b), 정방형홀(68c) 또는 타원형홀이나 다각형홀이 형성된 경우에도 누설자속(46b)의 양은 많아진다. 여기서, 홀(68b,68c)의 크기가 커질수록 누설자속(46b)은 그 만큼 많아지게 되는 반면, 홀(68b,68c)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누설자속(46b)의 양은 작아진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서브 포커싱코일(62b)이 영구자석(46)과 요오크(48)로부터 멀어지도록 권선된 포커싱코일(62)이 도시되어 있다. 포커싱코일(62)의 서브 포커싱코일(62b)의 권선면 중 모서리 부분은 직각이 아닌 각도 즉,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하여, 포커싱코일(62)에서 서브 포커싱코일(62b)의 중앙부가 영구자석(46)과 요오크(48)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렇게 권선된 서브 포커싱코일(62b)과 요오크(48) 사이의 간격(Gcoil)이 커지게 된다. 그러면 영구자석(46)으로부터 발생되어 서브 포커싱코일(62b)을 쇄교하는 누설자속(46b)은 요오크(48)와 서브 포커싱코일(62b) 사이의 간격(Gcoil)이 큰 만큼 작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는 가동부의 무게 중심과 가동부의 가동 중심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유효 자기공간 내의 코일이 아닌 유효 자기공간 외부의 코일을 쇄교하는 누설자속의 양을 캡, 요오크 또는 코일의 구조변경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효 자기공간 외부의 코일 쪽에서 발생하여 가동부에 영향을 주는 힘의 모멘트를 변화시킴으로써 회전 진동모드 특히, 피칭모드에서 대물렌즈의 위상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는 가동부가 비대칭형으로 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하여 자기회로부에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누설자속의 양을 조절하여 가동부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진동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대물렌즈의 위상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는 누설자속을 제어하여 누설자속으로 인한 부차공진을 방지하며 가동부의 질량중심을 보정하기 위하여 가동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질량 발란서로 인한 가동부의 질량증대를 방지하여 고속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질량 발란서가 필요 없으므로 주요 구동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엑츄에이터의 구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엑츄에이터는 누설자속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부피 및 질량을 크게 하는 추가 부품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엑츄에이터는 물론 광픽업을 슬림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5)

  1. 대물렌즈에 대하여 비대칭 구조를 갖는 가동부와, 영구자석 및 요오크를 포함하는 고정부로 구성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상기 요오크, 그리고 트랙킹 코일 및 포커싱 코일로 구성된 자기회로에서 발생되어, 상기 포커싱 코일의 서브 코일부와 쇄교하는 누설 자속을 조절하기 위한 자속제어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자속제어부재는, 상기 요오크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기 위한 강철 계통의 자성체 또는 영구자석의 캡 부재가 사용되며,
    상기 캡 부재에는, 소정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길이 및 높이는, 포커싱 구동의 중심점과, 상기 가동부의 질량 중심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크기는, 상기 자기회로에서 발생되어 상기 포커싱 코일의 서브 코일부와 쇄교하는 누설 자속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19990061233A 1999-12-23 1999-12-23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63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233A KR100633201B1 (ko) 1999-12-23 1999-12-23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US09/686,788 US6788638B1 (en) 1999-12-23 2000-10-12 Optical pickup actuator having a magnetic flux-controlling member
JP2000384787A JP2001202640A (ja) 1999-12-23 2000-12-19 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233A KR100633201B1 (ko) 1999-12-23 1999-12-23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822A KR20010057822A (ko) 2001-07-05
KR100633201B1 true KR100633201B1 (ko) 2006-10-11

Family

ID=1962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233A KR100633201B1 (ko) 1999-12-23 1999-12-23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88638B1 (ko)
JP (1) JP2001202640A (ko)
KR (1) KR100633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37B1 (ko) * 2001-09-19 2006-08-11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7193937B2 (en) * 2002-10-04 200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and optical disk apparatus
CN101461026B (zh) * 2006-06-07 2012-01-18 Fei公司 与包含真空室的装置一起使用的滑动轴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7519B2 (ja) 1992-07-01 2002-08-2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学系駆動装置
JP3371384B2 (ja) 1993-09-22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二軸アクチュエータ
JPH07147021A (ja) 1993-11-22 1995-06-06 Tdk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877584A (ja) * 1994-08-31 1996-03-22 Pioneer Electron Corp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3640220B2 (ja) 1995-03-24 2005-04-20 Tdk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935294A (ja) 1995-07-13 1997-02-07 Sony Corp 二軸アクチュエータ
KR200146342Y1 (ko) * 1996-12-30 1999-06-15 전주범 디브이디용 슬라이딩 액츄에이터
KR100220520B1 (ko) * 1997-02-28 1999-09-15 전주범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1186307A (ja) 1997-09-11 1999-03-30 Canon Electron Inc 対物レンズ駆動装置
TW360400U (en) * 1997-10-30 1999-06-01 Ind Tech Res Inst Magnetic floating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822A (ko) 2001-07-05
JP2001202640A (ja) 2001-07-27
US6788638B1 (en) 2004-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4337A (en) Optical pickup with a compact design
KR100620020B1 (ko) 광픽업의 렌즈홀더 조정장치
US6744722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KR100633201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JP200628604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2358675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4589909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9980086189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USRE40928E1 (en) Optical pickup
KR100464074B1 (ko) 3축 구동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0361498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KR100669626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0690595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54824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돌출형 액츄에이터
KR100727661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513005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20010109532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40091156A (ko) 회전가능한 광 디스크의 정보면에 대해 정보를 기록및/또는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
KR20090022118A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프레임기판고정방법
KR100713542B1 (ko) 슬림형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0277978B1 (ko) 광기록재생장치의엑추에이터
KR20010045408A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9990048541A (ko) 광픽업의 구동장치
KR19980086187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30050752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