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089A - 절삭 삽입체 - Google Patents

절삭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089A
KR20090022089A KR1020070087151A KR20070087151A KR20090022089A KR 20090022089 A KR20090022089 A KR 20090022089A KR 1020070087151 A KR1020070087151 A KR 1020070087151A KR 20070087151 A KR20070087151 A KR 20070087151A KR 20090022089 A KR20090022089 A KR 20090022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edge
cutting
cutting insert
main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7787B1 (ko
Inventor
최창희
박창규
Original Assignee
대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787B1/ko
Priority to BRPI0721970-9A priority patent/BRPI0721970A2/pt
Priority to PCT/KR2007/004182 priority patent/WO2009028748A1/en
Priority to CN2007801004968A priority patent/CN101790431B/zh
Priority to CA2697677A priority patent/CA2697677A1/en
Priority to JP2010522776A priority patent/JP5350383B2/ja
Priority to US12/675,440 priority patent/US8328472B2/en
Priority to EP07793764.7A priority patent/EP2188085B1/en
Publication of KR2009002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22Octag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3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4Angles
    • B23C2210/0407Cutting angles
    • B23C2210/0442Cutting angles positive
    • B23C2210/045Cutting angles positive axial rake ang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삽입체는, 상면, 하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들, 인접하는 측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모서리면들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볼록한 곡선형 부절삭에지와,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모서리면들 중 하나 이상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주절삭에지를 포함한다.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장착면과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고 연장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면의 주절삭에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 하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하면의 주절삭에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 상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밀링 커터, 절삭 삽입체, 주절삭에지, 부절삭에지, 축방향 경사각

Description

절삭 삽입체 {CUTTING INSERT}
본 발명은 절삭 공구에 사용되는 절삭 삽입체, 보다 상세하게는 밀링 커터에 사용되는 정밀 절삭 가공을 위한 절삭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공구의 절삭날을 제공하는 절삭 삽입체는 공구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1에는 절삭 삽입체가 나사에 의해 밀링 커터에 고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절삭 삽입체는 웨지 고정 방식 등, 다른 방식으로도 공구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6에는 종래의 밀링 커터용 절삭 삽입체 및 그러한 절삭 삽입체를 장착한 밀링 커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2는 절삭 삽입체의 사시도이고, 도3은 측면도이다. 절삭 삽입체(100)는 상면(112), 하면(114), 그리고 상면(112)과 하면(114) 사이를 연결하는 네 개의 측면(116)을 포함한다. 측면(116)은 인접하는 다른 측면(116)과 모서리면 (118)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면(112) 및 하면(114)과 측면(116) 사이의 경계부에는 곡률 반경 R을 갖는 곡선형 부절삭에지(122)가 형성되고, 상면(112) 및 하면(114)과 모서리면(118) 사이의 경계부에는 주절삭에지(124)가 형성된다. 주절삭에지(124)는 부절삭에지(122)와 인접하는 부절삭에지(122)를 연결한다. 상면(112) 및 하 면(114)은 장착면(126)과 경사면(128)으로 구성되며, 경사면(128)은 장착면(126)에 대하여 경사각(a)을 가진다.
도4는 절삭 삽입체를 모서리면(118) 방향(A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절삭 삽입체(100)의 주절삭에지(124)는 수평으로 연장된다.
도5는 종래의 절삭 삽입체가 밀링 커터에 장착되어 피삭재의 가공면을 절삭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6은 도5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삽입체(100)의 주절삭에지(124)는 밀링 커터의 이송 방향에 따라 피삭재를 최초로 절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부절삭에지(122)는 주절삭에지(124)에 의해 절삭된 피삭재 부분을 정삭하여 매끄럽게 다듬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밀링 커터와 절삭 삽입체(100)의 제조 공차와 절삭 삽입체(100)를 밀링 커터에 장착할 때의 장착 오차로 인해 각 절삭에지 사이에 위치의 차이가 발생한다. 가공면을 고정밀도로 평탄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오차의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부절삭에지(122)는 100mm 내지 200mm 정도의 큰 곡률 반경 R을 갖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주절삭에지(124)의 절삭 성능은 주절삭에지(124)의 축방향 경사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축방향 경사각은 밀링 커터의 회전축에 대해 주절삭에지(124)가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절삭 삽입체(100)의 측면(116)과 피삭재의 면접촉을 피하기 위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각(relief angle)이 형성된다. 이러한 축방향 경사각은 양의 값, 0 또는 음의 값이 있다. 여기서, 양의 값은 밀 링 커터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절삭 삽입체가 기울어진 경우이며, 음의 값은 밀링 커터의 회전 방향으로 절삭 삽입체가 기울어진 경우이며, 0은 회전축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축방향 경사각이 양의 값을 갖고 그 값이 더 클수록 칩의 유출이 쉽게 되어 절삭 저항이 감소한다. 그런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삭 삽입체(100)에서는 여유각(통상적으로 4°내지 6°)을 유지하기 위해 주절삭에지(124)의 축방향 경사각은 음의 값(도6에서, - 5°)을 가진다.
따라서, 주절삭에지(124) 부분에서 절삭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절삭 성능이 낮다. 이는 다른 문제점들을 야기한다. 특히, 절삭 가공 깊이가 약 0.5mm 이상인 경우에는 절삭 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피삭재의 가공면상에 버어(burr)가 생기거나 주절삭에지(124)가 피삭재의 가공면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절삭 삽입체는 우수한 표면조도를 요구하는 정밀 절삭에 사용될 때 절삭 깊이가 상당히 제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삭 삽입체의 모서리면에 형성되는 주절삭에지가 양의 축방향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절삭 가공시 주절삭에지에 대한 절삭 저항을 감소시키고 절삭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약 0.5mm 이상의 절삭 깊이에 대하여도 정밀 절삭을 수행할 수 있는 절삭 삽입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절삭에지의 곡률 반경을 작게 하여 절삭 가공시에 발생하는 피삭재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절삭 삽입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삽입체는, 상면, 하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들, 인접하는 측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모서리면들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볼록한 곡선형 부절삭에지와,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모서리면들 중 하나 이상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주절삭에지를 포함한다.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장착면과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고 연장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면의 주절삭에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 하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하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하면의 주절삭에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 상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삽입체는 상면 및 하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90°회전 대칭이고, 측면과 그 대향 측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회전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상면에서 보았을 때 부절삭에지의 연장선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의 거리는 1.0mm 내지 2.0mm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삽입체를 모서리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면 또는 하면의 주절삭에지는 상면 또는 하면의 장착면과 8°내지 18°의 각도를 형성하고, 절삭 삽입체의 부절삭에지의 곡률 반경은 20mm 내지 60mm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삽입체의 주절삭에지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부와 그 양측의 곡선부로 구성되고, 주절삭에지의 직선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와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절삭 삽입체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부절삭에지의 길이는 측면과 그 대향 측면 사이 거리의 40% 내지 60%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 삽입체의 사시도이고, 도8은 도7 의 절삭 삽입체의 측면도이다. 절삭 삽입체(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고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면(12)과 하면(14), 그리고 상면(12)과 하면(14)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네 개의 측면(16)을 갖는다. 측면(16)은 인접하는 다른 측면(16)과 모서리면(18)을 통해 연결된다. 절삭 삽입체(10)는 공구 본체에 절삭 삽입체(10)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가 관통하는 장착 구멍(20)을 포함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2) 또는 하면(14)과 측면(16) 사이의 경계부는 곡률 반경 R을 갖는 볼록한 곡선형 부절삭에지(22)를 형성한다. 상면(12) 또는 하면(14)과 모서리면(18) 사이의 경계부는 주절삭에지(24)를 형성한다. 부절삭에지(22)와 인접한 부절삭에지(22)는 주절삭에지(24)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면(12) 및 하면(14)은 장착면(26)과 경사면(28)으로 구성되며, 경사면(28)은 부절삭에지(22) 및 주절삭에지(24)로부터 장착면(26)에 대하여 경사각(a)을 가진다. 절삭 삽입체(10)는 상면(12) 및 하면(14)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90°회전 대칭이고, 측면(16)과 그 대향 측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회전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도9는 도7의 절삭 삽입체가 장착된 밀링 커터가 피삭재 상에서 절삭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10은 도9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삽입체(10)의 주절삭에지(24)는 밀링 커터의 이송 방향에 따라 피삭재를 최초로 절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부절삭에지(22)는 주절삭에지(24)에 의해 절삭된 피삭재 부분을 정삭하여 매끄럽게 다듬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주절삭에지(24)의 절삭 성능은 주절삭에지(24)의 축방향 경사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절삭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축방향 경사각은 양의 값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도11은 도7의 절삭 삽입체를 모서리면 방향(C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면(12)의 주절삭에지(24)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22)가 끝나는 지점(32)으로부터 주절삭에지(24)의 중간 지점(34)까지 하면(14)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24)의 중간 지점(34)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22)와 만나는 지점(36)까지 하면(2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마찬가지로, 하면(14)의 주절삭에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 상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즉, 모서리면(18) 상의 주절삭에지(24)는 모서리면(18)을 향하여 보았을 때 중간 지점(34)에서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다.
모서리면 방향(C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면(12) 또는 하면(14)의 주절삭에지(24)가 상면(12) 또는 하면(14)의 장착면과 이루는 각도(b)는 8°내지 18°이다. 절삭 삽입체(10)는 피삭재와 면접촉을 피하기 위해 여유각을 가지고 밀링 커터에 장착된다. 이러한 여유각에도 절삭 삽입체(10)의 주절삭에지(24)의 축방향 경사각이 양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각도(b)는 8°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각도(b)가 너무 크면 제작하기가 어렵고 절삭 삽입체의 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각도(b)는 18°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절삭에지(24)를 형성시킴으로써,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삽입체(10)가 밀링 커터에 장착되어 피삭재의 가공면을 절삭할 때,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10)의 주절삭에지(24)의 축방향 경사각은 양의 값(도10에서, +13°)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절삭 삽입체에 비하여 주절삭에지(24) 부분에서의 절삭 저항이 감소되고 절삭 성능이 현저히 개선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가 피삭재를 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절삭 삽입체(10)는 하나의 부절삭에지(22)와 하나의 주절삭에지(24)가 피삭재와 접촉하여 절삭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1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부절삭에지(23)와 주절삭에지(25)가 절삭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삭재와 접촉하는 주절삭에지(25) 쪽으로 절삭 삽입체(10)가 기울어져 장착되기 때문에, 주절삭에지(25)와 부절삭에지(23)의 우측 부분이 주로 절삭을 수행한다. 그러나, 절삭 삽입체(10)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 부절삭에지(23)(주로 부절삭에지의 좌측 부분)와 주절삭에지(25')로 절삭을 수행하거나, 절삭 삽입체(10)의 장착 위치를 바꾸어 부절삭에지(23')와 주절삭에지(25" 또는 25''')로 절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삭 삽입체(10)는 상면(12) 및 하면(14)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90°회전 대칭이고, 측면(16)과 그 대향 측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회전 대칭인 형상으로, 상면(12) 및 하면(14)에 각각 4개의 부절삭에지(22) 및 4개의 주절삭에지(24)를 구비하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절삭에지(24)는 중간 지점(34)을 기점으로 좌우 대칭이다. 따라서, 절삭 삽입체(10)는 같은 형상의 부절삭에지와 주절삭에지의 쌍(예컨대, 23과 25, 23과 25' 등)을 상면(12) 및 하면(14)에 각각 8개씩 총 16개 구비하므로, 하나의 절삭 삽입체(10)를 최대 총 16번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다.
도13은 도7의 절삭 삽입체의 평면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보았을 때 부절삭에지(22)의 연장선으로부터 주절삭에지(24)의 중간 지점까지의 거리(c)는 약 1.0mm 내지 2.0mm이다. 따라서, 절삭 삽입체(10)가 공구 본체에 장착되어 절삭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에 절삭 깊이가 0.5mm를 넘어 약 1.0mm까지 되더라도 절삭 삽입체(10)의 모서리면(18)에 형성되는 주절삭에지(24)의 축방향 경사각은 그 절삭 깊이에 대하여 양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절삭 깊이가 1.0mm 정도가 되어도 절삭 저항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피삭재의 가공면상에 버어(burr)가 생기거나 주절삭에지(24)가 피삭재의 가공면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는 종래의 절삭 삽입체에 비하여 정밀 절삭이 가능한 절삭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의 주절삭에지(24)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부(38)와 그 양쪽에 있는 곡선부(40)로 구성된다. 주절삭에지(24)는 중간 지점(34)을 기점으로 좌우 대칭이다. 직선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22)와 45°의 각도를 이룬다. 모서리면(18)은 평면과 그 양쪽에 있는 곡면으로 구성되고, 평면은 인접하는 측면(16)과 45°의 각도를 이룬다. 반면, 도14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의 주절삭에지(24)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곡선부(도14에서 R4.27)로만 구성되고, 모서리면(18)은 곡면으로만 구성된다. 부절삭에지(22)는 주절삭에지(24)에 의해 절삭된 피삭재 부분을 정삭하여 매끄럽게 다듬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부절삭에지가 짧아지면 피삭재의 이송량이 제한되고 가공 속도가 느려진다. 절삭 가능한 깊이가 동일한 절삭 삽입체라면, 주절삭에지(24)를 직선부와 그 양쪽에 있는 곡선부로 구성하는 것이 주절삭에지(24)를 곡선부로만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절삭에지(22)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절삭 삽입체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부절삭에지(22)의 연장선으로부터 주절삭에지(24)의 중간 지점(34)까지의 거리(c)는 동일하다. 그러나, 주절삭에지(24)가 직선부(38)와 그 양쪽에 있는 곡선부(40)로 구성된 도13의 경우 부절삭에지(22)의 길이는 측면과 그 대향 측면 사이 거리의 약 40% 내지 60% (도13에서, 6.04mm)인 반면, 주절삭에지(24)가 곡선부로만 구성된 도14의 경우 부절삭에지(22)의 길이는 측면과 그 대향 측면 사이 거리의 약 30% 내지 50% (도14에서, 4.16mm)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10)의 부절삭에지(2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가 그 양측부보다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높은 볼록한 곡선형이다. 곡률 반경 R은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60mm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절삭 삽입체(10)는 부절삭에지(22)의 곡률 반경이 작기 때문에, 절삭 가공 시에 발생하는 피삭재와의 마찰력이 작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 삽입체는 장착 구멍을 포함하며 장착 구멍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공구 본체에 고정되지만,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른 고정방식, 예컨대 웨지 고정방식으로 고정되며 장착 구멍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 삽입체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상면 또는 하면과 측면 또는 모서리면 사이의 모든 경계부를 절삭에지로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일부 경계부만을 절삭에지로 형성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와 같이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 삽입체의 모서리면에 형성되는 주절삭에지가 양의 축방향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절삭 가공시 주절삭에지에 대한 절삭 저항을 감소시키고 절삭 성능을 향상시키는 절삭 삽입체가 제공된다.
도1은 절삭 삽입체가 장착된 밀링 커터의 사시도.
도2는 정밀 절삭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종래 절삭 삽입체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절삭 삽입체의 측면도.
도4는 도2의 절삭 삽입체의 모서리면 방향 측면도.
도5는 도2의 절삭 삽입체가 장착된 밀링 커터의 사용 상태도.
도6은 도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삭 삽입체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절삭 삽입체의 측면도.
도9는 도7의 절삭 삽입체가 장착된 밀링 커터의 사용 상태도.
도10은 도9의 D부분의 확대도.
도11은 도7의 절삭 삽입체의 모서리면 방향 측면도.
도12는 도7의 절삭 삽입체의 피삭재 가공 상태도.
도13은 도7의 절삭 삽입체의 평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 삽입체의 평면도.

Claims (8)

  1. 상면, 하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들, 인접하는 측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모서리면들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볼록한 곡선형 부절삭에지와,
    상기 상면 및 하면과 상기 복수의 모서리면들 중 하나 이상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주절삭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장착면과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고 연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의 주절삭에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 하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면의 주절삭에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 상면을 향하여 연장하고,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부터 인접하는 다른 부절삭에지와 만나는 지점까지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삭 삽입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삽입체는 상면 및 하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90°회전 대칭이고, 상기 절삭 삽입체는 측면과 그 대향 측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회전 대칭인 절삭 삽입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부절삭에지의 연장선으로부터 상기 주절삭에지의 중간 지점까지의 거리는 1.0mm 내지 2.0mm인 절삭 삽입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서리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상면 또는 하면의 주절삭에지가 상면 또는 하면의 장착면과 이루는 각도는 8°내지 18°인 절삭 삽입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절삭에지의 곡률 반경은 20mm 내지 60mm인 절삭 삽입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에지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부와 그 양측의 곡선부로 구성되는 절삭 삽입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에지의 직선부는 인접하는 부절삭에지와 45°의 각도를 이루는 절삭 삽입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부절삭에지의 길이는 측면과 그 대향 측면 사이 거리의 40% 내지 60%인 절삭 삽입체.
KR1020070087151A 2007-08-29 2007-08-29 절삭 삽입체 KR100887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51A KR100887787B1 (ko) 2007-08-29 2007-08-29 절삭 삽입체
BRPI0721970-9A BRPI0721970A2 (pt) 2007-08-29 2007-08-30 Inserção de corte
PCT/KR2007/004182 WO2009028748A1 (en) 2007-08-29 2007-08-30 Cutting insert
CN2007801004968A CN101790431B (zh) 2007-08-29 2007-08-30 切削刀片
CA2697677A CA2697677A1 (en) 2007-08-29 2007-08-30 Cutting insert
JP2010522776A JP5350383B2 (ja) 2007-08-29 2007-08-30 切削挿入体
US12/675,440 US8328472B2 (en) 2007-08-29 2007-08-30 Cutting insert
EP07793764.7A EP2188085B1 (en) 2007-08-29 2007-08-30 Cutting inse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151A KR100887787B1 (ko) 2007-08-29 2007-08-29 절삭 삽입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089A true KR20090022089A (ko) 2009-03-04
KR100887787B1 KR100887787B1 (ko) 2009-03-09

Family

ID=4038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151A KR100887787B1 (ko) 2007-08-29 2007-08-29 절삭 삽입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28472B2 (ko)
EP (1) EP2188085B1 (ko)
JP (1) JP5350383B2 (ko)
KR (1) KR100887787B1 (ko)
CN (1) CN101790431B (ko)
BR (1) BRPI0721970A2 (ko)
CA (1) CA2697677A1 (ko)
WO (1) WO20090287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1641A (zh) * 2010-01-29 2012-05-30 京瓷株式会社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该切削工具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7915B3 (de) * 2008-08-14 2009-08-13 Kennametal Inc. Wendeschneidplatte
WO2011001939A1 (ja) * 2009-06-29 2011-01-06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8573903B2 (en) * 2009-11-03 2013-11-05 Kennametal Inc. Round cutting insert with anti-rotation feature
JP5589244B2 (ja) * 2010-10-06 2014-09-17 大昭和精機株式会社 インサート
US8657539B2 (en) 2011-03-28 2014-02-25 Kennametal Inc. Round cutting insert with reverse anti-rotation feature
WO2013008565A1 (ja) 2011-07-12 2013-01-17 日立ツール株式会社 ネガティブ型の切削インサート、及びかかる切削インサートを用いた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システム及び切削加工方法
CN102513561B (zh) * 2011-12-09 2016-01-20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切削刀片
USD709110S1 (en) 2012-04-24 2014-07-15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US8858130B2 (en) 2012-04-24 2014-10-14 Kennametal Inc. Indexable circular cutting insert
JP6122486B2 (ja) * 2013-04-27 2017-04-26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6420239B2 (ja) 2013-06-27 2018-11-07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AT14282U1 (de) 2014-09-03 2015-07-15 Ceratizit Austria Gmbh Doppelseitiger Schneideinsatz und Fräswerkzeug
USD822079S1 (en) * 2016-12-02 2018-07-03 Korloy Inc. Cutting insert
CN109570595B (zh) * 2018-12-25 2022-02-08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球头铣削刀片及球头铣削刀具
JP2020163488A (ja) * 2019-03-28 2020-10-0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カッター
CN110899796A (zh) * 2019-12-18 2020-03-24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钻孔的切削刀片
TW202130433A (zh) * 2020-02-12 2021-08-16 以色列商艾斯卡公司 用於桿件剝層的方形嵌件、及用於它的嵌件固持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5349A (en) * 1970-03-30 1974-04-2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Throw-away insert for milling cutter
US4618296A (en) * 1983-09-14 1986-10-21 Gte Valeron Corporation Cutting tool and insert therefor
SE466435B (sv) * 1990-06-19 1992-02-17 Sandvik Ab Radiepinnfraes med vaendskaer
JPH06297208A (ja) * 1993-03-12 1994-10-25 Valenite Inc 改良型の切削工具及びそのための切削用インサート
DE69502808T2 (de) * 1994-01-14 1998-10-01 Sandvik Ab Indexierbarer fräseinsatz und fräskopf dafür
IL108995A (en) * 1994-03-16 1996-12-05 Iscar Ltd Alternate cutting placement
JPH0857709A (ja) 1994-08-23 1996-03-05 Toshiba Tungaloy Co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US5807031A (en) * 1995-03-10 1998-09-15 Mitsubishi Materials Corp.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cutter
IL113122A0 (en) * 1995-03-24 1995-06-29 Iscar Ltd A cutting insert
US6079912A (en) * 1996-01-31 2000-06-27 Widia Gmbh Cutter insert for roughing and finishing
US6050752A (en) * 1999-03-19 2000-04-18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IL132261A (en) * 1999-10-07 2003-09-17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US6769844B2 (en) * 2001-01-10 2004-08-03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530726B2 (en) * 2001-04-04 2003-03-11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having improved cutting
DE10231339B3 (de) * 2002-07-11 2004-01-22 Fette Gmbh Tangential-Wendeschneidplatte
DE10317760B4 (de) * 2003-04-17 2005-08-25 Walter Ag Fräswerkzeug und Schneidplatte für ein solches
DE20320089U1 (de) * 2003-12-23 2004-03-18 EMUGE-Werk Richard Glimpel GmbH & Co. KG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Schneidelement und Werkzeug mit wenigstens einem Schneidelement
US7476062B2 (en) * 2006-05-08 2009-01-13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recessed cor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1641A (zh) * 2010-01-29 2012-05-30 京瓷株式会社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该切削工具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28472B2 (en) 2012-12-11
JP5350383B2 (ja) 2013-11-27
CA2697677A1 (en) 2009-03-05
JP2010536599A (ja) 2010-12-02
CN101790431B (zh) 2012-03-28
EP2188085B1 (en) 2014-05-21
US20100239379A1 (en) 2010-09-23
KR100887787B1 (ko) 2009-03-09
CN101790431A (zh) 2010-07-28
EP2188085A4 (en) 2013-03-27
WO2009028748A1 (en) 2009-03-05
BRPI0721970A2 (pt) 2014-03-18
EP2188085A1 (en)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787B1 (ko) 절삭 삽입체
JP635394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101097658B1 (ko) 절삭 삽입체
WO2012046556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WO2010035831A1 (ja)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それらを用いる切削方法
WO2012020784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WO2014050438A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切削工具
KR20170058366A (ko) 회전 절삭 공구와 가변 폭의 부 릴리프 표면을 갖는 회전 절삭 공구용 가역 절삭 인서트
US9999933B2 (en) Double-sided high feed milling insert, high feed milling tool and method
JPWO2014148515A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100937459B1 (ko) 접선 방향 절삭 인서트
JPWO2009096516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切削方法
KR20140039162A (ko) 절삭 인서트
JP4627849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606600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2004148424A (ja) エンドミ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12250296A (ja) 後挽き加工用の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後挽き加工用のバイト
JP2001009628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KR102034490B1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EP3970892A1 (en) Cutting insert
JP2016187836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5664409B2 (ja) 刃先交換式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
JP2001269810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14091178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11545840B (zh) 切削刀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