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557A -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557A
KR20090021557A KR1020070086174A KR20070086174A KR20090021557A KR 20090021557 A KR20090021557 A KR 20090021557A KR 1020070086174 A KR1020070086174 A KR 1020070086174A KR 20070086174 A KR20070086174 A KR 20070086174A KR 20090021557 A KR20090021557 A KR 2009002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mpoo composition
water
ester oil
based polym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8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1557A/ko
Publication of KR2009002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투명성이 보다 향상된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샴푸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샴푸 조성물,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양쪽성 계면활성제, 컨디셔닝, 투명성

Description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SHAMPOO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와 함께 보다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바람, 열, 태양, 공해 등 여러 가지 환경 요인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전부터 모발을 보호하는데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으며, 그 결과 모발 보호를 위한 다양한 샴푸 조성물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샴푸 조성물의 일례로서, 수용성 실리콘계 화합물과 함께 계면활성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샴푸 조성물은 투명화된 샴푸의 제공을 가능케 하나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샴푸 조성물의 다른 예로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일명, 디메치콘, Dimethicone)과, 계면활성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샴푸 조성물은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작용으로 비교적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 으나,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의 미세 분산화가 어려워 낮은 투명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낮은 투명성의 개선을 위해, 예를 들어, 고압 호모게나이저와 같은 특수 분산 장치나, 미세 분산용 볼-밀(Ball-Mill) 또는 호모-믹서(Homo-mixer) 등의 기계적 분산 장치 등을 사용하여, 샴푸 조성물 중의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를 미세 분산화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샴푸 조성물을 투명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샴푸 조성물에 적용되는 수불용성 실론산계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대략 10,000~300,000CS 정도의 높은 점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술한 각종 분산 장치를 적용하더라도 이를 충분히 미세 분산화하기 힘들다. 예를 들어,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최대 0.5~1㎛ 정도의 입자 크기로 분산화할 수 있을 뿐이고, 각종 기계적 분산 장치, 예를 들어, 볼-밀(Ball-Mill) 또는 호모-믹서(Homo-mixer)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1~10㎛ 정도의 입자 크기로 분산화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제품군의 예로 보아,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적용된 샴푸 조성물의 투명화를 위해서는 0.1㎛ 이하의 입자 크기로 미세 분산화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각종 분산 장치를 적용하더라도,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적용된 샴푸 조성물을 충분히 투명화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폴리디메틸실론산 등의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외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역시 투명화하기 어렵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투명성이 보다 향상된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샴푸 조성물은 가시광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40% 이상으로 되어 보다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에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5~40㎛의 입자 크기로 분산되어 있고, 상기 샴푸 조성물이 1.40~1.42의 균일한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샴푸 조성물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의 0.1 내지 10.0 중량%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5 중량%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0 중량%와, 나머지 함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에서,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샴푸 조성물에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 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에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또는 라우릴 황산암모늄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샴푸 조성물은 카보머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상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거나,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및 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교반 하에 상기 혼합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75~90℃에서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또는 라우릴 황산암모늄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혼합 단계에서는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의 0.1 내지 10.0 중량%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5 중량%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할 수 있고, 상기 분산 단계 후에, 나머지 함량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산 단계 후에, 카보머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상 안정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분산 단계 후에,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및 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분산 단계에서는 18~25 Hz의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분산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75~90℃에서 교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 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5~40㎛의 입자 크기로 분산되어 있으며, 1.40~1.42의 균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샴푸 조성물은 가시광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70% 이상으로 되어 크게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유효 성분으로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샴푸 조성물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보다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여,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포함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서도 뒷받침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사용함에 따라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투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샴푸 조성물은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여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포함하여 보다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샴푸 조성물을 각 구성 성분 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 성분의 함량 단위 "중량%"는 유효 성분의 실질적인 함량, 즉, "active%"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샴푸 조성물의 일 유효 성분(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 다른 부가 성분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샴푸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유효 성분의 함량 단위는 다른 부가 성분과 혼합된 상태의 총 함량이 아닌 그 유효 성분 자체의 함량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샴푸 조성물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한다. 이때, "수불용성"이라 함은 상온(대략 25℃)에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0.01 중량% 이하로 됨을 의미한다.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은 샴푸 조성물에 포함되어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로는, CTFA(미국 화장품 협회;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명칭이 디메치콘(Dimethicone)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샴푸 조성물의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로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는 경우, 에멀젼 또는 유체 형태의 물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100~300,000CS의 점도를 가지는 물질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스테르 오일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샴푸 조성물의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에스테르 오일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은 상기 샴푸 조성물 중에 0.1 내지 10.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이러한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샴푸 조성물이 충분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샴푸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샴푸 조성물에 주 계면활성제로 포함되어, 후술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 샴푸 조성물은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함에도 보다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Cocoamphocarboxyglycinate)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샴푸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샴푸 조성물 중에 5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5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10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이러한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샴푸 조성물 의 투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샴푸 조성물의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샴푸 조성물은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술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낮은 함량(중량)으로 포함되어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또는 라우릴 황산암모늄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샴푸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샴푸 조성물은 일반적인 샴푸 조성물에 비해 보다 높은 함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므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보다 높은 함량(active%)으로 포함하는 원료를 사용해 상기 샴푸 조성물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 경우, SLES(28~30%) 보다는 SLES(70%)를 원료로 사용해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을 샴푸 조성물에 포함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샴푸 조성물 중에 5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이러한 함량 범위로 포함됨에 따라, 샴푸 조성물의 각 유효 성분, 즉,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 범위가 최적화되어 샴푸 조성물이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 및 크게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샴푸 조성물은 상술한 각 유효 성분과 함께 나머지 함량의 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샴푸 조성물은 상술한 각 구성 성분에 더하여, 카보머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상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보머로는 아크릴산이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수크로오스 또는 프로필렌의 알릴 에테르와 가교 결합되어 있는 호모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로는 상용화된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예를 들어, Carbopol 1342, Ultrez 20 또는 SF-1(이상, Noveon사 제조 원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샴푸 조성물의 상 안정화제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안정화제로서 Carbopol 134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략 2~3%의 적정 농도로 사전 혼합된 원료를 사용할 수 있고, SF-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수에 2 배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상 안정화제의 분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은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또는 컨디셔닝제 등의 첨가제의 1 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샴푸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샴푸 조성물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에스테르 오일(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샴푸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대략 5~40㎛, 바람직하게는 5~20㎛의 크기를 가지는 비교적 작은 입자로 분산되고, 이러한 분산 입자와 이를 둘러싼 계면활성제 간의 독특한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화된 분산 입자와 나머지 부분과의 빛이 굴절율이 비슷해져, 상기 샴푸 조성물이 전체적으로 대략 1.40~1.42 정도의 균일한 굴절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균일한 굴절율로 인해, 상기 샴푸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가시광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으로 되는 보다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교반 하에 상기 혼합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75~90℃에서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에스테 르 오일(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보다 작은 함량(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한다. 이때, 혼합되는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이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혼합 단계에서는, 우선,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 하에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투입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대략 20~50㎛의 입자 크기로 분산되도록 교반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혼합 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교반 하에 상기 혼합물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이때, 18~25 Hz의 초음파를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초음파의 조사 시간은 초음파 장치의 용량이나 혼(horn)의 구조 또는 크기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초음파 조사에 의해 수증기의 발생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눈에 띌 정도의 시점 이상까지 조사한다. 이렇게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 상기 혼합물이 투명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음파를 조사하는 대신,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혼합물을 75~9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90℃의 고온에서 교반할 수도 있다. 상기 혼합물을 고온에서 대략 5분 정도 교반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면, 상기 혼합물이 투명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를 조사하거나 고온에서 교반하면,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대략 5~40㎛, 바람직하게는 5~20㎛의 크기를 가지는 작은 입자로 분산될 뿐 아니라, 이러한 분산 입자와 이를 둘러싼 계면활성제 간의 독특한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화된 분산 입자와 나머지 부분과의 빛이 굴절율이 비슷해져, 상기 혼합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굴절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균일한 굴절율로 인해 상기 혼합물이 투명화되고, 이로부터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 역시 전체적으로 대략 1.40~1.42 정도의 균일한 굴절율을 나타내어 투명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투명화한 후에는, 나머지 함량의 물을 투입한다. 다만, 상기 물을 투입하기 전에 사전 혼합된 상 안정화제, 예를 들어, 카보머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더 투입해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을 투입하기 전이나 투입한 이후에,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및 컨디셔닝제 등의 첨가제의 1 종 이상을 더 투입해 혼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는, 일반적인 샴푸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보다, 높은 점도(예를 들어, 100~200cps)의 혼합물이 형성되고 이를 사용해 이후의 공정이 진행되므로, 기포 혼입시 자연 탈포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기포로 인해 투명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조 과정 중의 각 교반 공정은 기포의 혼입을 최대한 억제하는 조건으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조 과정을 진행한 후에는, 그 결과물을 상온까지 냉각하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여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렇게 제조된 샴푸 조성물에서는 상기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대략 5~40㎛, 바람직하게는 5~20㎛의 크기를 가지는 작은 입자로 분산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분산 입자와 나머지 부분과의 굴절율이 비슷해져 전체적으로 대략 1.40~1.42 정도의 균일한 굴절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입자로 분산되어 있고 이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굴절율을 나타냄에 있다, 상기 샴푸 조성물은 크게 향상된 투명성, 예를 들어, 가시 광선에 대해 70% 이상의 광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5~40㎛, 바람직하게는 5~20㎛의 입자 크기로 분산되어 있으며, 1.40~1.42의 균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샴푸 조성물 역시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투명성이 보다 향상된 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 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샴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 및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샴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 1]
구성 성분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실시예 3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비교예 3 (중량%) 비교예 4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10 13 10 시판 투명 샴푸 베이스 (H, D) 30 20 15
코코암포카복시 글리시네이트 15 16 15 - 3 1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 - - 4 3 -
라우릴 황산암모늄 - - - - 10 -
폴리디메틸실록산(디메치콘) 2 2 2 2 2 2 2
교반조건/ 가온온도 일반교반/85℃ 교반, 초음파/ 70℃ 일반교반/70℃ 일반교반/40℃ 일반교반/40℃ 일반교반/40℃ 일반교반/85℃
※ 위 표 1에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는 다우코닝사 제품인 DC200F 10000CS를 사용하였다.
※ 비교예 1의 샴푸 조성물은 시판되는 투명 샴푸(H, D)에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추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샴푸 조성물의 투명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 시험예 1> 샴푸 조성물의 투명성 평가
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샴푸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그리고, 500nm 파장의 빛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하고, 측정된 광투과율이 70% 이상이면 투명, 40~70% 이면 반투명, 40% 이하이면 불투명으로 평가하였다.
[표 2]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투명성 투명 투명 반투명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샴푸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의 샴푸 조성물에 비해 보다 향상된 투명성(500nm 파장의 가시광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40% 이상)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반 하에 초음파를 조사하거나 고온에서 교반하면서 제조된 실시예 1 및 2의 샴푸 조성물이 가장 뛰어난 투명성(500nm 파장의 가시광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70% 이상)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 비교예 5 내지 9> 샴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난 조성 및 방법으로 비교예 5 내지 9의 샴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 3]
구성 성분 비교예 5 (중량%) 비교예 6 (중량%) 비교예 7 (중량%) 비교예 8 (중량%) 비교예 9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시판 투명 샴푸 베이스 (H, D) 30 20 15 10
코코암포카복시 글리시네이트 - 3 10 15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4 3 - -
라우릴 황산암모늄 - 10 - -
폴리디메틸실록산(디메치콘) - - - - -
교반조건/ 가온온도 일반교반/40℃ 일반교반/40℃ 일반교반/40℃ 일반교반/85℃ 일반교반/70℃
※ 비교예 5 내지 9의 샴푸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3의 샴푸 조성물과 다른 조건은 동일하며, 단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즉,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제외한 점에서만 다르다.
먼저, 위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 비교예 5 내지 9의 샴푸 조성물의 투명성을 평가한 결과, 모두 광투과율이 70% 이상으로 되어 높은 투명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위 비교예 5 내지 9와 실시예 1 및 2의 샴푸 조성물의 품질(컨디셔닝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비교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시험예 2> 샴푸 조성물의 품질 평가
샴푸 조성물의 관능적 사용 품질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방법인 Half-head Test로 비교예 5 내지 9와 실시예 1 및 2의 샴푸 조성물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즉, 기준 샴푸 조성물과 평가 대상 샴푸 조성물을 사용해 모발의 반반씩 나누어 샴푸한 후, 평가자 또는 모델이 느끼는 품질 수준을 점수화하였다. 기준 샴푸 조성물로는 시판되는 투명 샴푸(H)를 사용하였으며, 모발을 건조한 후 모발의 윤기 또는 부드러움 등의 측면에서 평가자 또는 모델이 느끼는 전반적 품질 수준을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화하였다.
[표 4]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품질 수준 (5점 만점 기준) 4.1 3.9 3.9 3.5 2.9 3.0 3.1 3.1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샴푸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5 내지 9의 샴푸 조성물에 비해, 모발의 부드러움이나 윤기 측면에서 전반적 품질 수준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1 내지 3의 샴푸 조성물은 비교예 5 내지 9의 샴푸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상술한 시험예 1 및 2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3의 샴푸 조성물은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의 작용으로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포함하여 보다 향상된 투명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Claims (23)

  1. 유효 성분으로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40% 이상으로 되는 샴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5~40㎛의 입자 크기로 분산되어 있고 1.40~1.42의 균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샴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의 0.1 내지 10.0 중량%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5 중량%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0 중량%와,
    나머지 함량의 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또는 라우릴 황산암모늄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카보머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상 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및 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11.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교반 하에 상기 혼합물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과,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다 작은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75~90℃에서 교반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또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또는 라우릴 황산암모늄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17.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에서는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의 0.1 내지 10.0 중량%와,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5 중량%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분산 단계 후에, 나머지 함량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계 후에, 카보머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상 안정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9.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계 후에,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및 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계에서는 18~25 Hz의 초음파를 조사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80~90℃에서 교반하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수불용성 실록산계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오일이 5~40㎛의 입자 크기로 분산되어 있고 1.40~1.42의 균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샴푸 조성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에 대한 광투과율이 70% 이상으로 되는 샴푸 조성물.
KR1020070086174A 2007-08-27 2007-08-27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21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174A KR20090021557A (ko) 2007-08-27 2007-08-27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174A KR20090021557A (ko) 2007-08-27 2007-08-27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57A true KR20090021557A (ko) 2009-03-04

Family

ID=4069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174A KR20090021557A (ko) 2007-08-27 2007-08-27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1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069A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한 마이크로 에멀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069A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케이씨씨 투명한 마이크로 에멀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9588A (en) Sensitive skin care regime
JP5073031B2 (ja) 皮膚化粧料
JPH04193814A (ja) 透明ないし半透明の化粧料
JPH06122614A (ja) 毛髪化粧料
KR20080047508A (ko) 셀프태닝 화장료
JP2013506656A (ja) 剤形安定性を改善させたo/w型化粧料組成物
KR101629502B1 (ko)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CA2591764A1 (en) A cosmetic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is cosmetic composition and a cosmetic product
TW458775B (en) An endermic liniment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KR102139340B1 (ko) 즉시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0251417A (zh) 控油修复妆前精华乳及其制备方法
TW200400834A (en)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KR102556488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3007A (ko) pH 민감성 성분의 안정화용 조성물
JP5981315B2 (ja) 染毛料組成物
JP2004175736A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CN1092512C (zh) 化妆用美容组合物
KR20090021557A (ko)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812241B2 (ja) 毛髪用乳化組成物
JP5793056B2 (ja) 化粧料
CN101203535B (zh) 聚合物和化妆品
KR20220034071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JP7062862B2 (ja) 水中シリコーン型化粧料
JPWO2019244500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