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239A -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239A
KR20090019239A KR1020070083517A KR20070083517A KR20090019239A KR 20090019239 A KR20090019239 A KR 20090019239A KR 1020070083517 A KR1020070083517 A KR 1020070083517A KR 20070083517 A KR20070083517 A KR 20070083517A KR 20090019239 A KR20090019239 A KR 2009001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let
blocking plate
partition wal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대
Original Assignee
윤원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대 filed Critical 윤원대
Priority to KR102007008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239A/ko
Publication of KR2009001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engaging a threaded ring clamped on the external periphery of the neck o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baffles, e.g. for controlling the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로부터 한번에 일정량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용기의 배출구와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
상기 용기 결합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단이 막힌 상부 막음판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막음판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유출부;
상기 유출부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되어 용기 결합부와 유출부를 분리시키며, 상기 배출공의 반대쪽 부위의 일부분이 개방된 하단 막음판;
상기 유출부의 내측에서 하단 막음판의 개방된 부위로부터 격벽 형태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출부의 상부 막음판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1 격벽;
상기 유출부의 내측에서 상부 막음판에 형성된 배출공의 위치로부터 격벽 형태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단 막음판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격벽;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용기 마개{Container stoope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마개의 외관을 보인 도.
도 2 는 도 1 의 절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
도 4 내지 도 7까지는 본 발명에 의하여 유출되는 액체의 경로를 보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용기 결합부 110 : 결합 나사부
120 : 노출공 130 : 결림턱
200 : 유출부 210 : 배출공
220 : 걸림돌부 230 : 하단 막음판
240 : 제 1 격벽 250 : 제 1 굴곡판
260 : 제 2 격벽 270 : 제 2 굴곡판
280 : 상부 막음판
본 발명은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로부터 한번에 일정량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유연제, 락스, 액체 비누, 식용유 등의 생활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상의 물질은 용기에 수용되어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용기로부터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몸체를 쥐고, 거꾸로 뒤집어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때 배출되는 약체의 양은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결정하여 용기를 똑바로 세워서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 섬유유연제나 액체 비누, 락스 등의 용기는 1.2리터 부터 2.5리터까지의 수용량을 가지므로, 그 무게 때문에 가정에서 주부가 이를 손에 쥐고 적정량을 배출하기란 여간 어려우며, 또한 이로 인해 적정량을 초과하는 과도한 액체의 배출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섬유 유연제나 액체 비누의 경우 세탁기에 직접 투입하기 위하여 용기의 뭄체를 쥐고 세탁조 내부로 액체를 투입할 때 사용자가 이를 잘 조절하지 못하여 과도한 양이 투입되면,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환경 요염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용기를 넘어뜨리는 경우 용기 내부의 액체가 한꺼번에 쏟아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번에 일정량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배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용기의 배출구와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
상기 용기 결합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단이 막힌 상부 막음판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막음판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유출부;
상기 유출부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되어 용기 결합부와 유출부를 분리시키며, 상기 배출공의 반대쪽 부위의 일부분이 개방된 하단 막음판;
상기 유출부의 내측에서 하단 막음판의 개방된 부위로부터 격벽 형태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출부의 상부 막음판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1 격벽;
상기 유출부의 내측에서 상부 막음판에 형성된 배출공의 위치로부터 격벽 형태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단 막음판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격벽;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마개의 외관을 보인 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절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까지는 본 발명에 의하여 유출되는 액체의 경로를 보인 도이다.
용기 결합부(100)는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배출구에 나사 결합 형태로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결합 나사부(110)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 결합부(100)의 상단 가운데 부분은 유출부(200)가 삽입되어 용기 결합부(10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공(120)은 용기 결합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됨으로써 걸림턱(130)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부(200)는 상부가 상부 막음판(280)에 의하여 막힌 원통체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몸체의 하부 외측으로 환형의 걸림돌부(2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 결합부(100)의 하부로부터 노출공(120)을 통하여 유출부(200)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부(220)가 용기 결합부(100)의 걸림턱(130)의 하측에 걸리게 되어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유출부(200)는 용기 결합부(100)의 상부에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굳이 유출부(200)의 회전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용기 결합부(100)와 유출부(200)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출부(200)의 상부 막음판(280)의 일측에는 유출부(200)의 내부에 형 성된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출공(2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일정량만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유출부(200)의 내부에 구성된다.
이의 구조를 설명하면, 유출부(200)의 내측 하단으로는 가로 방향으로 하단 막음판(230)이 형성되어 용기 결합부(100)와의 공간을 분리시키게 되며, 그 하단 막음판(230)의 일측 즉, 배출공(230)의 반대 방향 위치가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액체가 그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유출부(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하단 막음판(230)은 용기 내부의 액체를 개방된 부위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막음판(230)의 개방된 부위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제 1 격벽(240)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제 1 격벽(240)의 측면은 유출부(200)의 내측면과 맞닿으면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은 상부 막음판(280)의 하단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제 1 격벽(240)의 상단은 유출부(200)의 근접하는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굴곡된 제 1 굴곡판(250)이 연장 형성된다.
제 2 격벽(260)은 상기 배출공(210)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데, 제 1 격벽(240)과 마찬가지로 제 2 격벽(260)의 측면은 유출부(200)의 내측면과 맞닿으면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은 하단 막음판(230)의 상단면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격벽(260)의 하단은 제 1 격벽(240)의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굴곡된 제 2 굴곡판(270)이 연장 형성된다.
도 3 은 이러한 본 발명의 용기 마개(2)가 액체가 수용된 용기(1)의 배출구에 결합된 상태의 외관을 보인 도로서, 본 발명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용기의 배출구(1)가 약 80도 정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 4 내지 도 7 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단면을 도 4에 도시하였으며, 도 4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유출부(200)의 내부로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는데, 먼저, 용기 내부의 용액이 가장 먼저 유입되는 제 1 격벽(240)과 유출부(200)의 내측 공간 사이의 ①영역,제 1 격벽(240)의 상부와 제 2 격벽(260) 사이의 ②영역, 제 2 격벽(260)과 하단 막음판(230) 사이의 ③영역, 그리고 제 2 격벽(260)과 유출부(200)의 내측 공간 사이 즉, 배출공(210)이 위치한 영역의 ④영역을 구획된다.
최초 사용시에 도 4와 같이 용기 마개는 똑바로 세워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용기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를 거꾸로 들게 되면, 용기 내부의 액체가 ①영역과 ②영역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출부(200)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이에 의하여 ①영역과 ②영역에만 액체가 유입되게 되며, 다시 도 6에서와 같이 용기를 똑바로 세우면 ①영역과 ②영역에 유입된 액체가 ③영역으로 유입된다.
③영역으로 유입된 액체를 배출공(2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용기를 거꾸로 들게 되면, ③영역의 액체가 ④영역을 경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①영역과 ②영역으로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다시 유입되고, 다시 도 6과 같이 용기를 세우게 되면 ①영역과 ②영역에 유입된 액체가 ③영역으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반복 동작에 의하여 언제나 일정량의 액체만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서는 ②영역의 공간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양의 액체가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용기를 뒤집었다가 바로 세울 때 각 영역에 수용된 액체가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제 1 굴곡판(250) 및 제 2 굴곡판(260)에 의하여 이러한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일정량의 액체를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배출공(210)의 위치를 액체가 투여될 정확한 위치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유출부(200)를 용기 결합부(100)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치로 배출공(21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 마개는, 한번에 일정량의 액체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아이들의 장난이나 사용상의 실수로 인하여 용기를 넘어지더라도 용기 내부의 액체가 모두 쏟아지지 않고 일정량만 배출되어 낭비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용기의 배출구와 결합되는 용기 결합부;
    상기 용기 결합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단이 막힌 상부 막음판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막음판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유출부;
    상기 유출부의 내부 하단부에 형성되어 용기 결합부와 유출부를 분리시키며, 상기 배출공의 반대쪽 부위의 일부분이 개방된 하단 막음판;
    상기 유출부의 내측에서 하단 막음판의 개방된 부위로부터 격벽 형태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출부의 상부 막음판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1 격벽;
    상기 유출부의 내측에서 상부 막음판에 형성된 배출공의 위치로부터 격벽 형태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단 막음판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격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격벽의 상단은 유출부의 근접하는 측벽 방향으로 굴곡진 제 1 굴곡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격벽의 하단은 제 1 격벽 방향으로 굴곡진 제 2 굴곡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결합부와 유출부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용기 결합부의 상단 가운데 부분으로는 원형의 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출부의 하단 외측으로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가 노출공의 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면서 유출부의 걸림돌부가 노출공의 측면 내측 하단에 걸리어 유출부가 용기 결합부로부터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KR1020070083517A 2007-08-20 2007-08-20 용기 마개 KR20090019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17A KR20090019239A (ko) 2007-08-20 2007-08-20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17A KR20090019239A (ko) 2007-08-20 2007-08-20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239A true KR20090019239A (ko) 2009-02-25

Family

ID=4068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517A KR20090019239A (ko) 2007-08-20 2007-08-20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92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4361B1 (en) Delivery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RU23353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CA2949780A1 (en) Washing machine
CA2456441C (en) Delayed flow water reservoir for a clothes drying cabinet and method of use
KR101142306B1 (ko) 정량 배출용기
KR100613225B1 (ko) 병 마개
US4032035A (en) Child-resistant cover for containers
KR20090019239A (ko) 용기 마개
KR200282211Y1 (ko) 페트병
KR101020968B1 (ko) 액체용기 뚜껑의 공기조절밸브
CN211796324U (zh) 洗碗机以及用于洗碗机的投放器和门组件
JP3657804B2 (ja) 水利用装置
WO2011047451A1 (en) Cleaning supply dispens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JP5373554B2 (ja) 注出栓
JP7477445B2 (ja) 回転式計量ポンプ
KR101556528B1 (ko) 세제용기
JP2005187076A (ja) 水利用装置
CN217459962U (zh) 投放盒及具有其的投放总成、衣物处理设备
CN219030155U (zh) 盛装粉的瓶盖和瓶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KR102490499B1 (ko) 음료기기의 착탈식 급수유닛
JP2011143971A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CN209907500U (zh) 排水管清洁剂供给装置
CN105937144A (zh) 分配器盒和具有分配器盒的洗衣机
KR0138487B1 (ko) 액체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