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225B1 - 병 마개 - Google Patents

병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225B1
KR100613225B1 KR1020040028847A KR20040028847A KR100613225B1 KR 100613225 B1 KR100613225 B1 KR 100613225B1 KR 1020040028847 A KR1020040028847 A KR 1020040028847A KR 20040028847 A KR20040028847 A KR 20040028847A KR 100613225 B1 KR100613225 B1 KR 10061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upled
opening
outlet
clo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609A (ko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KR102004002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225B1/ko
Priority to US11/114,664 priority patent/US20050236440A1/en
Priority to CNA200510068645XA priority patent/CN1689921A/zh
Publication of KR2005010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being rotated without axial translation, whilst transmitting axial motion to an internal valve stem or valv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의 청결한 음용부에 관한 것으로써, 외주 면에 나사가 형성된 주입 구를 갖는 용기에 고정되는 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입 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출구를 갖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제공하여 병마개 사용시, 기존의 일반적인 개폐수단인 시계방향과 시계 반대방향 회전동작만으로 위생적인 음용부를 사용하여 청결한 음용을 하는 효과를 갖는다.
100 고정부재 110 외부캡 113 결합돌기 115 스토퍼 118 외부 캡 나사 B-1 내용물 200 개폐수단 218 승강나사 214 밸브부재 220 걸림돌기 230 연통공 300B 파지부 301 결합 홈 305 공기 유입로 320 걸림 홈 321 배출구 333 음용부 359 작동 나사홈

Description

병 마개 {CAP}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 1의 마개 구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 1의 마개 구성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 2의 마개 구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 2의 상하 승강 수단인 유도 홈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 2의 마개구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 3의 마개 구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 3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은 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음료수병의 마개 개봉 후, 적당량의 음용을 하고 재사용을 위해 폐쇄하는 데에는 손가락이나 치아로 개폐를 하는 바, 이는 입구에 닿는 부분인 음용부의 위생적인 사용과 보관 등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캡은 갈수록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지만 병입구를 통한 내용물의 단순 배출 구조상 공기오염 세균 등 노출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외주 면에 나사가 형성된 주입 구를 갖는 용기에 고정되는 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입 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출구를 갖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 면에 나사가 형성된 주입 구를 갖는 용기에 고정되는 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입 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출구를 갖는 작동부재와, 작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주입 구를 차단하며 중앙부에 관통 공이 형성되는 단부 플레이트와, 단부 플레이트의 외주 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입 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춘 외부 캡이, 외부 캡과 이격된 위치의 단부 플레이트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 구의 내부로 압입됨과 동시에 내주 면에 암나 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예정된 위치에서 개폐수단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내부 캡의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고정부재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상부에 단차를 갖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용부와, 음용부 중앙에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어 주변에 배출구를 구성하는 코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부의 하단은 상광 하협의 포물선 구조를 가지며, 주변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로가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음용부를 커버하는 상부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재는 고정부재의 단부 플레이트 상면에 링형의 결합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파지부의 하 면에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 및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와, 작동부재에 대해 회전은 제한되고 축 방향 이동은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승 시 코어부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밸브 부재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재는 외주 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캡의 나사 결합 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작동부재의 내면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림 홈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재에는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 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수단은,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 및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부재와, 작동 부재에 대해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상승 시 코어부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밸브 부재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재는 외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갭에 형성된 유도 돌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배출구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부재는 상부에 다수의 음용 배출구를 가지며 그 하단에서 밸브부재 외면의 밸브부재 하단면까지 밸브 공기 유입 로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는 도1,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 (100)는 용기 (13) 외주면의 나사선(12)에 고정되며 단부 플래이트(129)의 외주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용기(13)의 주입구에 나사 결합하는 외부 캡 나사(118)를 갖춘 외부 캡(110)과 이격된 위치의 단부 플레이트(129)의 축 방향으로 연장해서 용기 (13) 주입구 내부로 압입 됨과 동시에 내주면에 내부 나사선(225)이 형성되는 내부 캡(215) 하단부에는 스토퍼(115)가 내면으로 돌출하여 개폐수단(200)의 하강시 작동되는 승강부(290)외면의 승강나사 (218) 하강을 제한하게 한다.
개폐수단(200)은 고정부재(100) 중심부의 관통공(135)을 통해 밸브부재(214)가 상향하여 작동부재(300)의 결합을 대기한다.
고정부재 (100)는 단부 플레이트(129) 상면에 링형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13)와 파지부(300B) 하면에 몰입구조 되어 있는 결합홈(301)의 결합을 통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며 고정부재(100)와 작동부재(300)의 조립과정은 고정부재(100)내면 중심 개봉구로 개폐수단의 밸브부재(214)부터 진입하여 승강나사(218)부위가 스토퍼(115)에 강제 진입하고 내부나사선(225)을 회전 상승하여 단부 플레이트(129)를 측벽으로 하여 장착된다.
작동부재(300)는 중앙에 위치한 코어부(330) 주변 배출구(321)로 밸브부재(214)를 삽입하면서 밸브출구 (250)가 배출구 지지대 (310) 하면에 밀착, 외부와의 관통이 차단되기 직전에 거의 같은 위치에서 결합홈(301)과 결합돌기(113)도 장착된다.
공기 유입로(305)는 배출구 지지대(310)와 밸브출구(250)가 밀착되어지는 밑부분부터 코어부 외곽을 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부캡(390)은 음용부(333) 상부에 장착된다.
도 3에서는 작동부재(300)의 파지부(300B)를 사용자가 일방적인 시계 방향 및 반 방향 등으로 병마개를 회전 작동하면 걸림홈(320)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돌기(220)가 역 방향으로 회전하며, 축 방향 이동을 통해 승강나사(218)가 원만하게 내부 나사선(225) 을 통해 하향된다
이와 동시에 밸브출구(250)도 하향하며 공기 유입로(305)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곧이어 내용물(B-1)이 배출 될 수 있는배출구(321)가 개방되고 내부 나사선(225)을 통해 하향한 승강나사(218)는 하강회전이 끝나는 지점의 스토퍼(115)에 의해 하강 정지된다.
개폐수단(200) 하강 시 연통공(230)은 내용물(B-1)의 개스나 누수, 공기 등이 교차하는 관통구 역할을 한다.
또한 승강부 상단면(229)은 단부.플레이트(129)와 밀착하게 구조되어 내용물 (B-1)의 밀폐 기능을 한다.
상부캡(390)은 투명 재질로써,하단에 캡부 나사선(393)이 음용부 나사선(329)과 밀도 있게 개폐되며 쉽게 밀리거나 올라가서 열어지는 구조이며 상단의 캡부커버 (395)는 음용부(333) 상단 표면을 커버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식수 패트병의 경우 용기(13)를 누르면 내용물이 배출부(321)를 통해서 방출되어 캡부커버(395)에 고여져 투명하게 보이는 가운데, 간단한 세척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지금까지 모든 스포츠 캡의 음용부 개폐시 손가락 작동 등의 외부의 오염에 세척할 수 있는 자체 수단을 갖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간편하게나마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 실시예 2)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는 도 4, 5,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슷하나 개폐수단(200)이 다른 형상으로써, 개폐수단(200)의 승강부재 측면에는 한 개이상의 유도홈(225)이 형성된 승강부(290)가 내부캡(215) 내면의 유도돌기(15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구조로 완만하게 장착되고, 이의 축 방향 이동을 승강부재 상단의 작동나사홈(359)과 밸브 나사선(259)이 회전시, 나사선 작동에 의해, 개폐수단(200)가 하향하다가 내부캡(215) 하단에 돌출된 스토퍼(115)에 하강 정지된다.
( 실시예 3)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마개는 도7,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모든 부분이 비슷하나 개폐수단(200)이 작동부재(300) 회전시 걸림돌기(220)의 회전 운동으로 승강나사 (218)가 내부나사선(225)의 축방향 이동을 통해 상향과 동시 음용 부위인 밸브상단부(270)가 상승돌출이 이루어지며 다수의 음용배출구(275)는 내용물 배출구의 역할을 한다. 밸브부재{214}의 외곽 표면에 상하로 수직 형성된 밸브공기유입로{205}를 통해, 내용물 음용시, 공기압에 대한, 부담을 줄인다. 상기 개폐수단 의 장점은 음용부위가 작동부재에 내장되어 있어, 외관상 일반 스포츠 캡 외관과 똑같으면서, 음용부는 음용 시에만 싱향돌출 되므로, 위생적인 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상의 실시예들 사이의 호환가능한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며, 단순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치환에 의한 것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병마개 개폐 작동만으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한 위생적인 음용부를 갖는 발명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외주 면에 나사가 형성된 주입 구를 갖는 용기에 고정되는 캡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주입 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0)와,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출구를 갖는 작동부재(300)와,
    작동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주입 구를 차단하며 중앙부에 관통 공(135)이 형성되는 단부 플레이트(129)와,
    단부 플레이트(129)의 외주 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갖춘 외부 캡(110)과,
    외부 캡(110)과 이격된 위치의 단부 플레이트(129)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입 구의 내부로 압입 됨과 동시에 내주 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예정된 위치에서 개폐수단(200)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115)가 형성된 내부 캡(2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300)는, 고정부재(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300B)와, 파지부의 상부에 단차를 갖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용부(333)와, 음용부(333) 중앙에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어 주변에 배출구를 구성하는 코어부(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330)의 하단은 상광 하협의 포물선 구조를 가지며, 주변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 로(305)가 축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부(333)를 커버하는 상부 캡(3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00)는 고정부재(100)의 단부 플레이트(129) 상면에 링 형의 결합 돌기(113)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파지부(300B)의 하 면에 결합돌기(113)에 결합되는 결합 홈(301)을 형성하여 고정부재(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고정부재(100)에 대해 회전 및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290)와, 작동부재(300)에 대해 회전은 제한되고 축 방향 이동은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승 시 코어부(33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밸브부재(214)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290)의 외주 면에 승강나사(218)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 캡(215)의 나사와 결합 되고, 상기 밸브부재(214)는 외주 면에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220)가 형성되어 개폐수단(200)의 내면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림 홈(3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290)에는 축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 공(2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고정부재(100)에 대해 회전 및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290)와, 작동부재(300)에 대해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상승시 코어부(33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는 밸브부재(214)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290)는 외주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홈(225)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캡(215)에 형성된 유도돌기(1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밸브 부재(214)는 상기 배출구에 나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200)은 고정부재(100)에 대해 회전 및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290)와, 작동부재(300)에 대해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밸브부재(214) 출구가 밀봉되고 그 상부에 밸브 상단부가 형성되며 작동부재 회전에 의한 축 방향작용에 의하여 음용부가 상승 돌출되는 수단을 갖는 승강부(290)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214)는 상부에 다수의 음용 배출구(275)를 가지며 그 하단에서 밸브부재(214) 외면의 밸브부재(214) 하단 면까지 밸브 공기 유입 로(20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KR1020040028847A 2004-04-26 2004-04-26 병 마개 KR10061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847A KR100613225B1 (ko) 2004-04-26 2004-04-26 병 마개
US11/114,664 US20050236440A1 (en) 2004-04-26 2005-04-25 Cap for a container
CNA200510068645XA CN1689921A (zh) 2004-04-26 2005-04-26 一种旋转式瓶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847A KR100613225B1 (ko) 2004-04-26 2004-04-26 병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609A KR20050103609A (ko) 2005-11-01
KR100613225B1 true KR100613225B1 (ko) 2006-08-17

Family

ID=3513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847A KR100613225B1 (ko) 2004-04-26 2004-04-26 병 마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236440A1 (ko)
KR (1) KR100613225B1 (ko)
CN (1) CN16899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7872B2 (en) * 2004-11-17 2010-07-20 Ver Hage Henry W Removable cap assembly with a sealing ring and stopper lock
US20080029557A1 (en) * 2006-08-01 2008-02-07 Megatrade International, Inc. Closeable adjustable flow spout with tethered protective cap for a beverage container
US7845525B2 (en) * 2007-03-23 2010-12-07 Dart Industries Inc.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8517216B2 (en) * 2008-04-02 2013-08-27 Kenneth L. MacDougall Angled spout dispensing device
EP2143657A1 (en) * 2008-07-10 2010-01-13 Nestec S.A. Cap for a container
US8365941B2 (en) * 2009-05-15 2013-02-05 David James Mayer Dual-capped hydration bottle
KR101456798B1 (ko) * 2013-10-18 2014-10-31 최준혁 이유클립
CN106395116A (zh) * 2016-11-30 2017-02-15 泸县玉流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瓶盖
KR102479664B1 (ko) * 2016-12-29 2022-12-21 브라코 이미징 에스.피.에이. 회전에 의해 조작되는 컨테이너 마개
US11346742B2 (en) 2018-11-23 2022-05-31 Lonza Ltd Device and method for leakage testing of a connection between a rubber stopper and a corresponding drug container
ES2954612T3 (es) 2018-12-17 2023-11-23 Lonza Ag Dispositivo y método para la prueba de fugas de una conexión entre un tapón de caucho y un envase de medicamento correspondiente
US10858159B2 (en) * 2019-04-16 2020-12-08 Shenzhen Beauty Star Co., Ltd Rotary sealed packag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609A (ko) 2005-11-01
US20050236440A1 (en) 2005-10-27
CN1689921A (zh)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225B1 (ko) 병 마개
KR100849129B1 (ko)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RU2406670C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CN102482009B (zh) 分配盖
JPH08117119A (ja) 液体容器の栓体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JP2004533372A5 (ko)
KR101802133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JP6602088B2 (ja) キャップ
KR20100106861A (ko) 배수구 개폐장치
JPH08244822A (ja) 液体容器の口栓装置
JPH08244823A (ja) 液体容器の口栓装置
KR20030036325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336105Y1 (ko) 이종액체용기
JP3683668B2 (ja) 防水型液体噴出ポンプ
KR20130001110U (ko)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KR20120012043A (ko) 액체용기용 캡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RU30726U1 (ru) Колпачок для укупорки бутылок
KR200383087Y1 (ko) 디스펜서 용기
RU48176U1 (ru) Колпачок с поворотной крышкой для укупорки бутылок
JP3023107U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352152Y1 (ko) 병마개용 캡
KR100650801B1 (ko) 음료용 배출대의 작동부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