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660A - 인터랙션 시스템 및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션 시스템 및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660A
KR20090017660A KR1020087032075A KR20087032075A KR20090017660A KR 20090017660 A KR20090017660 A KR 20090017660A KR 1020087032075 A KR1020087032075 A KR 1020087032075A KR 20087032075 A KR20087032075 A KR 20087032075A KR 20090017660 A KR20090017660 A KR 2009001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tem
switchable
ligh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티아나 라시나
에버트 얀 반 로에넨
산더 베르나르드 프란시스 반 데 비제벤
게릿 홀맨스
케로 반 겔더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1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6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4Special arrangements of mirror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하이라이트 방법 및 인터랙션 시스템(100)은, 관찰자(130)를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아이템(120)의 제1 면을 향하는 전환가능한 거울(110); 및 상기 아이템(120)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전환가능한 거울(110)로부터의 반사를 통해 상기 관찰자(130)에게 보이게 되도록, 상기 거울을 투명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광원(170)은 아이템(120)의 제1 면을 조명하기 위하여, 반사상태에 있는 전환가능한 거울(110)로부터 반사하도록 전환가능한 거울(110)에 입사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인터랙션 시스템, 전환가능한 거울, 반사 상태, 하이라이트

Description

인터랙션 시스템 및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MIRROR FEEDBACK UPON PHYSICAL OBJECT SELEC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물체 뒤에 탑재된 거울(예를 들면, 유색광이 거울에 의해 반사될 수 있음)과 같은 전환가능한 표면을 이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인터랙티브 샵 윈도우에서 물체를 선택한 것의 결과로서 시스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랙션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고객을 즐겁게 하고, 제품에 대한 추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매상들은 대형 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로부터 투명 프로젝션 스크린에까지 이르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미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가 샵 윈도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으며, 샵 또는 그곳의 제품에 관한 안내 또는 정보를 포함한 슬라이드 쇼, 비디오 클립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에 이용된다. 현재 이용되는 샵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대부분은 순수하게 정보를 제공하기만 하는 논-인터랙티브 스크린(pure informative non-interactive screen)이다. 보다 개선된 샵 윈도우 디스플레이는 기초적인 레벨에서 디스플레이와의 소정의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경우 사용자는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 가는 것과 같은 소정의 기능을 기동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위에 또는 디스플레이 근방에 있는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샵 윈도우 뒤에 전시된 물리적 제품과,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샵 윈도우 디스플레이를 조합함으로써, 보다 매력적인 샵 윈도우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샵 윈도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005년 8월 4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05107205.6호인 "Augmented Shop and Show Windows"(대리인 정리번호 제002232호, 전체 문서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선 추적(gaze tracking) 또는 지시 제스쳐 검출(pointing gesture detection)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샵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물리적 제품을 보거나 가리킬 수 있다. 보기(looking)/응시(gazing) 및/또는 지시(pointing)이 샵 윈도우에 의해 검출되고, 그에 응답하여 샵 윈도우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샵 윈도우는 실제의 물리적 제품을 실제로 보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제시된 다양한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포함한 추가의 (디지털)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전형적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설계 실무에서, 시스템 상태에 관한 피드백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이 원리는 시스템 상태의 가시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유용성 휴리스틱스(usability heuristics) 중 하나를 따른다. 그러한 원리는, 시스템이 적당한 시간 내에 적절한 피드백을 통하여,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계속 알려주어야 한다는 개념을 따른다. GUI 설계에서 이러한 원리를 따라, 초점이 맞춰진 아이템, 또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하 이라이트하는 것이 공통된 관행이다. 유형의(tangible)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예를 들어 reactTable 또는 SmartSkin이라고 불리우는 것에서, 프로젝션을 이용하여 물리적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것이 설명되어 있다. 또한, 반사 모드와 투과 모드 간을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미러를 실현하기 위한 전환가능한 선형 편광기(switchable linear polarizer)가 미국 특허 출원 제10/507730호(대리인 정리번호 NL021038)인 "Mirror With Built-in Display"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서의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샵 윈도우에서, GUI에서 사용되는 피드백 기술과 마찬가지로, 해당 제품을 하이라이트함으로써 어느 제품이 선택되는지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샵 윈도우가 실외에 있고 자연광에 노출되기 때문에, 프로젝션 또는 스폿라이트를 이용한 하이라이트는 특히 낮시간 동안에는 거의 보이지 않을 것이다. 제품 하이라이트를 위해 스폿라이트를 이용하는 것의 다른 문제점은 다양한 제품을 비추도록 지향되는 다수의 스폿라이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하이라이트될 수 있는 제품의 수와 관련하여 시스템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다른 한계는, 제품 배치 및 스폿라이트 위치/스폿라이트로부터 나오는 비추는 광의 방향의 적절한 조합을 위하여, 제품들 또는 제품들을 담고 있는 선반의 레이아웃이 조절되어, 스폿라이트의 경로 내에는 제품이 배치되지 않게 되어, 스폿라이트로부터 원하는/조명되는 제품까지의 광 차단을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문제점은, 예를 들어 샵 윈도우의 유리 뒤에 제품이 전시될 때, 사용자 /관찰자를 향하는 제품(들)의 앞부분(들)만이 보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사용자/관찰자는 제품의 뒷부분을 볼 수가 없다. 제품의 뒷부분을 보이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전자기계적 회전 플랫폼이 모든 제품마다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샵 윈도우의 장식 또는 샵 윈도우 내부에서의 제품 배치가 변경됨에 따라 설치 및 이동하기에 지나치게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예를 들어 물체 뒤에 탑재된 전환가능한 거울을 이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샵 윈도우에서 물체를 선택한 것의 결과로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보다 양호한 인터랙티브 시스템으로서, 상기 거울이 그 거울로 지향되고 그 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유색광을 포함하는 광원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물체의 뒷면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목적은 종래의 인터랙티브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과 그 이외의 목적은, 관찰자를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아이템의 제1 면을 향하는 전환가능한 거울; 및 아이템의 제1 면이 전환가능한 거울로부터의 반사를 통해 관찰자에게 보이게 되도록, 거울을 투명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시스템, 및 하이라이트 방법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광원은 아이템의 제1 면을 조명하기 위하여, 반사 상태에 있는 전환가능한 거울로부터의 반사를 위하여 전환가능한 거울에 입사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발광 다이오드, 백열, 형광, 할로겐, 및 고강도 방전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어떠한 제어가능한 광원이라도 가능하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어 샵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 물리적 물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한다. 사용자의 선택은 제스쳐, 응시, 또는 임의의 기타 선택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방법은 자연광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조명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물체 뒤에 탑재된 거울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따라서 시스템 및 방법은 물체의 뒷부분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분야들을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예들이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긴 하지만, 설명의 목적으로만 의도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음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것과 그 이외의 본 발명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및 다음과 같은 첨부도면들을 보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본 발명의 응용 또는 용도에 관한 어떠한 제한을 가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들에 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며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구체적 실시예들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당업자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시스템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며, 다른 실시예들도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구조적 및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시스템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통상적으로, 도면의 참조번호 중 제일 앞의 숫자는 대응하는 도면의 번호를 나타내지만, 예외적으로 다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요소가 나올 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식별된다. 또한, 명확성을 위하여, 공지된 디바이스, 회로 및 방법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관찰자 또는 사용자(130)가 그 정면으로부터 바라보는 물체 또는 아이템(120) 뒤에 배치된 전환가능한 미러(110)를 갖는 인터랙티브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물체/아이템(120)은 샵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품과 같은 임의의 아이템일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서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기타 투명 재료 또는 패널(140)이 물체(120)와 관찰자(130) 사이에 존재한다. 물체(120) 및 위치는 관찰자/사용자(130)에 의한 관찰 또는 사용을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임의의 위치 및 물체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물체(120)는 익 터랙티브 피지컬 전시(interative physical exhibit)를 위한 박물관 내에 전시된 예술작품일 수 있으며, 물체(120)와 관찰자(130) 사이에는 임의의 재료(140)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물체(120)가 근접하게 또는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아이템 선택 수단은, 예를 들어 관찰자가 물리적 아이템(120)을 응시하는 것 및/또는 실제의 아이템(120)을 가리키는 것, 또는 Bluetooth 등의 단거리 무선 링크를 통해 시스템(100)과 통신하는 이동전화기 또는 PDA와 같은 휴대형 디바이스의 스크린과 같은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상의 아이템을 포인팅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통하는 것 등에 의해, 물체(120)들 중 하나 이상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쇼케이스가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맵핑되고, 이 경우 사용자(130)는 스크린 상을 포인팅하여 물체(120)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시스템(100)은 아이템(들)(12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템(120)에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피드백은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하는 것, 예를 들어 전환가능한 거울(110)로부터 반사되어 선택된 아이템(120)의 배면으로 향하는 광을 제공하는 것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전환가능한 거울(110)은 반사 상태에서는 아이템(120)의 배면의 뷰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물체 자체를 가리킴으로써 다수의 아이템들 중 한 아이템(120)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200)를 도시하고 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에 연결된 카메라(210)가 예를 들 어 시선 추적(gaze tracking) 또는 포인팅 제스쳐 검출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2005년 8월 4일자 출원된 유럽 특허출원 제05107205.6호인 "Augmented Shop and Show Windows"(대리인 정리번호 002232)에 개시되어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는 키보드, 또는 터치감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포인터/손가락과 같이, 마우스 또는 임의의 기타 입출력 디바이스 또는 단순히 자신의 손가락(240)을 이용하는 것 등에 의해, 복수의 선택가능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스크린(230) 상을 포인팅함으로써, 아이템(140)을 선택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원하는 기능 및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되고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운영 체제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세서(220)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메모리(250)가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샵 윈도우에 전시된 각각의 아이템(120) 뒤에는, 방문자 또는 관찰자(130)가 제품/아이템(120)의 뒤를 보기에 편안한 각도와 같은 소망의 각도로, 전환가능한 거울(110)이 탑재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환가능한 거울(110)은 반사 상태와 비반사 상태 간을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사용자(130)에 의해 제품(120)이 선택된 때, 전환가능한 거울(110)이 반사 상태로 전환되어 제품(120)의 뒷면이 고객(130)에게 보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셋업은 거울(150)을 제품(120)의 뒷면에 위치시키고 전환가능한 유리 패널(160)을 제품(120)과 거울(15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실례를 들면, 전환가능한 유리 패널(160)은, 컨트롤러(220)에 의해 불투명 또는 투명 상태 간에 전환될 수 있는 PRIVA-LITE TM 패널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투명 상태에서는 PRIVA-LITE TM(160) 뒤의 거울(150)이 보일 수 있게 될 것이고, 불투명 상태에서는 고객(130)이 거울(150)의 뷰를 차단하는 PRIVA-LITE TM 확산 표면을 보게 된다.
전환가능한 유리 패널(160)로서 사용될 수 있는 PRIVA-LITE TM 패널은 벨기에에서 Saint Gobain Glass Company의 지사에 의해 생산되며, 그러한 패널은 유리 시트들 사이에 협지된 액정(LC) 필름을 포함한다. LC 필름은 도전성 코팅들 사이에 협지된 폴리머 매트릭스로 된 LC를 포함한다. PRIVA-LITE TM 패널이 도전성 코팅들에 접속된 특수한 전원으로부터 스위치오프되면, 액정은 무작위로 산란되고 모든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킨다. PRIVA-LITE TM은 OFF 상태에서는 반투명하며, 양면에서 유리 패널을 통하여 보는 것을 방지한다. 전력을 제공하고 PRIVA-LITE TM 패널을 ON시키면, 액정들이 정렬(line up)되고 재배향되어, PRIVA-LITE TM을 완전히 투명한 상태로 한다.
다르게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04/0169789 A1호 및 제2004/0229049호(이들 문헌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에 개시된 것과 같이, 투명 상태와 불투명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다른 패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거울(150)과 전환가능한 유리(160)는 개별 유닛이 아닌 하나의 유닛으로서 일체화될 수 있다. 미국 특허 공개 제2004-0021921 A1호 및 국제 공개 번호 제WO 02/01288 A1호(이들 문헌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에 개시된 것과 같은, 다른 전환가능한 거울 또는 반사성 필름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미국 특허 출원 제10/507,730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λ/2 지연기(retarder) 및 전환가능한 편광 필터를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편광기도 전환가능 한 거울(110)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전환가능한 편광기는 반사 모드와 투명 모드 간에서 전환할 수 있다.
아이템(120)의 뒤에 위치된 전환가능한 거울(110)은, 아이템(120)에 대한 사용자(130)의 선택에 응답하여, 투명 또는 불투명 모드로부터 반사 모드로 전환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전환가능한 거울(110)은 예를 들어 디폴트 모드인 투명 또는 불투명 모드로 있는다. 불투명 모드와 반사 모드 간에서 상태가 변화하는 전환가능한 거울을 대신하여, 투명 모드와 반사 모드 간에서 상태가 변화하는 전환가능한 거울을 사용하여, 투명 모드에서는 전환가능한 거울(110) 뒤의 다른 물체가 관찰자(130)에게 보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거울 모드의 활성화와 동시에, 거울(150)을 향해 지향되는 광선(175)을 제공하는 광원(170)이 스위치온된다면, 전환가능한 거울(110)을 스위치온함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더 알아차리기 쉽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치 램프가 제품(120)의 뒤에 배치된 것처럼, 반사된 광(180)(거울(150)로부터 반사된 광)은 제품(120)을 하이라이트할 것이다. 적색, 녹색 및 청색(RGB)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과 같은 제어가능한 광원을 사용하면, 거울(150)을 향한 후 제품(120)으로 반사되는 광(175)의 컬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LED는 변화하는 컬러, 강도, 색조, 채도, 빔폭, 스폿 사이즈 및 기타 속성을 갖는 광을 제공하도록 쉽게 구성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다양한 광 속성들의 제어 및 조정을 위한 전자 구동 회로를 갖기 때문에, LED는 다양한 속성의 광을 제어가능하게 제공하는 데에 특히 잘 맞는다. 그러나, 백열, 형광, 할로겐, 또는 HID(high intensity discharge) 조명 및 다양한 광 속성의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 또는 밸러스트를 갖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이, 다양한 강도 레벨, 상이한 컬러들, 색조, 채도, 빔 폭, 스폿 사이즈 등과 같은 다양한 속성들의 광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제어가능한 광원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컬러 광을 사용하면 컬러 코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동시에 샵 윈도우와 인터랙션하고 있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을 구별하기 위하여 컬러 코딩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 A에는 적색이 할당되고, 사용자 B에는 녹색이 할당되고, 사용자 C에는 청색이 할당되고, 사용자 D에는 주황색 또는 컬러, 색조, 채도 및/또는 광 강도의 임의의 조합이 할당된다. 이러한 컬러 코딩된 체계에서, 각각의 사용자는 시스템이 자신에게 할당한 컬러,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PDA 또는 시스템(100)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예를 들어 무선이든 유선이든 임의의 링크를 통해 선택한 이용가능한 컬러를 이용하여 피드백을 받는다.
또한, 동일한 컬러로 "관련" 제품을 나타내기 위하여 컬러 코딩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라면, 동일 또는 유사한 강도, 색조, 채도 등과 같은 동일 또는 유사한 색 속성으로, 관련 제품들을 하이라이트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컬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본 명세서의 관점에서 컬러 코딩의 다양한 조합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실례를 들면, 컬러 강도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을 조명하는 최고 강도로부터, 다른 관련된 제품들을 조명하는 낮은 강도까지 변화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으로 가장 관련있는 제품 또는 할인된 가격에 판매되고 있 는 판촉 제품은 더 낮은 강도 레벨로 조명되고, 다른 제품들은 훨씬 더 낮은 강도 레벨로 조명되는 등이다. 관련 제품들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과 동일한 브랜드, 동일한 제품 카테고리의 제품, 및/또는 호환가능한 제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진기를 선택하면, 임의의 소망의 광 속성을 갖는 광으로 조명될 수 있는 관련 제품들은, 메모리 카드, 배터리, 프린터 등일 것이다.
물론, 통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관점에서 당연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와 분리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는 광원 컨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가능한 광원은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무선 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 포함 또는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 안테나, 변조기, 복조기, 변환기, 듀플렉서, 필터, 멀티플렉서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및 제어를 위한 구성요소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50) 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이 메모리(250)는, 방출되는 광의 속성을 변화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는 광원의 경우에, 강도(즉, 디밍(dimming) 기능), 컬러, 색조, 채도, 빔폭, 방향, 컬러 온도, 혼합된 컬러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이, 관련된, 관련있는 또는 원하는 제품을 조명하기 위한 광 및 광 속성/셋팅의 프로그래밍가능한 그룹을 포함하여, 광원(들)의 제어에 관련된 미리 정해진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셋팅들과 같은 기타 데이터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물론, 원하는 컬러 속성은 그룹들마다, 또는 한 그룹 내의 조명 유닛마다 다를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즉, 개별 조명 유닛들은 단일 소비자에 연관된 단일 그룹 내에 있더라도, 서로 다른 원하는 속성을 가진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한 그룹의 광원들은 특정한 컬러의 광을 제공하는데, 하이라이트하는 정도를 달리하면서 아이템(120)을 하이라이트/조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강도와 같은 다른 광 속성들은 변경될 수 있다. 인터랙션 시스템의 다양한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링크(들)를 포함한 임의의 종류의 링크에 의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을 다양한 수정이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물론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유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라 동작 행동들(operation acts)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동작 행동들은 특히 본 방법의 개별 단계들 또는 행동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바람직하게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기에 적합하다. 물론,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집적된 칩, 주변 디바이스, 또는 컨트롤러 또는 광 모듈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나 기타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메모리는 임의의 기록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RAM, ROM, 이동식 메모리, CD-ROM, 하드 드라이브, DVD, 플로피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일 수 있고, 또는 전송 매체(예를 들어, 광섬유, 월드와이드 웹, 케이블, 및/또는 예를 들어 시분할 다중 액세스,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 또는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무선 채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알려진 또는 개발된 어떠한 매체라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메로리(25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메모리도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메모리(250) 및/또는 임의의 기타 메모리는 장기간, 단기간, 또는 장기간과 단기간의 조합인 메모리일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들은 여기에 개시된 방법, 동작 행동 및 기능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컨트롤러(220)를 구성한다. 메모리들은 분산형 또는 로컬형일 수 있으며, 추가의 프로세서들이 제공될 수 있는 경우, 프로세서는 분산형 또는 단독형(singular)일 수 있다. 메모리는 전기, 자기 또는 광 메모리, 또는 이들 또는 기타 유형의 저장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라는 용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되는 어드레스가능한 공간 내의 어드레스로부터 판독하거나 거기에 기입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를 포괄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의 정보도 마찬가지로 메모리 내에 포함되는데, 프로세서가 그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50)는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되는 U.S. 2003/0057887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프로세서/컨트롤러 및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광 모듈을 선택 및 그룹화하는 것 및/또는 미리 정해진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광 셋팅을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제공 하고/거나 동작들을 수행하고,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특정적인 또는 범용의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다수의 기능들 중 하나만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수행하기 위해 동작하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부분(program portion), 다수의 프로그램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또는 전용 또는 다목적 집적 회로를 이용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의 존재 및 신분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상기 시스템들 각각은 다른 시스템과 협동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인터랙션 피드백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샵 윈도우 내의 물체를 선택한 것의 결과로서 설명되었다. 예를 들어, 피드백은 물체 뒤에 탑재된 거울(이 경우, 컬러 광이 거울에 의해 반사됨)과 같은 전환가능한 표면을 사용하는 것에 기반을 둘 수 있다. 인터랙션 피드백의 이점은 물체의 뒷면을 보여주는 것, 사용자의 주목을 끌고 유지하는 것,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체(들)의 원하는 특징을 하이라이트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다른 물체를 제안/하이라이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실시예들 또는 프로세스들 중 임의의 하나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 또는 프로세스들과 조합되어, 특정한 개성을 갖는 사용자들을 찾고 매칭시키며 관련있는 추천을 제공하는 데에 훨씬 더 큰 개선사항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의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 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임의의 특정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의 그룹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정한 세부사항들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대로의 본 발명의 시스템의 더 넓은 의도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만 취급되어야 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
1) "포함한다"라는 용어는 해당 청구항에 나열된 것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행동의 존재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2) 구성요소 앞에 수사가 없거나 "들"을 붙이지 않았다고 해서, 그러한 구성요소가 복수개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3) 청구항 내의 어떠한 참조 부호도 그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4) 수개의 "수단"이 동일 아이템 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현된 구조 또는 기능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5) 개시된 구성요소들 중 임의의 것은 하드웨어 부분(예를 들어, 개별적 또는 집적된 전자 회로를 포함함), 소프트웨어 부분(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6) 하드웨어 부분은 아날로그 및 디지탈 부분 중 하나 또는 둘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7) 개시된 디바이스들 또는 그 부분들 중 임의의 것은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함께 모아질 수도 있고 다른 부분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
8) 특별히 표시되지 않는 한, 행동 또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는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13)

  1. 인터랙션 시스템(100)으로서,
    관찰자(130)를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아이템(120)의 제1 면을 향하는 전환가능한 거울(switchable mirror)(110); 및
    상기 아이템(120)의 상기 제1 면이 상기 전환가능한 거울(110)로부터의 반사를 통해 상기 관찰자(130)에게 보이게 되도록, 상기 거울을 투명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220)
    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120)의 상기 제1 면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 상태에 있는 상기 전환가능한 거울(110)로부터의 반사를 위하여 상기 전환가능한 거울(110)에 입사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원(170)을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170)은 발광 다이오드, 백열등, 형광, 할로겐, 및 고강도 방전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220)는 상기 관찰자(130)가 상기 아이템(120)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터랙션 시스템(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120)은 상기 아이템(120)을 가리키고 응시하는 것 또는 디스플레이(230)로부터 상기 아이템(120)을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관찰자(13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리키는 것 및 상기 응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210)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가능한 거울(11O)은 거울(150), 및 상기 거울(150)과 상기 아이템(120) 사이에 위치된 전환가능한 패널(160)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가능한 패널(160)은 투명 상태와 불투명 상태 간을 전환할 수 있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가능한 패널(160)은 편광기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시스템(100).
  10. 물체(120)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물체(120)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전환가능한 거울(110)을 투명 상태로부터 반사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물체(120)가 하이라이트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120)는 광원(170)으로부터의 조명에 의해 하이라이트되는,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170)은 상기 물체(120)의 뒷면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 상태에 있는 상기 전환가능한 거울(110)로부터의 반사를 위하여 상기 전환가능한 거울(110)에 입사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물체(120)를 가리키고 응시하는 것 또는 디스플 레이(230)로부터 상기 물체를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물체 중에서 상기 물체(120)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KR1020087032075A 2006-05-31 2007-05-09 인터랙션 시스템 및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KR20090017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4760 2006-05-31
EP06114760.9 2006-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660A true KR20090017660A (ko) 2009-02-18

Family

ID=3857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2075A KR20090017660A (ko) 2006-05-31 2007-05-09 인터랙션 시스템 및 물체를 하이라이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49482B2 (ko)
EP (1) EP2028977A2 (ko)
JP (1) JP2009538668A (ko)
KR (1) KR20090017660A (ko)
CN (1) CN101453928B (ko)
WO (1) WO20071385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4714B2 (ja) 2006-06-07 2013-08-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物理的対象物の選択に関する光フィードバック
US9606621B2 (en) 2006-07-28 2017-03-28 Philips Lighting Holding B.V. Gaze interaction for information display of gazed items
EP2739564A1 (en) 2011-08-03 2014-06-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rticles for manipulating impinging liquid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20190104235A (ko) 2011-08-05 2019-09-06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액체 함침 표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이 일체화된 장치
US8731245B2 (en) * 2012-03-07 2014-05-20 Xerox Corporation Multiple view transportation imaging systems
US9309162B2 (en) 2012-03-23 2016-04-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iquid-encapsulated rare-earth based ceramic surfaces
KR102240529B1 (ko) 2012-03-23 2021-04-16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식품 포장물 및 식품 가공 장치용 자체-윤활성 표면
KR101161114B1 (ko) * 2012-04-05 2012-06-28 기민전자주식회사 엘씨디 영상을 구현가능한 쇼케이스 냉장고용 도어 조명구조
US20130337027A1 (en) 2012-05-24 2013-12-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dical Devices and Implements with Liquid-Impregnated Surfaces
US9625075B2 (en) 2012-05-24 2017-04-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with a liquid-impregnated surface to facilitate material conveyance
US20130340840A1 (en) 2012-06-13 2013-12-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rticles and methods for levitating liquids on surface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CA2892073C (en) 2012-11-19 2022-05-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s employing liquid-impregnated surfaces
US20140178611A1 (en) 2012-11-19 2014-06-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s employing liquid-impregnated surfaces
JP6356702B2 (ja) 2013-02-15 2018-07-11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滴状凝縮のためのグラフトポリマー表面、ならびに関連使用および製造方法
CN110038726A (zh) 2013-04-16 2019-07-23 麻省理工学院 用于乳化剂及其它混合物的单极分离的系统及方法
US20150002768A1 (en) * 2013-06-26 2015-0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object visibility with switchable glass and photo-taking intention detection
US9585757B2 (en) 2013-09-03 2017-03-0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rthopaedic joints providing enhanced lubricity
US20150179321A1 (en) 2013-12-20 2015-06-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led liquid/solid mobility using external fields on lubricant-impregnated surfaces
WO2015196052A1 (en) 2014-06-19 2015-12-2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ubricant-impregnated surfaces for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and devices and systems using same
US9386950B1 (en) * 2014-12-30 2016-07-12 Online Reading Tutor Ser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yslexia
JP2017138350A (ja) * 2016-02-01 2017-08-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06724423A (zh) * 2016-12-12 2017-05-31 李新亚 旋转式展品陈列架
US10528817B2 (en) 2017-12-12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659A (en) 1896-07-28 simons
GB2232520A (en) * 1989-06-08 1990-12-12 Blakecare Limited Display device
JPH0511188U (ja) * 1991-07-30 1993-02-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展示プレート
US5646596A (en) * 1995-09-15 1997-07-08 Idc, Inc. Interactive window display
US7242152B2 (en) * 1997-08-26 2007-07-10 Color Kine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ystems
US5999317A (en) * 1998-01-13 1999-1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y mirror with transmissive image mode
FR2781062B1 (fr) * 1998-07-09 2002-07-12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a proprietes optiques et/ou energetiques electrocommandables
DE10031294A1 (de) 2000-06-27 2002-01-10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Schaltbare Spiegelfolie
CN2455147Y (zh) * 2000-10-28 2001-10-24 查保俊 具有发光旋转之防罩结构体
US6646633B1 (en) * 2001-01-24 2003-11-11 Palm Source, Inc. Method and system for a full screen user interface and data entry using sensors to implement handwritten glyphs
JP3081296U (ja) * 2001-04-24 2001-10-26 有限会社ハル・コーポレーション 電球型電飾装置
FR2827397B1 (fr) * 2001-07-12 2003-09-19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a proprietes optiques variables ou systeme holographique, thermotrope ou a particules en suspension
JP2005521086A (ja) 2002-03-18 2005-07-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ィスプレイを組み込んだミラー
US6607275B1 (en) * 2002-03-20 2003-08-19 The Neiman Marcus Group, Inc. Merchandise display case and system
US7042615B2 (en) * 2002-05-17 2006-05-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lithium insertion
KR100631670B1 (ko) * 2003-12-0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4671323B2 (ja) * 2004-04-28 2011-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251944B1 (ko) 2005-08-04 2013-04-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물건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을 감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894117B2 (en) * 2006-01-13 2011-02-22 Andrew Finlayson Transparent window switchable rear vision mirror
US7679808B2 (en) * 2006-01-17 2010-03-16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integrated switchable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31273A1 (en) 2009-09-17
EP2028977A2 (en) 2009-03-04
WO2007138504A2 (en) 2007-12-06
CN101453928B (zh) 2011-01-19
JP2009538668A (ja) 2009-11-12
WO2007138504A3 (en) 2008-02-14
CN101453928A (zh) 2009-06-10
US8749482B2 (en)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482B2 (en) Mirror feedback upon physical object selection
US9336700B2 (en) Light feedback on physical object selection
US10417943B2 (en)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on display case
US970984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CA2822093C (en) Transparent display backlight assembly
JP2009538668A5 (ko)
US20120162269A1 (en) Transparent Display Active Backlight
US20080218486A1 (en) Contextual Touch Panel
TW200826006A (en) Front lighting for rollable or wrappable display devices
US9329425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EP1963910A2 (en) A display system
WO2007099470A1 (en) Interaction mechanism for light systems
US20140210322A1 (en) Point of purchase system having transparent displays
KR201900792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5004090A (zh) 用于显示装置的制品和显示系统
US11551625B1 (en) Reflective, transmissive, and transflective static programmable exhibi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9154684B (zh) 图形镜
JP2016164699A (ja) 自動販売機
JPH0736393A (ja) 面発光素子及び同面発光素子を用いた表示装置
AU2015201585B2 (en) Transparent display backlight assembly
KR20190126666A (ko) 안경원 스마트 진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