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862A - 배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862A
KR20090016862A KR1020070081149A KR20070081149A KR20090016862A KR 20090016862 A KR20090016862 A KR 20090016862A KR 1020070081149 A KR1020070081149 A KR 1020070081149A KR 20070081149 A KR20070081149 A KR 20070081149A KR 20090016862 A KR20090016862 A KR 20090016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mbustion
gas
cauldr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유주미 겐지
Original Assignee
글로벌 인바이론먼트 에세스 홀딩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인바이론먼트 에세스 홀딩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로벌 인바이론먼트 에세스 홀딩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7008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862A/ko
Publication of KR2009001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55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해야 할 배수(排水)를 저장하는 배수탱크와 배수탱크에서 공급된 배수를 가열하는 연소 가마솥과 연소 가마솥에서 발생한 분진(粉塵)을 수집하는 집진장치와 연소 가마솥에서 발생한 증기를 냉각하는 냉각장치와 냉각장치에 의해서 냉각된 증기를 액체와 가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장치와 기액분리장치에 의해서 가스와 분리된 액체를 정화하는 액체정화장치를 갖춘다. 액체정화장치는 백금촉매(白金觸媒)를 사용하여 오존(ozone)을 발생시켜 오존에 의해서 액체를 정화(淨化)하는 배수처리장치(排水處理裝置)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의료시설, 공장, 일반가정, 점포,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公共)의 장소 등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하수도에 방류(放流) 하여도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정화(淨化)할 수가 있는 것이다.
Figure P1020070081149
배수탱크, 액체정화장치

Description

배수처리장치{Drain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의료시설이나 공장, 일반가정, 점포,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의 장소 등에서 배출하는 배수(排水)를 처리하기 위한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환경문제에 의식이 높아짐으로써 의료시설이나 공장, 일반가정, 점포,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의 장소 등에서 배출하는 배수를 적절히 처리해야 한다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수를 아무런 처리 없이 하수도 등으로 흐르게 하면 공공의 처리 시설에 부하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하수도나 주위의 지반 등에 오염이 축적되고 생활환경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로는 의료시설 등에서는 종래에 치료에 사용한 배수를 처리장치에 통하여 정화하여 하수도에 흐르게 하는 등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참조)
더욱 종래의 배수처리장치에서는 근년의 환경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운 것이 므로 상기 배수를 하수도에 흐르지 않는 저유설비에 모아 차게하고 어느 정도의 양이 차게 되면 이 오수를 전문업자가 회수하여 전용의 시설에서 일괄처리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 4 - 87678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를 많은 양 모아서 일괄처리하려면 그의 양에 부응한 대형의 처리시설이 필요하게 된다.
더욱 행정면의 정비가 필요한 것도 고려된다. 또 상기와 같은 배수 회수의 사회적인 장치가 구축된 경우 배수를 내보내는 입장의 단체 혹은 개인에 처리 비용의 부담을 강요하는 것도 십분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의료시설만이 아니고 공장, 일반가정, 점포,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의 장소 등에서 배출된 배수를 하수도에 방출하여도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정화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는 처리해야 할 배수를 저장하는 배수탱크와 배수탱크에서 공급된 배수를 가열하는 연소 가마솥과 연소 가마솥에서 발생한 분진을 수집하는 집진장치와 연소 가마솥에서 발생한 증기를 냉각하는 냉각장치와 냉각장치에 의해서 냉각된 증기를 액체와 가스(gas)로 분리하는 기액분리장치와 기액분리장치에 의해서 가스와 분리된 액체를 정화하는 액체정화장치를 갖춘다. 액체정화장치는 백금촉매를 사용하여 오존(ozone)을 발생시켜 오존에 의해서 액체를 정화한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처리해야할 배수 즉 의료시설이나 공장, 일반가정, 점포,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의 장소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물은 배수탱크에 일단 저장한 후 연소 가마솥에 공급된 배수는 수분이 증발할 때까지 가열한다. 가열의 과정에서 연소 가마솥에서 발생한 분진(粉塵)은 집진장치에 의해서 수집된다.
연소 가마솥에서 발생한 증기는 냉각장치에 의해서 냉각된 후 기액분리장치에 공급된다. 기액분리장치에 공급된 증기는 액체(液體)와 가스(gas)로 분리된다. 기액분리장치에 의해서 가스와 분리된 액체는 액체정화장치에 공급되고 백금촉매를 사용하여 발생된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하수도에 방류하여도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정화된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는 기액분리장치에 의해서 액체와 분리된 가스(gas)를 연소 가마솥의 열로 연소시킨다. 2차 연소장치를 갖추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기액분리장치에 의해서 액체와 분리된 가스는 연소가마솥의 열로 2차적으로 연소되고 가스 중에 약간 잔류하는 냄새의 성분이 분해된다. 그러나 2차 연소 후의 가스를 대기중에 방출하여도 냄새는 없고 장치 주위의 사람들이 불쾌한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는 배수탱크의 수량(水量)을 모니터(monitor)하는 수량 센서가 설치되고 수량센서에 의해서 배수탱크의 수량이 정량(定量)에 도달한 것이 판단된 때에 배수탱크 내의 배수를 연소 가마솥에 공급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배수탱크의 수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배수탱크 내부의 배수가 연소 가마솥에 공급된다. 따라서 배수탱크 내부의 배수가 흘러넘치지 않고 장치의 주위가 청결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의료시설, 공장, 일반가정, 점포,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의 장소 등에서 배출된 배수를 정화(淨化)할 수가 있다. 처리된 배수는 하수도에 방류하여도 문제가 없는 수준까지 정화가 됨으로써 배수를 내보내는 입장의 단체 혹은 개인이 별개의 배수를 처리하는 것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배수처리장치는 의료시설에 있어서 치료에 사용한 배수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 배수처리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탱크(1)와 연소 가마솥(2)과 집진장치(3)와 냉각장치(4)와 기액분리장치(5)와 2차 연소장치(6)와 액체정화장치(7)를 갖추고 있다.
배수탱크(1)는 의료시설에 있어서 치료에 사용된 물을 저장하는 설비이다. 배수탱크(1)의 내부에는 배수탱크(1)에 저장된 배수를 연소 가마솥(2)에 공급하는 펌프(1A)와 배수탱크(1) 내부의 탈취 및 살균을 하는 광촉매탈취살균장치(光觸媒脫臭殺菌裝置)(1B)가 설치되어 있다.
광촉매탈취살균장치(1B)는 이산화티탄(Titan)을 코팅한 네트(net)와 자외선(紫外線)램프(lamp)를 갖추고 있으며 배수탱크(1) 내부에 있어 액체(液體), 액면(液面) 각 장치의 내벽면 및 액면상(液面上)의 기체(氣體 )의 살균, 탈취에 효과를 발휘한다. 또 배수탱크(1)의 내부에는 고위(高位)와 저위(低位) 두 개의 수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1A)와 연소 가마솥(2)과의 사이에 배설된 배수관에는 전동변(電動弁) (1C)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변(1C)은 펌프(1A)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배수의 배수탱크(1)로 역류나 배수의 연소 가마솥(2)으로의 과잉공급을 방지한다. 연소 가마솥 (2)은 배수탱크(1)에서 연소 가마솥(2)에 공급되는 배수를 가열하고 이 배수를 살균, 탈취함과 동시에 유기물(有機物)을 저감하는 설비이다. 연소 가마솥(2)은 배수 탱크(1)에서 반송(搬送)된 배수를 연소하는 연소실(燃燒室)과 연소실을 가열하는 가열실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실, 가열실은 어디에도 밀폐구조이다.
연소실에는 배수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배수로 발생하는 취기(臭氣)를 일정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교반기(攪拌機)(2A)와 교반기(2A)를 구동하는 모터(2B)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실에는 연소실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Heater)와 히터의 온도를 모니터(monitor)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 가마솥(2)의 가열방식은 히터에 한하지 않고 가스(LPG등)의 연소에 의한 가열방식 또는 IH가열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집진장치(3)는 연소 가마솥(2) 내부에서 배수를 교반, 가열되는 내부에 석출(析出)물질(이하 분진이라 칭함)을 연소 가마솥(2)에서 회수하는 설비이다. 집진장치(3)는 연소 가마솥(2)에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3A)와 연소 가마솥(2) 내부의 분진을 회수하는 진공장치(3B)를 갖추고 있다. 연소 가마솥(2)과 집진장치(3)와의 사이에 배설(配設)된 배관에는 전동변(혹은 전동보울(Bowl)변)(3C)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변(3C)는 집진장치(3)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분진의 연소 가마솥(2)으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냉각장치(4)는 연소 가마솥(2)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냉각하는 설비이다. 냉각장치(4)는 증기가 보유한 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가 회수한 열을 방산(放散) 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를 갖추고 있다.
연소 가마솥(2)과 냉각장치(4)와의 사이의 배관에는 전동변(혹은 전동보울 (Bowl)변)(4A)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변(4A)은 증기 이외의 것(예로 연소 가마솥 (2)에 불어넣는 공기나 여기에 수반하는 분진 등)의 냉각장치(4)로의 유입을 방지한다.
기액분리장치(5)는 연소 가마솥(2)에서 냉각장치(4)를 경유해 도입된 증기를 액체와 가스(gas)를 분리하는 설비이다. 기액분리장치(5)에는 입경(粒徑)이 "3" 마이크론(micron)에서 "7" 마이크론(micron) 정도의 크기로 바람직하기는 "5" 마이크론(micron) 전, 후의 활성탄이 들어간 필터(filter)가 내장되어 있다.
기액분리장치(5)에 있어서 액체와 분리된 가스는 2차 연소장치(6)에 도입되는 일방 기액분리장치(5)에 있어서 가스와 분리된 액체는 액체 정화장치(7)에 도입된다.
2차 연소장치(6)는 기액분리장치(5)에 있어서 액체와 분리된 가스(gas)를 가열하고 가스 중에 함유된 냄새의 성분을 분해하는 설비이다. 2차 연소장치(6)는 연소 가마솥(2)을 열원(熱源)으로 작동한다.
액체정화장치(7)는 기액분리장치(5)에 있어서 가스(gas)와 분리된 액체를 오존가스(Ozone gas)를 사용하여 정화(淨化)하는 설비이다. 액체정화장치(7)는 백금촉매를 사용하여 오존가스를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장치(7A)와 오존발생장치(7A)에서 공급된 오존의 작용으로 액체를 정화하기 위한 3개의 처리조(7B),(7C),(7D)를 갖추고 있다. 오존발생장치(7A)에는 예로 음극(陰極)의 백금촉매 층을 가진 다공질(多孔質) 티탄(Titan), 양극(陽極)의 이산화연촉매층(二酸化鉛觸媒層)을 가진 다공질 티탄을 각각 사용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처리장치에 의한 배수정화처리의 흐름에 관 해서 설명한다.
배수탱크(1)에는 의료시설의 각소(各所)에서 치료에 사용한 배수가 모여진다. 이 경우의 배수에는 예로 치과(齒科)에 있어서는 치료 후에 환자가 토하여 낸 물이나 환자의 입에서 흡입된 타액(唾液) 등이며 외과(外科)에 있어서는 수술 중에 환자의 체내에서 흡인(吸引)된 혈액(血液)이나 체액(體液)이며 미용정형외과(美容整形外科)에 있어서는 피부 아래에서 흡인(吸引)된 지방분(脂肪分) 등이다. 배수탱크(1) 내부에 상기의 배수가 천천히 고이게 되어 배수탱크(1) 내부에 액면(液面)이 상승하여 높은 위치에 수위(水位) 센서의 높이에 도달하면 전동변(1C)이 열려짐과 동시에 전동변(3C),(4A)이 폐쇄된다. 펌프(pump)(1A)가 운전을 개시하고 배수탱크(1)에 저장된 배수는 연소 가마솥(2)에 공급된다.
배수는 연소 가마솥(2)에 공급되고 배수탱크(1) 내부의 액면(液面)이 저하되어 저위의 수위센서의 높이에 도달하면 펌프(1A)는 운전을 정지(停止)한다. 고위(高位)와 저위(低位)의 두 개의 수위 센서는 연소 가마솥(2)의 처리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사이에 연소 가마솥(2)에 공급된 배수의 양은 연소 가마솥(2)에 의해서 처리되는 최적의 수량(水量)이다.
그런데 배수탱크(1)에 저장된 배수에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이물질이 함유되어있다. 이와 같은 이물(異物)을 함유한 배수를 펌프(pump)(1A)로 흡인(吸引)하면 펌프(pump)(1A)가 이물(異物)로 막히게 되어 배수를 지장없이 행할 수가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에 의하여 펌프(pump)(1A)가 이물로 막히는 것을 해소 한다. 즉 펌프(pump)(1A)가 이물로 막히면 펌프(pump)(1A)의 부하(負荷)가 크게 된다. 그래서 펌프(pump)(1A)의 부하가 소정치보다 높게 되면 펌프(pump) (1A)가 일시적으로 역전(逆轉)하고, 배수는 연소 가마솥에서 배수탱크(1)로 향하여 반송(搬送)된다. 이에 의해 펌프(pump)(1A)의 이물로 막힘이 해소된다. 그 후 펌프(pump) (1A)는 정상 운전으로 되돌려지고 배수탱크(1)에서 연소 가마솥(2)으로 향하여 배수를 반송(搬送)한다.
연소 가마솥(2)에 적량(適量)의 배수가 공급되면 전동변(1C)이 닫힘과 동시에 전동변(4A)은 열리고 펌프(pump)(1A)는 운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연소 가마솥 (2)의 연소실에 공급된 배수는 히터(Heater)의 열에 의해서 가열되면서 교반기구 (2A)에 의해서 교반된다.
이 과정에서 배수가 살균, 탈취됨과 동시에 배수에 함유된 유기물(有機物)이 저감된다. 배수의 가열에 동반하여 연소 가마솥(2)의 연소실 내에서 발생한 증기(蒸氣)는 냉각장치(4)에 의해서 냉각된 후 기액분리장치(5)에 공급(供給)되고 액체와 가스는 분리된다.
연소 가마솥(2)의 연소실에 공급된 배수는 가열되고 수분이 증발하여 연소실 내에 분진만 남으면 전동변(4A)이 닫힘과 동시에 전동변(3C)이 열린다. 그래서 송풍기(3A)는 연소실에 공기를 불어넣음과 동시에 진공장치(3B)가 연소실 내의 공기를 흡인(吸引)한다.
이에 따라 연소실 내에 남은 분진(粉塵)이 집진장치(3)에 회수된다. 분진이 회수되면 송풍기(3A) 및 진공장치(3B)가 정지(停止) 됨과 동시에 전동변(3C)은 닫 힌다. 역시 전동변(4A)은 송풍기(3A)가 작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닫히게 됨으로써 증기 이외의 것은 냉각장치(4)에 도입되는 것은 아니다. 또 집진장치 (3)에 의해서 회수된 분진은 다른 공정에서 예로는 실리카(silica) 등의 리사이클 (recycle) 자재로 전환된다.
기액분리장치(5)에 의해 액체와 분리된 가스는 2차 연소장치(6)에 공급되고 연소 가마솥(2)의 열에 의해서 이차적(二次的)으로 연소 됨에 의해 냄새의 성분이 분해된다. 냄새의 성분을 분해한 가스는 대기중(大氣中)에 방출된다.
한편, 기액분리장치(5)에 의해서 가스와 분리된 액체는 액체 정화장치(7)에 공급되고 백금촉매를 사용하여 발생된 오존(Ozone)을 사용하여 정화(淨化)시킨다. 구체적으로 액체는 3개의 처리조(7B),(7C),(7D)를 순차로 흐르는 과정에서 오존(Ozone)의 작용에 의해서 강력히 살균, 탈취되고 더욱 유기물을 저감시킨다. 정화된 액체는 그대로 기존의 하수도 설비에 흐르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배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의료시설에서의 각종 배수를 정화하고 환경에 부하(負荷)를 주지 않는 청정한 물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정화된 물은 그대로 기존의 하수도 설비에 흐르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의료시설에서의 배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배수처리 장치는 의료배수 이외에 공장, 일반가정, 점포 등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배수처리 장치의 제 2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의 실시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배수처리 장치는 공사현장이나 공원 캠프(camp)장 등의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 설치된 가설 화장실의 배수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 배수처리장치는 상기 제 1 의 실시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주요한 구성요소와 다른 수세변기(10)와 저수탱크(11)를 갖추고 있다.
수세변기(10)는 저수탱크(11)의 세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유 해두는 중계탱크 (10A)와 수세변기(10)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변(10B)를 갖추고 있다. 개폐변 (10B)는 중계탱크(10A)의 세정레버(lever)가 조작되면 움직임이 연동하여 작동하고 수세변기(10)의 배출구는 열리고 배설물은 수세변기(10)의 배출구를 통하여 세정수와 함께 배수탱크(1)에 흘러들어간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처리해야 할 배수는 배설물과 배설물을 밀어내어 흐르게 하는데에 사용한 세정수가 섞인 배수이며 배수탱크(1)는 이와 같은 배수를 저장하는 설비이다.
저수탱크(11)는 액체정화장치(7)에 의해서 정화된 물을 수세변기(10)의 세정수로 이용하기 위한 저유해두는 설비이다. 저수탱크(11)의 내부에는 저수탱크(11)가 만수(滿水)가 된 것을 검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처리장치에 의한 배설물(排泄物)의 처리 및 처리된 정수(淨水)의 재이용(再利用)의 흐름에 따라서 설명한다.
수세변기(10)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배설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중계탱크 (10A)의 세정레버(lever)를 조작하면 중계탱크(10A)의 물이 수세변기(10)의 배출구 를 향해 세게 잘 흐름과 동시에 세정레버(lever)를연동하여 개폐변(10B)이 작동하고 수세변기(10)의 배출구를 열리게 한다. 수세변기(10)에 일시적으로 보지(保持) 된 배설물은 저수탱크(11)에서 공급된 물의 힘에 의해서 배수탱크(1)로 향해서 억지로 흐른다.
배수탱크(1)의 내부에는 배수(排水) 즉 배설물과 배설물을 억지로 흐르게 사용한 선정수(先淨水)가 천천히 모여져 배수탱크(1) 내부의 액면(液面)이 상승하여 높은 위치의 수위 센서의 높이에 도달하면 전동변(1C)은 열려짐과 동시에 전동변 (3C),(4A)은 닫히게 된다. 더욱 펌프(pump)(1A)는 운전을 개시하고 배수탱크(1)에 저장된 배수는 연소 가마솥(2)에 공급된다. 배수는 연소 가마솥(2)에 공급되고 배수탱크(1) 내부의 액면(液面)이 저하(低下)하여 저위(低位)의 수위센서의 높이에 도달하면 펌프(pump)(1A)는 운전을 정지한다.
이 사이에 연소 가마솥(2)에 공급된 배수의 양(量)은 연소 가마솥(2)에 의해서 처리하여 얻은 최적(最適)의 수량(水量)이다.
그런데 배수 탱크(1)에 저장된 배수에는 속옷이나 생리용품 등의 이물(異物)이 함유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이물을 함유한 배설물을 펌프(1A)에서 흡인(吸引)하면 펌프(pump)(1A)가 이물로 막혀서 배수에 지장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처리를 하여 펌프(pump)(1A)가 막히는 것을 해소한다.
연소 가마솥(2)에 적량의 배수가 공급되면 전동 변(1C)이 막힘과 동시에 전동변(4A)은 열리게 된다. 더욱 펌프(pump)(1A)는 운전을 정지한다.
그래서 연소 가마솥(2)의 연소실에 공급된 배수는 히터(Heater)의 열에 의해서 가열되면서 교반기 구(2A)에 의해서 교반된다. 이 과정에서 배수는 살균, 탈취 됨과 동시에 배수에 함유된 유기물(有機物)이 저감된다. 배수의 가열에 동반해 연소 가마솥(2)의 연소실 내에서 발생한 증기(蒸氣)는 냉각장치(4)에 의해서 냉각된 후 기액분리장치(5)에 공급되고 액체와 가스는 분리된다.
연소 가마솥(2)의 연소실에 공급된 배수는 가열되고 수분이 증발하여 배설물의 찌꺼기가 분진화(粉塵化)하면 전동변(4A)이 닫힘과 동시에 전동변(3C)은 열린 다. 그리고 송풍기(3A)가 연소실에 공기를 불어 넣음과 동시에 진공장치(3B)는 연소실 내의 공기를 흡인한다. 이것에 의해 연소실 내에 남은 분진이 집진장치(3)에 회수된다. 분진이 모두 회수되면 송풍기(3A) 및 진공장치(3B)가 정지됨과 동시에 전동변(3C)이 닫히게 된다. 전동변(4A)은 집진장치(3) 내의 송풍기(3A)가 작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닫히게 됨으로써 증기 이외의 것은 냉각장치(4)에 도입되는 것은 아니다. 또 집진장치(3)에 의해서 회수된 분진은 다른 공정에서 예로는 실리카(sili ca) 등의 리사이클(recycle) 자재(資材)로 전환된다.
기액분리장치(5)에 의해서 액체와 분리된 가스(gas)는 2차 연소장치(6)에 공급되고 연소 가마솥(2)의 열에 의해서 2차적(二次的)으로 연소 됨에 의해서 냄새의 성분이 분해된다. 냄새 성분을 분해한 가스는 대기중(大氣中)에 방출된다. 한편, 기액분리장치(5)에 의해서 가스와 분리된 액체는 액체 정화장치(7)에 공급되고 백금촉매를 사용하여 발생된 오존 가스(Ozone gas)를 사용하여 정화(淨化)한다. 구체적으로 액체는 3개의 처리조(7B),(7C),(7D)를 순차로 흐르는 과정에서 오존(Ozone) 의 사용에 의해서 강력히 살균, 탈취되고 더욱 유기물을 저감시킨다. 정화된 액체는 저수탱크(11)에 공급되고 수세변기(10)의 세정수(洗淨水)로 재이용(再利用)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설물에 함유된 액체를 처리하고 이 액체를 수세변기(10)의 세정수(洗淨水)로 이용하려는 저수탱크(11)에 투입함으로써 가설 화장실을 설치할 때에 한번만 저수탱크(11)에 급수하면 가설 화장실을 사용함에 의해서 장래에 세정수가 부족하였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역으로 저수탱크(11)의 물이 넘쳐버릴 경우도 상정(想定)된다. 그래서 저수탱크(11)가 만수(滿水)로 되면 즉 저수탱크(11) 내부의 수면이 수위센서의 높이에 도달하면 저수탱크(11) 내부의 여정수(余淨水)는 2차 연소장치(6)에 공급되고 가열됨에 의해서 기화(氣化)되고 대기중(大氣中)에 방출된다. 따라서 저수탱크(11)에서 물이 넘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의 배수처리장치에 의하면 가설 화장실에서 배출된 배설물의 찌꺼기의 양을 저감하고 배설물의 처리에 관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가설 화장실내 및 이 주변에서의 취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된다. 또 배설물에서 가설 화장실의 선정수(先淨水)를 재생시킴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대폭으로 삭감하는 것이 된다.
역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사현장이나 공원 캠프장 등의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공의 장소에 설치된 가설 화장실의 배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는 상기와 같은 가설 화장실의 배수 이외에 옥외나 선박, 항공기, 철도차량 등에 사용하는 이동식 혹은 고정식의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배수를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詳述)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것의 실시예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의 제 1실시예 형태를 나타내보인 개략도
도 2 은 본 발명의 배수처리장치의 제 2실시예 형태를 나타내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탱크(排水Tank)
2 ; 연소 가마솥(燃燒釜)
3 ; 집진장치(集塵裝置)
4 ; 냉각장치(冷却裝置)
5 ; 기액분리장치(氣液分離裝置)
6 ; 2차 연소장치(二次燃燒裝置)
7 ; 액체정화장치(液體淨化裝置)
7A, 7B, 7C ; 처리조(處理槽)
10 ; 수세변기(水洗便器)
11 ; 저수탱크(貯水Tank)

Claims (3)

  1. 처리해야 할 배수(排水)를 저장하는 배수탱크(1)와 배수탱크(1)에서 공급된 배수를 가열하는 연소 가마솥(2)과 연소 가마솥(2)에서 발생한 분진을 수집하는 집진장치(3)와 연소 가마솥(2)에서 발생한 증기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와 냉각장치 (4)에 의해서 냉각된 증기를 액체와 가스(gas)로 분리하는 기액분리장치(5)와 기액분리장치(5)에 의해서 가스(gas)와 분리된 액체를 정화하는 액체정화장치(7)를 갖추고 액체정화장치(7)는 백금촉매를 사용하여 오존(Ozone)을 발생시켜 오존에 의해서 액체(液體)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액분리장치(5)에 의해서 액체와 분리된 가스를 연소 가마솥(2)의 열로서 연소시키는 2차 연소장치(6)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탱크(1)의 수량(水量)을 모니터(monitor)하는 수량 센서가 설치되고 수량 센서에 의해서 배수탱크(1)의 수량이 소정량에 달한 것이 판단된 때에 배수탱크(1) 내의 배수를 연소 가마솥(2)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장치.
KR1020070081149A 2007-08-13 2007-08-13 배수처리장치 KR20090016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49A KR20090016862A (ko) 2007-08-13 2007-08-13 배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49A KR20090016862A (ko) 2007-08-13 2007-08-13 배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62A true KR20090016862A (ko) 2009-02-18

Family

ID=4068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149A KR20090016862A (ko) 2007-08-13 2007-08-13 배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31B1 (ko) * 2018-12-28 2019-07-17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지중열탈착 후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31B1 (ko) * 2018-12-28 2019-07-17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지중열탈착 후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5081B2 (ja) 紙おむつ処理装置
AU2011269658C1 (en) A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WO2007055011A1 (ja) 炭化トイレ
US61268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edical waste water
EP2151417A1 (en)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KR100432519B1 (ko) 화장실의 분뇨 처리장치
WO1994016997A1 (en)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and apparatus therefor
KR20090016862A (ko) 배수처리장치
KR100657794B1 (ko) 탄화화장실
KR101028516B1 (ko) 순환수세 발효식 화장실
JP2003251317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
KR102109301B1 (ko) 휴지통과 냄새가 없는 순환수세 이동식 화장실
JP2003320383A (ja) グリーストラップの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201241377Y (zh) 生态厕所系统
KR20110019912A (ko) 생활배수의 처리방법 및 생활배수 처리장치
JP2003010632A (ja) 生ゴミ処理機における脱臭装置
JP2807655B2 (ja) 汲み取り及び下水不要の便尿の無臭化処理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KR200258085Y1 (ko) 분뇨악취 가스 탈취기의 안전장치
JPH0752731A (ja) 車輛用トイレット装置
JP3092581U (ja) し尿分解処理装置
KR200328692Y1 (ko) 순환식 무 방류 화장실 분뇨처리장치
JPS6389742A (ja) 水洗トイレ装置
KR200252212Y1 (ko) 화장실 오폐수 재처리 장치
JPH10204960A (ja) 糞尿処理装置
KR20090016863A (ko) 배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