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282A -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282A
KR20090013282A KR1020070077259A KR20070077259A KR20090013282A KR 20090013282 A KR20090013282 A KR 20090013282A KR 1020070077259 A KR1020070077259 A KR 1020070077259A KR 20070077259 A KR20070077259 A KR 20070077259A KR 20090013282 A KR20090013282 A KR 20090013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ignal
information
receiving
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706B1 (ko
Inventor
김현재
김건욱
정경권
윤기훈
Original Assignee
김현재
김건욱
정경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재, 김건욱, 정경권 filed Critical 김현재
Priority to KR102007007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7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e.g. sensing punched holes with compressed air; by sonic means ; by ultras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종류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송수신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은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정보를 초음파 신호로 송신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및 각각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은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가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으로서,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체들의 존재 유무뿐 아니라 그러한 물체의 종류, 방향 및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여러 개의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그 물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면서도 휴대가 간편한 무선인식 시스템이 제공된다.
무선인식, 초음파,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WIRELESS IDENTIFICATION SYSTEM USING ULTRASONIC WAV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종류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무선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주로 시각 및 청각을 이용하여 주변의 사물의 종류 및 위치를 파악한다. 그러나, 시각적 능력이 완전하지 못한 시각 장애인 또는 노령자 등은 주변 사물의 인식에 있어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시각 장애인 등이 주변 사물을 인식하여 보행에 제한을 받지 않기 위한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는 시각 장애인용 보조 지팡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는, 종래에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보행에 지장이 될 수 있는 장애물에 신호 발신 장치를 설치하고, 시작장애인이 수신기를 소지한 채, 신호 발신 장치에 근접한 경우 수신기를 통해 경보음 또는 진동을 발생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보행에 지장이 되는 물체의 유무만을 판단할 수 있을 뿐 그 물체의 종류는 파악할 수 없다. 또한, 여러 개의 장애물에 동시에 근접하는 경우에 장애물이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 파악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애물 인식 장치에서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이용한다. 무선 주파수 신호의 특성상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고 신호의 도달 범위의 조절이 매우 어렵고, 인간은 유해할 수도 있는 전자파 환경에 놓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 장애인들이 주변에 존재하는 물체들의 존재 유무뿐 아니라 그러한 물체의 종류, 방향 및 거리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무선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여러 개의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그 물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면서도 휴대가 간편한 무선인식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전자태그는,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음향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음향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변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은 동일한 신호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가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은,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정보를 초음파 신호로 송신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및 각각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은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가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체들의 존재 유무뿐 아니라 그러한 물체의 종류, 방향 및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개의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그 물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면서도 휴대가 간편한 무선인식 시스템이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 고령자 또는 저시력자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출입문, 실내의 주방, 가구 등에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수신기를 착용한 시각 장애인 등이 소정의 반경내에 진입할 경우,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체의 종류 및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거리의 공공건물 입구, 화장실, 지하철 역, 신호등, 횡단보도 등에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 등은 거리를 지나가다가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체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들을 수도 있으며, 버스나 택시에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버스나 택시 정류장에 버스나 택시가 진입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 등은 그 버스나 택시의 정보(버스 번호 등)를 안내받을 수 있고, 안내 음향으로부터 전자태그가 부착된 버스나 택시의 거리 및 위치도 알 수 있으므로 버스나 택시의 탑승을 보조받을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전자태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 및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전자태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전자태그(100)는 정보처리부(10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igital-to-Analog Converter(DAC): 102) 및 초음파 변조부(103)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처리부(101)는 초음파 전자태그(100)가 부착될 물체(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정보를 처리한다.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정보는 그 물체의 명칭이 음성으로 녹음된 디지털 음향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미리 정해진 특정 음향 신호일 수도 있다. 정보처리부(101)에 외부 입력을 통해 상기 음향 정보가 입력되거나, 정보처리부(101)에 미리 음향 정보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입력된 음향정보는 디지털정보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처리부(101)는 음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1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부(101)는 음향 정보를 메모리(105)로부터 읽어내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2)로 전송하는 등의 음향 정보의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5)는 마이콤(MICOM; microcomputer), 디지털 신호 처리 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및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메모리(105)는 프로세서(105)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2)는 상기 정보처리부(101)로부터 디지털 음향 정보를 전송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향 정보는 인간의 가청 대역인 20 ㎐ 내지 20 ㎑ 사이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는다. 이러한 음향 정보는 주로 음성 정보이므로, 바람직하게는 1 ㎑ 이내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는다.
초음파 변조부(103)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2)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한다. 초음파 신호란 가청대역 밖의 주파수인 약 40 ㎑ 내지 5 ㎒ 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정보를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순히 음성 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신호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후술할 특정 수신기를 이용해서만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므로 특정 대상에게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속도가 낮고 감쇄 특성이 강하므로, 신호의 수신 반경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예를 들어, 약 10 m 내외인 실용적인 범위에서 도달 거리의 조정이 용이하다. 음향 정보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중 하나로서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AM)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초음파 변조부(103)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는 공기중으로 방출된다. 초음파 변조부(103)에서 이용하는 변조 방식은 진폭 변조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초음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종래에 널리 공지된 주파수 변조(FM; frequency modulation),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등의 방식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전자태그(100)에 포함된 초음파 변조부(103)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변조부(103)는 입력 신호에 따라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기(20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정보 신호의 진폭에 따라 초음파 신호의 진폭이 변하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변조부(103)는 필요에 따라 증폭기(201) 및 오프셋 가산기(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201)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초음파 발생기(203)의 입력 범위에 적합하도록 증폭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2)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진폭이 초음파 발생기(203)의 입력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증폭기(201)의 증폭율은 1 이하일 수 있다.
오프셋 가산기(202)는 증폭기(201)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 오프셋 신호를 더한다. 초음파 발생기(203)의 입력 신호는 양의 값을 갖는 전압 신호인데 반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0을 중심으로 진동하는 신호이므로, 신호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양의 값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초음파 발생기(203)의 입력 범위에 적합한 경우, 증폭기(201)는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초음파 발생기(203)의 입력 신호로서 음수인 크기를 갖는 신호도 적합한 경우에는 오프셋 가산기(202)도 생략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기(203)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신호는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300)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1 수신 모듈(301) 및 제2 수신 모듈(3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수신 모듈(301) 및 제2 수신 모듈(302)은, 동일한 신호원으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가 서로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된다. 제1 수신 모듈(301) 및 제2 수신 모듈이 이격되어 동일한 신호원으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로 수신된다.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고 동일한 신호원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완전히 동일하도록 내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무선인식 수신장치(300)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수신 모듈(301) 및 제2 수신 모듈(302)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에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인용부호를 사용한다.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은 각각 초음파 센서(303), 초음파 복조 부(305) 및 스피커(308)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은 각각 제1 증폭기(303), 저대역 통과 필터(306) 및 제2 증폭기(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수신 모듈(301)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제2 수신 모듈(30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인식 수신장치(300)에 관하여 실시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초음파 센서(303)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초음파 복조부(305)는 상기 초음파 센서(30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복원해 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변조부(103)에서 이용하는 변조 방식에 따라 초음파 복조부(305)에서의 복조 방식이 결정된다. 초음파 복조부(305)에서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된 음향 정보 신호는 스피커(308)에 의해 음향 정보로 출력된다.
초음파 센서(303)의 신호 출력이 초음파 복조부(305)의 입력 범위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또는, 무선인식 수신장치(300)의 수신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제1 수신 모듈(301)은 제1 증폭기(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신 모듈(301)은 초음파 복조부(30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 하기 위한 저대역 통과 필터(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대역 통과 필터(306)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되어 스피커(308)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사용자가 듣 기 편하도록 더욱 부드러워 질 수 있다.
또한, 제1 수신 모듈(301)은 초음파 복조부(30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2 증폭기(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복조부(305)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초음파 전자태그(100)의 초음파 변조부(103)에서 진폭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음향 정보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조하는 경우, 초음파 복조부(305)는 포락선 검출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포락선 검출을 위해, 초음파 복조부(305)는 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일단이 접속된 캐패시터(capacitor) 및 캐패시터와 병렬 접속된 저항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진폭 변조된 신호로부터 원래의 신호를 복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의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신인식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 개의 초음파 전자태그(S1, S2, S3)가 배치되어 있고,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300)는 초음파 전자태그(S1, S2, S3)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초음파 전자태그는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3 개를 나타내었으나, 실제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의 사용에 있어 전자태그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인식 수신장치(300)는 제1 수신 모듈(R1) 및 제2 수신 모듈(R2)을 포함 하고, 제1 및 제2 수신 모듈(R1, R2)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수신장치(R1, R2)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 전자태그(S1, S2, S3)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경로로 제1 및 제2 수신장치(R1, R2)에 도달한다.
즉, 초음파 전자태그(S1)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신호는 L1 경로를 통해 제1 수신장치(R1)에 도달하고, L2 경로를 통해 제2 수신장치(R2)에 도달한다. 또한, 초음파 전자태그(S2)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신호는 L3 경로를 통해 제1 수신장치(R1)에 도달하고, L4 경로를 통해 제2 수신장치(R2)에 도달한다. 또한, 초음파 전자태그(S3)로부터 전송된 초음파 신호는 L5 경로를 통해 제1 수신장치(R1)에 도달하고, L6 경로를 통해 제2 수신장치(R2)에 도달한다.
제1 수신장치(R1)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전자태그의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수신장치(R2)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전자태그의 정보를 출력한다. 또는, 제1 수신장치(R1)가 사용자의 우측 귀에 전자태그의 정보를 출력하고, 제2 수신장치(R2)가 사용자의 좌측 귀에 전자태그의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동일한 전자태그로부터 발송된 신호의 전송 경로의 차이에 따른 신호의 도달 시간의 차이 및 도달한 신호의 강도를 이용하여 전자태그의 방향 및 거리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1 경로와 L2 경로의 길이 차이에 따른 신호의 도달 시간의 차이로 전자태그(S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L1 경로와 L2 경로의 길이에 따른 신호의 진폭 감쇄로 전자태그(S1)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전자태그(S1, S2, S3)에서 발신되는 신호의 출력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태 그와의 절대적인 거리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자태그(S1, S2, S3)가 동시에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 수신장치(300)는 동시에 그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1 및 제2 수신모듈(R1, R2)에 포함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그 신호들이 합산된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그러나, 인간은 특유의 음향 분해 능력을 갖기 때문에, 전자태그로부터 발송된 신호가 합산된다고 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300)가 제 기능을 못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100) 및 수신장치(300)를 이용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개의 안내대상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의 예시적인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기 위해,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300)은 헤드폰(601)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헤드폰(601)은 좌우 양측 귀에 근접하여 음향을 전달하기 위해, 2개의 스피커를 가진 장치로서, 어느 하나의 스피커 위치에 제1 수신 모듈(301)이 배치되고, 다른 스피커 위치에 제2 수신 모듈(302)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은 각각 독립적인 수신장치이고, 사용자가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을 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604, 60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독립적인 제1 및 제2 수신 모듈(301, 302)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300) 를 구성한다. 스피커의 형상은 다른 외부소리도 들을 수 있도록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픈형(open type)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 고령자 또는 저시력자(이하, '시각 장애인 등'이라 함)를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문, 실내의 주방, 가구 등에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수신기를 착용한 시각 장애인 등이 소정의 반경내에 진입할 경우,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체의 종류 및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거리의 공공건물 입구, 화장실, 지하철 역, 신호등, 횡단보도 등에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 등은 거리를 지나가다가 전자태그가 부착된 물체에 대한 안내를 음성으로 들을 수도 있다.
또한, 버스나 택시에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버스나 택시 정류장에 버스나 택시가 진입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 등은 그 버스나 택시의 정보(버스 번호 등)를 안내받을 수 있고, 안내 음향으로부터 전자태그가 부착된 버스나 택시의 거리 및 위치도 알 수 있으므로 버스나 택시의 탑승을 보조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으로부터 당업자가 당연히 예측할 수 있는 것 또는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발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전자태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전자태그에 포함된 초음파 변조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에 포함된 초음파 복조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형 무신인식 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의 예시적인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7)

  1.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음향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음향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변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마이콤(microcompute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및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조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조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오프셋 신호를 인가하는 오프셋 가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6.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은 동일한 신호원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가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 각각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상기 초음파 신호의 포락선 신호를 검출하는 초음파 변조부; 및
    상기 포락선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 각각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 각각은,
    상기 포락선 신호로부터 소정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 각각은,
    상기 포락선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수신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조부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에 일단이 접속된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에 병렬 접속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형 무선인식 수신장치.
  12.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정보를 초음파 신호로 송신하는 초음파 전자태그; 및
    각각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은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가 상이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전자태그는,
    상기 안내대상 물체에 관한 음향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상기 음향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변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마이콤,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조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모듈 각각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상기 초음파 신호의 포락선 신호를 검출하는 초음파 변조부; 및
    상기 포락선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형 무선인식 시스템.
KR1020070077259A 2007-08-01 2007-08-01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KR10090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59A KR100904706B1 (ko) 2007-08-01 2007-08-01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59A KR100904706B1 (ko) 2007-08-01 2007-08-01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82A true KR20090013282A (ko) 2009-02-05
KR100904706B1 KR100904706B1 (ko) 2009-06-29

Family

ID=4068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259A KR100904706B1 (ko) 2007-08-01 2007-08-01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767A (ko) * 2013-03-27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031A (ko) * 2002-04-18 2003-10-30 기가시스네트(주) 시각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5135232A (ja) 2003-10-31 2005-05-26 Asahi Glass Co Ltd Icタグ
JP2007200072A (ja) 2006-01-27 2007-08-09 Nec Logistics Ltd リーダ装置及びicタグ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icタグシステム
KR100747510B1 (ko) 2006-07-07 2007-08-08 학교법인 영광학원 시각장애인용 안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767A (ko) * 2013-03-27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706B1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3934A (ja) 超音波骨電導補聴器および補聴方法
CA24384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upling hearing aids to electromagnetic signals
CN102625219A (zh) 包括警报装置和听音装置的听音系统
DE60017571D1 (de) System zur abfragung einer implantierten passiven resonanzschaltungsvorrichtung
JP2006345974A (ja) 盲人用歩行補助装置
KR10090470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무선인식 시스템
KR20150093000A (ko)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JP2002345077A (ja) 超音波スピーカによる立体音場形成システム
ES2759540T3 (es) Instalación de recogida de residuos
JP2006318041A (ja) 視覚障害者等向けサービスシステム、電波発信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1001503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ling, reducing and modulating noise signal and for signal enhancing and signal proofing
KR100807097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JPH11145915A (ja) 超音波超指向性拡声装置
JP200216375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6001775A (ja) 超指向性マイクロフォンシステム
JP2000285383A (ja) 情報案内システム、送信システム、及び、受信システム
JP3280336B2 (ja) 聴覚補助装置
JP2724855B2 (ja) アンサーバックシステム
CN101529732B (zh) 通信系统及其操作方法
US11810472B2 (en) Ultrasonic sound guid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JPH03144796A (ja) 視覚障害者用交通信号状態通知システム
KR20150011502A (ko) 장애물 확인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선글라스
KR2023013289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초음파 음향 안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331089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보행 안내 장치
JP4117097B2 (ja) 磁気誘導装置付き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