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139U -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139U
KR20090013139U KR2020080008227U KR20080008227U KR20090013139U KR 20090013139 U KR20090013139 U KR 20090013139U KR 2020080008227 U KR2020080008227 U KR 2020080008227U KR 20080008227 U KR20080008227 U KR 20080008227U KR 20090013139 U KR20090013139 U KR 200900131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unit
lighting
sig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677Y1 (ko
Inventor
박현식
장남정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8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7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오디오부와 오디오부에서 발생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모드선택스위치와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분석하고 모드선택스위치의 입력을 받아 상기 조명부에 조명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의 주파수별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오디오스펙트럼IC와, 상기 음향신호를 오디오스펙트럼IC로 전송하는 정합회로와, 상기 오디오스펙트럼IC에서 출력된 사운드레벨신호에 따라 상이한 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고, 장시간 운전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피로로 인한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으며, 차량과의 매칭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차량용 조명, 차량용 오디오, 감성 조명, 오디오 연동 조명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LIGHT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ACCORDING TO AUDIO OUTPUT}
본 고안은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이한 조명을 출력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여 송출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명장치는 빛을 인간생활에 유용하게 사용케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원시시대의 횟불이나 모닥불에서 최근의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램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해왔다.
하지만, 이들 조명장치와 오디오 및 스피커 장치는 각자 서로 구별된 영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왔는데, 오디오 및 스피커 장치는 청각적 음원으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둔 것이며, 조명장치는 어두움을 밝히거나 시각적 신호원으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둔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 두 영역의 접합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아직 미비한 실정이고 주로 대형 구조물이나 건축물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오디오 및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에 적용된 조명장치의 역할은 단순한 것이었는데, 그 역할이란, 음향기기의 일부분에 적용이 되어 직접 혹은 간접조명으로 음향기기를 돋보이게 하거나 단순한 정보전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오디오용 그래픽 이퀄라이져 등의 경우, 조명장치를 이용한 주파수별 음향신호 정보의 표시가 무척 중요한 것은 분명하지만, 상기 조명장치는 그래픽 이퀄라이져의 일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 독자적인, 그리고 대등적인 관계에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이다.
즉, 기존의 발명이나 고안은 시각과 청각을 표현하는 수단이 대등한 관계로 상호연동되어 작동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경우보다 음향장치와 조명장치의 단순한 조합에 그칠 뿐인 경우가 많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적용되는 조명과 음향의 연동장치의 경우, 조명과 음향의 유기적인 관계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내부 공간이라는 특수성도 고려를 해야한다.
즉, 비교적 좁은 공간인 차량의 내부에 설치가 되는 이 장치가 주변과 잘 조화를 이루어 사용에 불편함이 없는지, 또는 자동차 자체 전자계통과의 매칭(matching)성에 문제가 없는지 등의 과제가 기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모드별 다양한 조명이 가능하며, 스피커부를 통해서 출력되는 음향에 연동되어 조명부의 조명에 의해 운전자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운전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피로와 운전의 단조로움으로 인한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 생산단계에서 자동차와 함께 생산됨으로써 자동차 내장 부품과의 매칭(Matching)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라,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오디오부와 상기 오디오부에서 발생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모드선택스위치와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분석하고 모드선택스위치의 입력을 받아 상기 조명부에 조명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의 주파수별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오디오스펙트럼IC와, 상기 음향신호를 오디오스펙트럼IC로 전송하는 정합회로와, 상기 오디오스펙트럼IC에서 출력된 사운드레벨신호에 따라 상이한 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마련되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선택스위치는 상기 사운드레벨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조명의 밝기와 색상이 변하는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 또는 통상적인 자동차 내부 조명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시 조명 방식, 또는 무드 방식, 또는 OFF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서 표준, 재즈, 클래식, 클럽, 댄스, 팝, 락, 발라드 중 어느 하나의 장르로 선택 입력을 받고, 그 선택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드 방식은 상기 조명부가 일정한 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명의 점멸주기와 밝기로 빛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부는 라디오, 씨디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재생기, MP3플레이어, 차량용 네비게이터, 휴대용 동영상재생기, 휴대용 게임기 중 어느 하나부터 발생한 음향신호를 음원으로 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운전자의 선택입력에 따라 모드별 다양한 조명이 가능하며, 스피커부를 통해서 출력되는 음향에 연동되는 조명부의 조명에 의해 운전자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운전시 또는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피로와 운전의 단조로움으 로 인한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제작단계에서 함께 생산되고 자동차 내부의 내장 판낼과 함께 형성됨으로써 차 내부공간과의 매칭(matching)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는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오디오부(10)와 상기 오디오부(10)에서 발생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20)와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50)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모드선택스위치(40)와 상기 오디오부(10)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분석하고 모드선택스위치(40)의 입력을 받아 상기 조명부(50)에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디오부(10)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가 작동되는데 필요한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조작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 내부의 앞좌석 맞은편 센터콘솔부분이나 천장부, 앞좌석 사이 등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10)에 사용될 음원으로는 차체에 내장된 라디오, 씨디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재생기, MP3플레이어, 차량용 네비게이터의 음향신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10)에 사용될 음원으로 운전자가 외부 코드를 이용하여 임의로 연결한 씨디플레이어, 네비게이터, 휴대용 전화기, MP3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동영상재생기 등 소리가 재생이 되는 휴대기기의 음향신호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부(20)는 상기 오디오부(10)에서 발생된 음향신호를 음파의 형태로 출력하는 장치로써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부(20)는 진동판이 공기중에 직접 놓이는 복사형 스피커 형태와 진동판이 혼(horn) 속에 놓이는 혼형 스피커 형태 및 기타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형태의 외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부(20)는 자동차 내부에서 앞유리창의 바로 아래쪽, 앞좌석 맞은편 센터콘솔부분, 각 자동차문의 하부, 뒷유리창의 바로 아래쪽 뒷좌석의 바로 뒤쪽 등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20)는 입체적인 사운드 구현을 위해서 자동차 내부에 장착된 여러 스피커부들이 좌측, 우측 스테레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저음을 담당하는 우퍼스피커와 고음을 담당하는 다수의 위성스피커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50)는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조명수단으로써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서 상이한 발광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이한 발광동작은 조명부(50)의 조명의 밝기, 발광시간, 조명의 방향, 조명의 색상, 점멸되는 조명부의 부위를 다르게 하고, 그것을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50)은 자동차 내부에 바형, 링형, 돌출형, 납작한 단추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좌석 머리받이 양옆, 앞좌석 사이, 천장부 전면, 후면, 중앙부, 앞유리 하부 및 상부, 각 자동차문 상부 및 하부, 운전석 계기판, 스피커, 스티어링 휠, 대쉬보드 등의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50)는 상기 위치에서 자동차 내부 장식용 패널과 함께 일체로 구성되거나 그 패널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자동차 내부 내장과의 일체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부(50)는 스피커의 외부나 자동차 내부의 패널 위에 설치되는 기존의 자동차용 조명장치에 비해 부착성이 뛰어나고, 자동차 사고 등의 강한 충격이 발생했을 때 장착된 위치에서 이탈하여 운전자가 예측하지 못한 피해를 입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50)는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자동차와 함께 제조됨으로써, 자동차의 내부 전자회로와 연결시 적정 전류 및 전압의 불일치로 인한 회로나 전자기판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매칭(Matching)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50)는 조명에 대한 외부간섭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서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재로써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은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통해서 회로를 구동시키는 방식은 선형적이고 직관적인 회로의 제어가 가능하지만, 아날로그 회로는 시간에 따라서 항상 변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수정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아날로그 회로는 거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전력을 많이 소모하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회로는 열손실이 발생하여 전체적인 효율이 디지털화된 회로에 비해서 떨어진다.
그리고, 아날로그 전압 조정을 통해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경우, 조명의 밝기 조절을 위한 별도의 회로가 필요하게 되어 회로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한 PWM방식이 적용되면 주요 제어장치에서 실제 동작하는 장치에 이르는 모든 길이 디지털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PWM 방식은 디지털 신호로 아날로그 회로를 제어하는 기법 중의 하나로, 일정 크기의 디지털 신호의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스위치역할을 하는 소자가 정해진 듀티사이클(duty cycle) 동안 켜짐과 꺼짐을 반복하면서 펄스 폭을 제 어하여 연속된 출력값을 내보내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듀티사이클은 일정한 진폭을 갖는 사각파의 한 주기 내에서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는 회로 방식과 비교해보면, PWM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듀티사이클을 조절함으로써 조명의 밝기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PWM 방식의 조명에서, 조명의 최대밝기를 위한 듀티사이클과 최소밝기를 위한 듀티사이클만 정해지면, 조명부(50)의 듀티사이클을 상기 두 극한값 사이로 적절히 정함으로써 정확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조명의 밝기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서 잡음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WM 방식의 조명은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한 회로방식에 비해서 외부의 전자기적 간섭으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는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의 조명부(50)는 전술한 PWM방식과 엘이디 램프로 구성된 구조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회로 구성 방식이나 발광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상기 조명부(50) 조명의 다양한 색상을 위해 상이한 색깔의 빛을 출력하는 다수의 엘이디 램프가 하나의 조명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그룹은 같은 방향을 향해 빛을 출력하는 소형 엘이디 램프들의 모임으로써, 조명부(50)가 동작시 각기 다른 시간에 발광하거나 함께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50)의 다양한 움직임을 위해 조명부(50)에 구동모터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는 조명부(50)의 하부나 중앙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거나 전후, 좌우로 움직여 조명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는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받는 입력수단으로써, 터치스크린 방식, 돌출된 입력단추 방식, 다이얼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드선택스위치(40)는 운전자 및 자동차 탑승자의 편리한 조작을 위해 자동차 내부의 앞좌석 맞은편 센터콘솔부분, 천장부, 앞좌석 사이 등의 위치나 상기 오디오부(1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 상시 조명 방식, 무드 방식, OFF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입력으로 받는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은 상기 사운드레벨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조명부(50) 조명의 밝기, 조명의 색상, 발광부위, 발광주기 등을 달리 함으로써 조명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에 상기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이 입력되었을 때, 장시간 운전이나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시각을 지속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운전의 단조로움 해소하여 졸음운전을 예방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가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서 표준, 재즈, 클래 식, 클럽, 댄스, 팝, 락 중 어느 하나의 장르를 선택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장르별로 상기 조명부(50)의 동작이 상이하게 지정되어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를 선택하여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드 방식은 조명부(50)가 일정한 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빛을 점멸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에 은은한 조명을 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오디오부(10)에서 발생되는 음향신호와 무관하게 작동되는 방식을 말한다.
한편, 상기 상시 조명 방식은 통상적인 자동차 내부 조명을 대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동차 내부의 여러 곳에 설치된 상기 조명부(50)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밝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시 조명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곳의 상기 조명부(50)의 점등 여부와 색상 및 방향을 정할 수 있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의 제어부(3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제어부(30)는 상기 오디오부(10)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의 주파수별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오디오스펙트럼IC(33)와, 상기 음향신호를 오디오스펙트럼IC(33)로 전송하는 정합회로(31)와, 상기 오디오스펙트럼IC(33)에서 출력된 사운드레벨신호에 따라 상이한 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부(50)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5)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정합회로(31)는 오디오부(10)에 직접 연결되어 오디오부(10)와 제어부(30)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정합회로(31)는 임피던스 정합을 통해 신호의 반사를 줄임으로써 오디오부(10)의 신호가 제어부(30)에 손실 없이 전달되어 제어부(30)가 올바르게 동작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스펙트럼IC(33)는 다수의 BPF(Band Pass Filter : 대역통과필터)(300)와 PD(Peak Detector : 피크디텍터)(3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스펙트럼IC(33)에 입력된 음향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응답 특성을 가지는 상기 BPF(300)를 통과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음향신호는 각 주파수대별로 분리되게 된다.
그 다음, 오디오스펙트럼IC(33)에서 상기 BPF(300)별로 연결된 상기 PD(320)를 통과하면서 검출된 각 주파수대별 음향신호 크기의 최대값을 취합한 사운드레벨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상기 사운드레벨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35)로 전달되어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와 함께 조명부(50)의 동작을 결정하는 기초데이터로써의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 상기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의 입력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전달되었을 때, 장르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작동방식으로 사운드레벨신호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조명 제어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서 조명부(50)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작동방식은 각 장르별로 사운드레벨신호의 주파수 대별 신호 증폭도를 달리하여 처리함으로써 각 장르별 상이한 조명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표준 장르 신호가 입력이 된 경우, 모든 주파수대의 음향신호를 똑같은 신호 증폭도로 가공하여 조명부(50)로 제어신호를 보냄으로써 평범하고 무난한 조명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상기 표준 장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조명의 반짝임과 빛의 밝기, 조명의 움직임을 평균적인 정도로 하여 사용자는 부담없는 조명을 즐길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락음악의 경우 음향신호의 고음부와 저음부가 다른 음악에 비해서 활발하게 나타나고 음악의 빠르기 역시 빠른 편이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락 장르 신호가 입력이 된 경우, 낮은 주파수대와 높은 주파수대의 음향신호를 평균치보다 높게 증폭하고 중간 주파수대의 음향신호를 평균치보다 낮게 증폭하여 조명부(50)로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상기 락 장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조명의 반짝이는 빈도를 증가시키고 빛의 밝기를 강하게 하고 조명의 움직임을 빠르게 하여 사용자를 흥겹게 할 수 있다.
반면에, 통상적으로 가수의 목소리가 중요하게 부각되는 팝음악의 경우, 음향신호의 중음부가 중요시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팝 장르의 신호가 입력이 된 경우, 다른 주파수대에 비하여 중간 주파수대의 음향신호를 평균치보다 높게 증폭하여 조명부(50)로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의 입력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는 상기 사운드레벨신호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대에 대한 증폭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의해 음향신호의 고음부는 밝고 높은 음색을 가지므로 밝고 빠르게 점멸하는 조명에 대응될 수 있고, 음향신호의 저음부는 둔중하고 낮은 음색을 가지므로 은은하고 천천히 점멸되는 조명에 대응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음향신호에서 고음부가 등장하는 빈도가 저음부가 등장하는 빈도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편이므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는 상기 고음부 조명과 저음부 조명의 조화를 위해서 상기 고음부 조명의 빈도를 적절한 배수로 나누는 방식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 무드 방식의 입력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전달되었을 때, 미리 설정된 주기를 가지고 점멸되는 은은한 조명이 작동되도록 하는 조명 제어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서 조명부(50)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은은한 조명은 사용자의 눈을 부시게 하지 않을 정도의 밝기를 가지는 조명으로 미리 설정된 주기 혹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입력된 주기를 가지고 여러 조명들이 천천히 순차적으로 꺼지고 켜지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드 방식에서 상기 조명부(50) 조명의 일정한 주기는 0.5초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드 방식의 입력이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전달된 경우, 조명부(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입력된 사운드레벨신호와는 상관없이 별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 상시 조명 방식 방식의 입력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전달되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조명부(50)의 동작이 달라지게 하는 조명 제어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서 조명부(50)로 전송된다.
즉, 상기 상시 조명 방식으로 조명부(50)가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 조명부(50)의 점등 부위와 밝기, 발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그대로 조명부(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무드 방식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시 조명 방식의 입력이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전달된 경우, 조명부(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입력된 사운드레벨신호와는 상관없이 별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드선택스위치(40)를 통해 OFF 방식의 입력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 전달되었을 때, 자동차 내부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조명을 제외하고 모든 조명이 작동하지 않는 조명 제어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35)에서 조명부(50)로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5)는 조명부(50)의 PWM방식과 대응하 기 위해 ADC(Analog Digital Converter : 아날로그 - 디지털 변환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DC(34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화 하는 변환기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35)의 아날로그 조명 제어신호를 디지털 조명 제어신호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는 상기 조명부(50)와 상기 스피커부(20)가 분리하여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시판되는 제품 중에 스피커와 조명이 하나의 구조 속에 포함된 형상을 가지는 오디오 연동 조명장치가 있기는 하지만 이들이 곧바로 자동차에 적용되기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했듯이, 상기 조명부(50)는 자동차 내부의 상시 조명으로써 동작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부(20)가 있는 위치에 한정되어 설치되는 경우, 적절한 조명효과를 누리기 힘들다.
또한, 상기 조명부가 스피커 등의 음향장치와 함께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그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상시조명과 운전자의 시각을 자극하기에 적합한 장소에 상기 조명부(50)가 위치하기 위해 상기 조명부는 상기 스피커부(20)의 설치장소에 대해 독립적일 필요성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오디오부 20 : 스피커부
30 : 제어부 31 : 정합회로
33 : 오디오스펙트럼IC 35 : 마이크로프로세서
40 : 모드선택스위치 50 : 조명부
300 : BPF(Band Pass Filter) 320 : PD(Peak Detector)
340 : ADC(Analog Digital Converter)

Claims (5)

  1.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오디오부와;
    상기 오디오부에서 발생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모드선택스위치와;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분석하고 모드선택스위치의 입력을 받아 상기 조명부에 조명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의 주파수별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오디오스펙트럼IC와, 상기 음향신호를 오디오스펙트럼IC로 전송하는 정합회로와, 상기 오디오스펙트럼IC에서 출력된 사운드레벨신호에 따라 상이한 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부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는 상기 사운드레벨신호에 따라 조명의 밝기와 색상이 변하는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 또는 통상적인 자동차 내부 조명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시 조명 방식, 또는 무드 방식, 또는 OFF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 입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레벨 연동 방식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서 표준, 재즈, 클래식, 클럽, 댄스, 팝, 락 중 어느 하나의 장르로 선택 입력을 받고, 그 선택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드 방식은 상기 조명부가 일정한 주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명의 점멸주기와 밝기로 빛을 출력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부는 라디오, 씨디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재생기, MP3플레이어, 차량용 네비게이터, 휴대용 동영상재생기, 휴대용 게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한 음향신호를 음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KR2020080008227U 2008-06-19 2008-06-19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KR200467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27U KR200467677Y1 (ko) 2008-06-19 2008-06-19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27U KR200467677Y1 (ko) 2008-06-19 2008-06-19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39U true KR20090013139U (ko) 2009-12-30
KR200467677Y1 KR200467677Y1 (ko) 2013-06-28

Family

ID=4929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227U KR200467677Y1 (ko) 2008-06-19 2008-06-19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67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062B1 (ko) * 2012-12-12 2014-02-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피커를 이용한 차량용 독서등
KR101373277B1 (ko) * 2012-06-19 2014-03-26 방유혁 차량용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101520583B1 (ko) * 2014-05-08 2015-05-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용 아트 모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94505B1 (en) * 2017-11-29 2019-01-2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bus lighting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68B1 (ko) * 2016-11-29 2018-0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스피커 장치
KR20200034159A (ko) 2018-09-21 2020-03-31 (주)윤진전자 무선 음계신호를 이용한 차량용 무드램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049A (ja) 1998-09-30 2000-04-11 Harness Syst Tech Res Ltd 照明装置
KR20060026165A (ko)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무드 스피커 장치
KR20070032849A (ko) * 2005-09-20 2007-03-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의 조절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77B1 (ko) * 2012-06-19 2014-03-26 방유혁 차량용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101360062B1 (ko) * 2012-12-12 2014-02-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피커를 이용한 차량용 독서등
KR101520583B1 (ko) * 2014-05-08 2015-05-1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용 아트 모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94505B1 (en) * 2017-11-29 2019-01-2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bus lighting control
EP3493655A1 (en) * 2017-11-29 2019-06-0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bus lighting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677Y1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677Y1 (ko) 차량용 오디오 연동 조명 조절장치
US6164792A (en) Sound responsive decorative illumination apparatus
US9141187B2 (en) Interactive vehicle synthesizer
US20030052613A1 (en) Illuminating speaker assembly
JP2015002958A (ja) 発光演出具の制御方式
JP6984726B2 (ja) 制御装置、車両、放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92984A1 (ja) 音響再生装置
US6765496B2 (en) Light controller with sensitivity control
US7088259B2 (en) Infant monitor
JP2008001124A (ja) 車載用発音装置
US6825772B2 (en) Electroluminescent dashboard control circuit
JP2010280361A (ja) 制御装置
EP3493655B1 (en) Audio bus lighting control
CN202720894U (zh) 电动车辆音效系统
KR100906671B1 (ko) 차량의 음압을 이용한 스피커 무드등
CN220208246U (zh) 一种声卡及其音频输出设备
JP2007269044A (ja) 車載用発音装置
JP2001345029A (ja) 照明付回転ツマミ
KR20200034159A (ko) 무선 음계신호를 이용한 차량용 무드램프 시스템
JP4029216B2 (ja) 車両用スピーカー補助部材
KR20070032849A (ko) 차량용 오디오의 조절노브
JP2014239848A (ja) 発光演出具の制御方式
JP2005508115A (ja) 感度制御照明コントローラおよびシステム
KR20060026165A (ko) 차량용 무드 스피커 장치
WO2015098974A1 (ja)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が取り付けられてなる額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