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856U - 방수제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제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856U
KR20090012856U KR2020080007856U KR20080007856U KR20090012856U KR 20090012856 U KR20090012856 U KR 20090012856U KR 2020080007856 U KR2020080007856 U KR 2020080007856U KR 20080007856 U KR20080007856 U KR 20080007856U KR 20090012856 U KR20090012856 U KR 200900128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subframe
mixing cylinder
frame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971Y1 (ko
Inventor
마장훈
Original Assignee
마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장훈 filed Critical 마장훈
Priority to KR2020080007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7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하는 교반날개에 의해서 방수제와 경화제를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고, 이동가능한 방수제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 상하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프레임(20)과,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혼합통(30)과, 상기 혼합통(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에 회전축(51)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4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혼합통(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교반날개(50)을 포함한다.
방수제, 혼합, 프레임, 교반, 프레임, 결속

Description

방수제 혼합장치 {WATERPROOF AGENT MIXING APPARATUS}
본 고안은 방수제를 혼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교반날개에 의해서 방수제와 경화제를 편리하게 혼합할 수 있고, 이동가능한 방수제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옥상, 외벽 등에는 습기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제가 도포된다.
일반적으로 방수제는 일정한 비율로 경화제가 첨가되어, 상기 방수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도포하여 건축물의 방수작업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상기의 방수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방수제와 경화제를 수용할 수 있는 혼합통을 마련하고, 상기 혼합통의 내부에 방수제와 경화제를 투입한 후, 작업자가 막대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방수제와 경화제를 혼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 방수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때문에, 방수제와 경화제가 고르게 혼합되지 않고, 방수제와 경화제의 혼합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동력을 이용하여 방수제와 경화제를 편리하게 혼합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방수제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수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통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수제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혼합통과, 상기 혼합통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혼합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교반날개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혼합통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혼합통의 상단 둘레를 감싸는 띠형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혼합통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혼합통의 상단을 구속하는 결속수단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브라켓과, 상기 구동 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브라켓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서포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서포트의 단부가 출입가능하도록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상기 서포트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서포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수단이 서포트의 단부를 브라켓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통의 하단에는 밸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캐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에 따르면, 방수제와 경화제를 동력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제와 경화제가 수용되는 혼합통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혼합통을 통상의 양동이를 사용하여 혼합통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제 혼합작업시 혼합통을 세척하지 않고 새로운 혼합통을 장착하여 신속하게 혼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혼합통의 오염, 파손시 다른 혼합통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혼합작업 완료되면 혼합통을 반전시켜 혼합통의 내부에서 혼합이 완료된 방수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캐스터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방수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1)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수제 혼합장치에서 구동부와 서브프레임의 체결관계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방수제 혼합장치에서 결속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고, 도 6는 도 1의 방수제 혼합장치에서 혼합통이 상하 반전되게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1)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내부에 상하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프레임(20)과,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혼합통(30)과, 상기 혼합통(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구동부(40)에 회전축(51)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4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혼합통(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교반날개(5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타 구성요소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는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의 하단이 'U'자 또는 'C'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후술되는 혼합통(30)의 상하반전시, 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단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캐스터(11)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서브프레임(2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상하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서브프레임(20)은 바람직하게는 하부프레임(21)과, 상부프레임(22) 및 상기 하부프레임(21)과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4)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21)는 후술되는 혼합통(30)의 하단 또는 저면을 지지한다.
상부프레임(22)는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상방에 형성되고, 혼합통(30)의 상단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22)은 스트립(strip)과 같은 띠형부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되,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된 부분에 버클과 같은 결속수단(23)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2)을 수축되거나 이완되도록 하여, 혼합통(30)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거하도록 한다.
연결프레임(24)은 상기 하부프레임(21)과 상부프레임(22)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4)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관통하여, 상기 서브프레임(20)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반전축(2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20)이 상하 반전되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20)이 상하반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2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관통하는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5)의 선단부가 상기 연결프레임(24)이 선택적으로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성가 스토퍼(25)의 선단부가 상기 연결프레임(24)을 관통하면, 상기 서브프레임(2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혼합통(30)은 내부에 방수제와 경화제가 수용되고, 상기 방수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혼합통(30)은 상기 서브프레임(2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혼합통(30)은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1)에 의해 혼합통(30)은 하단 또는 저면이 지지되고, 상기 상부프레임(22)에 의해 상기 혼합통(30)이 서브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혼합통(30)은 상기 결속수단(23)을 해제하여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배출되고, 상기 결속수단(23)을 구속하여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혼합통(30)의 하단에는 혼합통(30)을 반전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혼합통(30)의 내부에서 혼합된 방수제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31)가 구비될 수도 있다.
구동부(40)는 상기 혼합통(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40)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부(40)가 상기 서브프레임(20)에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40)로부터 상기 상부프레임(22)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서포트(41)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41)의 선단이 상기 상부프레임(22)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40)가 서브프레임(20)에 설치된다.
이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 임(22)에 형성된 브라켓(22a)에 서포트(41)의 선단부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22a)은 상기 상부프레임(22)에 간격을 두고 일측에 서포트(41)의 단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장착홈(22b)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41)는 상기 구동부(40)로부터 연장되고, 그 선단이 상기 장착홈(22b)에 체결된다. 상기 서포트(41)의 선단에 구비된 체결수단, 예컨대 상기 서포트(41)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트(41)를 상기 장착홈(22b)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서포트(41)가 브라켓(22a)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41)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2)에 복수의 지점에서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통(30)을 상하반전 시켜 혼합통(30) 내부의 방수제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상기 서포트(41)에 의해서 방수제의 배출이 방해받지 않고, 방수제가 서포트(41)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전방방향으로는 서포트(41)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40)에는 상기 혼합통(30)의 상하 반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교반날개(50)는 상기 혼합통(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혼합통(30)의 내부로 공급된 방수제와 경화제를 교반한다. 상기 교반날개(50)는 회전축(51)으로 상기 구동부(4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51)은 구동부(40)로부터 상기 구동부(40)의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51)의 하단에 교반날개(5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와 같이, 혼합통(30)이 서브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혼합통(30)의 내부로 혼합하고자하는 방수제와 경화제를 정해진 비율로 투입한다.
혼합통(30)의 내부에 방수제와 경화제가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부(40)로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기 시작하고, 회전축(51)으로 연결된 교반날개(50)도 회전한다. 상기 교반날개(50)가 혼합통(3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방수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킨다. 상기 교반날개(50)가 회전하면서, 상기 방수제와 경화제를 편리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25)가 상기 연결프레임(24)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프레임(20)이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40)를 일정시간동안 작동시켜 상기 방수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통(30)을 상하 반전시켜 혼합된 방수제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구동부(40)의 가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5)를 풀어서 상기 서브프레임(20)이 상기 메인프레임(10)에서 선회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서브프레임(20)이 메인프레임(10)에서 회전가능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통(30)이 상하 반전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20)을 회전시킨다. 상기 서브프레임(20)을 회전시켜 혼합통(30)이 상하 반전되도록 함으로써, 혼 합통(30)의 내부에서 혼합이 완료된 방수제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통(30)의 내부에 혼합된 방수제의 양이 많아서 상기 혼합통(30)을 상하반전시키기 용이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혼합통(30)의 하단에 구비된 밸브(31)를 개방시켜 혼합이 완료된 방수제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혼합통(30)을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혼합통(30)이 파손되거나, 상기 혼합통(30)의 내부에 지속적인 방수제 혼합작업에 의한 오염에 의해서 혼합통(30)을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혼합통(30)이 파손, 오염되는 경우에는 먼저 구동부(40)를 탈거하고, 상부프레임(22)의 결속수단(23)을 해제하여 혼합통(30)을 교체한다.
먼저, 상기 구동부(40)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포트(41) 선단부의 너트(42)가 브라켓(22a)과 이완되도록 한다. 각각의 서포트(41)의 선단부가 브라켓(22a)과 이완되면, 각각의 서포트(41)가 브라켓(22a)의 장착홈(22b)으로부터 이탈되도록함으로써, 상기 구동부(40)가 서브프레임(20)에서 탈거되도록 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22)의 결속수단(23)을 해제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2)이 상기 혼합통(30)의 상단이 상부프레임(22)으로부터 구속이 해제되도록 힌다. 상기 결속수단(23)을 해제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2)이 이완되도록 하면, 상기 상부프레임(22)이 혼합통(30)의 상단을 구속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혼합통(30)을 서브프레임(20)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서브프레임(20)으로부터 구속이 해제된 혼합통(30)을 외부로 탈거하고, 새로운 혼합통(30)을 상기 서브프레임(20)에 장착되도록 하여, 차후의 방수제 혼합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혼합통(30)을 서브프레임(20)에 장착시키는 과정은 탈거하는 과정의 역으로 진행된다.
우선, 혼합통(30)을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로 안착시킨다. 상기 혼합통(30)의 하단 또는 저면을 하부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연결프레임(24)이 혼합통(3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혼합통(30)이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결속수단(23)을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22)이 혼합통(30)의 상단을 구속하도록 한다. 상기 결속수단(23)을 체결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2)이 수축되도록 하면, 상부프레임(22)이 혼합통(30)의 상단 둘레에 밀착되어 혼합통(30)의 상단을 구속하게 됨으로써, 상기 혼합통(30)은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 상기 혼합통(30)이 안착되면, 상기 서브프레임(20)의 상부에 구동부(40)를 체결한다. 상기 서브프레임(20)에 형성된 브라켓(22a)에 각각 서포트(41)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서포트(41)의 단부에 구비된 너트(42)를 회전시켜 상기 서포트(41)의 단부를 브라켓(22a)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서브프레임(20)의 상방에 구동부(40)가 위치하도록 서포트(41)들을 상기 서브프레임(20)에 체결되도록 하여,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22)이 결속수단(23)에 의해서 단부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구조인 바, 상기 혼합통(30)의 저면에 구비된 밸브(31)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혼합통(30)을 기울여 서브프레임(20)의 내부에 혼합통(30)을 장착 또는 탈거할 수도 있으나, 상기 결속수단(23)이 해제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2)이 벌어져 간격이 생기면 그 사이로 밸브(30)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수제와 경화제를 동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혼합통(30)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혼합통(30)이 파손되거나 오염되더라도 다른 혼합통(30)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에서 구동부와 서브프레임의 체결관계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에서 결속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제 혼합장치에서 혼합통이 상하 반전되게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방수제 혼합장치 10 : 메인프레임
11 : 캐스터 20 : 서브프레임
21 : 하부프레임 22 : 상부프레임
22a : 브라켓 22b : 장착홈
23 : 결속수단 24 : 연결프레임
24a : 반전축 25 : 스토퍼
30 : 혼합통 31 : 밸브
40 : 구동부 41 : 서포트
42 : 너트 50 : 교반날개
51 : 회전축

Claims (6)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혼합통과,
    상기 혼합통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혼합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교반날개을 포함하는 방수제 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혼합통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혼합통의 상단 둘레를 감싸는 띠형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혼합통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혼합통의 상단을 구속하는 결속수단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제 혼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브라켓과,
    상기 구동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브라켓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서포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제 혼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서포트의 단부가 출입가능하도록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상기 서포트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서포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수단이 서포트의 단부를 브라켓에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제 혼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통의 하단에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제 혼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캐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제 혼합장치.
KR2020080007856U 2008-06-12 2008-06-12 방수제 혼합장치 KR200451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56U KR200451971Y1 (ko) 2008-06-12 2008-06-12 방수제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56U KR200451971Y1 (ko) 2008-06-12 2008-06-12 방수제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56U true KR20090012856U (ko) 2009-12-16
KR200451971Y1 KR200451971Y1 (ko) 2011-01-21

Family

ID=4424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856U KR200451971Y1 (ko) 2008-06-12 2008-06-12 방수제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608U (ko) 2022-10-04 2024-04-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혼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9732A (ja) * 1988-01-12 1989-07-17 Seiko Epson Corp ガラスの製造法
JP3283422B2 (ja) * 1996-05-23 2002-05-20 梶原工業株式会社 斜軸攪拌機
JP3934797B2 (ja) 1998-07-03 2007-06-20 株式会社オーエムシー 舗装材料の簡易ミキ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971Y1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884B1 (ko) 혼합믹서기
US7059763B2 (en) Gyroscopic mixer
CN108145856B (zh) 一种混凝土高效搅拌装置
KR200451971Y1 (ko) 방수제 혼합장치
US2908425A (en) Gun dispenser
JP2011143637A (ja) 簡易モルタルミキサー
CN110614722A (zh) 实验室用微钢纤维混凝土的拌合设备
JP3702002B2 (ja) 混合装置
JP3962864B2 (ja) 土壌混合改良機
JP3612648B2 (ja) 可搬形撹拌機
JP4248513B2 (ja) 速硬コンクリート用ミキサー
KR200439486Y1 (ko) 방수제 혼합장치
JP2000266895A (ja) 放射性廃棄物を固型化する固型化材混練機の洗浄装置
JPS634496Y2 (ko)
KR200460543Y1 (ko) 타일 부착용 접착제 믹싱장치
JP2004105837A (ja) 液状材料用撹拌装置
CN211682886U (zh) 一种单卧轴强制式混凝土搅拌机
KR200355385Y1 (ko) 실험실용 콘크리트 믹서기
CN211006239U (zh) 一种便于刮料的沥青混合料拌和机
CN215963050U (zh) 一种污水处理加料用搅拌装置
KR10205407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소멸장치
JP4155533B2 (ja) 混合装置
JP2022011775A (ja) 混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混練方法
RU2132774C1 (ru) Смеситель с-35
JP3656594B2 (ja) 粉体、液体等の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