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524A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524A
KR20090012524A KR1020070076427A KR20070076427A KR20090012524A KR 20090012524 A KR20090012524 A KR 20090012524A KR 1020070076427 A KR1020070076427 A KR 1020070076427A KR 20070076427 A KR20070076427 A KR 20070076427A KR 20090012524 A KR20090012524 A KR 2009001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oove
unit
horizontal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574B1 (ko
Inventor
나기수
표철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철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7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5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와 문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문틀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도어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도어용 경첩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은 수직 부재; 수직 부재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편; 연결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부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그루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며, 그루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에 대응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한다. 수직 부재는 문틀의 측면부에 고정되고, 수평 부재의 그루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슬롯과 슬라이딩 부재의 관통 홀을 통과한 체결 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는 도어의 일면에 고정된다. 수직 부재에는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부재의 선단부에는 관통 홀이,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는 나선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볼트가 수평 부재의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선 홈에 체결되어 볼트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가 수평 부재의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된다.
도어, 경첩

Description

도어용 경첩{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틀에 도어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문틀에 대한 도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는 경첩을 통하여 힌지 운동 가능한 상태로 문틀에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를 문틀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용 경첩(10)은 축(13) 및 축(13)의 양측에 배치되어 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2개의 플레이트(11 및 12)로 구성된다. 제 1 수직 플레이트(11)와 제 2 수직 플레이트(12)는 서로 겹쳐질 수 있으며, 제 2 수직 플레이트(12)는 문틀(2)에, 제 1 수직 플레이트(11)는 도어(1)의 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1)가 경첩(10)의 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출입구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첩(10)을 이용하여 도어(1)를 문틀(2)에 설치하는 과정 및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틀(2)의 규격에 맞추어 도어(1)를 제작한 후, 도어(1)를 문틀(2)에 대하여 정렬시킨 상태에서 경첩(10)의 제 2 수직 플레이트(12)를 문틀(2)에, 제 1 수직 플레이트(11)를 도어(1)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문틀(2)에 도어(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후, 도어(1)를 닫을 때 문틀(2)과 도어(1) 사이에 간섭(도 2의 "A" 부분)이 발생, 즉 도어(1)가 문틀(2)에 정확하게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작업자는 도어(1)의 해당 부분을 가공(예를 들어, 대패질)하여 도어(1)의 치수를 조절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완제품인 도어(1)가 손상되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어(1)를 문틀(2)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한 작업자가 도어(1)를 경첩(10)이 설치된 문틀(2)에 대하여 정렬시킨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경첩(10)을 도어(1)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하게 된다. 도어(1)의 규격이 크고 또한 중량(重量)일 경우, 도어(1)에 경첩(20)을 고정시키는 동안 작업자가 도어(1)를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은 도어를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용 경첩이 갖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와 문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문틀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도어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은 수직 부재; 수직 부재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편; 연결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부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그루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며, 그루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에 대응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한다.
수직 부재는 문틀의 측면부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부재는 수평 부재의 그루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슬롯과 슬라이딩 부재의 관통 홀을 통과한 체결 수단에 의하여 도어의 일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수직 부재에는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부재의 선단부에는 관통 홀이,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는 나선 홈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가 수평 부재의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선 홈에 체결되어 볼트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가 수평 부재의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된다.
또한, 수평 부재의 그루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은 그 폭이 슬라이딩 부재의 관통 홀을 통과하는 나사의 헤드 직경보다 작아 수평 부재의 그루브에서 이탈됨이 없이 슬라이딩 부재가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수평 부재는 높이 조절 나사를 통하여 연결편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수평 부재가 높이 조절 나사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수직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 밖에, 연결편은 수직 부재에서 연장된 제 1 단위편 및 제 1 단위편과 직교 상태로 연장된 제 2 단위편을 포함하며, 수평 부재는 그루브가 형성된 제 1 단위 부재 및 제 1 단위 부재와 직교 상태로 연장된 제 2 단위 부재를 포함하되, 수평 부재의 제 2 단위 부재와 연결편의 제 2 단위편이 높이 조절 나사를 통하여 연결되며, 수평 부재의 회전에 따라 수평 부재의 제 2 단위 부재와 연결편의 제 2 단위편이 겹칠 때, 수평 부재의 제 1 단위 부재와 연결편의 제 1 단위편이 일직선 상태로 배열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은 문틀과 도어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도어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리고 경첩을 문틀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로서,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문틀에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경첩(100)이 문틀 측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 2개소에 설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 3에서는 문틀 측면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어용 경첩만을 도시하였다. 한편, 문틀 측면부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경첩은 도 3에 도시된 경첩(100)과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상하 대칭 상태로 문틀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100)은 수직 부재(110), 연결편(112)을 통하여 수직 부재(110)에 연결된 수평 부재(120) 및 수평 부재(12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수용된 슬라이딩 부재(130)를 포함한다.
수직 부재(110)
수직 부재(110)는 문틀(도시되지 않음)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수직 부재(110)는 소정의 길이(높이)를 갖는 부재로서, 다수의 관통 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통 홀(111)은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롯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수직 부재(110)를 문틀의 측면부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고정 나사(111A)를 수직 부재(110)의 관통 홀(111)을 통과시켜 문틀의 측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수직 부재(110)는 문틀의 측면부에 고정된다.
한편, 수직 부재(110)에 관통 홀(111)을 형성하지 않고 수직 부재(110)의 외측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시킴으로써 경첩(100)을 문틀의 측면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수직 부재(110)의 종단에는 연결편(1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연결편(112)은 수직 부재(110)에서 연장된 제 1 단위편(112A) 및 제 1 단위편(112A)에서 직교 상태로 연장된 제 2 단위편(112B)을 포함한다.
수평 부재(120)
수평 부재(120)는 도어(도 4의 1)의 하단이 고정되는 부재로서, 수평 부재(120)는 수직 부재(1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편(112)을 통하여 수직 부재(110)에 연결된다. 수평 부재(120)는 소정 길이의 제 1 단위 부재(121) 및 제 1 단위 부재(121)에서 직교 상태로 연장된 제 2 단위 부재(122)를 포함한다.
제 2 단위 부재(122)의 종단은 높이 조절 나사(122A)를 통하여 연결편(112)의 제 2 단위편(112B)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 부재(120)는 높이 조절 나사(122A)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 부재(110; 실질적으로는 연결편(112))에 대하여 회전(도 3의 화살표 방향)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는, 수평 부재(120)의 제 2 단위 부재(122)가 연결편(112)의 제 2 단위편(112B)과 겹쳐지며, 또한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는 연결편(112)의 제 1 단위편(112A)과 일직선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연결편(112)과 수평 부재(120)의 형상에 의하여 수평 부재(120)에 고정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문틀과 도어 사이의 간격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 상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및 길이를 갖는 그루브(12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그루브(121A)의 바닥면에는 소정 길이의 슬롯(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130)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에 형성된 그루브(121A)에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딩 부재(130)가 수용되어 있다.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 와 슬라이딩 부재(121A)의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의 횡단면도로서,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 및 제 1 단위 부재(121)에 형성된 그루브(121A) 내에 수용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130)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제 1 단위 부재(121)의 그루브(121A)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부재(130)에는 다수의 수직 관통 홀(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 홀(131)은 그루브(121A)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121B)과 대응한다.
볼트(150)는 제 1 단위 부재(121)의 그루브(121A)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121B) 및 슬라이딩 부재(130)에 형성된 수직 관통 홀(1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 1 단위 부재(121) 상에 위치하는 도어(1)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어(1)는 제 1 단위 부재(131)와 견고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도어(1)와 제 1 단위 부재(121; 실질적으로는 슬라이딩 부재(130))의 체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볼트(140)의 헤드는 그 직경이 제 1 단위 부재(121)의 그루브(121A)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121B)의 폭보다 크며, 따라서 도어(1)에 체결된 슬라이딩 부재(130)가 제 1 단위 부재(121)의 그루브(121A)로부터 이탈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 1 단위 부재(121)의 선단부에는 나선이 형성된 수평 관통 홀(12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130)의 선단부에는 수평 나선 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150)는 제 1 단위 부재(121)의 관통 홀(121C)을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13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선 홈(132)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볼트(150)의 체결 정도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130)는 제 1 단위 부재(121)에 형성된 그루브(121A) 내에서의 위치가 결정(즉, 제 1 단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과적으로 도어(1)는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 상에서 제 1 단위 부재(12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도 4의 화살표 방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100)의 기능을 도 3,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100)을 이용하여 도어(1)를 문틀(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로서, 위에서 설명한 도어용 경첩(100)을 문틀(2)의 측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하고 경첩(100)을 통하여 도어(1)를 문틀(2)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수평 부재(120) 및 수직 부재(110)에 형성된 나사 체결용 홈 및 이에 체결된 나사를 도시하지 않았다.
경첩(100)을 이용하여 도어(1)를 문틀(2)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도어(1)와 문틀(2)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경우, 즉 문틀(2)에 대하여 도어(1)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도어(1)를 가공(즉, 절삭 등과 같은 간섭 부위의 다듬질)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어를 정렬시킨다.
A. 도어(1)가 문틀(2)의 측면부와 접촉하는 경우
도어(1)를 열고 닫을 때, 도어(1)가 문틀(2)의 측면부(경첩(100)이 설치된 부분의 반대 측면부)와 접촉하는 경우, 수평 부재(120)에 고정된 도어(1)를 경첩(100)의 수직 부재(110)를 향하여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평 부재(120)의 제 1 단위 부재(121) 선단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부재(130)의 선단부에 체결된 볼트(150)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부재(130)는 제 1 단위 부재(121)의 그루브(121A) 내에서 수직 부재(110)를 향하여 슬라이딩된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볼트(140)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130)가 체결되어 있는 도어(1) 역시 수직 부재(110)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130)와 도어(1)를 체결하는 볼트(140)는 그루브(121A)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121B)을 따라 이동한다. 그루브(121A) 내에서의 이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130)의 이동에 의하여 도어(1)와 문틀(2) 간의 간섭이 해소된다.
B. 도어(1)가 문틀(2)의 상단부(또는 하단부)와 접촉하는 경우
문틀(2)에 설치된 도어(1)를 열고 닫을 때, 도어(1)가 문틀(2)의 상단부(또는 하단부)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도어(1)를 문틀(2)의 상단부(또는 하단부)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문틀(2)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경첩과 하부에 설치된 하부 경첩 중 어느 한 경첩(100)을 구성하는 연결편(112)의 제 2 연결편(112B)과 수평 부재(120)의 제 2 단위 부재(122)를 체결하는 높이 조절 나사(122A)를 느슨하게 풀어놓은 상태에서, 다른 경첩의 연결편의 제 2 연결편과 수평 부재의 제 2 단위 부재 를 체결하는 높이 조절 나사를 조절하여 수직 부재에 대하여 수평 부재를 하향 이동(또는 하향 이동)시킨다.
이후, 도어(1)와 문틀(2)의 상단부(또는 하단부)의 간섭이 해제된 상태에서 각 경첩(100)의 높이 조절 나사를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도어(1)는 문틀(2)에 간섭없이 설치된다.
C. 도어(1)가 문틀(2)의 전방(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경우
경첩(100)을 이용하여 문틀(2)에 설치된 도어(1)를 고정시킨 후에 도어(1)가 문틀(2)의 전방(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도어(1)를 문틀(2)에 대하여 후방(또는 전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작업자가 각 경첩(100)의 수직 부재(110)를 문틀(2)의 측면부에 고정시키는 모든 고정 나사(111A)를 느슨하게 푼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정 나사(111A)가 문틀(2)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경첩(100)이 고정되어 있는 도어(1)는 문틀(2)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며, 또한 고정 나사(111A)가 관통 홀(111)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경첩(100)의 수직 부재(100)는 슬롯 형상의 관통 홀(111)의 길이만큼 후방(또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어(1)를 문틀(2)에 대하여 후방(또는 전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고정된 고정 나사(111A)에 대하여 경첩(100)의 수직 부재(110)는 관통 홀(111)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어(1)가 후방(또는 전방)으로 이동한 후, 작업자가 모든 고정 나사(111A) 를 문틀(2)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경첩(100)은 문틀(2)에 고정되며, 따라서 도어(1)는 문틀(2)에 대하여 돌출됨이 없이 정확하게 위치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를 문틀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사시도.
도 4는 수평 부재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을 이용하여 도어를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Claims (5)

  1. 수직 부재,
    수직 부재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결편;
    연결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부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그루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며, 그루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에 대응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되, 수직 부재는 문틀의 측면부에 고정되며, 슬라이딩 부재는 수평 부재의 그루브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과 관통 홀을 통과한 체결 수단에 의하여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부재에는 폭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부재의 선단부에는 관통 홀이,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는 나선 홈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가 수평 부재의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선 홈에 체결되어 볼트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가 수평 부재의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부재의 그루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롯은 그 폭이 슬라이딩 부재의 관통 홀을 통과하는 나사의 헤드 직경보다 작아 수평 부재의 그루브에서 이탈됨이 없이 슬라이딩 부재가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부재는 높이 조절 나사를 통하여 연결편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수평 부재가 높이 조절 나사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수직 부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5.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편은 수직 부재에서 연장된 제 1 단위편 및 제 1 단위편과 직교 상태로 연장된 제 2 단위편을 포함하며,
    수평 부재는 그루브가 형성된 제 1 단위 부재 및 제 1 단위 부재와 직교 상태로 연장된 제 2 단위 부재를 포함하되,
    수평 부재의 제 2 단위 부재와 연결편의 제 2 단위편이 높이 조절 나사를 통하여 연결되며, 수평 부재의 회전에 따라 수평 부재의 제 2 단위 부재와 연결편의 제 2 단위편이 겹칠 때, 수평 부재의 제 1 단위 부재와 연결편의 제 1 단위편이 일직선 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KR1020070076427A 2007-07-30 2007-07-30 도어용 경첩 KR10120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27A KR101202574B1 (ko) 2007-07-30 2007-07-30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27A KR101202574B1 (ko) 2007-07-30 2007-07-30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24A true KR20090012524A (ko) 2009-02-04
KR101202574B1 KR101202574B1 (ko) 2012-11-19

Family

ID=4068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427A KR101202574B1 (ko) 2007-07-30 2007-07-30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87A (ko) 2014-11-27 2016-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송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3804B2 (ja) 2000-01-25 2004-03-31 有限会社ベスト青梅 グレビテイヒンジ
JP4431132B2 (ja) 2006-11-16 2010-03-10 株式会社ベスト ピボットヒンジの吊り金具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87A (ko) 2014-11-27 2016-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송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574B1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1636A (en) Adjustable door hinge
US8413299B2 (en) Hinge for door or window
US9663979B2 (en) Recessed adjustable door hinge
JP2010133234A (ja) 隠蔽式ドアヒンジ
US7694388B2 (en) Adjustable hinge
US10278547B2 (en) Door assembly for a bathing enclosure
US7607199B2 (en) Frameless glass door hinge
US20070261201A1 (en) Hing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EP1722056A2 (de) Mehrdimensional verstellbares Türband an einem Türflügel
KR101202574B1 (ko) 도어용 경첩
US20200063480A1 (en) Furniture hinge
US20230151660A1 (en) Door hinge
US20230151657A1 (en) Door hinge
US10927580B2 (en) Door closers
US11542738B2 (en) Door closers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RU2291942C2 (ru) Часть петли для двери, окна и т.п.
CN211923884U (zh) 枢转结构及包含该枢转结构的柜子、窗和门
JP2939882B1 (ja) 調整蝶番
KR200254755Y1 (ko) 가구용 힌지
KR200489994Y1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DE4218430A1 (de) Einstellbares Gelenkband für Fenster oder Türen
KR101303478B1 (ko) 에지테잎 부착수단 경사 작동구를 갖는 에지밴딩기
JP3429699B2 (ja) 門扉取付用ヒンジ
EP2924211B1 (en) Adjustable hinge for doors or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