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444A -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444A
KR20090012444A KR1020070076266A KR20070076266A KR20090012444A KR 20090012444 A KR20090012444 A KR 20090012444A KR 1020070076266 A KR1020070076266 A KR 1020070076266A KR 20070076266 A KR20070076266 A KR 20070076266A KR 20090012444 A KR20090012444 A KR 2009001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flat cable
flexible flat
contact
contac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795B1 (ko
Inventor
김병응
Original Assignee
임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은종 filed Critical 임은종
Priority to KR102007007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7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07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평면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을 도금처리하는 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케이싱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도금처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의 전후 양측에는 각각 컨택롤러부가 설치되어 있어 전방의 컨택롤러부를 통해 공급된 연성평면케이블이 도금처리부를 거쳐 도금처리되면서 후방의 컨택롤러부로 회수 배출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전후방의 컨택롤러부는 각각 베이스몸체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구비되어 음극역할을 하는 컨택롤러의 외주면 전체에 전도성재질의 가는 금속사(金屬絲)로 탄력성있게 직조된 금속천형태의 접지금속천이 둘러싸고 있어 공급되는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가 상기 접지금속천의 탄력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되면서 통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는 가운데부분에 구비된 도금조의 내측 하부에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금망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성평면케이블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의 저면에서는 도금용액이 도금조의 상부쪽으로 넘쳐흘러 상기 도금망과 연성평면케이블이 도금용액에 전체적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컨택롤러와 도금망에 전원이 인가되면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에 소정의 금속물질이 전기도금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70076266
연성평면케이블, 접촉단자부, 본체케이싱, 컨택롤러부, 접지금속천, 도금처리부, 도금망, 에어토출부

Description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A plating device for a flexible flat cable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성평면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을 도금처리하는 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케이싱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도금처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의 전후 양측에는 각각 컨택롤러부가 설치되어 있어 전방의 컨택롤러부를 통해 공급된 연성평면케이블이 도금처리부를 거쳐 도금처리되면서 후방의 컨택롤러부로 회수 배출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전후방의 컨택롤러부는 각각 베이스몸체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구비되어 음극역할을 하는 컨택롤러의 외주면 전체에 전도성재질의 가는 금속사(金屬絲)로 탄력성있게 직조된 금속천형태의 접지금속천이 둘러싸고 있어 공급되는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가 상기 접지금속천의 탄력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되면서 통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는 가운데부분에 구비된 도금조의 내측 하부에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금망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성평면케이블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의 저면에서는 도금용액이 도금조의 상부쪽으로 넘쳐흘러 상기 도금망과 연성 평면케이블이 도금용액에 전체적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컨택롤러와 도금망에 전원이 인가되면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에 소정의 금속물질이 전기도금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성평면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은 수가닥 내지 수십가닥의 가는 전선을 옆으로 접착하여 하나의 납작한 평면형으로 만든 케이블로서, 유연성이 우수하고 여러가닥의 전선을 좁은 공간에 배치시 공간활용성이 뛰어나며 복잡한 배선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 현재 각종 PDP, LCD, 컴퓨터 등의 가전제품이나 전자제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성평면케이블은 일측면에 내부의 구리선들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케이블표면이 벗겨져 있는 상태로 도금처리된 접촉단자부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수개의 접촉단자부에 통상의 케이블포트 등이 설치되어 다양한 전자제품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며, 상기 다수개의 접촉단자부가 도금처리된 연성평면케이블의 제조시에는 음극(cathode)이 되는 컨택롤러(contactroller)에 의해 일측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가 지속적으로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측의 연성평면케이블이 도금조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조는 내부에 도금용액과 양극(anode)이 들어 있어 도금용액 속에 잠긴 상태로 통과되는 타측 연 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 표면에 니켈이나 금 등이 전기도금처리되어 상기 접촉단자부에 설치되는 케이블포트 등이 더욱 원활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에 사용되는 컨택롤러부(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를 전원이 인가되면 음극역할을 하는 컨택롤러(12')가 베이스몸체(11')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컨택롤러(12')의 전후양측 하부에는 가이드롤러(17')가 각각 인접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롤러(12')는 전체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표면이 전기전도도가 큰 금속물질로 도금처리되어 있고 통상의 정류기(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결되어 있어 공급되는 일측 연성평면케이블(2')이 상기 컨택롤러(12')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접촉단자부(14')가 컨택롤러(12')의 외주면에 맞닿아 접촉되면서 통전되어 음극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고 도금조(도시하지 않음)의 도금용액에 잠긴상태로 이송되는 타측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도금조에 구비된 양극과 도금용액에 의해 접촉단자부(14')의 표면에 니켈(Ni)이나 금(Au) 등이 도금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컨택롤러(12')는 탄력성이 전혀 없는 단단한 금속재질의 원통형으로 그 외주면에 맞닿아 접촉되는 일측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가 도 7에 도시된 확대부분의 도면과 같이 고르게 접지되지 않고 일부분이 떨어진 상태로 접촉되어 전체적으로 원활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금조의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로 이송되는 타측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 부(14')에 전류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균일하게 도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컨택롤러(12')와 접촉단자부(14')의 원활한 접지를 위하여 직경이 큰 대형의 컨택롤러(12')를 사용할 경우에는 설치장소가 비좁은 곳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구동이 어려울 뿐 아니라 처리속도가 매우 느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로 이송되는 타측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에는 도금조의 양극으로부터 균일한 전류가 가해지지 않고 접촉단자부(14')의 좌우 양측끝단 부분으로 전류가 집중되면서 도금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경이 작은 소형의 컨택롤러를 사용하여 원활한 구동과 함께 빠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와 컨택롤러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도금용액에 잠겨 있는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가 균일하게 도금처리되도록 하며, 상기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로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과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 사이의 좌우양측 끝단부분에 전류차단판을 설치하여 접촉단자부의 좌우 양측끝단으로 전류가 집중되어 도금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으로는 에어토출부를 구비하여 도금조의 도금용액이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을 따라 흘러 전류가 흐르는 컨택롤러에 닿는 것을 차단하여 감전 및 접지불량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상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싱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도금처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의 전후 양측에는 각각 컨택롤러부가 설치되어 있어 전방의 컨택롤러부를 통해 공급된 연성평면케이블이 도금처리부를 거쳐 도금처리되면서 후방의 컨택롤러부로 회수 배출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전후방의 컨택롤러부는 각각 베이스몸체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구비되어 음극역할을 하는 컨택롤 러의 외주면 전체에 전도성재질의 가는 금속사(金屬絲)로 탄력성있게 직조된 금속천형태의 접지금속천이 둘러싸고 있어 공급되는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가 상기 접지금속천의 탄력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되면서 통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는 가운데부분에 구비된 도금조의 내측 하부에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금망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성평면케이블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의 저면에서는 도금용액이 도금조의 상부쪽으로 넘쳐흘러 상기 도금망과 연성평면케이블이 도금용액에 전체적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컨택롤러와 도금망에 전원이 인가되면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에 소정의 금속물질이 전기도금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도금조는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로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과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 사이의 좌우양측 끝단부분에 각각 긴 바형상의 전류차단판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접촉단자부들의 좌우 양측끝단으로 전류가 집중되어 도금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와 전후방의 컨택롤러부 사이에는 각각 에어토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도금조의 도금용액이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을 따라 흘러 전류가 흐르는 컨택롤러에 닿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이 작은 소형의 컨택롤러를 사용하여 원활한 구동과 함께 빠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컨택롤러 외주면을 둘러싼 접지금속천의 탄력성에 의해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와 컨택롤러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도금용액에 잠겨 있는 연성평면케이블의 접촉단자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금처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로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과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 사이의 좌우양측 끝단부분에 전류차단판을 설치하여 접촉단자부들의 좌우 양측끝단으로 전류가 집중되어 도금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도금처리부와 전후방의 컨택롤러부 사이에 각각 구비된 에어토출부에 의해 도금조의 도금용액이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을 따라 흘러 각 컨택롤러에 닿는 것을 차단하여 감전 및 접지불량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전기도금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1)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가닥 내지 수십가닥의 가는 전선을 옆으로 접착하여 하나의 납작한 평면형으로 만든 연성평면케이블(Flexible flat cable)(2)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내부의 구리선들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케이블표면이 벗겨져 있는 접촉단자부(14)를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물질로 전기도금처리하는 장치로서, 본체케이싱(3)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도금처리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20)의 전후 양측 에는 각각 컨택롤러부(10a)(10b)가 설치되어 있어 전방의 컨택롤러부(10a)를 통해 공급된 연성평면케이블(2)이 도금처리부(20)를 거쳐 상기 접촉단자부(14)가 전기전도도가 높은 니켈(Ni)이나 금(Au)과 같은 소정의 금속물질로 전기도금처리되면서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로 회수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처리부(20)와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 사이에는 각각 지속적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에어토출부(36a)(36b)가 구비되어 있어 도금조(21)의 도금용액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을 따라 흘러 상기 컨택롤러부(10a)(10b)에 닿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3)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긴 직육면체형의 케이싱으로 상부에는 덮개(4)가 덮혀지도록 되어 있으며 가운데부분에는 도금처리부(20)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전후 양측에는 각각 컨택롤러부(10a)(10b)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케이싱(3)의 전면와 후면에는 각각 입구(5)와 출구(6)가 천공되어 있어 연성평면케이블(2)이 내측으로 공급되어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20)와 컨택롤러부(10a)(10b) 사이에는 각각 칸막이(7a)(7b)가 형성되어 있어 도금처리부(20)의 도금조(21)에서 지속적으로 넘쳐흐르는(overflow) 도금용액이 상기 컨택롤러부(10a)(10b)로 흘러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7a)(7b)에는 각각 가운데부분에 관통공(8a)(8b)이 천공되어 있어 연성평면케이블(2)이 전방의 컨택롤러부(10a)와 도금처리부(20)와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7a)가 설치된 부분의 본체케이싱(3) 바닥면에는 도금용액 회수관(9)이 연통 설치되어 있어 도금처리부(20)의 도금조(21)에서 지속적으로 넘쳐흐르는 도금용액이 상기 도금용액회수관(9)을 통해 회수되어 재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처리부(2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연성평면케이블(2)을 공급 및 회수하면서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가 고르게 통전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케이싱(3)의 입구(5) 및 출구(6)에 각각 근접된 상태로 본체케이싱(3)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몸체(11a)(11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몸체(11a)(11b)의 상부 가운데부분에는 각각 통상의 정류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상태로 전원이 인가되면 음극(cathode)역할을 하는 컨택롤러(12a)(12b)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택롤러(12a)(12b)는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와 같은 전도성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며 원통형으로 된 몸체의 외주면 전체에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전도성재질의 가는 금속사(金屬絲)로 탄력성있게 직조된 금속천형태의 접지금속천(13a)(13b)이 둘러싸고 있어 연성평면케이블(2)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내부의 구리선들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케이블표면이 벗겨져 있는 접촉단자부(14)가 상기 접지금속천(13a)(13b)의 탄력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되면서 통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롤 러(12a)(12b)와 접지금속천(13a)(13b)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우레탄고무 등과 같은 쿠션재(15a)(15b)가 개재(介在)되어 있어 완충성을 향상시켜 상기 접지금속천(13a)(13b)과 접촉단자부(14)가 더욱 밀접하게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접지금속천(13a)(13b)과 컨택롤러(12a)(12b)가 접지단자(16a)(16b)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원할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택롤러(12a)(12b)는 전후 양측 하부에 각각 가이드롤러(17a)(17b)가 회전가능하게 근접설치되어 있어 연성평면케이블(2)이 일정하게 공급 및 회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전후 양측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탄성스프링 또는 탄성편(18a)(18b)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텐션롤러(19a)(19b)가 회전가능하게 근접설치되어 있어 상기 텐션롤러(19a)(19b)의 탄성력에 의해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공급되는 연성평면케이블(2)을 일정하게 가압하여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이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에 더욱 밀착된 상태로 공급 및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금처리부(2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컨택롤러부(10a)를 통해 공급된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가 니켈(Ni)이나 금(Au)과 같은 소정의 금속물질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기도금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케이싱(3)의 가운데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장방형의 도금조(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21)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전후면에는 각 각 유입구(22) 및 배출구(23)가 천공되어 있어 도금조(21) 내측으로 연성평면케이블(2)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조(21)의 내측 전후방 상부에는 각각 가이드롤러(17c)(17d)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유입구(22) 및 배출구(23)를 통해 유입 및 배출되는 연성평면케이블(2)을 도금조(21)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바르게 가이드하면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금조(21)는 내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중간바닥판(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바닥판(24)에는 다수개의 도금용액분출공(25)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도금조(21)의 바닥면 가운데부분에 연통설치된 도금용액공급관(26)으로부터의 도금용액이 상기 중간바닥판(24)의 도금용액분출공(25)을 통해 저면부에서부터 도금조(21) 전체로 고르게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도금용액은 개방된 도금조(21)의 상부를 통해 외측으로 넘쳐흐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21)의 중간바닥판(24)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는 티타늄 등의 재질로 된 망을 백금(Pt) 등으로 도금한 도금망(27a)(27b)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되어 있되 상기 도금망(27a)(27b)은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거치대(28a)(28b)가 복수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거치대(28a)(28b)의 상부는 도금조(21)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도금조(21)의 일측면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가로거치대(29a)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수직거치대(28a)(28b)를 상하 높이조절하여 도금용액에 잠겨 있는 도금망(27a)(27b)의 높낮이를 상하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거치대(28a)(28b)의 상단부에는 통상의 정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정류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도금망(27a)(27b)에 전류가 가해져 양극(anode)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금망(27a)(27b)의 상부에는 연성평면케이블(2)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롤러(17c)(17d)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은 도금조(21)내의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에서 접촉단자부(14)가 형성된 부분이 하면부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도금망(27a)(27b)과 서로 대응된 상태에서 이송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컨택롤러(12a)(12b)와 도금망(27a)(27b)에 전원이 인가되면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에 소정의 금속물질이 원활하게 전기도금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금조(21)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로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2)과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27a)(27b) 사이의 좌우양측 끝단부분에 각각 PVC나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된 긴 바(bar)형상의 전류차단판(30a)(30b)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전류차단판(30a)(30b)은 각각 외측면에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위치조절대(31a)(31b)가 복수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대(31a)(31b)는 수직으로 위치된 하부는 상기 전류차단판(30a)(30b)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수평으로 위치된 상부는 도금조(21)의 양측면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가로거치대(29a)(29b)의 가이드편(32a)(32b)에 삽입개재되어 지지되면서 좌우방향으로 안정 되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전류차단판(30a)(30b)이 연성평면케이블(2)과 도금망(27a)(27b)사이의 좌우양측끝단 부분에 위치되면서 도금망(27a)(27b)으로부터의 전류를 일부 차단하여 통상적으로 도금망(27a)(27b)의 좌우 양측끝단으로 집중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 좌우 양측끝단부분이 가운데부분보다 더욱 두껍게 도금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위치조절대(31a)(31b) 중 어느 하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끝단에 본체케이싱(3)의 좌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상태의 나사봉(33a)(33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봉(33a)(33b)은 각각 통상의 구동모터(34a)(34b)의 축과 커플링(35a)(35b)을 통해 기어물림되어 있어 상기 구동모터(34a)(34b)의 정역회전에 따라 나사봉(33a)(33b)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위치조절대(31a)(31b)를 좌우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와 도금망(27a)(27b) 사이의 전류차단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에어토출부(36a)(36b)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처리부(20)와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도금조(21)의 외측으로 계속적으로 넘쳐흐르는 도금용액이 유입구(22)를 통해 연성평면케 이블(2)을 따라 역류하거나 배출구(23)를 통해 연성평면케이블(2)과 함께 외측으로 흘러 전후방의 컨택롤러(12a)(12b)에 닿아 감전되거나 연성평면케이블(2)이 접지불량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도금처리부(20)와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 사 이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본체케이싱(3)의 좌우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상부에어토출관(37a)(37b)과 하부에어토출관(38a)(38b)으로 나뉘어져 있어 상기 상부에어토출관(37a)(37b)과 하부에어토출관(38a)(38b) 사이로 연성평면케이블(2)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에어토출관(37a)(37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a)(39b)은 도금처리부(20)쪽으로 하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에어토출관(38a)(38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c)(39d)은 도금처리부(20)쪽으로 상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어 도금조(21) 내부의 도금용액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을 따라 흐르는 것을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연성평면케이블(2)의 측면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제거하면서 건조시켜 전류가 흐르는 컨택롤러(12a)(12b)에 도금용액이 닿지 않게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에어토출관(37a)(37b) 및 하부에어토출관(38a)(38b)은 모두 통상의 에어공급탱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에어공급탱크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일측면에 내부의 구리선들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케이블표면이 벗겨져 있는 접촉단자부(14)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긴 평면형의 연성평면케이블(2)은 본체케이싱(3)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5)를 통해 공급되어 전방의 컨택롤러부(10a)를 거쳐 도금처리부(20)를 통과하면서 전기도금처리되고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를 통해 회수되어 본체케이싱(3)의 후면에 형성된 출구(6)로 배출된다.
먼저, 상기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에 구비되어 통상의 정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음극역할을 수행하는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에 연성평면케이블(2)이 감싼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되,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을 둘러싼 전도성재질의 가는 금속사(金屬絲)로 탄력성있게 직조된 접지금속천(13a)(13b)에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되어 통전되면서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전후 양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롤러(17a)(17b) 및 텐션롤러(19a)(19b)에 의해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며, 상기 전방의 컨택롤러부(10a)를 통해 이송된 연성평면케이블(2)은 접촉단자부(14)가 하면부쪽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도금처리부(20)의 도금조(21) 전면에 형성된 유입구(22)를 통해 도금조(21) 내측으로 유입되며 도금조(21)의 가이드롤러(17c)(17d)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도금조(21)의 저면에서부터 상부쪽으로 지속적으로 넘쳐흐르는 도금용액에 잠긴상태로 이송되고, 이 때 상기 도금조(21)의 내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티타늄 등의 재질로 된 망을 백금(Pt) 등으로 도금한 도금망(27a)(27b)이 통상의 정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양극역할을 하면서 도금용액에 잠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에 소정의 금속물질이 균일하게 도금처리되도록 하며, 상기 도금조(21)의 후면에 형성된 배출구(23)를 통해 도금조(21) 외측으로 배출된 연성평면케이블(2)은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를 거쳐 본체케이싱(3)의 출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부(14)가 소정의 금속물질로 전기도금된 연성평면케이블(2)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은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와 도금처리부(20) 사이에 각각 설치된 에어토출부(36a)(36b)의 상부에어토출관(37a)(37b)과 하부에어토출관(38a)(38b) 사이로 통과되면서 도금용액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을 따라 도금조(21) 외측으로 흘러 전후방의 컨택롤러(12a)(12b)에 닿아 감전되거나 연성평면케이블(2)이 접지불량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상부에어토출관(37a)(37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a)(39b)이 도금처리부(20)쪽으로 하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하부에어토출관(38a)(38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c)(39d)이 도금처리부(20)쪽으로 상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도금조(21) 내부의 도금용액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을 따라 흐르는 것을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연성평면케이블(2)의 측면방향으로 흘러 내리도록 하여 제거하면서 건조시켜 전류가 흐르는 컨택롤러(12a)(12b)에 도금용액이 닿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를 측면에서 본 상태의 종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에 연성평면케이블이 공급되어 전기도금처리되는 상태의 종단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의 평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에 연성평면케이블이 공급되어 전기도금처리되는 상태의 평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에서 전후방 컨택롤러부의 일요부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도금처리된 연성평면케이블의 사시개략도
도 7은 종래 도금장치에서 컨택롤러부의 일요부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금장치 2, 2'. 연성평면케이블
3, 3'. 본체케이싱 4. 덮개
5. 입구 6. 출구
7a, 7b. 칸막이 8a, 8b. 관통공
9. 도금용액회수관 10a, 10b, 10'. 컨택롤러부
11a, 11b, 11'. 베이스몸체 12a, 12b, 12'. 컨택롤러
13a, 13b. 접지금속천 14, 14'. 접촉단자부
15a, 15b. 쿠션재 16a, 16b. 접지단자
17a, 17b, 17c, 17d, 17'. 가이드롤러 18a, 18b. 탄성편
19a, 19b. 텐션롤러 20. 도금처리부
21. 도금조 22. 유입구
23. 배출구 24. 중간바닥판
25. 도금용액분출공 26. 도금용액공급관
27a, 27b. 도금망 28a, 28b. 수직거치대
29a, 29b. 가로거치대 30a, 30b. 전류차단판
31a, 31b. 위치조절대 32a, 32b. 가이드편
33a, 33b. 나사봉 34a, 34b. 구동모터
35a, 35b. 커플링 36a, 36b. 에어토출부
37a, 37b. 상부에어토출관 38a, 38b. 하부에어토출관
39a, 39b, 39c, 39d. 에어토출공

Claims (10)

  1. 긴 장방형으로 된 본체케이싱(3)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도금처리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20)의 전후 양측에는 각각 컨택롤러부(10a)(10b)가 설치되어 있어 전방의 컨택롤러부(10a)를 통해 공급된 연성평면케이블(2)이 도금처리부(20)를 거쳐 도금처리되면서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로 회수 배출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는 각각 베이스몸체(11a)(11b)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구비되어 음극역할을 하는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 전체에 전도성재질의 가는 금속사로 탄력성있게 직조된 금속천형태의 접지금속천(13a)(13b)이 둘러싸고 있어 공급되는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가 상기 접지금속천(13a)(13b)의 탄력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되면서 통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20)는 가운데부분에 구비된 도금조(21)의 내측 하부에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27a)(27b)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금망(27a)(27b)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성평면케이블(2)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21)의 저면에서는 도금용액이 도금조(21)의 상부쪽으로 넘쳐흘러 상기 도금망(27a)(27b)과 연성평면케이블(2)이 도금용액에 전체적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컨택롤러(12a)(12b)와 도금망(27a)(27b)에 전원이 인가되면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에 소정의 금속물질이 전기도금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3)은 상부에 덮개(4)가 덮혀지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케이싱(3)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입구(5)와 출구(6)가 천공되어 있어 연성평면케이블(2)이 내측으로 공급되어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처리부(20)와 컨택롤러부(10a)(10b) 사이에는 각각 칸막이(7a)(7b)가 형성되어 있어 도금처리부(20)의 도금조(21)에서 지속적으로 넘쳐흐르는 도금용액이 상기 컨택롤러부(10a)(10b)로 흘러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7a)(7b)에는 각각 가운데부분에 관통공(8a)(8b)이 천공되어 있어 연성평면케이블(2)이 전방의 컨택롤러부(10a)와 도금처리부(20)와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7a)가 설치된 부분의 본체케이싱(3) 바닥면에는 도금용액회수관(9)이 연통 설치되어 있어 도금처리부(20)의 도금조(21)에서 지속적으로 넘쳐흐르는 도금용액이 상기 도금용액회수관(9)을 통해 회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롤러(12a)(12b)는 외주면과 접지금속천(13a)(13b) 사이에 전체적으로 쿠션재(15a)(15b)가 개재되어 있어 완충성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접지금속천(13a)(13b)과 컨택롤러(12a)(12b)가 다수개의 접지단자(16a)(16b)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원할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롤러(12a)(12b)는 전후 양측 하부에 각각 가이드롤러(17a)(17b)가 회전가능하게 근접설치되어 있어 연성평면케이블(2)이 일정하게 공급 및 회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전후 양측 상부에는 각각 탄성스프링 또는 탄성편(18a)(18b)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텐션롤러(19a)(19b)가 회전가능하게 근접설치되어 있어 상기 텐션롤러(19a)(19b)의 탄성력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이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에 더욱 밀착된 상태로 공급 및 회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처리부(20)는 본체케이싱(3)의 가운데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장방형의 도금조(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21)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전후면에는 각각 유입구(22) 및 배출구(23)가 천공되어 있어 도금조(21) 내측으로 연성평면케이블(2)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금조(21)의 내측 전후방 상부에는 각각 가이드롤러(17c)(17d)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유입구(22) 및 배출구(23)를 통해 유입 및 배출되는 연성평면케이블(2)을 도금조(21)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바르게 가이드하면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21)는 내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중간바닥판(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바닥판(24)에는 다수개의 도금용액분출공(25)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도금조(21)의 바닥면 가운데부분에 연통설치된 도금용액공급관(26)으로부터의 도금용액이 상기 중간바닥판(24)의 도금용액분출공(25)을 통해 저면부에서부터 도금조(21) 전체로 고르게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공급되는 도금용액은 개방된 도금조(21)의 상부를 통해 외측으로 넘쳐흐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도금조(21)의 중간바닥판(24)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된 망형상의 도금망(27a)(27b)은 일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거치대(28a)(28b)가 복수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수직거치대(28a)(28b)의 상부는 도금조(21)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도금조(21)의 일측면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가로거치대(29a)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도금망(27a)(27b)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거치대(28a)(28b)의 상단부에는 통상의 정류기로부터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정류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도금망(27a)(27b)에 전류가 가해져 양극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21)는 도금용액에 잠긴 상태로 이송되는 연성평면케이블(2)과 양극역할을 하는 도금망(27a)(27b) 사이의 좌우양측 끝단부분에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된 긴 바형상의 전류차단판(30a)(30b)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전류차단판(30a)(30b)은 각각 외측면에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위치조절대(31a)(31b)가 복수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대(31a)(31b)는 수직으로 위치된 하부는 상기 전류차단판(30a)(30b)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수평으로 위치된 상부는 도금조(21)의 양측면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가로거치대(29a)(29b)의 가이드편(32a)(32b)에 삽입개재되어 지지되면서 좌우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전류차단판(30a)(30b)이 연성평면케이블(2)과 도금망(27a)(27b)사이의 좌우양측끝단 부분에 위치되면서 도금망(27a)(27b)으로부터의 전류를 일부 차단하여 도금망(27a)(27b)의 좌우 양측끝단으로 집중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 좌우 양측끝단부분이 가운데부분보다 더욱 두껍게 도금처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부(36a)(36b)는 도금처리부(20)와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 사이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본체케이싱(3)의 좌우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상부에어토출관(37a)(37b)과 하부에어토출관(38a)(38b)으로 나뉘어져 있어 상기 상부에어토출관(37a)(37b)과 하부에어토출관(38a)(38b) 사이로 연성평면케이블(2)이 통 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에어토출관(37a)(37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a)(39b)은 도금처리부(20)쪽으로 하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에어토출관(38a)(38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c)(39d)은 도금처리부(20)쪽으로 상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어 도금조(21) 내부의 도금용액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을 따라 흐르는 것을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제거하면서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9. 본체케이싱(3)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5)를 통해 일정간격으로 접촉단자부(14)가 형성된 연성평면케이블(2)이 공급되어 전방의 컨택롤러부(10a)를 거쳐 도금처리부(20)를 통과하면서 전기도금처리되고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를 통해 회수되어 본체케이싱(3)의 후면에 형성된 출구(6)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전후방의 컨택롤러부(10a)(10b)에 구비되어 음극역할을 수행하는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에 연성평면케이블(2)이 감싼 상태로 이송되며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을 둘러싼 전도성재질의 가는 금속사로 탄력성있게 직조된 접지금속천(13a)(13b)에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지되어 통전되면서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전후양측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롤러(17a)(17b) 및 텐션롤러(19a)(19b)에 의해 상기 컨택롤러(12a)(12b)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며, 상기 전방의 컨택롤러부(10a)를 통해 이송된 연성평면케 이블(2)은 접촉단자부(14)가 하면부쪽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도금처리부(20)의 도금조(21) 내측으로 유입되며 도금조(21)의 가이드롤러(17c)(17d)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도금조(21)의 저면에서부터 상부쪽으로 지속적으로 넘쳐흐르는 도금용액에 잠긴상태로 이송되고 상기 도금조(21)의 내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도금망(27a)(27b)이 양극역할을 하면서 도금용액에 잠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의 접촉단자부(14)에 소정의 금속물질이 균일하게 도금처리되도록 하며 상기 도금조(21)의 외측으로 배출된 연성평면케이블(2)은 후방의 컨택롤러부(10b)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 접촉단자부(14)가 소정의 금속물질로 전기도금된 연성평면케이블(2)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의 사용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은 전후방 컨택롤러부(10a)(10b)와 도금처리부(20) 사이에 설치된 에어토출부(36a)(36b)의 상부에어토출관(37a)(37b)과 하부에어토출관(38a)(38b) 사이를 통과하면서 도금용액이 연성평면케이블(2)을 따라 도금조(21)의 외측으로 흘러 전후방의 컨택롤러(12a)(12b)에 닿아 감전되거나 연성평면케이블(2)이 접지불량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상부에어토출관(37a)(37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a)(39b)이 도금처리부(20)쪽으로 하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하부에어토출관(38a)(38b)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39c)(39d)이 도금처리부(20)쪽으로 상향 경사진 측면 대각선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도금조(21) 내부의 도금용액이 상기 연성평면케이블(2)을 따라 흐르는 것을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연성평면케이블(2)의 측면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제거하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70076266A 2007-07-30 2007-07-30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094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266A KR100949795B1 (ko) 2007-07-30 2007-07-30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266A KR100949795B1 (ko) 2007-07-30 2007-07-30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44A true KR20090012444A (ko) 2009-02-04
KR100949795B1 KR100949795B1 (ko) 2010-03-30

Family

ID=4068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266A KR100949795B1 (ko) 2007-07-30 2007-07-30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3950A (zh) * 2017-03-16 2017-08-15 江苏金坤科技有限公司 一种裸铜和镍的共用电镀装置及其电镀工艺
KR20180071567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수평셀 도금장치 및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061A (ko) * 2013-01-16 2014-07-30 주식회사 잉크테크 연속 도금 장치 및 연속 도금 방법
KR101627789B1 (ko) * 2016-02-25 2016-06-07 주식회사 잉크테크 연속 도금 장치 및 연속 도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922B2 (ja) * 1993-07-26 1998-02-16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超極細複合金属めっき線の製造装置
JPH08293214A (ja) * 1995-04-25 1996-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導体の部分金メッキ方法
JP3131680B2 (ja) * 1995-10-13 2001-02-05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銅めっき線の製造方法
JP4207862B2 (ja) 2004-08-06 2009-01-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567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수평셀 도금장치 및 처리 장치
CN107043950A (zh) * 2017-03-16 2017-08-15 江苏金坤科技有限公司 一种裸铜和镍的共用电镀装置及其电镀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795B1 (ko) 201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751B2 (ja) 板状製品の電気分解処理用装置及び方法
RU24206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гальванического покрытия
KR101076947B1 (ko) 전기 절연 구조체를 전해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4754840B2 (ja) 誘電体基材上の導電性パターンの電解増厚方法と装置、及び誘電体基材
KR100949795B1 (ko) 연성평면케이블용 도금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5806613B2 (ja) 太陽電池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81119A (ko) Pcb용 전해도금장치
KR100942056B1 (ko) 연성평면케이블용 전기도금처리시스템
WO2021227853A1 (zh) 电极结构、电化学沉积设备及其电化学沉积方法
KR20020042737A (ko) 컨베이어식 전기도금 장치
WO2016013985A1 (en) A wire coa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79554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lytically treating flat work pieces
US4554062A (en) Machine for the continuous gold-plating of contact tabs
JP6325787B2 (ja) 化学処理装置
KR20090132090A (ko) 인쇄회로기판 도금용 지그
KR100670117B1 (ko) 연속도금장치의 전극접점장치
CN211079399U (zh) 用于退锡设备的导电刷及包含其的退锡设备
CN110725001B (zh) 用于退锡设备的导电刷及包含其的退锡设备
CN103628120A (zh) 电镀辅助板及应用其的电镀设备
KR20140037790A (ko) 평면 기판의 단면 전해 처리 장치
EP1496142A2 (en) Electroplating method and electroplating apparatus
KR100418816B1 (ko) 전자단자의 금도금장치
CN110725000B (zh) 用于退锡设备的导电刷及包含其的退锡设备
CN217948320U (zh) 一种连续电镀设备
CN215713509U (zh) 一种电解剥挂装置及电解剥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