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296A -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 Google Patents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296A
KR20090012296A KR1020080136274A KR20080136274A KR20090012296A KR 20090012296 A KR20090012296 A KR 20090012296A KR 1020080136274 A KR1020080136274 A KR 1020080136274A KR 20080136274 A KR20080136274 A KR 20080136274A KR 20090012296 A KR20090012296 A KR 20090012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crete
animals
ecological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섭
Original Assignee
한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섭 filed Critical 한민섭
Priority to KR102008013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296A/ko
Publication of KR2009001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로와 옹벽 등의 내부에 빠진 개구리와 뱀과 같은 양서류들이 다른 곳으로 이동을 할 때에 편리하게 도와 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에 관한 발명이다,자세히는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의 농수로와 옹벽과 같은 인위적 구조물은 주변 동물들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풀륨관이나 세멘트 블록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농수로와 옹벽의 내부에 빠지게 되면 탈출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농수로와 옹벽 등에 동물들이 갇히게 되면 탈출이 불가능하므로 인하여 또다른 포식자들의 먹이감이 됨으로 인해 생존이 불가능해 질 뿐더러 번식률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생존에 필요한 물을 먹기 위해 농수로로 접근하였다가 오히려 농수로에 같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옹벽과 콘크리트 농수로 등에 다수의 생태 통로를 구성하여 농수로에 갇히게 된 동물에게 육상으로의 이동통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농수로와 옹벽과 같은 인위적인 구조물에 의한 동물들의 활동 영역 제한을 해소하여 줌과 함께, 크기가 작은 양서류와 같은 지표동물들이 물을 먹을 때 필요한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하게 하여 줌으로써, 파괴되어 가고 있는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발명인 것이다.
환경 통로

Description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본 발명은 풀륨관이나 U 풀륨관 또는 ㄴ형 측구를 이용한 옹벽 또ㅡㄴ 석재를 이용한 석축 옹벽과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구축한 농수로 등에 다수의 환경 생태 통로를 구성하여 농수로 또는 옹벽에 갇히게 된 양서류와 동물들에게 육상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통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농수로와 옹벽과 같은 인위적인 구조물에 의한 동물들의 활동 영역 제한을 해소하여 줌과 함께, 동물들에게 필요한 물을 먹기 위해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하게 하여 줌으로써, 파괴되어 가고 있는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발명인 것이다.
종래의 농수로와 옹벽과 같은 인위적 구조물들은 주변에 서식하는 양서류와 크기가 적은 동물들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풀륨관이나 세멘트 블록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농수로와 옹벽의 내부에 빠지게 되면 탈출이 불가능 하였다.
이러한 결점을 가지고 있는 농수로와 옹벽 등에 동물들이 빠지게 되거나 갇히게 되면 탈출이 불가능하므로 인하여 또 다른 포식자들의 먹이감이 됨으로 인해 생존이 불가능해 질 뿐더러 개체수의 불균형으로 인해 번식률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생존에 필요한 물을 먹기 위해 농수로로 접근하였다가 오히려 농수로에 같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간편을 추구하는 농사 방법의 일환으로 농경지에는 콘크리트 수로관을 이용한 농수로가 구성되며 도시화 등의 개발로 인해 절개지의 옹벽은 직각화 되어 있으며, 자연적인 하천은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러한 직각화를 이룰 수밖에 없는 콘크리트를 이용한 하천의 주변이나 농수로 등의 개설은 자연적인 생태계를 유지시키지 못한다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배수로 등의 구성방식이 물을 가두기 위한 치수와 이수를 목적으로 하는 대규모 토목공사 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토종 동물들이 서식하기에 알 맞는 자연 환경기능은 저하되었음을 부인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마구잡이식의 개발은 필연적으로 하천의 수질오염을 유발하였으며, 자연 생태계의 필수 구성요소로서 하천 식생과 토종 서식동물의 감소로 인한 생태 리싸이클이 파괴되면서 서식동물의 다양성이 감소되어 토종을 유지하는 자연 생태계의 서 식처로서의 역할이 쇠퇴 되었던 것은 물론, 직각으로 구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수로에 의해 생태계가 더욱더 파괴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하천이나 강 또는 용수로 등의 직각화와 콘크리트화에 의한 저지대와 고지대의 분리현상은 양서류나 수서 곤충류과 같은 수륙 양생 동물의 교류를 차단하는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용수로나 배수로는 양서류와 같은 수륙 양생 동물들은 활동영역을 제한하는 경계선으로, 콘크리트로 구성된 직벽 때문에 용수로를 통하여 인접한 생활 반경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농수로 또는 옹벽이나 농수로 등에 들어간 파충류와 양서류 같은 수륙 양생 동물들이나 설치류 등의 작은 동물들이 탈출하기 어려웠던 것은 물론이고, 직선화 또는 직각화 된 농수로 안에서의 먹이조달이 중단됨으로 인하여 생존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농수로에 들어간 양서류나 설치류, 수서곤충류에게 제공하는 공간과 들어간 곳에서 다시 빠져나올 이동통로가 없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된 농수로 등에 의해 인접 지역으로의 토종 동물들의 교류가 억제되고, 먹이로 이용되고 있는 농수로의 물을 이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먹이 조달 부족으로 인하여 서식이 어렵기 때문에 자연적인 토종 생태계 질서가 변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완성하여 양서류와 크기가 작은 동물들이 수시로 농수로 또는 옹벽 등을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통로를 구축하여주기 위해선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석축 또는 풀륨관이나 ∪ 형풀륨관 또는 ㄴ 형 측구를 이용한 농수로 또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이나 농수로 등을 구축할 때에 그 일측 또는 타측의 하부 바닥면에 ○,□,Ο자의 형태로 구멍을 구성하거나 또는 가로형태 뉘어지는 타원형의 형태로 구멍을 형성시켜준 후 지상의 지표면과 연결될 정도의 길이로 파이프를 절단 한 후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구를 결합하여 옹벽 및 농수로용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석축으로 구성되는 옹벽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구멍에 파이프 연결구를 끼운 후 파이프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형태로 파이프의 주위를 흙으로 메워 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를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이프의 내부에 거칠거칠하고 오돌도톨한 형태의 요철을 구성해 주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파이프를 이용하게 되면 파이프의 내부가 미끈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양서류들이 이동할 때에 미끈미끈한 표면에 의해 미끄러지게 됨으로 인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철사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철브러 쉬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내부에 수없이 많은 흠집 즉 요철을 형성시켜주는 방법과 모기장이나 철망을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시켜주는 방법 또는 파이프의 내부에 다수개의 로프를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양서류와 같은 동물들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을 과제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농수로와 옹벽 등에 환경 생태 통로를 연속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성하여 주게 되면 석축 또는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는 옹벽 또는 농수로에 갇히게 되어 빈사 상태의 동물에게 탈출구로 이용될 수가 있기 때문에 생태계를 복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환경생태 통로는 양서류와 같은 생태 동물들이 서식하는 서식지와 서식지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로 역할을 하여 주기 때문에 농수로와 옹벽 등에 의해 차단되고 있는 인위적인 구조물에 의한 양서류와 같은 지표 동물들의 활동 영역을 넓혀주는 역할을 하여 줄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환경 생태 통로가 농수로 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수로관과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환경 생태 통로가 농수로에 설치된 콘크리트 수로관과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환경 생태 통로가 석축 또는 콘크리트 수로관과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석재를 이용한 석축 옹벽 또는 ㄴ 자형의 측벽 또는 Ο,□,○자형의 흄관과 ∪자형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수로관(1) 등의 벽 하단부에 타원 또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멍(6)을 형성시켜 준 후 상기 구멍(6)에 지시부호 2의 형태와 같은 ㄴ 자 형태의 파이프 연결구(2)를 삽입 한 후 파이프 연결구(2)의 상단부에 또다시 파이프(3)를 끼워서 파이프(3)의 상단부분이 지상(7)의 상단부분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파이프(3)를 절단하여 환경 생태통로(4)를 구성한다.
파이프 연결구(2)와 파이프(3)를 수로관 또는 흄관이나 ㄴ 형 측구를 이용한 옹벽 또는 수로 또는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한 수로 또는 석축(1)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구멍(6)에 삽입하기 전에 지표동물 또는 양서류들이 지상(7)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수로에 흐르고 있는 물을 먹기 위해서 이동하는데 편리하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구(2)와 파이프(3)의 내부에 거칠거칠하고 오돌 도톨한 형태의 요철(5)을 구성한 구조이다.
또는 지표동물과 양서류 등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모기장이나 철망 등을 상기 파이프 연결구(2)와 파이프(3)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 연결구(2)와 파이프(3)의 내부를 구성해 주어야 한다.
또한 파이프(3)의 내부에 다수개의 가닥으로 구성되는 로프(미도시)를 삽입하여 환경생태통로(4)를 구성하여 줄 수도 있다.
파이프의 연결구(2)와 파이프(3)의 재료를 달리 하가나 파이프의 내부에 요철을 구성하여 주는 방법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기구와 재료들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변경하여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설계변경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임으로 모방업자는 권리범위 심판 없이 즉시 처벌받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농수로나 배수로 또는 옹벽의 주변에서 서식하는 지표면동물들의 활동영역을 제한하였던 종래의 수로가 가지고 있는 결점을 해결하여 줌으로 인해 서식지에서의 이동을 도와주면서 활동영역을 넓혀주는 역할로 인하여 생태계보존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환경 생태통로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던 직선화된 콘크리트 수로와 연속하여 연결되는 친환경적인 공간을 구성하여 지표면에 서식하는 동물들이 농수로 또는 용수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한 것이다.
즉,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성되어 있는 통로를 따라서 양서류와 같은 수륙 양생 동물들이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도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수로관의 양측으로 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여 주게 되면 수로로부터 인접 지표면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지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경생태통로에는 거칠거칠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서류 또는 지표동물들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인접 지표면으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생태통로는 다양한 변형된 방법을 통하여 환경 생태통로를 구성시켜 줄 수가 있는 것이기에 환경생태통로를 구성하는 방법은 방법이 틀리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환경 생태통로를 적극적으로 설치하여 주게 되면 파괴되어만 가는 자연생태계를 손쉽게 복원하여 주는 기능에 의해 자연생태계를 용이하게 복원하여 주는 기능을 발휘하여 줌과 동시에 지표면에 서식하는 양서류를 비롯한 지표 생물들의 활동 영역을 넓혀 주는 작용효과에 의해 생태계에 피라미드형태의 먹이 사슬을 적극적으로 복원하여주는 작용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환경 생태 통로가 농수로 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수로관과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환경 생태 통로가 농수로에 설치된 콘크리트 수로관과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환경 생태 통로가 석축 또는 콘크리트 수로관과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수로관 또는 석축 또는 ㄴ 형 측구 또는 흄관 또는 콘크리트 옹벽
2. 파이프 연결구 3: 파이프 4: 환경생태통로
5: 거칠거칠하고 오돌 도톨 하도록 구성되는 요철 6: 구멍 7: 지표면

Claims (1)

  1.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이용하여 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옹벽 또는 ㄴ 자형의 측벽 또는 Ο,□,○자형의 흄관과 ∪자형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수로관(1) 등의 벽 하단부에 타원 또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멍(6)을 형성시켜 준 후 상기 구멍(6)에 ㄴ 자 형태의 파이프 연결구(2)를 삽입 한 후 파이프 연결구(2)의 상단부에 또다시 파이프(3)를 끼워서 파이프(3)의 상단부분이 지상(7)의 상단부분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파이프(3)를 절단하여 환경 생태통로(4)를 구성함과 함께;
    파이프 연결구(2)와 파이프(3)를 수로관 또는 흄관이나 ㄴ 형 측구를 이용한 옹벽 또는 수로 또는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한 수로 또는 석축(1)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구멍(6)에 삽입하기 전에 지표동물 또는 양서류들이 지상(7)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수로에 흐르고 있는 물을 먹기 위해서 이동하는데 편리하도록 상기 파이프 연결구(2)와 파이프(3)의 내부에 거칠거칠하고 오돌 도톨한 형태의 요철(5)을 구성하여 양서류 또는 지표동물들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인접 지표면으로 이동할 수가 있도록 환경생태통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KR1020080136274A 2008-12-30 2008-12-30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KR20090012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74A KR20090012296A (ko) 2008-12-30 2008-12-30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74A KR20090012296A (ko) 2008-12-30 2008-12-30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96A true KR20090012296A (ko) 2009-02-03

Family

ID=4068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274A KR20090012296A (ko) 2008-12-30 2008-12-30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2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86B1 (ko) * 2011-04-21 2012-01-04 경상남도 생태통로가 구비된 사방댐
CN102912766A (zh) * 2012-05-03 2013-02-06 新疆额尔齐斯河流域开发工程建设管理局 渠道衬砌混凝土板全封闭喷滴灌养护装置
CN106120680A (zh) * 2016-07-06 2016-11-16 广东省生态环境技术研究所 一种农田沟渠生物逃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086B1 (ko) * 2011-04-21 2012-01-04 경상남도 생태통로가 구비된 사방댐
CN102912766A (zh) * 2012-05-03 2013-02-06 新疆额尔齐斯河流域开发工程建设管理局 渠道衬砌混凝土板全封闭喷滴灌养护装置
CN106120680A (zh) * 2016-07-06 2016-11-16 广东省生态环境技术研究所 一种农田沟渠生物逃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JP2006144539A (ja) 河川の水中生態系復元工法
KR20090012296A (ko)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Peay Eradication of alien crayfish populations
KR101140647B1 (ko) 갯벌어장 쏙류(Upogebia major)의 구제방법과 바지락, 갯벌참굴을 복합적으로 조성하는 양식시설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류의 복합식 채묘환경 조장방법
CN100507154C (zh) 多孔栖息单元式生态护岸块体
KR20140048170A (ko) 양서류를 비롯하여 모든 동물들이 수로에 빠지거나 갖혔을 때에 탈출이 용이하도록 도와 주는 친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친환경 공법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1172941A (ja) 環境に配慮した水路用u形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762335B2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20090024539A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2319979B1 (ko) 수변 동물을 위한 인공 생활 은신처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KR100509317B1 (ko) 친환경 농업용 용수로
KR200447370Y1 (ko) 하천용 인공어초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KR200283238Y1 (ko) 환경 생태 통로 다리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JP4065442B2 (ja) 生態系配慮型水路構造
KR20090000362U (ko) 원형호안블럭
KR20010090051A (ko) 환경 생태 통로 다리의 구성 방법
JP2003232026A5 (ko)
KR102169246B1 (ko) 해저 지형에 기반한 인공 어초 및 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